KR100991153B1 - 광고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광고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153B1
KR100991153B1 KR1020090110727A KR20090110727A KR100991153B1 KR 100991153 B1 KR100991153 B1 KR 100991153B1 KR 1020090110727 A KR1020090110727 A KR 1020090110727A KR 20090110727 A KR20090110727 A KR 20090110727A KR 100991153 B1 KR100991153 B1 KR 10099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cradle
coupling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세중
Original Assignee
(주)모스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스트디자인 filed Critical (주)모스트디자인
Priority to KR102009011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용 거치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광고용 거치대는, 지지관;과, 서로 인접되는 상기 지지관들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관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의 상하의 인접된 단부에서 상기 지지관들에 양측을 벌리는 힘을 가하여 광고영역을 형성하도록 결합 구성되어, 광고용 거치대의 설치가 용이하며, 광고 또는 홍보 내용의 수에 따라 거치부의 확장이 용이하고, 설치 상태의 변경이 용이하며, 바람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켜 거치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배너, 광고, 현수막, 광고용, 광고용 거치대, 지지바, 지지관

Description

광고용 거치대{SUPPORTER FOR ADVERTIZEMENT}
본 발명은 현수막, 광고판 등을 설치하는 광고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부착 및 이동이 자유로운 간이 설치가 용이한 광고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방법으로는 방송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인터넷 상에 노출시키는 방법, 거리에 설치된 게시판에 게시하거나, 광고판이나 현수막 등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광고 또는 홍보 방법 중 광고 또는 홍보 대상을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또는 그 광고 또는 홍보 대상 영역이 국지적이거나 일시적인 경우에는 비용이나 설치 또는 관리면에서 효율적인 게시판, 광고판 또는 현수막을 간이 거치대에 고정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광고판이나 현수막을 이용한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거치대의 종래기술의 예로는 Y형 지지대를 이용하여 현수막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3572호의 '현수막 거치대'(종래기술 1), 광고원판을 지지몸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11695호의 '간이 이동형 광고판 구조'(종래기술 2), 관상용 식물을 배치하고 환형 지지대를 이용하여 안내표시판을 고정하는 일본 공개특허 2001-56656호의 '식물부가 표시장치'(종래기술 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이동성과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국지적 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제작된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다수의 내용을 게시할 수 있도록 구조를 확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광고 또는 홍보 내용의 수에 따라 거치부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광고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설치 상태의 변경이 용이한 광고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고용 거치대는, 각 단부가 중공부단부로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관;과,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중공부단부로 삽입되는 지지관 결합체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적어도 2 개의 지지바결합구멍이 형성된 복단결합수단;과 인접하는 서로 다른 상기 지지관에 결합된 상기 복단결합수단의 상기 지지바결합구멍에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인접되는 지지관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탄성을 가하며 벌려지도록 연결하여 상기 지지관의 사이가 광고부재를 설치하는 영역으로 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지지관들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하는 탄성 지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관들이 상기 탄성 지지바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 구성됨으로써 받침부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바는 서로 인접되는 상기 지지관들과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되는 위치에서 중앙부위가 상기 양측의 단부 방향으로 굽은 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상기 지지관은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 중공부를 가지는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는 상기 지지관의 중공부로 관통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는 직선형으로 되고 상기 중공부로부터 벗 어나는 위치에서는 아치형을 이루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관 또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관은 와이어 등에 의해 천정 등에 매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또한, 상기 지지관의 단부와 상기 지지바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바와 상기 지지관의 단부 각각과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식 결합 등의 상보적결합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삭제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핀 결합, 서로 결합된 단부의 상기 지지부와 지지관의 결합부위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브관에 의한 결합, 서로 인접된 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클립 결합 등의 방식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지지관, 지지바 또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부분을 거치부라 한다.
상기 거치대는 또한, 상기 지지바가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지지바결합부가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결합부는 상기 거치부의 결합수에 따라 상기 지지바결합부가 복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거치부의 요동에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중이 무거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광고 또는 홍보 내용의 수에 따라 거치부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광고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게가 가볍고,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광고용 거치대의 설치 상태의 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광고용 거치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1단결합수단(30)을 구비한 광고용 거치대(100)(이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치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는 거치부(10)와 받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0)는 2 개의 지지관(11), 상기 지지관(11)에 현수막 또는 광고판 등의 광고부재(16)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수단(15), 상기 2 개의 지지관(11)의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2 개의 상부 및 하부 지지바(12a, 12b, 이하, '지지바'를 통칭하는 경우 도면부호 '12'로 기재 함) 및 상기 지지관(11)과 상기 지지바(12)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체결수단으로서의 1단결합수단(30)(도 2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11)은 양단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봉, 또는 내부가 중공부(11')로 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하기에 설명될 도 3에서 도면 부호 11'이 지시하는 위치는 중공부(11')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분이 단면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 삽입홈 및 상기 중공부의 단부가 형성된 부분을 중공부단부(11a)라 한다. 상기 삽입홈 또는 상기 중공부단부(11a)의 내주면에는 결합을 긴밀히 하기 위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는 지지관(11)의 중공부단부(11a)에 타 구성의 단부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바(12)는 휨 및 형상 복원 특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바(12)의 양단부 각각에는 결합돌기(12c)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c)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단결합수단(30)(도 2 참조)은 상기 지지관(11)의 중공부단부(11a)에 결합하는 지지관결합체(31)와 상기 지지바(12)의 결합돌기(12c)가 결합하는 결합구멍(32a)이 중심부에 요입 형성된 지지바결합체(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지지관결합체(31)의 외주면은 수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32a)의 내주면은 암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50)는 저면이 평평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50)의 상부에는 지지바(12)가 아치형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지지바결합부(51)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받침부(50)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어 하중을 크게하기 위하여 물 등의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내부가 받침부(50)을 형성하는 재질로 충진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두 개의 상기 지지관(11)이 평행하게 배치된 후 1단결합수단(30)의 지지관결합체(31)를 지지관(11)의 중공부단부(11a)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지지관(11)의 단부 각각에 1단결합수단(30)을 각각 결합시킨다. 이 후 중공부단부(11a)에 결합된 지지바결합체(32)의 지지바결합공(32a)에 지지바(12)의 결합돌기(12a)를 각각 결합하여 지지관(11)들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지지관(11)의 하부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지지바(12b)는 상기 받침부(50)의 지지바결합부(5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에 의해 거치부(10)의 하부를 받침부(50)에서 진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지지관(11)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지지바(12)들은 아치형으로 휘어지게 되며, 탄성에 의해 두 개의 지지관(11)을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작용하여 거치부(10)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2개의 지지관(11)에 광고부재(16)의 걸이공(16a)에 연결된 고정수단(15)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지지관(11)의 사이 영역에 현수막, 광고판 등의 광고부재(16)를 고정하여 광고를 수행한다.
상술한 구조의 거치대(100)는 그 설치가 용이하며, 지지관(11) 및 지지 바(12)의 탄성에 의해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에 따라 흔들리면서도 받침부(50)에 의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는 일시적 및 국지적인 간이 광고를 수행하는 경우 설치가 용이하고 바람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거치대에서 상기 지지관(11), 지지바(12) 및 1단결합수단(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결합구멍, 지지관결합체 등은 각각의 구성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구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각 구성에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보적 결합이라 함은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과 같이 서로 상보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지지관(11)과 상기 지지바(12)은 1단결합수단(30)을 매개로 결합되지 않고 각각의 단부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도 1의 광고용 거치대는 지지바 또는 지지관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탄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탄소카본 소재 등으로 지지바 또는 지지관을 제작할 수 있어 그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복단결합수단을 구비한 거치대(200)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거치대(200)는 도 1 및 도 2의 거치대(100)의 구성 중 1단결합수단(30) 대신 복합결합수단(300)을 구비하며, 받침부(50a)에는 다수의 지지바결합부(51a)가 형성되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거치대(100)와 구성상의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거치대(200)의 복단결합수단(300)은 다수의 지지바(12)를 하나의 지지관(11)에 다수의 지지바(12)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복단결합수단(300)은 지지관(11)에 결합되는 측에는 도 1 및 도 2의 1단결합수단(30)의 지지관결합체(31)와 동일한 구조의 지지관결합체(311)가 형성되며, 지지관결합체(311)의 상부에는 적어도 2개의 지지바결합구멍(312)이 형성된 지지바결합체(31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50a)는 다수의 지지바결합부(51a)들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의 받침부(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3의 제 1 결합예에 따른 거치대(200a)의 사시도이다.
도 3의 거치대(200)는 복단결합수단(300)에 의해 다각 기둥 형상의 거치부를 가지도록 조립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조립된 거치부(10a)를 나타낸다.
즉, 도 3의 복단결합수단(300)은 지지관결합체(311)가 각각의 지지관(11)의 단부에 결합된 후, 지지바결합체(310)에 다수의 지지바(12)들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거치부(10a)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바(12b)들은 받침 부(50a)의 지지바결합부(51a)에 삽입된 후 결합되는 것에 의해 거치부(10a)가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의 거치대(200a)는 받침부(50a)를 구비함이 없이 다각기둥 형상의 거치부(10a)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제 2결합예에 따른 거치대(200b)의 사시도이다.
도 3의 구조를 가지는 거치대(200)는 또한 복단결합수단(300)에 의해 병풍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10b)로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거치대(200b)는 받침부를 구비함이 상기 거치부(10b)만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거치부(10b)의 하부지지바(12b)들 중 하나 이상에 도 1 및 도 2의 받침부(50)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의 복단결합수단(300)을 구비한 거치대(200a, 200b)가 다각 기둥 형상의 거치부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복단결합 수단(300)에 지지바결합구멍(312)이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에 의해 도 1의 거치부(10)와 형상의 거치부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거나, 벌집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하는 등 거치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환형의 지지바(12')가 지지관(11)의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거치대(3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거치대는 또한 지지관(11)이 내부가 빈 중공 관으로 형성되고, 지지바(12)가 환형으로 형성되거, 지지바(12)가 지지관(11)의 중공부로 관통하여 환형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다각 기둥형 거치부(10c)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12')는 일단부에는 결합돌기(12c)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지지바결합홈(12d)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구조의 지지바(12')는 두 개의 지지관(11)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된 후 결합돌기(12c)가 지지바결합홈(12d)에 억지 끼움 식으로 결합하여 환형을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6의 확대도는 상기 지지관(11)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바(12)의 결합 단부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결합돌기(12c)와 상기 지지바결합홈(12d)은 지지바(12')의 단부가 볼조인트 등으로 지지바(12')의 중앙부위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는 경우에는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제 3 실시예의 거치대(300)를 구성하는 상기 거치부(10c)가 삼각 기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거치부(10c) 또한 하나의 지지바(12')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지지관(11)에 다시 다른 지지바(12')를 이용하여 다른 지지관(11)을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병풍형, 다각기둥 형 등으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는 횡 방향 걸이식의 거치대(400)의 사이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횡방향 걸이식의 거치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의 거치부(10d)는 도 1의 거치부(10)의 구성에서 상기 지지관(11)의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와이어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걸이부(11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 7의 거치부(10d)가 복단결합수단(300) 또는 도 6의 지지바(12') 및 지지관(11) 결합 방법에 의해 복단으로 연결되면 도 8과 같이 복단을 가지는 횡 방향 걸이식 거치대(400a)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거치대(5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거치대(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가 u형 지지바(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형 지지대(13)는 복단결합수단(300)에 결합하는 양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위치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전체 형상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구성은 상기 도 4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u형 지지바(13)는 양단부가 지지관(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관(11)을 고정한다. 이때 u형 지지바(13)의 중앙부위는 도 9와 같이 지지관(11)에 사이 영역에 게시되는 광고부재(16)의 후면에 위치되어 가려짐으로써 거지대(500)의 전체 형상의 심미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거치대(500)의 수직 높이를 줄임으로써 거치대의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1단결합수단(30)을 구비한 광고용 거치대(100)(이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치대(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복단결합수단을 구비한 거치대(200)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 1 결합예에 따른 거치대(200a)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제 2 결합예에 따른 거치대(200b)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환형의 지지바(12')가 지지관(11)의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거치대(300)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는 횡방향 걸이식의 거치대(400)의 사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200, 200a, 200b, 300, 400, 400a, 500: 거치대
10, 10a, 10b, 10c, 10d, 10e: 거치부
11: 지지관 11a: 중공부단부
11c: 걸이부 11': 중공부
12, 12': 지지바 12a: 상부 지지바
12b: 하부 지지바 12c: 결합돌기
12d: 지지바결합홈 13: u형 지지바
30: 결합수단 300: 복단결합수단
32, 310: 지지바결합체
31, 311: 지지관결합체 32a, 312: 지지바결합구멍
50, 50a: 받침부 51, 51a: 지지바결합부

Claims (11)

  1. 각 단부가 중공부단부로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관;과,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중공부단부로 삽입되는 지지관 결합체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적어도 2 개의 지지바결합구멍이 형성된 복단결합수단;과
    인접하는 서로 다른 상기 지지관에 결합된 상기 복단결합수단의 상기 지지바결합구멍에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인접되는 지지관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탄성을 가하며 벌려지도록 연결하여 상기 지지관의 사이가 광고부재를 설치하는 영역으로 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지지관들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연속하여 연결하는 하는 탄성 지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관들이 상기 탄성 지지바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결된 다수의 거치부로 연결 구성됨으로써 받침부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 중공부를 가지는 관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지지관의 중공부로 관통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는 직선형으로 되고 상기 중공부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서는 아치형을 이루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상기 지지관을 횡방향으로 매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가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지지바결합부가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결합부는 상기 거치부의 결합수에 따라 상기 지지바결합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서로 인접되는 상기 지지관들과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되는 위치에서 중앙부위가 상기 양측의 단부 방향으로 굽은 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거치대.
KR1020090110727A 2009-11-17 2009-11-17 광고용 거치대 KR10099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27A KR100991153B1 (ko) 2009-11-17 2009-11-17 광고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27A KR100991153B1 (ko) 2009-11-17 2009-11-17 광고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153B1 true KR100991153B1 (ko) 2010-11-02

Family

ID=4340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727A KR100991153B1 (ko) 2009-11-17 2009-11-17 광고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1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9B1 (ko) 2003-09-05 2004-10-15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현수막 거치대
KR200389133Y1 (ko) 2005-04-25 2005-07-07 박우홍 현수막 거치대
KR100583918B1 (ko) * 2004-06-29 2006-06-01 황종현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9B1 (ko) 2003-09-05 2004-10-15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현수막 거치대
KR100583918B1 (ko) * 2004-06-29 2006-06-01 황종현 탄성 프레임이 구비된 현수막
KR200389133Y1 (ko) 2005-04-25 2005-07-07 박우홍 현수막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10382Y (zh) 一种方型展架
US9069239B2 (en) Collapsible display means
KR100991153B1 (ko) 광고용 거치대
US8464448B2 (en) Mobil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610704B1 (en) Display structure with moving attraction elements
KR20060012338A (ko) 상부 구조물에 지탱하여 사용하는 현수막 거치대
KR200441020Y1 (ko) 배너 거치대
CN201956030U (zh) 多节杆及具有多节杆的易拉宝式广告支架
KR100581692B1 (ko) 현수막 거치대
KR102001369B1 (ko) 도로표지판 설치장치
KR200437123Y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현수막 걸이대
KR200396834Y1 (ko)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US8910404B2 (en) Flat stock device to attach a printed display and a flag therewith to a fence
KR101181404B1 (ko) 안내표지판 설치장치
KR200200033Y1 (ko) 스텐드형 광고 현수막 지지대
KR200337532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318755Y1 (ko) 현수막 지지장치
JP3082956U (ja) 懸垂幕支持装置
KR200394541Y1 (ko) 광고물 거치대
CN102254498A (zh) 多节杆及具有多节杆的易拉宝式广告支架
KR200310172Y1 (ko) 현수막 설치대
KR101291553B1 (ko) 다단연결식 표지판의 조립구조
KR200410555Y1 (ko) 고정식 거치대
KR200233058Y1 (ko) 3면 입체광고장치
KR20100007884U (ko) 조립식 스탠드형 피오피 등신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