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580B1 - 탄산수 제조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580B1
KR100583580B1 KR1020047016255A KR20047016255A KR100583580B1 KR 100583580 B1 KR100583580 B1 KR 100583580B1 KR 1020047016255 A KR1020047016255 A KR 1020047016255A KR 20047016255 A KR20047016255 A KR 20047016255A KR 100583580 B1 KR100583580 B1 KR 10058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bon dioxide
dioxide gas
water purifier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730A (ko
Inventor
미즈노모토시게
오다니카쯔시
가토키요시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105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053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313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7722B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adding the flowing main component by suction means, e.g. using an e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1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 B67D1/0072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through a diffuser, a bubb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01F23/237621Carbon dioxide in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3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 the centre of the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3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 the centre of the conduit
    • B01F25/3133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 the centre of the conduit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design of the injector
    • B01F25/31331Perforated, multi-opening, with a plurality of holes
    • B01F25/313311Porous in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10)는 탄산가스 유로(11)를 가지며, 탄산가스 유로(11)를 경유하여 탄산가스(A)를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1)와, 수유로(21)를 가지며, 수유로(21) 안에서 탄산가스 공급부(1)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 A 및 수유로(21)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B)을 혼합하여 탄산수(C)를 제조하는 혼합부(2)를 구비한 탄산수 제조 장치(10)로서, 탄산가스 공급부(1)와 혼합부(2)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있고, 간이한 구조로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며, 염가인 동시에, 적절한 탄산 농도의 탄산수 또는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음료수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CARBONATED WATER MANUFACTURING DEVICE, WATER PURIFIER WITH THE DEVICE, AND STATIONARY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수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적절한 탄산 농도의 탄산수 또는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음료수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간이한 구조로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탄산수 제조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사용하기 편리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돗물 등의 원수(原水)를 세라믹 필터나 중공사(中空絲) 필터 등의 여과 부재 및 활성탄 등의 흡착 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정수 기구(정수 엘리먼트)를 통해 정수를 얻기 위한 거치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수관(吐水管; 충전 노즐)의 위치(정수의 공급 위치)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어느 쪽으로나 움직일 수 있는 사용하기 편리한 거치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탄산수는 각종 탄산음료의 탄산원으로서 각종 탄산음료 디스펜서에 공급하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가정용 음료수에 탄산가스를 소정량 용존시킴으로써(예컨대, 3∼30 ppm의 탄산 농도),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부여하여, 음료수의 맛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탄산수를 제조하는 장치로서는, 각종 탄산음료 디스펜서로서, 예컨대, 장치를 인라인형 카보네이트로서 구성하고, 펌프 송액되는 저온 음료수와, 탄산가스 폼베(pombe)로부터 공급한 탄산가스를 관로 안에서 직접 기액 혼합시켜, 탄산수로 바꾸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8250 공보). 또한, 가정용 탄산가스 첨가수 제조 장치로서, 예컨대, 물의 유로에 수압 응답식 가스 공급 밸브의 수유로부(水流路部) 및 수유량 제어부, 탄산가스의 유로에 감압 밸브, 탄산가스 유량 제어부 및 수압 응답식 가스 공급 밸브등을 배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5366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탄산수 제조 장치는 모두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하는 탄산가스량의 설정이나 제어가 곤란하여, 탄산 농도의 설정에 있어서의 신뢰성 및 신속성의 면에서 반드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고, 또한, 장치 전체의 구성도 대규모이고 복잡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고가의 것이 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염되기 쉬운 부품(예컨대, 탄산가스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부의 구성 부품)의 교환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수기, 예컨대, 가정용 정수기에 이용된 경우, 탄산가스 농도의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탄산가스 농도의 설정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동작의 확인 등이 곤란하여, 사용하기 편리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탄산수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한 탄산수 또는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음료수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간이한 구조로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탄산수 제조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사용하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한편,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에는 대별하여 정수 기구를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하는 형식의 것과 수도꼭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얹어 놓는 거치형의 것이 존재한다.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하는 형식의 정수기는 정수 기구를 내장한 카트리지와, 수돗물을 스트레이트로 흘리는 경우와 정수를 토출하는 경우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콕을 갖는 정수기 본체를 수도의 수도꼭지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도의 수도꼭지의 강도와 취급의 형편상, 정수 기구를 내장한 카트리지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수 능력이 작아 오로지 가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것에 대하여, 거치형의 것은 수도의 수도꼭지에 수도의 원수를 스트레이트로 흘리는 경우와 정수를 얻는 경우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콕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는 해도, 정수기기 본체를 대형의 것으로 함으로써 정수 능력을 적절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의 정수를 사용하는 가정이나 업무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거치형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얻어진 정수를 수도의 수도꼭지에까지 되돌려 이 위치에서 정수를 토출하도록 한 것과, 정수기 자체에 토수관을 부 착하여 그 토수관으로부터 정수를 토출하도록 한 것이 존재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후자의 토수관을 갖는 거치형 정수기에 있어서는, 정수기 자체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간단히는 움직이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정수의 공급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토수관 자체를 그 일단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안을 회동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4773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그 일례이다. 이하, 이 공지의 거치형 정수기를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47731호 공보에 기재된 거치형 정수기(200)는 수도 등의 수도꼭지(202)에 직접 접속되는 유로 전환기(204)와, 원수를 정화하는 정수기 본체(206)와, 유로 전환기와 정수기 본체를 연통 접속하여 원수를 정수기 본체로 유도하는 호스(208)에 의해 구성되고, 유로 전환기(204)는 그 원수 입구가 너트(210)를 통해 수도꼭지(202)에 접속되어 있다.
유로 전환기(204)는 하단이 원수 출구, 후단은 송수구로 되어 있고, 이 송수구에는 상기 호스(208)가 접속되며, 추가로, 유로 전환기(204)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로 전환 밸브가 수납되고, 유로 전환기(204)의 측부에 설치된 레버(212)에 의해 유로 전환 밸브를 조작하여 수도꼭지(202)로부터의 원수를 원수 출구로부터 그대로 방출하는 상태와 호스(208)를 통해 정수기 본체(206)로 유도하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정수기 본체(206)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외부 프레임(214)과, 필터 유닛(216)을 지지하여 외부 프레임(214)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덮개(218)와, 토수관(2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프레임(214)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 원반 형상의 바닥판(222)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 중앙부에 있어서 유수로가 설치된 L자형의 입수 노즐(224)의 일단이 외부 프레임(214)의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 구멍(226)에 수밀 상태로 장착되는 동시에, 바닥판(2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입수 노즐(224)의 타단에 설치된 입수구(228)에 호스(208)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상부 덮개(218)는 그 하단에 필터 지지판(230)을 통해 필터 유닛(216)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외부 프레임(2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필터 지지판(230)은 상단 중앙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도출된 L자형의 유수구(232)를 구비하는 동시에, 하단 중앙부에 개구된 짧은 통 형상의 볼록부(234)를 구비하고, 그 볼록부(234)의 내주면에 필터 유닛(216)의 상단 출수구(23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필터 유닛(216)의 하단 입수구(238)는 입수 노즐(224)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정수기를 갖는 L자형의 연결 노즐(240)의 일단이 상부 덮개(218)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개구부(24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또한, 이 연결 노즐(240)의 타단이 상기 필터 지지판의 유수구(232)에 연결되며, 또한, 개구부(242)로부터 돌출 설치된 연결 노즐(240)은 일부가 상부 덮개 내측면으로, 잔부가 상부 덮개 외측면으로 팽출하고 있다.
그리고, L자형의 토수관(220)의 기단부가 연결 노즐(240)의 도출단에 연결되 는 동시에, 토수관(220)이 연결 노즐(240)의 중심축(a)을 회동축으로서 수평면 안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토수관(220)의 선단은 아래쪽으로 굴곡하고 있다.
따라서, 이 종류의 정수기 본체(206)에 있어서는, 토수관(220)의 선단이 축(a)을 회동축으로서 수평면 안을 소정 각도 범위 안에서 회동할 수 있으므로, 정수의 공급 위치를, 토수관(220)의 선단이 위치하는 높이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바꿀 수 있지만, 이 토수관(220)은 그 일단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안을 회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정수의 공급 위치(높이)가 높은 용기 안에 정수를 공급할 때에는 공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반대로 높이가 낮은 용기에 정수를 공급할 때에는 이 용기를 바닥면에 두면 주위에 물이 튀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항상 손으로 용기를 지지해야 하고, 나아가서는, 정수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수관(220)을 수평면 안에서 회동하면, 토수관(220) 안에 남아 있던 정수가 토수관(220) 선단에서 흘러내리게 되어, 주위를 침수시키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종래예의 정수기 본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토수관 자체를 그 일단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안에서 회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면, 정수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수관을 움직여도 누수가 생길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지만, 토수관 자체를 수직면 안뿐만 아니라 수평면 안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 그 회동 기구는 소위 다관절 구조가 되어, 구성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누수가 생길 우려가 커 지는 동시에 토수관 선단을 원하는 위치에 정지·고정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등의 이유로 채용하기 어려웠다.
또, 탁상 보온병이나 전기 포트 등에 있어서는, 본체를 그 중심축을 회동축으로서 수평면 안을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급탕 노즐을 수평면 안에서 360도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는 구성은 주지이지만, 이들의 구성은 외부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외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전기 코드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것의 경우에는, 전기 코드가 전기 포트의 움직임에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적용 가능하지만, 강성이 있는 급수 호스가 정수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적용하면, 정수기 본체의, 중심축을 회동축으로 한 수평면 안의 회동에 따라, 급수 호스도 움직여 주위의 물품과 접촉하거나, 혹은 급수 호스의 강성 때문에 회동시킨 정수기 본체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버리거나 하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덧붙여, 전술한 탁상 보온병이나 전기 포트 등은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형이지만,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과 같은 거치형 정수기에 대해서는 회전축으로서의 중심축을 특정하는(상정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 등으로 인해, 수평면 안을 회동시킨다고 하는 시도는 전혀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행해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실제로 거치형 정수기에 필요로 되는 수평면에서의 회동 범위는 주지의 탁상형 보온병 내지는 전기 포트에서 채용되고 있는 회동 범위에 비하면 매우 좁은 범위로 충분하기 때문에, 거치형의 정수기에 있어서 종래 채용된 적이 없었던 정수기 본체를 수평면 안 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면, 가령 급수 호스가 움직이게 된다고 해도 그 움직임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토수관 자체는 수직면 안만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토수관의 위치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이면서 강성이 있는 급수 호스가 부착되어 있는 거치형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기 본체를 수평면 안에서 회동시키면 급수 호스가 움직이게 되는 경우에도, 통상 필요로 되고 있는 회동 범위 안에서 그 급수 호스의 움직임이 커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토수관의 선단의 위치(정수의 공급 위치)를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움직이게 할 수 있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면서 물이 흘러내릴 우려도 적은 사용하기 편리한 거치형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이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타원 형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모서리를 둥글게 한 형상(레이싱 트랙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면서, 정수에 탄산가스를 첨가하여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의 탄산수를 얻을 수 있는 탄산가스 첨가형의 거치형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탄산가스 공급부와, 탄산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 및 물을 혼합하는 혼합부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탄산수 제조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1] 탄산가스 유로를 가지며, 상기 탄산가스 유로를 경유하여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와, 수유로를 가지며, 상기 수유로 안에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 및 상기 수유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을 혼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혼합부를 구비한 탄산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혼합부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이하, 「제1 발명」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수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한 탄산수 또는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음료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간이한 구조로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2]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혼합부가 서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서로의 중심축이 30∼90도의 각도로 교차하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1]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3] 상기 혼합부의 수유로가, 굴곡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굴곡한 수유로를 갖는 혼합부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1]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4]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가 상기 혼합부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5] 상기 혼합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유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탄산가스 공급부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 부분이 직사각형이고, 상기 직사각형의 부분보다도 하류의 소정 길이 부분이 끝이 가는 원추대형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6]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가 상기 탄산가스 유로 안에 상기 수유로에 면하는 단부면측에서부터 차례로 다공질판, 역지 밸브 및 오리피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7]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가 탄산가스가 공급되는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오리피스용 필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6]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8]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를 구성하는 다공질판의 구멍 직경이 10∼50 ㎛인 [6] 또는 [7]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9] 상기 다공질판의 재질이 소결 금속, 세라믹스, 다공질 유리 또는 불소수지인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10]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를 구성하는 상기 역지 밸브의 형상이 상기 탄산가스 유로를 통과하는 탄산가스의 상기 다공질판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상기 오리피스 방향으로의 통과를 저지하는 기능을 가진 우산 형상인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11]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에, 정기적으로 소정량의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구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이하, 「제2 발명」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사용하기 편리한 정수기로 할 수 있다.
[13]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와, 상기 탄산가스 공급 용기에 연결된 탄산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조정 밸브와, 탄산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2]에 기재한 정수기.
[14] 상기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및 상기 조정 밸브가 그 하우징에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13]에 기재한 정수기.
[15] 상기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및 상기 조정 밸브가 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배관에 의해 정수기 본체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상기 [13]에 기재한 정수기.
[16] 상기 스위칭 수단이 누름 버튼 방식의 ON-OFF 전환 밸브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정수기.
[17] 상기 스위칭 수단을 구성하는 ON-OFF 전환 밸브가 보조 스프링을 가지 며 이루어지는 상기 [16]에 기재한 정수기.
[18] 상기 스위칭 수단을 구성하는 ON-OFF 전환 밸브가 ON 상태일 때에, 탄산가스의 공급을 소리에 의해 알리는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한 정수기.
[19] 상기 스위칭 수단을 구성하는 ON-OFF 전환 밸브를 ON 또는 OFF 상태로 했을 때에, 그 동작을 클릭 음에 의해 알리는 상기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정수기.
[20]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혼합부의 상기 수유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여 정화수로 하기 위한 정수 엘리먼트와, 상기 정수 엘리먼트의 상기 정화수의 출구측에 접속된 유량계와, 상기 혼합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탄산수를 소정의 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노즐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2]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정수기.
[21] 상기 정수 엘리먼트가 세라믹스 다공체 및/또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20]에 기재한 정수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제1 및 제2 발명)에 의해 탄산수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한 탄산수 또는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음료수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간이한 구조로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탄산수 제조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사용하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이하의 거치형 정수기가 제공된다.
[22] 공급된 원수를 정수기 본체로 유도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물을 상기 정 수기 본체에 부착된 토수관(충전 노즐)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는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거치형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기 본체를 그 중심축을 회동축으로서 수평면 안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는 정수기 본체 회동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에 상기 토수관을 그 상기 정수기 본체측의 일단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안을 회동시킬 수 있는 토수관 회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정수기(이하, 「제3 발명」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강성이 있는 급수 호스가 부착되어 있는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거치형 정수기에 있어서, 그 수평면 안에서의 회동 범위를 소정의 좁은 범위로 하였기 때문에, 정수기 본체를 수평면 안에서 회동시키면 급수 호스가 움직이게 된다고 해도 그 움직임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회동 조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회동 기구가 간이해지는 동시에 토수관 자체를 수평면 안에서 회동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물 흘러내림이 생길 우려가 적어진다.
[23] 상기 토수관 회동 수단이 상기 수직면 안의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상기 토수관의 회동을 걸어 상기 토수관을 고정할 수 있는 래칫 기구를 가지며 이루어지는 상기 [22]에 기재한 거치형 정수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토수관은 소정 위치에 어느 정도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정수의 토출 압력에 의해 회동해 버릴 우려는 없어진다.
[24] 상기 정수기 본체 회동 수단이 회동 링과, 상기 정수기 본체를 구성하 는 베이스 부재의, 상기 회동 링이 걸어 맞춰지는 둥근 고리형 오목부의 일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깊은 홈부와, 상기 회동 링의 일부에 마련된 상기 깊은 홈부 안으로 돌출하는 돌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22]에 기재한 거치형 정수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정수기 본체를 수평면 안의 소정 범위 안에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25] 상기 정수기 본체가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와, 탄산가스 혼합기와, 카트리지 조립체(정수 엘리먼트)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정수 엘리먼트)의 상단 출수구로부터 얻어진 정수를 상기 탄산가스 혼합기를 경유하여 상기 토수관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는 상기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거치형 정수기(이하, 「제4 발명」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정수에 탄산가스를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탄산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26] 상기 탄산가스 혼합기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인 상기 [25]에 기재한 거치형 정수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수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제3 및 제4 발명)에 의해 강성이 있는 급수 호스가 부착되어 있는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거치형 정수기에 있어서, 그 수평면 안의 회동 범위를 소정의 좁은 범위로 하였기 때문에, 정수기 본체를 수평면 안에서 회동시키면 급수 호스가 움직이게 된다고 해도 그 움직임 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회동 조작을 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토수관의 선단 위치(정수의 공급 위치)를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움직이게 할 수 있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면서 물이 흘러내릴 우려도 적은 사용하기 편리한 거치형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탄산가스 공급 수단을 병설하였기 때문에, 상쾌한 풍미, 목구멍을 넘기는 시원한 맛을 향상시킨 탄산수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제1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제1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혼합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제1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산가스 공급부 및 탄산가스 공급부 안의 탄산가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6a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 방식의 ON-OFF 전환 밸브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ON-OFF 전환 밸브가 OFF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6c는 ON-OFF 전환 밸브가 ON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6d는 ON-OFF 전환 밸브가 OFF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제3 및 제4 발명)의 거치형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커버의 상단부를 떼어낸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선 A-A의 정면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선 B-B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있어서의 C-C선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거치형 정수기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거치형 정수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베이스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종래예의 거치형 정수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종래예의 거치형 정수기의 측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제1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탄산수 제조 장치는 탄산가스 유로(11)를 가지며, 탄산가스 유로(11)를 경유하여 탄산가스(A)를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1)와, 수유로(21)를 가지며, 수유로(21) 안에서, 탄산가스 공급부(1)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A) 및 수유로(21)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B)을 혼합하여 탄산 수(C)를 제조하는 혼합부(2)를 구비한 탄산수 제조 장치(10)로서, 탄산가스 공급부(1)와 혼합부(2)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탄산가스 공급부(1)와 혼합부(2)를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산가스 공급부(1)를 혼합부(2)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나사 붙임에 의한 고정, 클립을 개재시키는 고정, 서로를 커플링 형상으로 함에 따른 고정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이한 구조로 유지관리가 우수하고, 저렴한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산가스 공급부(1)와 혼합부(2)가 서로의 중심축(P, Q)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서로의 중심축이 30∼90도, 바람직하게는 45∼70도의 각도(θ)로 교차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가스 공급부(1)의 선단부에서 난류와 부압 부분을 발생시켜, 탄산가스(A)의 물(B)에의 분산, 용해를 촉진하여 탄산수(C)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각도(θ)가 30도 미만이면, 탄산가스 공급부(1)와 혼합부(2)와의 교차를 확보하기 위해서, 탄산가스 공급부(1)의 중심축(P)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고, 탄산수 제조 장치(10)의 치수가 커지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90도를 넘으면, 난류와 부압 부분의 발생이 적어지는 동시에, 후술하는 다공질판(12)의 표면에 물(B)의 흐름이 부딪혀 탄산가스(A)의 공급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산가스 공급부(1)가 혼합부(2)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가스 공급부(1)의 탄산가스 유로(11)측에 물(B)이 침입하여 탄산가스(A)의 공급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부(2)를 구성하는 수유로(21)의, 중심축(Q)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탄산가스 공급부(1)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 부분(22; 수유로(21)의 내경의 2∼5배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함)이 직사각형이고, 직사각형의 부분(22)보다도 하류의 소정 길이 부분(23; 수유로(21)의 내경의 1∼3배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함)이 끝이 가는(중심선(Q)에 대한 각도로서 2∼15도 정도) 원추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가스 공급부(1)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 부분(직사각형 부분; 22)에서 탄산가스 공급부(1)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A)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는 동시에, 하류의 소정 길이 부분(원추대형 부분; 23)에서 압축하고, 용해되지 않은 탄산가스(A)의 물(B)에의 분산, 용해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제1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혼합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탄산수 제조 장치(10a)에 있어서는 혼합부(2a)의 수유로(21a)가 굴곡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탄산가스 공급부(1)와 굴곡한 수유로(21a)를 갖는 혼합부(2a)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탄산수 제조 장치(10a)에는 측방으로부터 물(B)이 유입되어, 굴곡 각도가 45∼135도로 굴곡한 수유로를 경유하여 하측으로부터 충전 노즐(46; 도 4 참조)로 도입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굴곡 각도가 90도로 굴곡한 것이, 배관의 접속 설계가 용이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도 2에서는 굴곡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냄). 탄산가스 공급부(1)로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물(B)의 수유로(21a)의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이나 그 선단의 끝이 가는 형상 등도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물(B)의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수유로(21a) 내부의 물(B)은 중력에 의해 충전 노즐측으로 배출되고, 탄산가스 공급부(1)가 물에 의해 항상 새고 있는 상태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탄산가스 공급부(1)의 선단부에서 난류와 부압 부분을 발생시켜, 탄산가스(A)의 물(B)에의 분산, 용해를 촉진하여, 탄산수(C)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산가스 공급부 및 탄산가스 공급부 안의 탄산가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탄산가스 공급부(1)가 탄산가스 유로(11) 안에 수유로(21; 도 1 참조)에 면하는 단부면측에서부터 차례로 다공질판(12), 역지 밸브(13) 및 오리피스(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리피스(14)의 상류측에 오리피스용 필터(1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산수의 탄산 농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 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절한 탄산 농도의 탄산수 또는 맛좋은 음료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간이한 구조로 유지관리가 우수하고, 저렴한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다공질판(12), 역지 밸브(13), 오리피스(14) 및 오리피스용 필터(15)에 대해서 각각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공질판(12)의 형상, 구조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탄산가스(A)를 기포형으로 미세화하여 물(B)에 균일하게 분산하기 위해서, 탄산가스(A)의 분산 부분, 즉, 탄산가스(A)의 흐름 방향에 소정의 두께가 필요하고, 후술하는 구멍 직경의 40∼200배의 두께의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탄산가스 공급부(1)의 탄산가스 유로(11)의 내경의 형상에 적합하게 하여 적절하게 변형시켜도 좋다.
다공질판(12)을 구비함으로써, 탄산가스(A)의 기포를 미세화하여 물(B; 도 1 참조)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탄산가스(A)의 물(B)에의 분산, 용해를 촉진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질판(12)의 구멍 직경은 10∼50 ㎛가 바람직하고, 20∼30 ㎛가 보다 바람직하다. 10 ㎛ 미만이면, 탄산가스(A)의 통과 저항이 크고, 유입압이 높아져서, 탄산가스 공급부(1)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50 ㎛를 넘으면, 기포가 커져, 탄산가스(A)의 물(B)에의 분산, 용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다공질판(12)의 재질로서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등의 분말을 소결한 소결 금속, 세라믹스, 다공질 유리, 4불화에틸렌(PTFE) 등의 불소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소수지가 바람직하다. 불소수지는 발수성(撥水性)을 가지며, 다공질판(12)의 물(A)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의 물때의 부착에 의한 탄산가스(A)의 균일 발포의 저해, 또한, 물(B)의 역지 밸브(13)의 방향으로의 침입 등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다공질판(12)의 재질이 분말 소결 금속, 세라믹스, 다공질 유리 등의 친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의 경우는, 다공질판의 표면에 불소수지 등의 발수성 재료를 함침시켜도 좋고, 코팅하여도 좋다.
또한, 역지 밸브(13)의 형상, 구조로서는, 탄산가스(A)의 역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탄산가스(A)의 공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탄산가스 유로(11)를 통과하는 탄산가스(A)의 다공질판(12)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동시에, 수유로(21)를 통과하는 물(B)의 오리피스(14) 방향으로의 통과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은 우산 형상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이 밖에, 스프링으로 누른 볼형, 스프링으로 누른 버섯형 등이어도 좋다.
역지 밸브(13)의 형상을 우산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탄산가스 공급부(1)의 중심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산가스 공급부(1)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갯수의 감소에 의해 고장의 발생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역지 기능을 다하는 부분의 이동 치수가 작기 때문에, 역지 응답성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산가스(A)의 공급시에 역지 밸브(13)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여, 탄산가스의 공급을 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탄산가스(A)의 공급을 청각(소리)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탄산가스(A)의 공급시에 소리의 발생이 그 쳤을 때에,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도 4 참조) 안의 탄산가스의 소진 또는 어떠한 고장에 의해 탄산가스(A)의 공급이 불가능해진 것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압력계나 압력 스위치를 이용하는 일없이 탄산가스(A)의 공급 동작의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역지 밸브(13)의 재질로서는 효율적으로 탄산가스(A)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역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가요성, 탄력성, 내산부식성을 갖는 각종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산가스가 방출될 때의 저온도에 대해서도 가요성이 유지되는 불소계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오리피스(14)의 형상, 구조로서는 고압인 탄산가스(A)의 압력 및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가공이 용이한 수지(구체적으로는, 내충격성이 좋은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세탈, 저온 하에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 4불화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리덴(VF2))제의 원판 형상의 오리피스판(14a)에 오리피스 구멍(14b)이 뚫린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 구멍(14b)은 복수 있어도 좋고, 그 배치로서는, 공급되는 탄산가스(A)의 온도가 낮음에 따라 역지 밸브(13)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지 밸브(13)의 중심축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피스(14)를 구비함으로써, 고압인 탄산가스(A)의 압력 및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산가스(A)가 한번에 혼합부(2; 도 1 참조)에 공급되어, 물(B; 도 1 참조)과 함께 혼합부(2)에서 외부로 돌발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산가스 공급부(1)에 있어서, 고압의 탄산가스가 방출될 때에, 탄산가스 공급부(1)가 우선 냉각되고, 계속해서, 혼합부(2)도 냉각되기 때문에, 혼합부(2)의 외면이 결로 또는 결빙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오리피스[14; 오리피스 구멍(14b)]의 직경은 통상의 가정용 정수기에 적용되는 1∼5 ℓ/분의 정수 처리량이며, 탄산가스 농도를 30∼800 ppm으로 하는 경우, 0.3∼0.4 ㎜가 바람직하다. 오리피스 구멍(14b)의 직경이 0.3 ㎜ 미만이면, 가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는 동시에, 이물 등에 의한 오리피스 구멍(14b)의 폐색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ON-OFF 전환 밸브에 대한 응답성도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0.4 ㎜를 넘으면, 탄산가스의 통과량이 너무 커지게 되어, ON-OFF 전환 밸브를 작동시킬 때에 충전 노즐로부터 돌발적으로 방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산가스 농도를 800∼2000 ppm으로 할 경우는, 충전 노즐로부터 탄산가스를 포함한 정수가 돌발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리피스 구멍(14b)의 중심축 방향 길이를 연장하여 30∼800 ppm의 탄산가스 농도의 경우보다도, 탄산가스의 통과 저항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오리피스용 필터(15)의 형상, 구조로서는 오리피스 구멍(14b)의 폐색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전술한 스테인리스강 등의 분말 소결 금속, 세라믹스, 다공질 유리, 불소수지제로 원판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오리피스, 또는 오리피스 및 오리피스 용 필터 대신에 필터 기능을 겸비한 제2 다공질판을 이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탄산가스 공급부를, 수유로에 면하는 단부면측에서부터 차례로 다공질판, 역지 밸브 및 제2 다공질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2 다공질판의 구멍 직경 및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탄산가스의 유량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탄산가스 공급부에 치수의 제한이 없는 경우 등에는, 다공질판, 역지 밸브 및 오리피스의 구성, 또는 다공질판, 역지 밸브, 오리피스 및 오리피스용 필터의 구성은 각 요소를 1개 또는 복수 개마다 분할하여, 각각을, 예컨대, 가요성 튜부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요소 연결체로서 통합하여, 이 요소 연결체를 ON-OFF 전환 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요소가 손상된 경우에, 그 손상된 요소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교환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는 동시에, 교환 비용을 저감화할 수 있어, 탄산가스 공급부에 치수의 제한이 없는 경우 등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산가스 공급부(1)는 그 선단부(31)가 코오킹되어 있거나, 한 방향의 나사로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등에 의해 탄산가스 공급부(1)가 분해된 경우라도, 그 사실은 외부에서 용이하게 시인되기 때문에, 분해에 의해 기능이 저하된 장치가 그대로 계속해서 사용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O링(32)이 백업 링(33)에 의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다공질판(12)과 케이싱(30) 사이의 시일을 유효하게 실현하고 있다. 또, 케이싱(30)에는 혼합부 (2; 도 1 참조)와의 고정을 위한 암나사(30a)가 또한 역지 밸브(13)가 개방되어 탄산가스(A)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한 탄산가스 통과 구멍(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O링(35)이 오리피스판(14a)과 케이싱(30) 사이의 시일을 유효하게 실현하고 있다.
또한, 누름 링(36)이 오리피스용 필터(15)를 누름 링(36)과 오리피스판(14a)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누름 링(36)을 설치하지 않고서, 오리피스용 필터(15)를 오리피스판(14a)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더욱이, 케이싱(30)은 튜브 커넥터(37)를 통해 튜브(38)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튜브 커넥터(37)로서는, 케이싱(30)과 튜브(38)를 간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튜브(38)의 재질로서는 예컨대, 우레탄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튜브(38)의 타단은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도 4 참조)에 연결된다.
케이싱(30)의 형상 및 혼합부(2)와의 결합 구조로서는 탄산가스의 압력과, 탄산가스 공급시의 온도 저하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 재질로서는, 예컨대, 가공이 용이한 스테인리스강 또는 성형이 용이하고 저온 강도가 높은 POM, ABS, 폴리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케이싱(30)의 표면에 물때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은, 구리 등의 항균 금속을 도금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산가스 공급부(1) 안의 탄산가스(A)의 흐름은 도 3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도 4 참조)로부터, 튜브(38) 및 튜브 커넥터(37)를 경유하여 케이싱(30) 안의 탄산가스 유로(11)에 이르며, 오리피스용 필터(15), 오리피스 구멍(14b) 및 탄산가스 통과 구멍(34)을 각각 통과하고, 추가로, 역지 밸브(13)를 밀어서 열어, 다공질판(12)을 통과하며, 기포가 되어 혼합부(2; 도 1 참조)에 공급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는, 추가로 탄산가스 공급부(1)에 정기적으로 소정량의 탄산가스(A)를 공급하는 구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유량 표시용 액정(48; 도 4 참조) 및 내장하는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소정량의 탄산가스(A)를 탄산가스 공급부(1)에 공급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공질판(12)에 물 때 등의 이물이 부착되었을 경우, 탄산수(C)를 제조하지 않는 경우라도, 정기적으로 소정량의 탄산가스(A)를 탄산가스 공급부(1)에 공급하고, 공급한 탄산가스(A)에 의해 다공질판(12)에 부착된 물때 등의 이물을 수유로(21; 도 1 참조)측에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탄산가스(A)의 균일 발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20)는 전술한 탄산수 제조 장치(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20)는 탄산가스의 흐름에 관한 것으로, 탄산수 제조 장치(10)의 탄산가스 공급부(1)에 탄산가스(A)를 공급하는 하우징(40; 하우징 본체 (40a), 베이스(40b)) 안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와, 탄산가스 공급 용기(41)에 연결된 탄산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조정 밸브(42)와, 탄산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수단(43)을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40)은 정수기의 용도에 따라 그 용적, 형상, 재질 등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하우징 본체(40a)의 용적이 1∼8 ℓ, 재질이 스테인레스 또는 수지제, 형상이 통 형상체인 것을 들 수 있지만, 사용 편이 및 디자인상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본체(40a)와 베이스(40b)는 떼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로서는 하우징(40) 안에 효율적으로 수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용적이 9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98 ㎖ 이하이면, 고압 가스 단속법의 적용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판매, 구입이 용이해진다.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는 그 중의 탄산가스가 소진한 경우를 고려하여, 예컨대, 하우징(40)의 베이스(40b)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및 조정 밸브(42)는 그 하우징 본체(40a)에 내장되어 있다.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의 교환은, 예컨대, 하우징 본체(40a)의 측면에 덮개(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정수기를 사용할 때에는 덮개를 닫아 두고,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를 교환할 때에는 하우징 본체(40a)의 측면의 덮개를 열어,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및 조정 밸브 (42)를 함께 하우징(하우징 본체; 40a)으로부터 출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조정 밸브(42)와 스위칭 수단(43)을 결합하는 배관(71)으로서는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및 조정 밸브(42)를 하우징 본체(40a)에서 출납하는 조작을 고려하여, 예컨대, 스파이럴형으로 성형된 가요성이 있는 우레탄제의 스파이럴 튜브가 바람직하다.
조정 밸브(42)로서는 탄산가스의 공급량을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가정용의 용도를 상정하여, 소형으로,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및 조정 밸브(42)가 그 하우징 본체(40a)에 내장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음식점 등의 영업용 정수기의 경우는, 탄산가스를 포함한 정수를 다량으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탄산가스 공급 용기의 교환 빈도를 줄이기 위해, 대형의 탄산가스 공급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정수기(20a)의 경우는,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및 조정 밸브(42)는 그 하우징 본체(40a)의 외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배관(40c)에 의해 정수기 본체(2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관(40c)은 후술하는 스위칭 수단(43; ON-OFF 전환 밸브(50))에 연결되고, ON-OFF 전환 밸브(50)는 정수기 본체(20b)의 상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형 패킹(72)을 통해 ON-OFF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변형예에 있어서 는, 탄산수 제조 장치(10), 충전 노즐(46), 하우징(40), 후술하는 정수 엘리먼트(44) 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정수기(2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대형의 탄산가스 공급 용기의 용량에 대응한 다량의 탄산수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스위칭 수단(43)으로서는, 탄산가스를 원활하게 또한 확실하게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누름 버튼 방식의 ON-OFF 전환 밸브로 구성되고, 보조 스프링을 가지며 이루어지는 것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 방식의 ON-OFF 전환 밸브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ON-OFF 전환 밸브가 OFF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6c는 ON-OFF 전환 밸브가 ON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6d는 ON-OFF 전환 밸브가 OFF 상태이 때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 방식의 ON-OFF 전환 밸브(50)는 ON-OFF부(51)와 누름 버튼부(56)로 구성되어 있다.
ON-OFF부(51)는 직방체 형상의 ON-OFF부 본체(51a) 속에 전환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41, 도 4참조)로부터 가스 폼베 배관(53)을 경유하여 공급된 탄산가스를 스프링을 내장한 ON-OFF 버튼부(52)의 ON-OFF 동작(이 동작은 후술하는 누름 버튼부(56)를 통해 행해짐)에 의해 탄산가스의 흐름을 통과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흐름이 통과하는 경우, 탄산가스 공급 배관(54)을 경유하여 탄산가스 공급부(1; 도 4 참조)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이 ON-OFF부(51)는 소정의 부착판(70)에 마련된 부착 구멍(5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누름 버튼부(56)는 누름 부재(57), 고정 다리(58) 및 돌기부(59)를 갖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개구한 중앙 구멍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누름 버튼부 본체(56a)와, 누름 버튼부(56)를 항상 OFF 상태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그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탄력적으로 규제하여 ON-OFF 버튼(52)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을 완화하는 보조 스프링(60)과, 누름 버튼부(56)가 상하로 움직일 때, 누름 버튼부(56)의 중앙 구멍부가 상측으로부터 그 외형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누름 버튼부(56)를 원활하게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막대 형상체(61)와, 돌기부(59)와의 연결에 의해 클릭 음을 발생하는 클릭용 스프링(6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다리(58)는 관통 구멍(63)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상 방향이 무제한인 슬라이드는 갈고리에 의해 규제됨), 누름 버튼부 본체(56a)의 탄력적이면서 원활한 상하 움직임 및 상사점 위치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클릭용 스프링(62)은 부착판(70)에 고정되고, 돌기부(59)가 클릭용 스프링(62)의 볼록부(64)를 따라 슬라이드하며, 볼록부(64)를 타고 넘을 때에 클릭 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버튼부(56)는 누름 버튼부(56)와 하우징(40) 사이를 시일하는 다이어프램형 고무제 패킹(72; 도 5 참조)을 통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하우징(40)의 상부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에 도시된 OFF 상태로부터, 정수기의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40)의 외부 로부터 다이어프램형 고무제 패킹(72)을 통해 누름 버튼부(56)가 눌리면, 누름 버튼부(56)는 보조 스프링(60)으로부터의 반발력을 받으면서 막대 형상체(61)의 외형을 따라 슬라이드, 하강하여, 누름 부재(57)에 의해 ON-OFF 버튼(52)을 누른다. 이것에 따라, ON-OFF 전환 밸브(50)는 도 6c에 도시하는 ON 상태가 된다. 이 때에, 돌기부(59)와 클릭용 스프링(62) 사이에서 클릭 음을 발생하고, 사용자는 누름 버튼부(56)의 누름 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 것을 청각(소리)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정수기의 사용자는 물이 흐르고 있을(통과하고 있을) 때에, ON-OFF 전환 밸브(50)를 하우징(40; 도 4 참조)의 외부로부터 다이어프램형 고무제 패킹(72)을 통해 적절하게 누름으로써, 원하는 농도의 탄산가스를 함유한 정수를 얻을 수 있다. 즉, 물이 흐르고 있는 동안, ON-OFF 전환 밸브(50)를 누르면 최고 농도의 탄산가스를 함유한 정수가 되고, 한편, 물이 흐르고 있는 동안에 펄스식으로 ON-OFF 전환 밸브(50)를 누르면, 펄스의 간격이 길어짐에 따라 농도는 낮아진다.
탄산가스의 유출량을 변경할 수 있는 연속적인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정 밸브(42; 도 4 참조)와 ON-OFF 전환 밸브(5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농도 변화를 ON-OFF 전환 밸브(50)의 누름 방법에 상관없이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맛좋은 물 모드(탄산가스 농도가 30∼50 ppm)」,「요리용 탄산수 모드(탄산가스 농도가 100∼160 ppm)」,「미탄산수 모드(탄산가스 농도가 500∼900 ppm) 등과 같이, 상용되는 농도를 설정할 수 있을 필요수의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각각을 셀렉터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정수기의 사용 자가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여름과 겨울에는 외기온(정수의 온도)이 달라, 탄산가스의 정수에의 혼합 정도도 다른 것으로 되는 것에 대응하여, 정수에의 탄산가스의 혼합 정도가 저하하는 여름은 공급 탄산가스의 양 또는 압력을 높게 설정하고, 탄산가스의 혼합 정도가 상승하는 겨울은 공급 탄산가스의 양 또는 압력을 낮게 설정하며, 탄산가스의 혼합 정도를 외기온(정수의 온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또, 탄산가스의 흐름은 도 4에 있어서 백색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탄산가스 공급 배관(54)을 경유하여 탄산가스 공급부(1; 도 4 참조)에 탄산가스가 공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탄산수 제조 장치(10)의 역지 밸브(13; 도 1 참조)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여 탄산가스의 공급을 알리고, 사용자는 탄산가스의 공급을 청각(소리)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탄산가스의 공급시에 소리의 발생이 멈췄을 때에, 탄산가스 공급 용기 안의 탄산가스의 소진 또는 어떠한 고장에 의해 탄산가스의 공급을 할 수 없게 된 것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물의 흐름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부(2)의 수유로(21; 도 1 참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여 정화수로 하기 위한 정수 엘리먼트(44)와, 탄산수 제조 장치(10)의 혼합부(2)에 결합된 유량계(45)와, 혼합부(2)의 선단부에 탄산수를 소정의 용기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충전 노즐(46)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정수 엘리먼트(44)의 형상, 구조로서는 필터로서의 여과 기능을 가지며 또한 하우징(40) 안에 효율적으로 수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용적이 200∼1500 ㎤, 재질이 ABS제의 원통형 케이스 속에, 여과재(필터)를 내장한 카트리지 타입의 것을 들 수 있다. 정수 엘리먼트(44)는 그 중의 여과재(필터)가 눈막힘을 발생한 경우 등을 고려하여 하우징(40)의 베이스(40b)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 엘리먼트(44)의 교환은 예컨대, 하우징 본체(40a)와 베이스(40b)를 분할하고, 베이스(40b) 위의 정수 엘리먼트(44)를 꺼내어 새로운 정수 엘리먼트(44)를 장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정수 엘리먼트(44)의 여과재(필터)의 재질로서는 예컨대, 내열성이나 내식성이 우수한 세라믹스 다공체(세라믹스 필터)를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세라믹스 다공체(세라믹스 필터)와 활성탄을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유량계(45)로서는 외부의 수원(예컨대, 가정용의 경우, 수도의 수도꼭지)으로부터 물 공급 배관(47)을 경유하여, 정수 엘리먼트(44)에 의해 정화되고, 탄산수 제조 장치(10)에 공급되기 전의 물(B)의 유량을 정확히 계측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프로펠라형 회전자에 마그넷을 일체로 매설하고, 수류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라에 매설된 마그넷의 SN을 검출하는 리드 스위치형인 것이 소형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량계(45)의 설치 위치는 탄산수 제조 장치(10)를 흐르는 탄산가스를 함유한 물에 의한 프로펠라 회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수 엘리먼트(44)와 탄산수 제조 장치(10)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계(45)에 표시부를 연결하여, 물(B)의 유량 또는 탄산수(C)의 유량을 시 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4에서는, 유량 표시용 액정(48)에 의해 물(B)의 유량과 정수 엘리먼트의 수명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유량 표시용 액정(48)은 예컨대 정수기의 가반성을 높이기 위해서 코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지(49)에 의해 구동되지만,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도 좋다. 전지(49) 또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스위칭 수단(43)을 구동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부(2)는 그 선단부에 탄산수(C)를 소정의 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노즐(4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물(B)의 흐름은 도 4에 있어서 흑색 화살표로 표시되고, 최종적으로 탄산수(C)로서 충전 노즐(46)로부터 소정의 용기에 충전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하우징(40) 안에, 정수 엘리먼트,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조정 밸브, 스위칭 수단, ON-OFF 전환 밸브, 탄산수 제조 장치, 충전 노즐이 일체로 내장되고, 탄산가스를 적절하게 혼합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지만,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조정 밸브, 스위칭 수단, ON-OFF 전환 밸브, 탄산수 제조 장치를 내장하지 않고서, 정수 엘리먼트 및 정수기로서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배관, 노즐, 본체커버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정수기에 대하여,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조정 밸브, 스위칭 수단, ON-OFF 전환 밸브, 탄산수 제조 장치, 충전 노즐로 이루어진 탄산수 제조에 관계되는 부품을 일체로 통합한 유닛을 준비하여, 종래의 정수기의 정수 배출부에, 전술한 탄산수 제조에 관계되는 부품을 일체로 통합한 유닛의 정수 입구에 접속함으로써도, 본원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시키는 수 있으며, 이미 설치한 정수기 를 용이하게 탄산수 제조 가능한 정수기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제3 및 제4 발명)의 거치형 정수기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커버의 상단부를 떼어낸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선 A-A 정면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선 B-B 측면 단면도, 도 10은 도 7에서 선 C-C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거치형 정수기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거치형 정수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베이스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종래예의 거치형 정수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종래예의 거치형 정수기의 측면 단면도인 본 실시 형태의 거치형 정수기는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를 가지며, 정수에 미량의 탄산가스를 첨가하여 미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지만, 정수기 본체의 수평 단면 형상은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의 존재 때문에,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정수기 본체(110)는 베이스 부재(116)와, 베이스 부재(116)에 자유자재로 떼어낼 수 있게 걸어 맞춰진 상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지는 본체 커버(118)와, 본체 커버(118) 안에 마련된 카트리지 조립체(정수 엘리먼트; 120)와, 정수를 토출하는 토수관(121; 충전 노즐)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카트리지 조립체(118)는 세라믹 여과재, 중공사 여과제 등의 여과 재료, 활성탄, 이온 교환 수지, 이온 교환 섬유 등의 흡착제, 기타 미네랄 부여 성분 등,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카트리지 조립체에 사용되는 주지의 것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6)는 외주측에 본체 커버(118)의 외주면이 끼워 맞춰지는 원통형의 기립부(126)와, 그 바로 내측의 본체 커버(118)의 하단을 받아내기 위한 견부로 이루어진 커버 홀더(127)와, 저면에 회동 링(11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둥근 고리형 오목부(131)와, 추가로 입수 노즐(130)을 구비하고, 이 입수 노즐(130)은 입수구(132), L자형 니플(134) 및 급수 호스(136)를 통해 수돗물 등의 원수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L자형 니플(134)은 입수구(132)의 일단에 수밀하게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L자형으로 구부러진 타단부가 수직면 내부를 360도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급수 호스는 호스 고정 너트(138)를 통해 L자형 니플(13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116)의 둥근 고리형 오목부(131)의 하부에는 회동 링(113)이 누름 링(1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이 회동 링(113)에는 회동을 소정 범위 안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돌기(117; 도 9 참조)가 적어도 하나, 적합하게는 4지점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117)의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및 적재면의 흠집 방지의 목적으로 바닥부로부터 고무발(122)이 나사(124)로 고정되어 있다. 이 회동 링(113)을 베이스 부재(116)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부재(116)를 누름 링(115)이 없는 상태로 제작하여, 회동 링(113)을 둥근 고리형 오목부(128)에 걸어 맞추게 한 후에 누름 링(115)을 도시와 같이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면 좋다.
한편, 베이스 부재(116)의 둥근 고리형 오목부(131)에는 적어도 돌기(117)와 동일한 수만큼보다 깊이가 깊은 홈부(119; 도 9 및 도 12 참조)가 마련되고, 깊은 홈부(119) 안에 회동 링(113)의 돌기(117)가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동 링(113)의 회동 범위는 돌기(117)가 깊은 홈부(119)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30도의 범위로 제한된다.
또, 도 12에 있어서, 좌측의 2개의 2중원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178, 178')은 카트리지 조립체를 지지하는 부분의 보강 리브이며, 또한, 그 우측의 원(180)은 실질적으로 둥근 고리형 오목부(131)의 내주원에 해당한다.
즉, 정수기 본체(110)를 평평한 장소에 얹어 놓으면, 회동 링(113)은 그 고무발(122)에 의해 그 자리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정수기 본체(110)의 베이스 부재(116)보다 상측의 부분이 소정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본체 커버(118)의 상측 부분에는 본체 커버(118)에 고정된 정수 커넥터 플레이트(146)가 설치되고, 이 정수 커넥터 플레이트(146)는 카트리지 조립체(120)의 상단 출수구(147)를 수밀하게 끼워 맞추는 짧은 원통 부재(148)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원통 부재(148)의 타단은 연결관(150), 탄산가스 혼합기(172)를 통해 커넥터 플레이트(156)에 접속되어 있다. 탄산가스는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170, 도 8 및 도 11 참조)로부터 감압 밸브(182), 탄산가스 공급 배관(176)을 통해 탄산가스 혼합기(172)에 공급되고, 탄산가스의 혼합량은 외부로부터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탄산가스 혼합기(172)로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10)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조립체(120)의 하단의 입수구(151)는 역지 밸브(152)를 가지며, 입수 노즐(130) 안에 수밀하게 끼워 맞춰지고, 급수 호스(136)를 통해 공급된 수돗물 등의 원수가 L 자형 호스 니플(134), 베이스 부재(116)의 입수구(132), 입수 노즐(130) 및 역지 밸브(152)를 경유하여 공급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이 카트리지 조립체(120)에 의해 정화된 원수는 그 상단 출수구(147)를 통해 정수 커넥터 플레이트(146)의 개구, 연결관(150), 탄산가스 혼합기(172)를 거쳐 토수관(121)의 출구단으로부터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토수관(121)은 선단이 L자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연결관(150)을 통해 본체 커버(118)의 측면에 고정된 토수 커넥터(156)에 수직면 안을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이 토수 커넥터(156)는 래칫 키(158), 스냅링(160) 및 캡(162)을 갖추고 있고, 토수관(121)은 본체 커버(118) 측면의 수직면 내부를 360도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지만, 수직면 안에서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예컨대, 약 45도∼180도의 위치 사이)로 소정 각도 간격마다 래칫 키(158)에 의해 그 회동을 걸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토수관(121)은 하방을 향하여 약 45도에서 바로 위까지의 사이에서 소정 각도마다 고정되게 되고, 클릭감이 부여되는 동시에 정수 토출의 기세로 토수관(121)이 자연스럽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산수 제조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는 가정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영업용으로서, 각종 음식점, 각종 화학 공업 등의 산업분야에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Claims (26)

  1. 탄산가스 유로를 가지며, 상기 탄산가스 유로를 경유하여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 공급부와, 수유로를 가지며, 상기 수유로 안에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 및 상기 수유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을 혼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혼합부를 구비한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에는 수유로에 면하는 탄산가스 공급부의 단면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멍 직경이 10∼50 ㎛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판, 역지 밸브 및 오리피스가 상기 탄산가스 유로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와 혼합부는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혼합부가 서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서로의 중심축이 30∼90도의 각도로 교차하는 상태로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의 수유로가 굴곡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굴곡한 수유로를 갖는 혼합부가 착탈 자유자재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가 상기 혼합부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유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탄산가스 공급부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 부분이 직사각형이고, 상기 직사각형의 부분보다도 하류의 소정 길이 부분이 끝이 가는 원추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가 탄산가스가 공급되는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오리피스용 필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판의 재질이 소결 금속, 세라믹스, 다공질 유리 또는 불소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탄산수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를 구성하는 상기 역지 밸브의 형상이 상기 탄산가스 유로를 통과하는 탄산가스의 상기 다공질판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상기 오리피스 방향으로의 통과를 저지하는 기능을 가진 우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에 정기적으로 소정량의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구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10. 제1항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탄산가스 공급부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와, 상기 탄산가스 공급 용기에 연결된 탄산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조정 밸브와, 탄산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및 상기 조정 밸브가 그 하우징에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 및 상기 조정 밸브가 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배관에 의해 정수기 본체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이 누름 버튼 방식의 ON-OFF 전환 밸브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구성하는 ON-OFF 전환 밸브가 보조 스프링을 가지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구성하는 ON-OFF 전환 밸브가 ON 상태일 때에, 탄산가스의 공급을 소리에 의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구성하는 ON-OFF 전환 밸브를 ON 또는 OFF 상태로 했을 때에, 그 동작을 클릭 음에 의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혼합부의 상기 수유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여 정화수로 하기 위한 정수 엘리먼트와, 상기 정수 엘리먼트의 상기 정화수의 출구측에 접속된 유량계와, 상기 혼합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탄산수를 소정의 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노즐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엘리먼트가 세라믹스 다공체 및/또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0. 공급된 원수를 정수기 본체로 유도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에 부착된 토수관(충전 노즐)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는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거치형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를 그 중심축을 회동축으로서 수평면 안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는 정수기 본체 회동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에 상기 토수관을 그 상기 정수기 본체측의 일단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안을 회동시킬 수 있는 토수관 회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정수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관 회동 수단이 상기 수직면 안의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상기 토수관의 회동을 걸어 상기 토수관을 고정할 수 있는 래칫 기구를 가지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정수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 회동 수단이 회동 링과, 상기 정수기 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의 상기 회동 링이 걸어 맞춰지는 둥근 고리형 오목부의 일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깊은 홈부와, 상기 회동 링의 일부에 마련된 상기 깊은 홈부 안으로 돌출하는 돌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정수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가 탄산가스 공급 용기(가스 폼베)와, 탄산가스 혼합기와, 카트리지 조립체(정수 엘리먼트)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정수 엘리먼트)의 상단 출수구로부터 얻어진 정수를 상기 탄산가스 혼합기를 경유하여 상기 토수관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정수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혼합기가 제1항에 기재한 탄산수 제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정수기.
  25. 삭제
  26. 삭제
KR1020047016255A 2002-04-12 2003-04-11 탄산수 제조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 KR10058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10557 2002-04-12
JP2002110557A JP2003305349A (ja) 2002-04-12 2002-04-12 炭酸水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JP2002133138A JP4157722B2 (ja) 2002-05-08 2002-05-08 据置型浄水器
JPJP-P-2002-00133138 2002-05-08
PCT/JP2003/004626 WO2003086596A1 (fr) 2002-04-12 2003-04-11 Dispositif de production d'eau gazeuse, purificateur d'eau equipe de ce dispositif, et purificateur d'eau fix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730A KR20040108730A (ko) 2004-12-24
KR100583580B1 true KR100583580B1 (ko) 2006-05-26

Family

ID=2925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255A KR100583580B1 (ko) 2002-04-12 2003-04-11 탄산수 제조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83580B1 (ko)
CN (1) CN1327943C (ko)
AU (1) AU2003236106A1 (ko)
WO (1) WO20030865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58A (ko) * 2014-07-10 2016-01-20 코웨이 주식회사 실시간 가스 잔량 측정이 가능한 가스 취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기
KR101916834B1 (ko) 2016-06-28 2018-11-08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스파클링 커피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35135A1 (en) * 2002-04-26 2003-11-10 Ngk Insulators, Ltd. Filter cartridge and stationary type water purifier
KR100895884B1 (ko) * 2008-05-16 2009-05-04 (주) 아큐스 피에이치 조정설비용 이산화탄소 용해장치
CN103420359B (zh) * 2013-08-08 2016-04-06 山东大展纳米材料有限公司 赤泥催化制备碳纳米管的方法、反应装置及应用
KR102256967B1 (ko) * 2014-06-16 2021-05-2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스 취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기
JP6704338B2 (ja) * 2016-12-16 2020-06-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炭酸水コック
EP3610179B1 (de) * 2017-04-11 2024-01-03 Udo Tartler Vorrichtung zum abdichten und evakuieren eines behälters mit pastöser flüssigkeit
CN108636152A (zh) * 2018-05-28 2018-10-12 佛山市高明区杨和金属材料专业镇技术创新中心 用于丙烯高温氯化反应的混合器
CN109009983A (zh) * 2018-09-06 2018-12-18 广东大任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碳酸泉制备系统
DE102020108554A1 (de) * 2020-03-27 2021-09-30 Grohe Ag Spenderkartusche
KR102562535B1 (ko) 2021-11-10 2023-08-02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탄산수 제조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8115B (en) * 1986-03-17 1990-04-04 Isoworth Ltd Carbonation apparatus and gas connector therefor.
US4960261A (en) * 1986-03-17 1990-10-02 Isoworth Limited Gas cylinder connector
JPH1015368A (ja) * 1996-07-04 1998-01-20 Mitsubishi Rayon Co Ltd 炭酸ガス添加水製造装置
CN1242172A (zh) * 1998-03-26 2000-01-26 普拉塞尔技术有限公司 将气体喷入液流内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58A (ko) * 2014-07-10 2016-01-20 코웨이 주식회사 실시간 가스 잔량 측정이 가능한 가스 취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기
KR102300032B1 (ko) 2014-07-10 2021-09-09 코웨이 주식회사 실시간 가스 잔량 측정이 가능한 가스 취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기
KR101916834B1 (ko) 2016-06-28 2018-11-08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스파클링 커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6212A (zh) 2005-07-27
WO2003086596A1 (fr) 2003-10-23
CN1327943C (zh) 2007-07-25
AU2003236106A1 (en) 2003-10-27
KR20040108730A (ko)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580B1 (ko) 탄산수 제조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및 거치형 정수기
US8413844B2 (en) Fluid container having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US6565743B1 (en) Portable purification container with cumulative use indicator
US7871020B2 (en) Faucet spray head with volume control
US6517720B1 (en) Escutcheon-mounted filter with above counter access for cartridge renewal
US6641727B1 (en) Filter faucet
JP2003305349A (ja) 炭酸水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US7617939B2 (en) Faucet mounted water filter
JPH10337421A (ja) 圧力作動式流れモニタを備えた水ろ過装置
EP1064067A1 (en) Faucet mounted water filter
JP2005521017A (ja) 水冷却器の水リザーバを消毒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675913B1 (ko) 경보기 또는 무선호출장치와 저장백을 구비하는 액체차단장치 및 액체차단 모니터링 장치
JP3167529U (ja) 縦型浄水器
CN217527886U (zh) 一种具有过滤功能出水的花洒插座组合装置
CN214119089U (zh) 一种防溅头及水龙头
US4789003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N215655806U (zh) 一种可切换水路手柄及花洒
JP4157722B2 (ja) 据置型浄水器
CN219976768U (zh) 流路组件和热水器
CN209818813U (zh) 一种浴缸恒温水龙头
US20190382986A1 (en) Water outlet fitting with drinking water filter
CN111203422A (zh) 一种液体容器
JPH06102189B2 (ja) 水浄化カートリッジ
JP2003305460A (ja) 蛇口直結型浄水器
JP2003305459A (ja) 据置型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