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805B1 - 렌즈미터 - Google Patents

렌즈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805B1
KR100582805B1 KR1020030100106A KR20030100106A KR100582805B1 KR 100582805 B1 KR100582805 B1 KR 100582805B1 KR 1020030100106 A KR1020030100106 A KR 1020030100106A KR 20030100106 A KR20030100106 A KR 20030100106A KR 100582805 B1 KR100582805 B1 KR 10058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ction cup
spectacle lens
spectacl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212A (ko
Inventor
와타나베켄이치
하타노요시유키
오오구시히로아키
요코이타쯔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ublication of KR2004006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G01M11/023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by measuring multiple properties of lenses, automatic lens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01M11/0214Details of devices holding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4Optical bench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인점부재와 흡착컵 장착을 위한 렌즈 가압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미터를 제공한다.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측정광학계를 갖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면 상에서, 인점부재(마커; 11)의 외형 형상 및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의 외형형상에 의해 둘러싸이는 범위25(도 7참조)의 외측에,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를 가압 지지하는 렌즈 가압부재(15, 16)가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렌즈미터, 안경렌즈

Description

렌즈미터{LENS METER}
도 1의 (a)는 이 발명에 관한 렌즈미터의 정면도, (b)는 (a)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인점장치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의 흡착치구 취부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의 인점장치 및 렌즈 흡착치구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점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3의 피가공렌즈와 렌즈 안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b)의 브라켓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렌즈미터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피가공렌즈(안경렌즈) 5:렌즈 안착부(안착부)
8:인점장치(인점수단) 15, 16:렌즈 가압부재(렌즈 가압부)
19d:가압 압착부 17:흡착치구 취부장치(흡착컵 장착수단)
18:수평축(선회축) 21:렌즈 흡착치구(흡착컵)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렌즈미터에 관한 것으로, 안경 프레임이나 림리스(rimless) 프레임 등의 구슬형 형상에 의거하여 연삭 가공하기 위해 렌즈 연삭장치에 장착시키기 위한 축출(軸出)기능을 겸비한 렌즈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렌즈미터에 축출기능을 갖춘 장치가 알려져 있다(가령, 특허문헌 1, 2, 3참조).
[특허문헌 1]
특허공개 평3-17530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공개 평3-208551호 공보
[특허문헌 3]
특허공개 평8-233693호 공보
그러나, 안경렌즈의 굴절면에 인점을 행하는 마커가, 흡착컵 장착을 위한 렌즈 가압부와 간섭되어 버려, 이제까지 인점장치와, 흡착컵 장착장치를 콤팩트하게 구비한 렌즈미터는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인점부재와 흡착컵 장착을 위한 렌즈 가압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안착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상에 안착된 안경렌즈를 상기 안착부에 대해 가압 압착하는 렌즈 가압부재와, 상기 안착부 상에 안착된 안경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측정 광학계와,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면에 인점(印点)을 실시하는 인점수단과, 상기 안경렌즈에 흡착컵을 취부하기 위한 흡착컵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면 상의 위치에서, 상기 인점수단의 외형형상 및 상기 흡착컵이 상기 안경렌즈에 취부되었을 때의 상기 흡착컵의 외형형상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범위의 외측 위치에 상기 렌즈 가압부재가 배치되도록 구성한 렌즈미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구성]
도 1(a)에 있어서, 1은 렌즈미터의 케이스 본체, 1a는 케이스 본체(1)의 전면, 2는 케이스 본체(1)의 전면(1a)의 상하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된 팽창 돌출부(제 1팽창 돌출부), 3은 케이스 본체(1)의 전면(1a)의 하부에 설치된 팽창 돌출부(제 2팽창 돌출부)이다(도 1(b) 참조). 이 팽창 돌출부(2, 3)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팽창 돌출부(2)의 하면에는 투영 광학계의 측정광속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원통부(렌즈 경통; 4)가 설치되고, 팽창 돌출부(3)의 상면 중앙에는 상부가 원추대인 원통형상의 렌즈 안착부(렌즈 받침; 5)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3참조).
또한, 팽창 돌출부(2)내에는 측정광속을 투영하는 투영 광학계(도시 생략)가 내장되고, 팽창 돌출부(3)내에는 측정광속을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도시 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투영 광학계로부터의 측정광속은 원통부(4)를 개재하여 하방으로 투영되고, 이 측정광속은 렌즈 안착부(5)의 중앙부를 개재하여 수광 광학계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투영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는 측정 광학계를 구성하고 있다.
6은 케이스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액정 표시기(표시장치), 7은 액정 표시기(6)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된 조작 패널, F1~F6은 조작 패널(7)에 설치된 기능키이다. 이 기능키(F1~F6)를 조작함으로써, 피가공렌즈의 측정이나 측정결과의 표시의 절환 등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측정 광학계나 조작패널(7)의 기능키(F1~F6)등에 대해서는, 종래 주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L은 레즈 안착부(5)상에 안착된 피가공렌즈(미가공 안경렌즈)이다.
또, 팽창 돌출부(2)의 하방에는 인점장치(인점수단; 8)이 배치되어 있다(도 1(a), (b), 도 4참조). 이 인점장치(8)는, 조작 레버(9)의 조작으로 선회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축형상의 3개(복수)의 마커(인점부재; 11)가 하방을 향한 사용위치와 전면(1a)측을 향한 후퇴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마커(11)가 하방을 향한 사용위치에서는, 조작레버(9)를 눌러내림으로써, 인점장치(8)가 하방으로 눌러내려져서, 피가공렌즈(L)의 상면에 3개의 마커(11)로 인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점장치(8)의 구성에는 종래 주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팽창돌출부(2)의 일측부에는 지지암(12)이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암(12)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암(12)의 하단부에는, 렌즈 가압부(13)가 장착되어 있다.
이 렌즈 가압부(13)는, 지지 프레임(12)의 하단부에 취부된 렌즈 가압판(14)를 갖는다. 이 렌즈 가압판(14)은, 렌즈 안착부(5)보다도 앞쪽에 위치하여 좌우로 연장되는 횡판부(14a)와, 횡판부(14a)의 양측부에 일체로 연결 설치된 종판부(14b, 14c)를 갖는다. 이 종판부(14b, 14c)는, 케이스 본체(1)의 전면(1a)측을 향해서 연결 설치됨과 동시에, 렌즈 안착부(5)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종판부(14b)가 지지 프레임(12)의 하단부에 취부되어 있다.
또, 렌즈 가압부(13)는, 종판부(14b)의 하단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축형상 렌즈 가압부재(15, 15)와, 종판부(14c)의 하단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축형상 렌즈 가압부재(16, 16)를 갖는다. 14d는 종판부(14c)에 설치된 조작 손잡이이다.
또한, 렌즈 가압부(13)에는 흡착 치구 취부장치(17)가 유지되어 있다(도 1(b), 도 2참조). 이 흡착 치구 취부장치(17)는, 횡판부(14a)를 따라서 배치되고, 종판부(14b, 14c)에 양단부가 고정된 선회축(18)과, 선회축(18)에 암부(19a)가 선회 가능하게 유지된 브라켓(19)을 갖는다.
이 브라켓(19)은, 판부(19b, 19c)로부터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판부(19b)에 암부(19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부(19c)를 앞쪽(렌즈 가압부(13) 와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서는, 판부(19b)의 하단부가 렌즈 가압부(13)의 횡판부(14a)의 전단에 접촉하여, 판부(19c)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부(19c)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판부(19c)의 상면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위치결졍 돌출형상)(2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돌출부(20)는,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 판부(19c)의 상면에는 축형상의 가압 압착부(19d)가 설치되어 있다.
21은 렌즈 흡착치구(렌즈 흡착컵)이다(도 1(b), 도 6참조). 이 렌즈 흡착치구(21)는, 단면에 해방되는 위치결정홈(22a)이 설치된 축부(22)와, 축부(22)에 일체로 설치된 원반형상의 컵부(흡착컵부)(23)를 갖는다. 그리고, 위치결정홈(22a)에 위치결정 돌출부(20)를 걸어맞춤시켜 압입함으로써, 렌즈 흡착치구(21)가 브라켓(19)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작용]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렌즈미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렌즈미터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촬영 광학계로부터의 측정광속이 원통부(4)를 개재하여 하방으로 투영되고, 이 측정광속이 렌즈 안착부(5)의 중앙부를 개재하여 수광 광학계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선회축(18)의 일단부를 잡고, 지지프레임(12)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렌즈 가압부(13)의 렌즈 가압부재(15, 16)를 렌즈 안착부(5)보다도 상방으로 들어올려, 피가공렌즈(L)를 렌즈 안착부(5)상에 올려놓는다. 이 후, 선회축(18)의 일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렌즈 가압부(13)를 하방으로 회동시켜서, 렌즈 가압부(13)의 렌즈 가압부재(15, 16)를 피가공렌즈(L)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선회축(18)으로부터 손을 떼면, 렌즈 가압부재(15, 16)는 지지 프레임(12)을, 하방으로 회동 가압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피가공렌즈(L)에 가벼운 힘으로 가압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피가공렌즈(L)는 렌즈 가압부(13)에 의해 렌즈 안착부(5)상에 가볍게 가압 압착된다(도 1(b), 도 2, 도 3참조).
이와 같이 피가공렌즈(L)를 렌즈 안착부(5)상에 올려놓으면, 측정광속이 피가공렌즈(L)를 투과하여, 가공렌즈(L)의 측정이 개시된다.
이때, 액정표시기(6)에는, X축과 Y축으로 이루어지는 십자선(도시 생략)이 표시되고, 이 십자선의 교점이 측정 광학계의 측정광축(도시 생략)으로서 표시된다. 또, 렌즈 안착부(5)의 중심이 측정 광학계의 측정광축(O)으로 된다(도 3, 도 5참조).
또, 피가공렌즈(L0의 측정에 따라서, 피가공렌즈(L)의 렌즈형상이 액정표시기(6)에 표시됨과 동시에, 측정광학계의 측정광축(O)에 대한 피가공렌즈(L)의 광학중심위치가 프리즘 양으로부터 구해져서, 피가공렌즈(L)의 광학중심과 측정광학계의 광축의 위치 관계가 액정표시기(6)에 표시된다. 이 액정표시기(6)에 표시된 렌즈형상과 광학중심은, 피가공렌즈(L)를 렌즈 안착부(5)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액정표시기(6)의 표시를 보면서 피가공렌즈(L)의 광학중심 위치가 측정 광학계의 측정광축과 일치하도록 피가공렌즈(L)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조작한다.
이 측정시에, 피가공렌즈(L)에 원주축이 있는 경우에는, 이 원주축의 경사가 구해지고, 이 원주축을 나타내는 원주축선이 액정표시기(6)에 표시된다. 따라서, 피가공렌즈(L)에 원주축이 있는 경우에는, 피가공렌즈(L)를 회전시켜서, 원주축선이 X축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작이 종료된 후, 인점장치(8)의 조작레버(9)의 조작으로 선회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축형상의 3개(복수)의 마커(11)를 하방을 향한 후, 조작레버(9)를 눌러내림으로써, 인점장치(8)가 하방으로 눌려내려지고, 인점장치(8)의 3개의 마커(11)가 도 3(a)와 같이 피가공렌즈(L)의 상면에 접촉되어져서, 피가공렌즈(L)의 상면에 3개의 마커(11)로 인점된다. 이 때, 3개의 마커(11, 11, 11)는 도 3(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가압부재(15, 16)사이에 배치된다.
이 인점조작의 종료후, 조작레버(9)를 상술한 바와 역으로 조작하여, 인점장치(8)를 후퇴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에, 브라켓(19)상에 렌즈 흡착치구(21)를 배치하고, 브라켓(19)상의 위치결정 돌출부(20)를 렌즈 흡착치구(21)의 위치결정홈(22a)에 걸어맞춤시켜 압입함으로써, 렌즈 흡착치구(21)를 브라켓(19)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흡착치구(21)의 컵부(23)가 상방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흡착치구(21)의 컵부(23)의 상면에 양면 테이프(24)의 일면측(하방측)을 도 1(b)와 같이 점착한다. 또, 이와 같은 렌즈 흡착치구(21)의 브라켓(19)상에서의 유지는, 피가공렌즈(L)의 측정개시 전에라도 되며, 측정 후라도 좋다.
그리고, 인점이 종료한 후, 브라켓(19)을 선회축(18)을 중심으로 케이스 본체(1)의 전면측으로 회동시켜서 도 2와 같이 수평으로 넘어뜨림으로써, 렌즈 흡착치구(21)의 컵부(22)가 도 3(b)와 같이 피가공렌즈(L)의 상면측을 향하며, 컵부(22)의 양면 테이프(24)가 피가공렌즈(L)의 상면에 접착된다. 이 상태에서, 브라켓(19)을 작업자가 위에서부터 가압 압착부(19d)를 가압 압착함으로써, 렌즈 흡착치구(21)의 컵부(22)가 피가공렌즈(L)의 상면에 앙면 테이프(24)로 확실하게 점착 부착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컵부(23)의 중심(O1)이 측정광축(O), 즉 피가공렌즈(L)의 광학중심과 일치되어지게 된다. 게다가, 컵부(23)는 도 3(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가압부재(15, 16)사이에 배치된다. 또, 렌즈 흡착치구(21)는 피가공렌즈(L)에 양면 테이프(24)로 부착하였으나,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컵부(23)에 고무제의 흡착컵을 사용하여 컵부(23)를 피가공렌즈(L)에 흡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도 7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컵부(23)와 마커(11, 11, 11)가 둘러쌓이는 최소의 범위(25)를 상정했을 때, 렌즈 가압부재(15, 16)는 범위(25)의 외측에 있으면 피가공렌즈(L)의 상면(전측 굴절면)의 어느 한쪽에 접촉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컵부(23)나 마커(11, 11, 11)와 렌즈 가압부재(15, 16)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는,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를 안착하는 안착부(렌즈 안착부; 5)와, 상기 안착부(렌즈 안착부; 5) 상에 안착된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를 상기 안착부(렌즈 안착부; 5)에 대해 가압 압착하는 렌즈 가압부재(15, 16)와, 상기 안착부(렌즈 안착부; 5) 상에 안착된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측정 광학계와,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면에 인점을 실시하는 인점수단(인점장치; 8)과,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을 취부하기 위한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을 갖는다. 게다가,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면 상의 위치에서, 상기 인점수단(인점장치; 8)의 외형형상 및 상기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이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취부되었을 때의 상기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의 외형형상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범위의 외측 위치에 상기 렌즈 가압부재(15, 16)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이나 인점부재(마커; 11, 11, 11)와 렌즈 가압부재(15, 16)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는, 렌즈 가압부(13)에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을 설치하였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을 피가공렌즈(L)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는,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측정광학계를 갖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를 안착하는 안착부(렌즈 안착부; 5)를 중심으로 인점수단(인점장치; 8)과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을 대칭 위치에 배치시키고,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광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선회축; 18의 축선)둘레에 인점수단(인점장치; 8) 및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을 각각 선회시켜서 안착부(렌즈 안착부; 5)에 안착된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상에 배치하여,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인점을 행하며,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을 장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에 있어서는, 상기 인점수단(인점장치; 8)과 상기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은 상기 안착부(렌즈 안착부; 5)를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인점수단(인점장치; 8)은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광축과 직교하는 수평축 둘레로 선회하여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인점을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은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광축과 직교하는 수평축 둘레로 선회하여 상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을 장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경렌즈를 떼어내어 흡착컵을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인점위치로의 흡착컵 장착을 자동적으로 정밀도 높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는,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측정 광학계를 갖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를 안착하는 안착부(렌즈 안착부; 5)와, 안착부(렌즈 안착부; 5)와는 반대인 방향으로부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를 가압 지지하는 렌즈 가압부(렌즈 가압부재; 15, 16)와, 렌즈 가압부(렌즈 가압부재; 15, 16)사이에 인점수단(인점장치; 8)이 배치되고,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인점이 행해지며, 렌즈 가압부(렌즈 가압부재; 15, 16)사이에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이 배치되며,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에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 가압부재(15, 16)는 상기 안착부(렌즈 안착부; 5)를 협지하는 2개소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2개소의 상기 렌즈 가압부재(15, 16)사이에 상기 인점수단(인점장치; 8)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경렌즈를 떼어내서 흡착컵을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흡착컵의 취부를 위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인점위치로의 흡착컵 장착을 자동적으로 정밀도 높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미터는, 흡착컵 장착수단(흡착치구 취부장치; 17)은,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의 흡착면(컵부; 22의 렌즈 취부면)을 위로 하여 배치하는 흡착 배치부(브라켓; 19)와,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광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선회축; 18의 축선)둘레로 선회하는 선회수단(브라켓; 19의 암부; 19a)을 갖고, 안경렌즈(피가공렌즈; L)의 굴절면 상에 흡착컵(렌즈 흡착치구; 21)을 장착시키기 위한 가압부(19d)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흡착컵을 안경렌즈에 확실하게 취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이 발명에서는, 안경렌즈를 떼어내서 흡착컵을 취부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인점위치로의 흡착컵 장착을 자동적으로 정밀도 높게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안경렌즈를 안착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상에 안착된 안경렌즈를 상기 안착부에 대해 가압 압착하는 렌즈 가압부재와, 상기 안착부 상에 안착된 안경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측정 광학계와,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면에 인점(印点)을 실시하는 인점수단과, 상기 안경렌즈에 흡착컵을 취부하기 위한 흡착컵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면 상의 위치에서, 상기 인점수단의 외형형상 및 상기 흡착컵이 상기 안경렌즈에 취부되었을 때의 상기 흡착컵의 외형형상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범위의 외측 위치에 상기 렌즈 가압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흡착컵 장착수단은 상기 렌즈 가압부재를 갖는 렌즈 가압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점수단과 상기 흡착컵 장착수단은 상기 안착부를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인점수단은 상기 안경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수평축 둘레로 선회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인점을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착컵 장 착수단은 상기 안경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수평축 둘레로 선회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흡착컵을 장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가압부재는 상기 안착부를 협지하는 2개소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2개소의 상기 렌즈 가압부재 사이에 상기 인점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컵 장착수단은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면 상에 흡착컵을 장착시키기 위한 가압 압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KR1020030100106A 2003-01-09 2003-12-30 렌즈미터 KR100582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3758 2003-01-09
JP2003003758A JP4138500B2 (ja) 2003-01-09 2003-01-09 レンズメ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212A KR20040064212A (ko) 2004-07-16
KR100582805B1 true KR100582805B1 (ko) 2006-05-23

Family

ID=3289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106A KR100582805B1 (ko) 2003-01-09 2003-12-30 렌즈미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38500B2 (ko)
KR (1) KR100582805B1 (ko)
CN (1) CN1223838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212A (ko) 2004-07-16
JP4138500B2 (ja) 2008-08-27
CN1223838C (zh) 2005-10-19
CN1517690A (zh) 2004-08-04
JP2004219118A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617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hape of a frame of spectacles
CN108036932B (zh) Oled面板的测试系统与测试方法
CN107253112B (zh) 具有吸盘安装单元的装置
JP2003066298A (ja) レンズ光軸調整装置
JP2000314617A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眼鏡レンズ加工装置
KR100806053B1 (ko) 자동 렌즈 블록킹 장치
KR100582805B1 (ko) 렌즈미터
JP2001121364A (ja) 車両用灯具の組立装置
CN211426326U (zh) 一种显示面板点屏压接治具和显示面板检测装置
KR101327238B1 (ko) 연결 블록 장착이 용이한 자동 렌즈 블록커
JP2002283202A (ja) カップ取付け装置
JP2010228038A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5720647A (en) Device for mounting a retaining part on an optical surface of an ophthalmic blank
CN213258620U (zh) 一种望远镜片的毛边抛光去毛刺装置
KR101936003B1 (ko) 자동 소켓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및 이의 소켓 개폐방법
CN220105390U (zh) 一种半球透镜的辅助治具
CN218925162U (zh) 一种用于智能头戴显示眼镜的显示系统定中心设备
KR102141448B1 (ko) 컵 부착 수단을 갖는 장치
JP4818834B2 (ja) レンズメータ
JP2925584B2 (ja) 眼鏡レンズ用レンズメータ
US9421658B2 (en) Apparatus having cup attaching unit
JPH0786797A (ja) 装着部品の検出装置
JPH10115786A (ja) 手動ステージを有する顕微鏡
JP2000317795A (ja) 型板ホルダー及び玉型形状測定装置
CN115608574A (zh) 一种用于智能头戴显示眼镜的显示系统定中心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