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361B1 -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361B1
KR100582361B1 KR1020030075009A KR20030075009A KR100582361B1 KR 100582361 B1 KR100582361 B1 KR 100582361B1 KR 1020030075009 A KR1020030075009 A KR 1020030075009A KR 20030075009 A KR20030075009 A KR 20030075009A KR 100582361 B1 KR100582361 B1 KR 10058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ocking
mounting groove
protruding
protru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931A (ko
Inventor
최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3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들을 주 배터리에 착탈 가능하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에 따라 보조배터리를 부착하거나 제거하여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 배터리에 다른 하나의 배터리가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기기장치, 예를 들면 단말기 등의 기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몸체의 타면, 즉 장착홈의 대향하는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 상기 장착홈 및 돌출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돌출면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적층형 배터리를 제공한다.
적층형 배터리, 돌출면, 장착홈, 고정수단, 접속단자

Description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Stacking-type batter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1은 종래의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 중 하나의 배터리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결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록킹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본체 20 : 배터리
110 : 장착홈 111 : 돌출면
121, 124 : 접속단자 122 : 가이드 돌기
123 : 가이드 홈 130 : 록킹 버튼
131 : 고정 후크 132 : 고정홈
133 : 록킹 스프링
본 발명은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를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적층시킬 수 있어서, 출장이나 여행 등, 장시간 충전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은 최근 소형화 추세에 따라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배터리 기술 또한 소형화 추세로 발전하고 있는 중이다.
도1은 종래의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단말기 본체(10)의 후측에 단일의 배터리(20)가 부착되었다. 배터리의 소형화 기술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나, 단말기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사실상의 사용시간은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장시간 충전 없이 사용하기 위하여,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후측으로 돌출되어 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AOD, VOD 등 고기능의 구현이 필요한 경우, 그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교체하여 전원을 공급할 필요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행 출장 등, 장기간 충전 없이 사용하는 경우, 여러 개의 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 배터리들을 주 배터리에 착탈 가능하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의 예상 사용시간에 따라 보조배터리를 부착하거나 제거하여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 배터리에 다른 하나의 배터리가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기기장치, 예를 들면 단말기 등의 기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몸체의 타면, 즉 장착홈의 대향하는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과; 상기 장착홈 및 돌출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돌출면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적층형 배터리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홈에 배터리 장착 방향을 따라 측면 내측에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홈에 배터리 장착 방향을 따라 측면 내측에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가 완전히 겹쳐지면, 인접한 배터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또한, 장착이 완료 된 후, 그 장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배터리 해체시 그 장착상태를 해제하는 록킹(locking)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실시예로서,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홈의 측면에 위치되며, 배터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록킹해제버튼; 상기 록킹해제버튼과 엇갈리게 형성되며 배터리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록킹 후크; 상기 록킹해제버튼과 록킹후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해제버튼은 배터리 외측으로 상기 록킹후크는 배터리 내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록킹스프링; 및 상기 돌출면의 측면에 위치되며, 인접한 배터리의 록킹후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록킹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층형 배터리를 장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즉,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배터리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몸체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과; 상기 장착홈 및 돌출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돌출면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도2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 중 하나의 배터리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결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록킹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일 실시예는 기본 배터리에 다른 하나의 배터리가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기기장치, 예를 들면 단말기 등의 기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110)과; 상기 몸체의 타면, 즉 장착홈(110)의 대향하는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111)과; 상기 장착홈(110) 및 돌출면(111)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121, 124);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120a, 120b, 120c)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110)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110)으로부터 돌출면(111)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홈(110) 및 상기 돌출면(111)에 형성되어 하나의 배터리 후측에 배터리를 추가로 장착하는 경우 끼움과정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장착홈(110)에 배터리 장착 방향을 따라 측면 내측에 장방향으로 길게 또는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2);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면(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장착홈(110)에 배터리 장착 방향을 따라 측면 내측에 장방향으로 길게 또는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면(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가 완전히 겹쳐지면, 인접한 배터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의 록킹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홈(110)의 측면에 위치되어, 배터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록킹해제버튼(130); 상기 록킹해제버튼(130)과 엇갈리게 형성되며 배터리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록킹후크(131); 상기 록킹해제버튼(130)과 록킹후크(1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해제버튼(130)은 배터리 외측으로 상기 록킹후크(131)는 배터리 내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록킹스프링(133); 및 상기 돌출면(111)의 측면에 위치되며, 인접한 배터리(120a)의 록킹후크(1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록킹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배터리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한 배터리(120b)의 록킹후크(131)가 록킹홈(132)에 삽입되며, 록킹스프링(133)에 의해 그 록킹상태가 유지되며, 사용자가 배터리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록킹해제버튼(130)을 누르면,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상기 록킹후크(131)가 회전하여 상기 록킹홈(132)에서 빠지게 되어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적층형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즉,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몸체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과; 상기 장착홈 및 돌출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돌출면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배터리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록킹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도2 내지 도5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인접한 배터리(120a, 120b, 120c)들은 각자 인접하는 면이 대응하는 형상으로 장착홈과 돌출면이 형성된다. 즉, 제1배터리(120a)의 후측에 돌출면(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배터리(120b)는 상기 제1배터리(120a)의 돌출면(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홈(110)이 전방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배터리(120c)는 상기 제2배터리(120b)의 후측의 돌출면(111)을 수용하는 장착홈(110)이 전방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터리를 적층 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원하는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21, 124)는 상기 배터리들을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전자장치에 동일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적층형 배터리는, 적층되는 배터리의 수에 따라, 그 용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전하지 않고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배터리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 전압을 요구하는 AOD, 또는 VOD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플래쉬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용량이 일정하고 휴대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여행이나 출장을 가는 경우, 충전기를 가지고 가지 않고, 필요한 만큼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배터리는 특히, 배터리 사용 시간이 중요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를 적층하여 용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여행 또는 출장과 같이, 전자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를 따로 휴대 하지 않고 전자 장치의 본체에 적층한 채로 휴대할 수 있어서 충전기를 따로 가지고 이동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 대용량의 배터리 소모가 필요한 AOD, VOD 기능등을 수행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하여 필요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몸체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
    상기 장착홈 및 돌출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돌출면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적층형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홈에 배터리 장착 방향을 따라 측면 내측에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적층형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홈에 배터리 장착 방향을 따라 측면 내측에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적층형 배터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가 완전히 겹쳐지면, 인접한 배터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되는
    적층형 배터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홈의 측면에 위치되며, 배터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록킹해제버튼;
    상기 록킹해제버튼과 엇갈리게 형성되며 배터리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록킹 후크;
    상기 록킹해제버튼과 록킹 후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해제버튼은 배터리 외측으로 상기 록킹후크는 배터리 내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록킹스프링; 및
    상기 돌출면의 측면에 위치되며, 인접한 배터리의 록킹후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는
    적층형 배터리.
  6.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배터리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전원을 공급하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몸체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면;
    상기 장착홈 및 돌출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결합되는 배터리들이 장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록킹하거나 상기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배터리의 장착홈으로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돌출면이 결합될 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돌출면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75009A 2003-10-27 2003-10-27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009A KR100582361B1 (ko) 2003-10-27 2003-10-27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009A KR100582361B1 (ko) 2003-10-27 2003-10-27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931A KR20050039931A (ko) 2005-05-03
KR100582361B1 true KR100582361B1 (ko) 2006-05-22

Family

ID=3724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009A KR100582361B1 (ko) 2003-10-27 2003-10-27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33B1 (ko) 2005-05-17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33B1 (ko) 2005-05-17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931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350B2 (en) Electrical combination including a battery pack
AU629046B2 (en)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guide and support apparatus
US6014010A (en) Charger compatible with different-sized rechargeable batteries of mobile telephones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CN1278661A (zh) 电池组件
KR100506314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KR100582361B1 (ko)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910235B2 (en) Self-charging lithium battery
JP2910442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へ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形の電池
JP2005229785A (ja) ワイヤレスマイク用の充電器
KR200212929Y1 (ko) 벨트형 배터리
EP1885010A2 (en) Battery pack with nondirectional terminal
KR20026380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용 보조 배터리팩
JP2002354688A (ja) 携帯型電子機器の充電装置
KR20010000803U (ko)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
KR100603436B1 (ko)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JP2004146317A (ja) 携帯電話機用コネクタ及び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JP3122392U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JP2004158421A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JPH0261959A (ja) 電気機器
US20080070110A1 (en) Universal battery
JP3395321B2 (ja) 充電器一体型バッテリー
KR200161961Y1 (ko) 휴대전화기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030028609A (ko) 휴대단말기의 듀얼모드 전원공급장치
KR200211542Y1 (ko) 일회용 충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