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436B1 -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 Google Patents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436B1
KR100603436B1 KR1020030066806A KR20030066806A KR100603436B1 KR 100603436 B1 KR100603436 B1 KR 100603436B1 KR 1020030066806 A KR1020030066806 A KR 1020030066806A KR 20030066806 A KR20030066806 A KR 20030066806A KR 100603436 B1 KR100603436 B1 KR 10060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sertion hole
charging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413A (ko
Inventor
오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6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4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충전단자로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의 배터리 및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가능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충전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를 향상시키도록 한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외측 소정 부위에서 배터리팩 안착부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부분에 안착면이 형성된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이 안착되는 수용면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충전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거치대, 삽입공, 삽입돌기

Description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Charging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ner-pack type battery}
도1은 본 발명의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이 결합된 단말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구성하는 충전 거치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본체 20: 배터리팩
21: 안착면 21a, 21b: 제1 및 제2안착면
30: 삽입공 31a, 31b: 제1 및 제2삽입면
40: 충전 거치대 41: 수용면
42: 충전단자 50: 삽입돌기
50a: 제1대응벽 50b: 제2대응벽
본 발명은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충전단자로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의 배터리 및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가능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충전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를 향상시키도록 한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면에는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결합된 배터리는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의 용량이 소진될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여 수시로 충전기에 의해 재충전되어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크게 슬라이딩 방식과 록킹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최근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추구되면서 공간활용성에서의 장점이 있는 록킹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록킹 방식중에서도 배터리가 체결되는 하단부의 기구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 단말기 본체부의 수용부에 배터리 전부가 잠기는 이너팩방식(inner-pack type)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너팩방식이란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태로서, 배터리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터리의 측면과 하단면 전부가 수용되는 방식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너팩방식은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충전단자의 위치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즉 충전기에서 배터리만을 충전할 경우에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충전거치대에 접촉하는 배터리의 접촉점 사이의 거리, 그리고 충전기에서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할 경우에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충전거치대에 접촉하는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의 접촉점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르므로,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충전과 배터리만이 별도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두 개의 슬롯(slot)을 구비한 충전기를 이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기가 두 개의 슬롯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충전기 디자인에 제약이 따르고, 두 개의 슬롯을 구성하기 위해 별도의 금형 및 부품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므로써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더욱이, 두 개의 슬롯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충전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와 배터리만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를 하나의 충전단자로 충전가능하도록 한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충전단자만으로 충전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장치 디자인이 자유롭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충전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외측 소정 부위에서 배터리팩 안착부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부분에 안착면이 형성된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이 안착되는 수용면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충전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 외측면 하단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는 충전 거치대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의 상하폭은 삽입돌기의 두께에 일치하고, 상기 충전단자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수용면으로부터 삽입돌기 하면까지의 거리에 일치된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 일측면에 공동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이 결합된 단말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구성하는 배터리팩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를 구성하는 충전 거치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 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는,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외측 소정 부위에서 배터리팩 안착부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공(30);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공(30)에 대응되는 부분에 안착면(21)이 형성된 배터리팩(20); 및 상기 배터리팩(20)이 안착되는 수용면(4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30)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30)을 통해 상기 안착면(21)에 안착되는 삽입돌기(50)를 구비하는 충전거치대(4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면은 바닥면(미도시)과, 제1안착면(21a) 및 제2안착면(2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안착면(21a) 및 제2안착면(21b)은 서로 소정의 각을 가지고 형성되나, 바람직하게는 서로 90도의 각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안착면(21b)은 단말기 본체(10)가 상기 충전거치대(40)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돌기(50)의 제1 및 제2대응벽(50a, 50b)과 접하는 부분이므로 상기 삽입돌기(5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각이 달라진다. 즉, 본 실시예세서는 상기 삽입돌기(50)의 형상이 육면체 형상이므로 제1 및 제2안착면(21b)이 이루는 각은 90도가 바람직하나 그 이하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공(30)은 단말기 본체(10)와 배터리팩(20)의 결합 외측면 하단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50)는 상기 삽입공(30)에 대응하는 충전 거치대(4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공(30)의 상하폭은(t1)은 삽입돌기(50)의 두께(t2)와 동일하 거나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0)의 배면, 즉 충전단자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3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L)는 충전 거치대(40)의 수용면으로부터 삽입돌기(50) 하면까지의 거리에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공(30)의 일 실시형태로 단말기 본체(10)에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삽입공(30)의 바닥면은 배터리팩(20)의 상면이 되는데, 이 때 상기 삽입공(30)의 바닥면, 즉 배터리팩(20)의 상면까지의 거리(L)는 충전 거치대(40)의 수용면으로부터 삽입돌기(50) 하면까지의 거리에 일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공(30)의 다른 실시형태로 단말기 본체(10)와 배터리팩(20)의 결합면에 공동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삽입공(3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L)는 충전 거치대(40)의 수용면으로부터 삽입돌기(50) 하면까지의 거리에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의 충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팩(20)이 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도1 참조)에서 충전 거치대(40)의 수용면(41)으로 안착시켜 충전 거치대(40)의 하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배터리팩(20)의 충전단자와 충전 거치대(40)의 충전단자(42)가 접촉됨과 동시에, 충전 거치대(40)에 구비된 삽입돌기(50)는 단말기 본체(10)와 배터리팩(20)에 형성된 삽입공(30)으로 삽입되어 충전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공(3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L)는 충전 거치대(40)의 수용면으로부터 삽입돌기(50) 하면까지의 거리에 일치될 경우 견고한 안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배터리팩(20)을 분리시켜 배터리팩(20)만을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도2 참조), 배터리팩(20)을 충전 거치대(40)의 수용면(41)으로 안착시켜 충전 거치대(40)의 하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배터리팩(20)의 충전단자와 충전 거치대(40)의 충전단자(42)가 접촉됨과 동시에, 충전 거치대(40)에 구비된 삽입돌기(50)는 배터리팩(20)의 상면에 위치됨으로써 견고한 안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장치는,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와 배터리만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를 하나의 충전단자로 충전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는,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와 배터리만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를 하나의 충전단자로 충전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별도의 충전 슬롯을 구비해야 하는 경우에 비하여 충전장치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하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며, 충전기의 소형화 및 슬 림화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본체의 외측 소정 부위에서 배터리팩 안착부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부분에 안착면이 형성된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이 안착되는 수용면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충전 거치대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 외측면 하단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삽입공에 대응하는 충전 거치대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상하폭은 삽입돌기의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충전단자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수용면으로부터 삽입돌기 하면까지의 거리에 일치되는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 일측면에 공동으로 형성되는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구조.
KR1020030066806A 2003-09-26 2003-09-26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KR10060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806A KR100603436B1 (ko) 2003-09-26 2003-09-26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806A KR100603436B1 (ko) 2003-09-26 2003-09-26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413A KR20050030413A (ko) 2005-03-30
KR100603436B1 true KR100603436B1 (ko) 2006-07-24

Family

ID=3738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06A KR100603436B1 (ko) 2003-09-26 2003-09-26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4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413A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9885A (en)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positioning and support apparatus
US11101512B2 (en) Battery pack
US6014010A (en) Charger compatible with different-sized rechargeable batteries of mobile telephones
US20090111008A1 (en) Batter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100506314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KR20080005529A (ko) 비수직 결합 슬롯을 가진 배터리 팩
US20050189911A1 (en) Combination mobile phone charger
KR200469127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0603436B1 (ko) 이너팩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충전구조
CN100394699C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电池组锁定装置
JP202016132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762976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USB interface unit therein
JP2005229785A (ja) ワイヤレスマイク用の充電器
JP2910442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へ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形の電池
JP7412156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050272480A1 (en) Power connection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CN219106625U (zh) 一种充电头可伸缩的充电宝
JPH11146568A (ja) 充電装置のロック構造
KR200161961Y1 (ko) 휴대전화기용 배터리 충전장치
JP2004207137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これに装着する電池パック充電アダプタ
KR100582361B1 (ko) 적층형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570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식 내장 배터리의 고정 구조
JP6321372B2 (ja) 端末収容装置
KR940008201Y1 (ko) 밧데리팩의 오삽입 방지구조
KR200168272Y1 (ko) 휴대전화기용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