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118B1 -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18B1
KR100582118B1 KR1020040098447A KR20040098447A KR100582118B1 KR 100582118 B1 KR100582118 B1 KR 100582118B1 KR 1020040098447 A KR1020040098447 A KR 1020040098447A KR 20040098447 A KR20040098447 A KR 20040098447A KR 100582118 B1 KR100582118 B1 KR 10058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uide member
mini
small diameter
bin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KR102004009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미니 스크류의 상반부 구성을 개량하여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을 걸기에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그 걸림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하여 여기에 걸리는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의 견인력 조절이 유리하면서 이완이 예방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나사캡을 조여서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나사캡이 풀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나사캡에 테이퍼진 육각 머리부를 형성하여 공구로 잡고 이동하거나 취급하기에 유리하도록 하는데도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수단은 하반부에 나사부(11)가 구비되고, 상반부에 육각의 확장부(12)로써 단턱(13)이 구비되며, 그 위로 작은 직경부(14)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10), 그리고 상기한 스크류 본체(10)의 작은 직경부(14)에 끼워진 환테부(21)와, 이 환테부의 둘레에서 연장 형성된 아암(22)으로 이루어진 결속 안내부재(20), 그리고 상기 작은 직경부에 마련된 조립나사부(11)에 나사 조립하여 상기 결속 안내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MINI-SCREW FOR ORTHODONTICS}
도 1은 치아교정장치의 일례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니 스크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스크류 본체 11 : 나사부
12 : 확장부 13 : 단턱
13a : 회전 방지홈 14 : 작은 직경부
14a : 수나사 20 : 결속 안내부재
21 : 환테부 22 : 아암
22a : 와이어 걸이부 22c : 걸이 안내부
23 : 돌기 30 : 나사캡
31a : 암나사 31b : 육각머리부
40 : 헤드부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을 위해서 걸어 주는 와이어나 고무줄을 보다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하고, 걸어준 상태에서 그 와이어나 고무줄의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작은 크기로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을 위해서 사용하는 치아 교정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치아에 브라켓트(5)를 붙이고 그 브라켓트(5)를 교정 와이어(4)로 연결한 다음, 이들 교정 와이어에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걸고리(41), 스프링(3) 또는 고무줄, 견인 와이어(2) 등을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 근처 구강 내의 뼈에 박아 넣은 미니 스크류(1)에 걸어 연결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미니 스크류(1)로서 종래의 미니 스크류 중 하나를 도 1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다.
도 1의 확대도에서와 같은 미니 스크류는 하측으로 나사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견인 와이어를 감아줄 수 있는 요홈부(1b) 및 관통 구멍(1c)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미니 스크류는 그 자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구멍(1c)의 크기도 매우 작아서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을 걸기가 불편하고, 약하고 다루 기 어렵기 때문에 경사진 잇몸 등의 장소에 박아 넣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미니 스크류의 상반부 구성을 개량하여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을 걸기에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그 걸림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하여 여기에 걸리는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의 견인력 조절이 유리하면서 이완이 예방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나사캡을 조여서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나사캡이 풀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나사캡에 테이퍼진 육각 머리부를 형성하여 공구로 잡고 이동하거나 취급하기에 유리하도록 하는데도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수단은 하반부에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반부에 육각 확장부로서 단턱이 구비되며, 그 위로 작은 직경부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 그리고 상기한 스크류 본체의 작은 직경부에 끼워진 환테부와, 이 환테부의 둘레에서 연장 형성된 아암으로 이루어진 결속 안내부재, 그리고 상기한 작은 직경부에 마련된 조립나사부에 나사조립하여 상기 결속 안내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스크류 본체의 작은 직경부는 끝단의 직경이 더 작은 테이퍼 형태로 하고,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의 환테부 내경을 상기 테이퍼 형태에 맞게 형성하여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는 그 하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하향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스크류 본체의 단턱에는 상기한 하향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회전방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 안내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한 아암은 그 양측 끝단이 상향지게 벌어진 V자 모양을 가지면서 그 중단의 걸이 안내부와, 그 끝단에 와이어 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나사캡은 그 상면에 기울기를 가진 육각머리부를 형성하여 치공구로써 끼워 잡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한 나사캡은 나사 결합시 그 하단이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를 눌러 그 결속 안내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미니 스크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미니 스크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니 스크류는 스크류 본체(10)와, 그 위에 조립할 결속 안내부재(20)와, 이 결속 안내부재를 단속하기 위한 나사캡(3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스크류 본체(10)는 그 하반부에 나사부(11)가 구비되고, 그 상반부에는 단턱(13)이 구비되며, 그 위로 작은 직경부(14)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는 상기한 스크류 본체(10)의 작은 직경부(14)에 끼워진 환테부(21)와, 이 환테부의 둘레에서 연장 형성된 아암(22)으로 형성된다.
또 한, 상기 나사캡(30)은 상기한 스크류 본체의 작은 직경부(14)에 마련된 조립나사부(11)에 나사조립하여 상기 결속 안내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그 상면에는 테이퍼진 육각머리부(31b)를 형성하여 예컨대 박스 스패너와 같이 생긴 치공구(T)를 이용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억지 끼움의 형태로 끼워서 운반 이동할 때 흘리지 않으며, 취급 조작하기에 유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작은 직경부(14)는 그 끝단의 직경이 더 작은 테이퍼 형태로 하고,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의 환테부(21)도 그 내경을 상기 테이퍼 형태에 맞게 형성하여 나사캡(30)으로 조였을 때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나사캡(30)의 나사부(11) 구성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캡(30)에 암나사(31a)를 형성하고 작은 직경부(14)에 수나사(14a)를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나사캡(30)을 끝까지 조였을 때는 그 하단부가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를 누르거나 감싸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한, 상기한 스크류 본체(10)의 아암(22)은 결속 안내부재(20)의 회전 시, 그 양측 끝단이 치아나 잇몸 등 다른 부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향지게 벌어진 V자 모양으로 형성하면서 그 끝단에는 감긴 와이어나 고무줄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와이어 걸이부(22a)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 상기 아암(22)은 도면에 표현된 형상 모양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유연성을 가진 봉재로 할 수도 있고 유연성이 있는 중간 중간에 와이어를 걸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걸이구조(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니 스크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니 스크류(S)를 박아서 입설하는 위치는 구강 내의 필요한 위치이며, 이러한 점은 종래와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의 미니 스크류(S)를 뼈에 박아 넣고자 할 때는 하측의 나사부(11)가 뼈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되, 육각의 확장부(12)를 잡고 돌려서 박아 넣는다.
이후, 작은 직경부(14)에 결속 안내부재(20)를 끼워 단턱(13)에 얹히도록 하고, 그 위로 나사캡(30)을 끼워 이 나사캡(30)으로 하여금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결속 안내부재(20)에 견인 와이어(2)나 고무줄을 건 후에는 나사캡(30)을 체결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하향 돌기(23)가 구비된 결속 안내부재(20)를 선택하고, 그 하향 돌기(23)가 상기한 스 크류 본체(10)의 단턱(13)에 구비된 회전방지홈(13a)에 끼워지도록 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도 나사캡(30)은 상기 결속 안내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그대로 사용된다.
상기한 아암(22)들은 기본적으로 그 아랫부분이 좁게 V자 형으로 되어 있고, 또 이들을 휘어지게 꺾거나 할 수 있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잇몸에 경사지게 박아 넣은 상태에서도 치아에 간섭을 유발하지 않아서 좋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미니 스크류의 상반부에 회전 비회전의 선택이 자유로운 결속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그 결속 안내부재에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미니 스크류에 비하여 견인 와이어나 고무줄을 걸어서 장치하기에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한, 상기 미니 스크류의 나사캡을 조였을 때, 그 조임력이 결속 안내부재의 외경을 눌러서 조여 주기 때문에 풀림 방지가 되는 장점이 있으며, 테이퍼진 육각머리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치공구로써 운반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하반부에 나사부(11)가 구비되고, 상반부에 육각의 확장부(12)로써 단턱(13)이 구비되며, 그 위로 작은 직경부(14)가 형성된 스크류 본체(10);
    상기한 스크류 본체(10)의 작은 직경부(14)에 끼워진 환테부(21)와, 이 환테부의 둘레에서 연장 형성된 아암(22)으로 이루어진 결속 안내부재(20);
    상기 작은 직경부에 마련된 조립나사부(11)에 나사조립하여 상기 결속 안내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캡(3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크류 본체(10)의 작은 직경부(14)는 끝단의 직경이 더 작은 테이퍼 형태로 하고,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의 환테부(21) 내경을 상기 테이퍼 형태에 맞게 형성하여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는 그 하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하향 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한 스크류 본체(10)의 단턱(13)에는 상기한 하향 돌기(23)가 끼워질 수 있는 회전방지홈(13a)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 안내부재(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암(22)은 그 양측 끝단이 상향지게 벌어진 V자 모양을 가지면서 그 중단의 걸이 안내부(22c)와, 그 끝단에 와이어 걸이부(2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사캡(30)은 그 상면에 기울기를 가진 육각머리부(31b)를 형성하여 치공구로 끼워 잡기가 용이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사캡(30)은 암나사(31a)를 형성하여 상기 작은 직경부(14)에 형성한 수나사(14a)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용 미니 스크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사캡(30)은 나사 결합시 그 하단이 상기한 결속 안내부재(20)를 눌러 그 결속 안내부재(2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KR1020040098447A 2004-11-29 2004-11-29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KR10058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47A KR100582118B1 (ko) 2004-11-29 2004-11-29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47A KR100582118B1 (ko) 2004-11-29 2004-11-29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118B1 true KR100582118B1 (ko) 2006-05-22

Family

ID=3718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447A KR100582118B1 (ko) 2004-11-29 2004-11-29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49B1 (ko) 2012-09-14 2014-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치료를 위한 고정원용 앵커 캡 및 이를 갖는 고정원 모듈
JP2016077630A (ja) * 2014-10-17 2016-05-16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歯科矯正用支持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7751A1 (en) 1999-11-26 2001-05-31 Nicos Sas Di De Toni Nicoletta & C. Connecting element of orthodontic devices with an integrated implant within the palatal vault
KR200289252Y1 (ko) 2002-06-27 2002-09-16 박영철 임플랜트
JP2004097787A (ja) 2002-07-17 2004-04-02 Univ Nihon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
US20040166460A1 (en) 2003-02-25 2004-08-26 John Devincenzo Orthodontic anch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7751A1 (en) 1999-11-26 2001-05-31 Nicos Sas Di De Toni Nicoletta & C. Connecting element of orthodontic devices with an integrated implant within the palatal vault
KR200289252Y1 (ko) 2002-06-27 2002-09-16 박영철 임플랜트
JP2004097787A (ja) 2002-07-17 2004-04-02 Univ Nihon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
US20040166460A1 (en) 2003-02-25 2004-08-26 John Devincenzo Orthodontic anch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49B1 (ko) 2012-09-14 2014-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치료를 위한 고정원용 앵커 캡 및 이를 갖는 고정원 모듈
JP2016077630A (ja) * 2014-10-17 2016-05-16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歯科矯正用支持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177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7172416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WO1995024163A1 (en) Method and means for affixing a component to a dental implant
US6217332B1 (en) Combination implant carrier and vial cap
JP370651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EP1581140B1 (en) Device comprising a fixture holder, a fixture and a dental screwing arrangement
KR100608304B1 (ko) 치아교정용 앵커
US20060210950A1 (en) Dental devices
US20040157187A1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6669473B1 (en) Anchor screw for orthodontic treatments
US8920164B2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US20080050691A1 (en) Anchor apparatus and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s
AU598776B2 (en) Orthodontic plier
JP3096332U (ja) 歯列矯正用ネジ装置
FR2571245A1 (fr) Dispositif d&#39;attache pour instruments a main medicaux, en particulier dentaires
KR100582118B1 (ko)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KR102036605B1 (ko)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EP0626831B1 (en) Tension matrix and tightening device for odontological use capable of being integral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KR20220077548A (ko) 안전와이어가 장착된 임플란트 시술용 헥사 드라이버
US11259900B2 (en) Cemented dental crown removal system
KR200392189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01975B1 (ko) 치아 교정용 스크류 드라이버 장치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20200022119A (ko)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