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252Y1 - 임플랜트 - Google Patents

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252Y1
KR200289252Y1 KR2020020019455U KR20020019455U KR200289252Y1 KR 200289252 Y1 KR200289252 Y1 KR 200289252Y1 KR 2020020019455 U KR2020020019455 U KR 2020020019455U KR 20020019455 U KR20020019455 U KR 20020019455U KR 200289252 Y1 KR200289252 Y1 KR 20028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implant
alveolar bone
elastic memb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문
김종우
박영철
이종석
Original Assignee
박영철
이종석
김정문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이종석, 김정문, 김종우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020019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252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열교정 시술을 할 때에 치조골에 식립하여 사용되는 임플랜트의 스크루부 구조를 변형하여 된 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결합부 및 치골조에 식립되는 식립부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루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스크루의 날 중 상부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의 스크루 날 끝단은 소정의 폭을 갖는 면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스크루 날 끝단은 예리한 각을 형성시킴으로서, 별도의 드릴링 과정 없이 식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장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적절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임플랜트와 치조골의 계면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플랜트{Implant}
본 고안은 치열교정 시술을 할 때에 치조골에 식립하여 사용되는 임플랜트의 스크루부 구조를 변형하여 된 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스크루부를 치조골에 식립함에 있어 별도의 드릴링(drilling) 과정 없이 직접 식립할 수 있고, 또, 그 식립된 임플랜트의 고정부에 와이어나 스프링(이하 탄성부재라 칭함)을 걸어(결합하여) 장력을 가할 때에 그 장력에 의한 응력을 적절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임플랜트와 치조골의 계면을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교정용 임플랜트는 고정을 목적으로 치료에 사용되므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안정성은 크게 임플랜트 식립 직후의 일차적 안정성과 임플랜트 사용 시의 이차적 안정성,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식립 직후의 일차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식립 시 골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골 조직과의 접촉면을 극대화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골 조직에 치명적인,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드릴링 과정 없이 직접 식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탭핑(tapping) 과정(나사산(thread)을 형성하는 것)과 드릴링 과정(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모두 생략하고 곧바로 식립하면 연조직 피판 수술이 필요 없어 간단하고 시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스크류 나사 끝단은 날카로운 각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상기 식립 후 치료 중의 이차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교정 치료에 사용되는 교정력이 골조직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응력을 잘 분산시켜야하는데 이는 스크루부 특히 교정력이 집중되는 스크루 상부의 나사 모양과 관계가 있다.
임플랜트를 이용한 치열의 교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대상치아(11)에 브래킷(26)을 부착하고 치조골(10)에 임플래트(20)의 스크루부(21)를 식립한 후 탄성부재(t)를 이용하여 그 일측단은 상기 브래킷(26)에 타측단은 상기 임플랜트(20)의 고정부(23)에 결합하여 소정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교정대상치아(11)를 교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치조골(10)에 삽입되는 임플랜트(20)의 스크루부(21)는 탄성부재(t)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그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임플랜트(20)가 압력을 받으면서 스크루부의 경사면에 의해 치조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전단력(shear force)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치조골이 흡수되어 임플랜트와 치조골의 계면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등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스크루부(21)의 구조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랜트(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30323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헤드(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순차적으로 고정부(23), 공구결합부(24), 탄성부재(t)를 걸을 수 있는 만큼의 공간을 확보한 하단에 돌부(25),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스크루부(21)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임플랜트(20)에서 스크루부(21)를 살펴보면, 통상의 나사못 형태로서 스크루 날(27)이 스크루부(21)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단이 이르기까지 동일하게 예리한 각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된 탄성부재(t)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치조골(10)에 식립된 스크루부(21)나사의 절단면에 응력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치조골이 흡수되어 임플랜트의 안정성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교정대상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치조골(10)에 임플랜트(20)의 스크루부(21)를 식립하고,(도 3a 참조) 탄성부재(t)의 타단을 돌부(25) 상측의 공간에 소정의 장력을 갖도록 걸게되면 상기 임플랜트(20) 즉 스크루부(21)는 탄성부재(t)의 장력에 의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이 발생하는 쪽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부(21)의 경사면에 의해 치조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전단력(shear force)이 발생할 뿐 아니라 예리한 날 끝에 응력이 집중되어 치조골이 흡수되고 이로 인해 치조골 지지가 감소되어 상대적인 응력이 증가하고 치조골 흡수는 가속화되어 결국 임플랜트가 탈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 임플랜트 외에도 종래에는 수많은 종류의 치열 교정용 임플랜트 등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들 모두의 스크루부 역시 스크루 날이 스크루부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단이 이르기까지 동일하게 예리한 각을 형성하거나 식립시 치조골에 치명적인 열을 발생시키는 드릴링 과정이 필요한 나사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식립 과정 혹은 사용시 치조골에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을 주어 안정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드릴링 과정 없이 직접 식립이 가능하고 임플랜트의 스크루부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장력이 가해져도 그 장력에 따른 치조골의 영향을 최소로 미치게 한 구조를 개발함으로서, 상기 임플랜트의 스크루의 초기 안정성(식립시 마찰열이 발생하는 드릴링 과정을 생략함으로써)과 중기 안정성(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이 증가된 임플랜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임플랜트를 이용하여 차열을 교정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임플랜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종래의 임플랜트 스크루부가 잇몸에 식립 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 스크루부가 잇몸에 식립 되었을 때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임플랜트 31 : 헤드
32 : 고정부 33 : 공구결합부
34 : 식립부 35 : 스크루
36 : 스크루 날 37 : 스크루 날 끝단
38 : 스크루 날 끝단 면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결합부 및 치골조에 식립되는 식립부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루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스크루의 날 중 상부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의 스크루 날 끝단은 소정의 폭을 갖는 면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스크루 날 끝단은 예리한 각이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폭을 갖는 면이 형성된 스크루 날은, 상기 스크루 전체 길이의 1/2 이하가 되게 하였고, 상기 스크루 날의 끝단에 형성된 면의 폭은, 최 상부에 위치한 스크루 날 면의 폭이 제일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켰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임플랜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 단면도로서, 먼저 임플랜트(30)의 최 상부에 위치한 헤드(31)는 그하부에 탄성부재(t)를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고정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고정부(32)에 탄성부재(t)를 고정했을 때 그 고정된 탄성부재(t)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 헤드(31)의 하부에는 탄성부재(t)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2)가 헤드(31)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킨 이유는, 탄성부재(t)의 직경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함과 동시에 안전한 고정(매듭)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임플랜트(30)를 치조골(10)에 식립할 때에 수공구를 결합하기 위한 공구결합부(33)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공구결합부(33)는 육각너트 형상이며, 직경은 고정부(32)의 직경부 보다 크게 형성시켰다. 그 이유는, 상기 헤드(31)와 마찬가지로 고정부(32)에 탄성부재(t)를 고정했을 때 그 고정된 탄성부재(t)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공구결합부(33)의 하부에는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식립부(34)를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공구결합부(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켰고, 상기 식립부(34)의 하부에는 그 식립부(34)와 연이어서 치조골(10)에 식립되어 고정되며 형상의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된 스크루(35)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켰다.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스크루(35)의 날(36)은 다수개의 층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다수개의 층을 갖도록 형성된 날(36) 중 상부 1개 층 또는 2개 층 이상의 스크루 날 끝단(37)은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의 스크루 날 끝단(37)은 예리한 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루 날 끝단(37)에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을 형성시킨 이유는, 종래의 스크루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35)가 치조골(10)에 식립한 후 탄성부재(t)의 장력이 가해졌을 때 스크루 날 끝단(37)의 면(38)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조골(10)과 면 접촉되면서 그 치조골(10)을 절개하지 않고 약간의 미는 압력만 가하게 하여 치조골(10)에 상처를 유발시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이 형성된 스크루 날(36) 층은, 상기 스크루(35) 전체 길이의 1/2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1개층 내지 2개층 만 형성시켜 사용해도 되고 스크루(35) 전체 길이의 1/2 이상을 형성시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스크루 날(36)의 끝단에 형성된 면(38)의 폭은, 최 상부에 위치한 스크루 날 면(38)의 폭이 제일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스크루(35)가 치골조(10)에 식립될 때에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식립 완료 후 안전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치열교정 시술을 함에 있어서, 식립시 치조골을 실활(失活)시킬 수 있는 마찰열이 발생하는 드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임플랜트의 스크루의 초기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중기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다수의 층을 이루는 스크루의 날 중 상부 일부에 스크루 날 끝단이 소정의 폭을 갖는 면을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서, 식립시 치조골을 실활(失活)시킬 수 있는 마찰열이 발생하는 드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임플랜트의 스크루의 초기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중기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에 헤드(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32),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결합부(33) 및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34)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루(35)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스크루의 날(36) 중 상부 1개층 또는 2개층 이상의 스크루 날 끝단(37)은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스크루 날 끝단은 예리한 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이 형성된 스크루 날(36) 층은 상기 스크루(35) 전체 길이의 1/2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날(36)의 끝단에 형성된 면(38)의 폭은 최 상부에 위치한 스크루 날 면의 폭이 제일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골조에 식립되는 스크루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교정대상치아에 장력을 가하여 그 교정대상치아를 교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t)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KR2020020019455U 2002-06-27 2002-06-27 임플랜트 KR20028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55U KR200289252Y1 (ko) 2002-06-27 2002-06-27 임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55U KR200289252Y1 (ko) 2002-06-27 2002-06-27 임플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393A Division KR100430770B1 (ko) 2002-06-27 2002-06-27 임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252Y1 true KR200289252Y1 (ko) 2002-09-16

Family

ID=7307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455U KR200289252Y1 (ko) 2002-06-27 2002-06-27 임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2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18B1 (ko) 2004-11-29 2006-05-22 장상건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WO2024080497A1 (ko) * 2022-10-12 2024-04-18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골 표면 유착형 치과 스크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18B1 (ko) 2004-11-29 2006-05-22 장상건 치아 교정장치용 미니 스크류
WO2024080497A1 (ko) * 2022-10-12 2024-04-18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골 표면 유착형 치과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8665B2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430770B1 (ko) 임플랜트
JP2654616B2 (ja) 単一歯回復物を固定する装置
KR100981834B1 (ko) 셀프 탭을 갖는 치과용 나사 임플랜트 고정체를 위한 드릴 세트
WO2014088116A1 (ja)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結合力維持具付きスクリュー
JPH07255740A (ja) 整形外科用固定ネジ
KR20100022898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4084318A (en) Stabilized dental implant
KR200289252Y1 (ko) 임플랜트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102378801B1 (ko) 상악 전치부 순측 잇몸 두께 확보가 가능한 치과용 앵글형 어버트먼트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101446188B1 (ko) 픽스츄어
KR20020060742A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장치
KR200365283Y1 (ko) 임플랜트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JP4558038B2 (ja) 位置決め手段を備えた歯科インプラント
US11253342B2 (en) Integral false tooth implanting device having expansion/widening effect at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US9259293B2 (en) Bone carving tool for creating convex ridge for inner border of initial hole for placement of implant hole
US20230019402A1 (en) Anchorage device for dental prostheses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KR102034418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KR10197832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KR20130049847A (ko) 중간부와 하부의 파지구조 매식구성을 갖는 임프란트 픽스쳐
KR200308260Y1 (ko) 상악구치부용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