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283Y1 - 임플랜트 - Google Patents

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283Y1
KR200365283Y1 KR20-2004-0022302U KR20040022302U KR200365283Y1 KR 200365283 Y1 KR200365283 Y1 KR 200365283Y1 KR 20040022302 U KR20040022302 U KR 20040022302U KR 200365283 Y1 KR200365283 Y1 KR 200365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implant
alveolar bone
blad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문
김종우
박영철
이종석
Original Assignee
박영철
이종석
김정문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이종석, 김정문, 김종우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04-0022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열교정시술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헤드(31)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32),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결합부(33),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34)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루(35)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35)는 외경 크기가 식립부(34)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크루(35)에 나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날(36)은 상기 식립부(34)에 인접한 부위의 끝단(37)이 소정 폭을 갖는 면(38)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위의 끝단(37)이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립부(34)의 하단 부위에서 시작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날(36)을 절개하는 형상으로 홈(3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드릴링 과정이 불필요하여 식립 시술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치열 교정시 임플랜트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고 임플랜트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치조골에 형성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임플랜트{Implant}
본 고안은 치열교정시술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드릴링 과정이 불필요하며 식립 시 발생하는 응력 분산에 효과적인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시술에 사용되는 임플랜트는 치조골에 식립된 직후의 안정성과, 식립된 후 치료 과정에서의 안정성을 요구한다.
전자의 경우, 식립시 골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골 조직과의 접촉면을 극대화시켜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마찰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골 조직에 치명적인 드릴링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서 임플랜트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탭핑(tapping) 과정(나사산(thread)을 형성하는 것)과 드릴링 과정(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모두 생략하고 곧바로 식립하면 연조직 피판 수술이 필요 없어 간단하고 시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스크류 나사 끝단은 날카로운 각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후자의 경우, 상기 식립 후 치료 중의 이차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교정 치료에 사용되는 교정력이 골조직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응력을 잘 분산시켜야 하는데 이는 스크루부 특히 교정력이 집중되는 스크루 상부의 나사 모양과 관계가 있다.
임플랜트를 이용한 치열의 교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대상치아(11)에 브래킷(26)을 부착하고 치조골(10)에 임플래트(20)의 스크루부(21)를 식립한 후 탄성부재(t)를 이용하여 그 일측단은 상기 브래킷(26)에타측단은 상기 임플랜트(20)의 고정부(23)에 결합하여 소정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교정대상치아(11)를 교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치조골(10)에 삽입되는 임플랜트(20)의 스크루부(21)는 탄성부재(t)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그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임플랜트(20)가 압력을 받으면서 스크루부의 경사면에 의해 치조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전단력(shear force)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치조골이 흡수되어 임플랜트와 치조골의 계면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등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스크루부(21)의 구조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랜트(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30323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헤드(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순차적으로 고정부(23), 공구결합부(24), 탄성부재(t)를 걸을 수 있는 만큼의 공간을 확보한 하단에 돌부(25),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스크루부(21)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임플랜트(20)에서 스크루부(21)를 살펴보면, 통상의 나사못 형태로서 스크루 날(27)이 스크루부(21)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단이 이르기까지 동일하게 예리한 각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된 탄성부재(t)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치조골(10)에 식립된 스크루부(21)나사의 절단면에 응력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치조골이 흡수되어 임플랜트의 안정성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교정대상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치조골(10)에 임플랜트(20)의 스크루부(21)를 식립하고,(도3a 참조) 탄성부재(t)의 타단을 돌부(25) 상측의 공간에 소정의 장력을 갖도록 걸게되면 상기 임플랜트(20) 즉 스크루부(21)는 탄성부재(t)의 장력에 의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이 발생하는 쪽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부(21)의 경사면에 의해 치조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전단력(shear force)이 발생할 뿐 아니라 예리한 날 끝에 응력이 집중되어 치조골이 흡수되고 이로 인해 치조골 지지가 감소되어 상대적인 응력이 증가하고 치조골 흡수는 가속화되어 결국 임플랜트가 탈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 임플랜트 외에도 종래에는 수많은 종류의 치열 교정용 임플랜트 등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들 모두의 스크루부 역시 스크루 날이 스크루부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단이 이르기까지 동일하게 예리한 각을 형성하거나 식립시 치조골에 치명적인 열을 발생시키는 드릴링 과정이 필요한 나사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식립 과정 혹은 사용시 치조골에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을 주어 안정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드릴링 과정 없이 직접 식립이 가능하고 임플랜트의 스크루부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장력이 가해져도 그 장력에 따른 치조골의 영향을 최소로 미치게 하며 식립 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크루의 초기 안정성(식립시 마찰열이 발생하는 드릴링 과정을 생략함으로써)과 중기 안정성(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이 증가된 임플랜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임플랜트를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2는 종래의 임플랜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종래의 임플랜트 스크루부가 잇몸에 식립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의 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가 잇몸에 식립되었을 때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임플랜트 31 : 헤드
32 : 고정부 33 : 공구결합부
34 : 식립부 35 : 스크루
36 : 스크루 날 37 : 스크루 날 끝단
38 : 스크루 날 끝단 면 39 : 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상부에 헤드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결합부,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루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외경 크기가 식립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크루에 나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날은 상기 식립부에 인접한 부위의 끝단이 소정 폭을 갖는 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위의 끝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립부의 하단 부위에서 시작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날을 절개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를 마련함에 의한다.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상기 면은 상기 스크루의 전체 길이에 대한 1/2 이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은 상기 식립부에 인접된 부위에서 시작하여 2개 층 이하의 스크루 끝단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루 날의 끝단에 형성된 면의 폭은 상기 식립부에 인접한 부위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상기 치골조에 식립되는 스크루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교정대상치아에 장력을 가하여 그 교정대상 치아를 교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상기 홈은 날의 끝단이 소정 폭을 갖는 면이 구비된 부위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상기 식립부는 스크루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식립부와 스크루가 만나는 지점부터 시작하여 스크루 쪽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단면도로서, 임플랜트(30)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부위의 반대쪽 끝단인 최 상부에 헤드(31)가 형성되고, 그 헤드(31)의 하부에 탄성부재(t)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31)의 외경 크기는 상기 고정부(32)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고정부(32)에 탄성부재(t)를 고정시켰을 때 그 탄성부재(t)가 헤드(31)를 통해 외부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2)의 길이는 소정 직경을 갖는 탄성부재(t)가 쉽게 고정되고 안전한 매듭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적정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2)의 하부에는 임플랜트(30)를 치조골(10)에 식립하기 위하여 회전력을 가하는 수공구의 결합부인 공구결합부(33)가 형성되며, 이 공구결합부(33)는 육각너트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공구결합부(33)의 크기, 즉 외표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부(32)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그 이유는 상기 헤드(31)와 마찬가지로 고정부(32)에 탄성부재(t)를 고정했을 때 탄성부재(t)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공구결합부(33)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공구결합부(33)의 하부에는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식립부(34)가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식립부(34)의 외경 크기는 상기 공구결합부(33)의 외경 크기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식립부(34)의 하부에는 그 식립부(34)와 연속되며 외경 크기가 식립부(34)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갖도록 된 스크루(35)가 소정 길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35)는 돌기인 날(36)이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 날(36)의 끝단(37) 형상을 살펴보면, 식립부(34)에 인접된 부위의 것, 예컨대 도5에서 볼 때 식립부(34)에서 시작하여 상부 1개 또는 2개 층 정도의 것은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으로 형성되며, 이보다 하부에 위치된 것은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식립부(34)에 인접한 스크루(35)의 날(36)이 끝단(37)에서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으로 형성시킨 이유를 설명한다.
도6a에 도시된 것처럼 임플랜트(30)의 스크루(35)가 치조골(10)에 식립된 후, 치열 교정을 위하여 브래킷 및 탄성부재가 장착되면, 임플랜트(30)에는 일측 방향, 즉 도6b에 도시된 것처럼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힘이 가해진다.
이때, 스크루(35)의 날(36)의 끝단(37)에 형성된 면(38)이 치조골(10)과 면 접촉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상기 면(38)에 골고루 분포되며, 이는 임플랜트(30)에 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임플랜트(30)에 의한 치조골(10)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그 임플랜트(30)가 치조골(10)에 식립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킨다.
상기에서,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이 형성된 스크루(35)의 날(36)이 형성된 부위는 스크루(35)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립부(34)에 인접된 부위에서 시작하여 1개 내지 2개 층에만 형성되거나, 스크루(35)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 이상을 초과하도록 형성시켜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스크루(35)의 날(36)의 끝단(37)에 형성된 면(38)의 폭은, 식립부(34)에 인접한 최상부에 위치한 부위가 가장 넓고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스크루(35)가 치조골(10)에 식립될 때 보다 쉽게 식립되게 함과 동시에 식립이 완료된 후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임플랜트(30)는 스크루(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된 홈(39)을 가지며, 이 홈(39)은 식립부(34)의 하단 부위에서 시작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날(36)을 절개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홈(39)은 날(36)의 하단까지 형성되거나 그보다 약간 더 깊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홈(39)의 폭 및 형상은 스크루(35)를 치조골(10)에 식립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폭 및 형상을 가지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39)은 면(38)이 형성된 날(36)에 갖춰진 것이 좋다. 즉, 상기 홈(39)의 길이는 소정의 폭을 갖는 면(38)과 마찬가지로 스크루(35)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 이하를 유지하거나, 식립부(34)에 인접된 부위에서 시작하여1개 내지 3개 정도의 층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스크루(35)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 이상을 초과하도록 형성시켜도 무관하다.
특히, 임플랜트가 치조골에 식립되면 상기 식립부(34)와 스크루(35)의 경계 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경계부위에서 시작하여 스크루(35) 쪽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홈(39)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립부(34)와 스크루(35)의 경계 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생되는 이유는, 식립부(34)와 스크루(35)를 그 외형 측면에서 볼 때, 식립부(34)는 원통 형상이거나 상부로 갈수록 그 외경 크기가 미세하게 작아지는 원추 형상인 반면, 스크루(35)는 하부로 갈수록 그 외경 크기가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외형에 의해 식립부(34)와 스크루(35)의 경계 부위가 가장 큰 외경 크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홈(39)은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스크루(35)에 의해 치조골(10)에 과도한 응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바, 이는 스크루(35)의 날(36)을 절개하여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스크루(35)의 부피를 축소시키며, 이에 의하여 스크루(35)가 식립되면서 치조골(10)이 넓어지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어 치조골(10)에 형성되는 응력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치열교정 시술을 함에 있어서, 식립시 치조골을 실활(失活)시킬 수 있는 마찰열이 발생하는 드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임플랜트의 스크루의 초기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중기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날에 그 스크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에 걸쳐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식립 시 치조골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임플랜트는 다수의 층을 이루는 스크루의 날 중 상부에 위치된 것에 스크루 날 끝단이 소정의 폭을 갖는 면을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드릴링 과정이 불필요하여 식립 시술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치열 교정시 임플랜트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초기 및 중기 안정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스크루의 날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임플랜트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치조골에 형성되는 응력을 감소시켜 식립 시 주위 조직에 가해지는 외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상부에 헤드(31)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32),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결합부(33),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34)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루(35)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35)는 외경 크기가 식립부(34)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크루(35)에 나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날(36)은 상기 식립부(34)에 인접한 부위의 끝단(37)이 소정 폭을 갖는 면(38)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위의 끝단(37)이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립부(34)의 하단 부위에서 시작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날(36)을 절개하는 형상으로 홈(3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38)은 상기 스크루(35)의 전체 길이에 대한 1/2 이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38)은 상기 식립부(34)에 인접된 부위에서 시작하여 2개 층 이하의 스크루 끝단(37)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날(36)의 끝단에 형성된 면(38)의 폭은 상기 식립부(34)에 인접한 부위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골조에 식립되는 스크루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교정대상치아에 장력을 가하여 그 교정대상 치아를 교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t)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39)은 날(36)의 끝단(37)이 소정 폭을 갖는 면(38)이 구비된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부(34)는 스크루(35)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39)은 상기 식립부(34)와 스크루(35)가 만나는 지점부터 시작하여 스크루(35) 쪽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KR20-2004-0022302U 2004-08-04 2004-08-04 임플랜트 KR200365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02U KR200365283Y1 (ko) 2004-08-04 2004-08-04 임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02U KR200365283Y1 (ko) 2004-08-04 2004-08-04 임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283Y1 true KR200365283Y1 (ko) 2004-10-20

Family

ID=4943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302U KR200365283Y1 (ko) 2004-08-04 2004-08-04 임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2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85B1 (ko) 2007-11-05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85B1 (ko) 2007-11-05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7027B2 (en) Implantable fixture
US20060115345A1 (en) Orthodpedic or dental device
US9855119B2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0430770B1 (ko) 임플랜트
US4084318A (en) Stabilized dental implant
ES2879865T3 (es) Implante dental roscado
JP5512626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200365283Y1 (ko) 임플랜트
KR20160033143A (ko) 관상 홈 구조를 갖는 치아 임플란트
US10357341B2 (en) Bony bracket screw
KR200289252Y1 (ko) 임플랜트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US9259293B2 (en) Bone carving tool for creating convex ridge for inner border of initial hole for placement of implant hole
CN110876639A (zh) 用于髁状突固定螺钉系统
JP4558038B2 (ja) 位置決め手段を備えた歯科インプラント
KR20130126334A (ko) 픽스츄어
US11253342B2 (en) Integral false tooth implanting device having expansion/widening effect at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KR20190041051A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CN103974669A (zh) 用于螺钉的自保持结构
KR20130049847A (ko) 중간부와 하부의 파지구조 매식구성을 갖는 임프란트 픽스쳐
EP2974688B1 (en) Single-piece dental implant for direct connection with the prosthesis
KR102577627B1 (ko) 3d 프린팅 임플란트 시스템
KR200308260Y1 (ko) 상악구치부용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US11864805B1 (en) Orthopedic fasten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