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360B1 -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360B1
KR100581360B1 KR1020030027250A KR20030027250A KR100581360B1 KR 100581360 B1 KR100581360 B1 KR 100581360B1 KR 1020030027250 A KR1020030027250 A KR 1020030027250A KR 20030027250 A KR20030027250 A KR 20030027250A KR 100581360 B1 KR100581360 B1 KR 10058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ral valve
elastic means
binder
binder member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842A (ko
Inventor
안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3002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3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모판의 확장된 부위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승모판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자체 탄성을 보유하며 심장의 심방과 심실 사이의 승모판에 대응하여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에 위치되는 바인더부재와, 이 바인더부재에 제공되어 승모판의 기능을 보강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바인더부재는 단일의 와이어들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나선형태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륜성형술, 승모판, 바인더부재, 탄성수단, 단일의 와이어, 코일스프링, 승모판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는 신축기능부여, 혈액의 역류방지, 부분적으로 신축기능이 보유된 바인더부재,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재고정,

Description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Interactive Annuloplasty 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를 인체의 승모판에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모판의 확장된 부위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승모판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심실(心室)과 심방(心房)사이에는 판막들이 형성되어 심 장의 운동에 의해 심방에서 심실 측으로 혈액이 이동될 때에 열렸다가 심장이 수축되면 이동된 혈액이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특히, 좌심실과 좌심방 사이에는 타원형 모양을 한 이첨판(二尖瓣) 형태의 승모판(僧帽瓣, Mitral Valve)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동맥혈이 심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한 승모판은 선천적인 장애로 인하여 일부 기능이 상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후천적인 요인 예를들면, 상기와 같이 동맥혈의 역류를 방지할 때에 승모판에 과다한 압력이 가해져서 이로 인하여 일부가 확장되거나 급성관절 류머티즘 환자의 약 과반수 이상이 상기와 같은 승모판의 일부 기능이 상실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후천적 또는 선천적으로 승모판의 일부 기능이 상실되면 호흡시에 심장이 확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심방과 심실간을 이동하는 혈액이 상기한 승모판의 기능상실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혈액이 역류하게 되므로 인체에 치명적인 부작용이나 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상기한 승모판에서 기능이 주로 상실되는 부분은 수축 및 팽창되면서 밸브기능을 행하는 포스티어리어 리프렛(posterior leaflet) 2/3 지점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으며, 종종 엔티어리어 리프렛(anterior leaflet)지점에서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일부 기능이 상실된 승모판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승모판 치환술(置換術) 즉, 판막을 새로운 인공판막 예를들면, 소나 돼지의 조직을 이용한 조직판막(Tissue Valve)이나 금속으로 된 금속판막(Mechanical Valve)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치환치료는 시술 후 지속적으로 항응고제를 복 용해야 하기 때문에 도리어 인체에 더욱 심각한 부작용과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상기한 치환술의 대체 시술방법으로 승모판에서 과다하게 확장된 부분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고정시켜서 그 기능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판륜성형리페어술(Annuloplasty Repair)에 의해 주로 시술되고 있다.
상기한 판륜성형술은 상기한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감싸면서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링모양의 고정구(Annuloplasty Ring)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고정구는 주로 단일의 단단한 금속재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승모판의 테두리 일부 또는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의료용 실(suture) 등으로 꿰메져서 승모판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자세로 고정됨으로서 일부가 확장된 승모판을 원래의 위치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조직이 단단한 단일의 재질로만 이루어지므로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는 있지만 시술 후 승모판이 팽창되거나 수축될 때에 이에 대응하는 신축성이 부여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단단한 재질의 고정구를 승모판에 실 등으로 고정시키면 승모판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실들이 쉽게 파손되므로 만족할 만한 시술신뢰도를 얻기가 어렵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승모판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확장된 부위를 고정시키는 단순한 기능에 한정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부가적인 기능구현 예를들면, 승모판에 고정될 때에 일정한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여 승모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면서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에는 그 구조상 한계가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모판에 고정될 때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면서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체 탄성을 보유하며 심장의 심방과 심실 사이의 승모판에 대응하여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에 위치되는 바인더부재와, 이 바인더부재에 제공되어 승모판의 기능을 보강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바인더부재는 단일의 와이어들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나선형태로 감겨지는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심 장의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하여 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허용하는 승모판(V)의 기능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바인더부재(2)와, 이 바인더부재(2)에 제공되어 승모판(V)의 확장된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확장된 부위에 요구되는 신축기능을 한정되게 부여하는 탄성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인더부재(2)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단일의 와이어(W1)가 나선모양으로 감겨져서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며, 인체의 승모판(V)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부에 위치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에서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겨지고 외형이 승모판(V)의 형태에 대응하여 테두리부 크기를 한정할 수 있는 예를들면, 하트모양으로 제작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나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바인더부재(2)의 재질은 승모판(V)에 고정된 후 인체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확장 및 수축작용시에도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직경(D1)은 승모판(V)의 테두리에 위치될 때에 외측으로 과다하게 돌출되지 않는 범위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체 보유하는 탄성력은 승모판(V)에 고정된 후 승모판(V) 본연의 형태를 유지시킴은 물론 이거니와 확장 또는 수축될 때에 과다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와이어(W1)는 단면이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변형된 원형모양이 나 다각형모양 중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단면을 가지는 와이어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W1)의 단면 직경은 상기와 같은 바인더부재(2)에 요구되는 탄성력이 보유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와이어(W1)의 단면 직경이 너무 크면 만족할 만한 탄성력을 얻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체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인체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직경이 너무 작아도 만족할 만한 형태 유지성을 얻기가 어렵다.
상기한 구조의 바인더부재(2)를 성형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진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성형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모판(V)의 기본적인 모양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바인더부재(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항상 승모판(V)이 본연의 형태로 유지될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한 바인더부재(2)에는 이 바인더부재(2)의 소정의 영역에서 더욱 향상된 신축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4)이 형성되는데, 이 탄성수단(4)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탄성수단(4)은, 단일의 와이어(W2)가 일정한 자세로 감겨지면서 상기한 바인더부재(2) 보다 큰 신축성이 부여되게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한 와이어(W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가 승모판(V)의 테두리를 한정하는 링모양으로 제작될 때에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영역 "A"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B"에 위치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탄성수단(4)의 와이어(W2)는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와이어(W1)와 연결될 때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물론 이때에도 상기한 바인더부재(2) 본연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수단(4)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 보다 큰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와어어(W1) 재질보다 탄성 및 신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와인딩될 때에 피치(P)나 리드각(F) 등을 적절하게 셋팅하여 상기한 바인더부재(2)보다 더 큰 신축성이 부여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와인딩될 때에 피치(P)나 리드각(F) 등을 조절하여 상기한 탄성수단(4)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 보다 큰 신축성이 발휘되도록 한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신축성이 보유될 수 있는 형태 즉, 바인더부재(2)의 직경(D1) 보다 탄성수단(4)의 직경(D2)을 작게 형성하고 와이어(W2)의 자체 탄성도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와이어(W1)보다 큰 신축성이 발휘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탄성수단(4)의 신축성 부여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인더부재(2)와 탄성수단(4)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될 때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한 탄성수단(4)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외주면 일측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승모판(V)에 위치될 때에 상기한 바인더부재(2)와 단차를 갖지 않고 동일하게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한 탄성수단(4)의 와이어(W2)들이 나선모양으로 감겨질 때에 이들의 피치(P)는 승모판(V)의 확장된 부위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신축성이 보유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한 와이어(W2)의 리드각(F)은 상기한 탄성수단(4)의 길이부에 대응하는 임의의 수직기준선(L)에서 70°이하 각도 범위내에서 일방향 또는 다양한 형태로 감겨질 수 있다. 만일, 상기한 탄성수단(4)의 와이어(W2)가 상기한 각도범위 이상으로 형성되면 승모판(V)에 고정될 때에 수평방향으로 과다하게 뉘어지게 되므로 도리어 신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탄성수단(4)은 상기한 바인더부재(2)와 연결되어 승모판(V)에 고정된 후 확장된 부위 요구되는 신축성을 제한된 영역(B)에서만 부여하는 신축기능을 갖게 되므로 승모판(V)에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시술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모판(V)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탄성수단(4)의 와이어(W2)가 원형모양으로 감겨진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변형된 원형모양이나 다각형모양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와인딩구조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도 5에서와 같이 인체의 승모판(V)에 고정될 때에 수술실(S, seture)과 바늘(N) 등으로 꿰메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탄성수단(4)의 영역"B"는 승모판(V)의 확장된 부위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한 승모판(V) 테두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꿰메져서 고정될 수 있다.(도 6참조)
상기한 탄성수단(4)의 영역"B"은 상기한 범위 이외에도 승모판(V)의 확장부의 위치나 크기 그리고, 요구되는 신축성 등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술용 실(S)로 꿰메서 바인더부재(2)를 고정할 때에는 승모판(V)에 견고하게 됨과 아울러 승모판(V)의 팽창이나 수축시에 원활하게 신축작용될 수 있게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시술과정으로 승모판(V)에 고정된 바인더부재(2)는 도 6에서와 같이 승모판(V)의 테두리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확장된 부위를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탄성수단(4)에 의해 승모판(V)의 확장된 부위에 최적의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서 승모판(V)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인체의 승모판(V)에 대응하여 테두리부 전체를 감싸는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서와 같이 일부 영역이 개구되어 승모판(V)의 테두리 일부만을 감쌀 수 있는 예를들면, 고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탄성수단(4)은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B1"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 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인더부재(2) 및 탄성수단(4)이 승모판(V)의 일부만을 감쌀 수 있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면 승모판(V)의 팽창 또는 수축 운동시에 가해지는 압력 및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승모판(V)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바인더부재(2)에서 영역(B1)에만 탄성수단(4)이 제한적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영역(A1)에도 탄성수단(4)의 영역"B1"이 일정한 크기로 점유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1곳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되어 최적의 신축기능이 부여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자체 탄성을 보유하며 승모판 전체 또는 일부에 위치되어 확장된 부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고정함과 아울러 탄성수단이 승모판의 확장된 부위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최적의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서 승모판 본연의 형태는 물론이거니와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자체 탄성을 보유하며 심장의 심방과 심실 사이의 승모판에 대응하여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에 위치되는 바인더와, 이 바인더에 제공되어 승모판의 기능을 보강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바인더 및 탄성수단은, 단일의 와이어들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나선형태로 감겨지는 코일스프링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코일스프링은 각기 다른 크기의 직경으로 감겨져서 상기 탄성수단의 코일스프링이 상기 바인더의 코일스프링보다 큰 신축성을 가지며 1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는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각 코일스프링들은, 단일의 와이어들이 상기한 바인더와 탄성수단의 연결 방향과 직교하는 임의의 수직기준선에서 0°내지 70°범위내의 각도를 가지며 1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감겨져서 형성되는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바인더 및 탄성수단은, 원형 또는 반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와이어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는 단일의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신축성을 보유한 2개 이상의 재질들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KR1020030027250A 2003-04-29 2003-04-29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KR10058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50A KR100581360B1 (ko) 2003-04-29 2003-04-29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50A KR100581360B1 (ko) 2003-04-29 2003-04-29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42A KR20040092842A (ko) 2004-11-04
KR100581360B1 true KR100581360B1 (ko) 2006-05-23

Family

ID=3737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50A KR100581360B1 (ko) 2003-04-29 2003-04-29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5337B (zh) * 2013-12-31 2016-08-17 金仕生物科技(常熟)有限公司 人工心脏瓣膜成形环
BR112020000732A2 (pt) * 2017-07-18 2020-07-14 Kephalios S.A.S. dispositivos de anuloplastia percutânea ajustáve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42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1158B2 (ja) 覆われた人工心臓弁
US5843178A (en) Suture guard for annuloplasty ring
EP1418865B1 (en) Self-moulding annuloplasty ring
CN103249376B (zh) 减少裂开的瓣膜成形环
US3099016A (en) Heart valve
JP5734178B2 (ja) 心臓弁を修復するための弁形成リングおよび方法
US20070066863A1 (en) Device for treating mitral valve regurgitation
CN107613908A (zh) 用于心脏瓣膜疗法的系统和方法
KR100581361B1 (ko) 판륜성형용 고정구
JP2003505146A (ja) 弾性的に変形可能な維持部材を有する心臓弁プロテーゼ
JPH04503318A (ja) 選択的に可撓性の弁輪形成リング
US10806580B2 (en) Self-adjusting attachment structure for a cardiac support device
JPS63109856A (ja) 心臓弁の可撓性サポ−ト
JP2004513666A (ja) 心臓弁プロテーゼ用マルチフィラメント弁ステント
JP2022518919A (ja) 補綴弁
JP2023550668A (ja) 房室弁の接合を改善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
CN106264792A (zh) 一种人工二尖瓣成形环
US20070208215A1 (en) Self-adjusting securing structure for a cardiac support device
KR20230066375A (ko) 인공 심장 판막
KR100581360B1 (ko) 상호작용 판륜성형용 고정구
US20070208216A1 (en) Self-adjusting fitting structure for a cardiac support device
KR100581359B1 (ko)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CN212281775U (zh) 一种二尖瓣环缩装置
US20230414355A1 (en) Adjustable three-dimensional annuloplasty ring
EP3851054A1 (en) Occlud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