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359B1 -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359B1
KR100581359B1 KR1020030027249A KR20030027249A KR100581359B1 KR 100581359 B1 KR100581359 B1 KR 100581359B1 KR 1020030027249 A KR1020030027249 A KR 1020030027249A KR 20030027249 A KR20030027249 A KR 20030027249A KR 100581359 B1 KR100581359 B1 KR 10058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ral valve
binder member
elasticity
flexible plate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841A (ko
Inventor
안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3002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3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45Annuloplasty ring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alve annulus
    • A61F2/2448D-shap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09Support rings therefor, e.g. for connecting valves to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45Annuloplasty ring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alve ann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5Three-dimensional shapes toroidal, e.g. ring-shaped, doughnut-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일부분이 과다하게 확장되어 기능이 상실된 인체의 승모판을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고정함은 물론이거니와 요구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여 인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심장의 심방과 심실사이에 위치하는 승모판에 대응하여 일부 또는 전체 테두리를 감쌀 수 있는 바인더부재와, 이 바인더부재의 전체영역 또는 일부영역에 신축성이 부여되게 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탄성수단은, 다수개의 절개홈들이 일방향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형성되어 상기한 바인더부재의 단면영역보다 작은 단면영역을 가지는 이음부들로 연결되어 승모판의 팽창 또는 수축시에 이에 대응하는 신축성이 부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륜성형술, 승모판, 바인더부재, 탄성수단, 다수개의 절개홈, 다수개의 이음부, 승모판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는 신축성부여, 서로 다른 신축성을 보유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재질들이 일정한 영역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바인더부재, 혈액의 역류방지, 부분적으로 신축성이 보유된 바인더부재,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재고정,

Description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Flexible Annuloplasty 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탄성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도 6b, 도 6c는 도 3의 다른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를 인체의 승모판에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천 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일부분이 과다하게 확장되어 기능이 상실된 인체의 승모판을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고정함은 물론이거니와 요구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여 인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심실(心室)과 심방(心房)사이에는 판막들이 형성되어 심장의 운동에 의해 심방에서 심실 측으로 혈액이 이동될 때에 열렸다가 심장이 수축되면 이동된 혈액이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특히, 좌심실과 좌심방 사이에는 타원형 모양을 한 2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이첨판 형태의 승모판(僧帽瓣, Mitral Valve)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동맥혈이 심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한 승모판은 선천적인 장애로 인하여 일부 기능이 상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후천적인 요인 예를들면, 상기와 같이 동맥혈의 역류를 방지할 때에 승모판에 과다한 압력이 가해져서 이로 인하여 일부가 확장되거나 급성관절 류머티즘 환자의 약 과반수 이상이 상기와 같은 승모판의 일부 기능이 상실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후천적 또는 선천적으로 승모판의 일부 기능이 상실되면 호흡시에 심장이 확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심방과 심실간을 이동하는 혈액이 상기한 승모판의 기능상실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혈액이 역류하게 되므로 인체에 치명적인 부작용이나 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상기한 승모판에서 기능이 주로 상실되는 부분은 수축 및 팽창되면서 밸브기능을 행하는 포스티어리어 리프렛(posterior leaflet) 2/3 지점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으며, 종종 엔티 어리어 리프렛(anterior leaflet)지점에서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일부 기능이 상실된 승모판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승모판 치환술(置換術) 즉, 판막을 새로운 인공판막 예를들면, 소나 돼지의 조직을 이용한 조직판막(Tissue Valve)이나 금속으로 된 금속판막(Mechanical Valve)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치환치료는 시술 후 지속적으로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도리어 인체에 더욱 심각한 부작용과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상기한 치환술의 대체 시술방법으로 승모판에서 과다하게 확장된 부분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고정시켜서 그 기능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판륜성형리페어술(Annuloplasty Repair)에 의해 주로 시술되고 있다.
상기한 판륜성형술은 상기한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감싸면서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링모양의 고정구(Annuloplasty Ring)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고정구는 주로 단일의 단단한 금속재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승모판의 테두리 일부 또는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의료용 실(suture) 등으로 꿰메져서 승모판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자세로 고정됨으로서 일부가 확장된 승모판을 원래의 위치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조직이 단단한 단일의 재질로만 이루어지므로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는 있지만 시술 후 승모판이 팽창되거나 수축될 때에 이에 대응하는 신축성이 부여되지 못하여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도리어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인체에 심각한 의료적 부작용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단단한 재질을 승모판에 실 등으로 고정시키면 승모판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실들이 쉽게 파손되므로 만족할 만한 시술신뢰도를 얻기가 어렵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그 형태가 승모판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만 이루어지고 단순하게 승모판의 확장된 부분을 고정시키는 기능에 한정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부가적인 기능구현 예를들면, 승모판에 고정될 때에 일정한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여 승모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면서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에는 그 구조상 한계가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다한 확장이나 팽창에 의해 일부 기능이 상실된 인체의 승모판을 본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고정시킴은 물론이거니와 전체 또는 요구되는 부분에만 제한적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여 인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승모판 본연의 기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체의 승모판에 대응하여 일부 또는 전체 테두리를 감쌀 수 있는 바인더부재와, 이 바인더부재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영역에 신축성이 부여되게 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탄성수단은, 다수개의 절개홈들이 일방향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형성되어 상기한 바인더부재의 단면영역보다 작은 단면영역을 가지는 이음부들로 연결되어 승모판의 팽창 또는 수축시에 이에 대응하는 신축성이 부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심장의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승모판(V)에 대응하여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를 감쌀 수 있는 바인더부재(2)와, 이 바인더부재(2)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기 위한 탄성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인더부재(2)는, 인체의 승모판(V) 전체 또는 일부 테두리부에 위치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에서는 승모판(V)의 형태에 대응하여 테두리부 크기를 한정할 수 있는 예를들면, 하트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재질은 연질의 합성고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타원형상을 가지는 단일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인더부재(2)의 재질은 승모판(V)에 고정된 후 인체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체에 무해한 코팅 막으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바인더부재(2)는 내부가 일정한 모양으로 뚫려진 중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면 승모판(2)의 팽창 및 수축운동시에 더욱 향상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인더부재(2)는 이미 잘 알려진 성형방법에 의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모판(V)의 기본적인 모양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바인더부재(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항상 승모판(V)이 본연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제작되어야한다.
상기에서는 바인더부재(2)가 단일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또는 그 이상의 재질들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원주방향으로 승모판(V)의 확장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과 비대응하는 영역 "B"와 "A"로 분리시켜서 요구되는 시술조건에 따라 상기한 영역들에 서로 다른 신축성을 보유한 단일의 재질들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영역"B"가 승모판(V)의 확장된 부위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에 상기한 영역"B"는 신축성이 부여된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한 영역"A"는 상기한 영역"B"의 재질보다 신축성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더부재(2)의 구조는 승모판(V)에 고정된 후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확장된 부위만을 신축성 있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2개의 재질들이 영역"A"부분과 영역"B"부분으로 나뉘어져서 일체 로 성형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승모판(V)의 확장부위의 크기 및 시술조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자체 신축성을 보유한 3개 또는 그 이상의 재질들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인더부재(2)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재질들이 서로 일정한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일체로 제작되는 성형방법은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인더부재(2)에는 이 바인더부재(2)에 더욱 향상된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수단(4)이 형성되는데, 이 탄성수단(4)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탄성수단(4)은, 다수개의 절개홈(8)들이 일방향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형성되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단면영역보다 작은 단면영역을 가지는 이음부(6)들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절개홈(8)들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륜측과 외륜측에서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면서 예를들면,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원주방향 내륜측 및 외륜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각각 외측 및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홈(8)들이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도 3에서와 같은 이음부(6)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한 바인더부재(2)에 신축성이 부여되게 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한 절개홈(8)들은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내측 중심부 임의의 포인트(P)에서 방사되는 자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인더부재(2)에 형성되는 절개홈(8)들은 상기한 바인더부재(2)가 승모판(V)의 팽창이나 수축시에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최적의 신축성이 보유될 수 있는 이격거리(D)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상기한 이격거리(D)가 너무 짧으면 상기한 바인더부재(2)가 반복되면서 확장 또는 수축될 때에 이음부(6)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한 이격거리(D)가 너무 멀게 형성되면 만족할 만한 신축성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상기한 절개홈(8)들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에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신축성이 부여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에서와 같이 바인더부재(2)가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때에 상기한 영역"A"에는 절개홈(8)들의 이격거리(D)를 멀게 형성하고, 영역"B"에서는 상기한 영역"A"의 이격거리보다 가깝게 형성함으로서 2개의 영역에 서로 다른 신축성이 보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부재(2)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신축성을 부여되게 하는 것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재질 구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은 절개홈(8)들에 의해 해당하는 영역에 요구되는 신축성을 제한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절개홈(8)들이 바인더부재(2)의 내측 중심부의 임의의 포인트(P)에서 방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길이부에 대응하여 직교하는 임의의 수직기준선(L)들로부터 각각 소정의 절개각도(F)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절개각도(F)의 방향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상기한 바인더부재(2)에 서 1방향으로만 형성되거나 2방향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절개홈(8)들의 절개각도(F)는 70°이하의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하며, 상기한 각도범위 이상으로 형성되면 승모판(V)에 고정될 때에 수평방향으로 과다하게 뉘어지게 되므로 도리어 신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바인더부재(2)가 도 3에서와 같이 타원모양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6a,도 6b, 도 6c에서와 같이 원형이나 반원형상, 다각형상과 같은 다양한 단면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바인더부재(2)의 단면구조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한 탄성수단(4)에는 다수개의 절개홈(8)들에 의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단면영역보다 작은 영역의 이음부(6)가 형성되어야한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도 7에서와 같이 인체의 승모판(V)에 고정될 때에 수술실(S, seture)과 수술바늘(N) 등으로 꿰메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수술실(S)은 상기한 승모판(V)과 바인더부재(2)를 관통하면서 시술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꿰메져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승모판(V)의 확장부위 위치나 크기 그리고, 요구되는 신축성 등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고정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술과정으로 승모판(V)에 고정된 바인더부재(2)는 도 8에서와 같이 승모판(V)의 테두리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확장된 부위를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테두리 범위내에서 탄성수단(4)에 의해 승모판(V)의 팽창이나 수축시에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승모판(V)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바인더부재(2)가 인체의 승모판(V)에 대응하여 테두리부 전체를 감싸는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서와 같이 일부 영역이 개구되어 승모판(V)의 테두리 일부만을 감쌀 수 있는 예를들면, 고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인더부재(2)의 양측단의 영역"A1"은 승모판(V)에서 확장된 부위에 접촉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영역"B1" 보다 작은 신축성이 부여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영역"B1"은 승모판(V)에서 확장된 부위에 대응하는 범위내로 이루어지고 절개홈(8)들에 의해 최적의 신축성이 부여되게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인더부재(2)가 승모판(V)의 일부만을 감쌀 수 있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면 승모판(V)의 팽창 또는 수축 운동시에 바인더부재(2)에 가해지는 압력 및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시술 후 인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더욱 원활하게 기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바인더부재(2)의 영역(B1)에서만 절개홈(8)들에 의해 탄성수단(4)이 제한적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부재(2)가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영역(A1)에도 탄성수단(4)이 형성되어 상기한 영역"B1"의 신축성보다 크지 않은 범위내로 신축성이 부여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신축성이 제한적인 영역에만 한정되게 성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는, 인체의 승모판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승모판의 확장된 부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고정시킴은 물론이거니와 탄성수단에 의해 바인더부재의 제한된 영역에만 승모판의 팽창 또는 수축시에 이에 대응하여 최적의 신축성이 부여되게 하여 시술 후 인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승모판 본연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인체의 승모판에 대응하여 일부 또는 전체 테두리에 위치가능한 바인더부재와, 이 바인더부재의 전체영역 또는 일부영역에 신축성이 부여되게 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탄성수단은, 다수개의 절개홈들이 일방향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형성되어 상기한 바인더부재의 단면영역보다 작은 단면영역을 가지는 이음부들로 연결된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수단은 상기한 바인더부재에서 소정의 영역을 가지며 1곳 또는 그 이상이 이격형성되는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절개홈들은 상기한 바인더부재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직교하는 임의의 수직기준선에서 0°내지 70°범위내의 각도를 가지며 1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절개홈들은 상기한 바인더부재의 중심부 임의의 포인트에서 원주방향으로 방사되는 자세로 형성되는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바인더부재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 다각형 모 양의 단면을 가지며, 단일의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신축성을 보유한 2개 이상의 재질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영역을 가지면서 연결되는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KR1020030027249A 2003-04-29 2003-04-29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KR10058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49A KR100581359B1 (ko) 2003-04-29 2003-04-29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49A KR100581359B1 (ko) 2003-04-29 2003-04-29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41A KR20040092841A (ko) 2004-11-04
KR100581359B1 true KR100581359B1 (ko) 2006-05-23

Family

ID=3737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49A KR100581359B1 (ko) 2003-04-29 2003-04-29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3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0504A1 (en) * 1996-02-14 2002-01-24 Eckhard Alt Tubular stent with oval struts
KR20020087135A (ko) * 2000-04-13 2002-11-21 파올로 페라찌 심근병증 치료용 심실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0504A1 (en) * 1996-02-14 2002-01-24 Eckhard Alt Tubular stent with oval struts
KR20020087135A (ko) * 2000-04-13 2002-11-21 파올로 페라찌 심근병증 치료용 심실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41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7902A1 (en) Prosthetic Heart Valve Having an Improved Tubular Seal
US11738181B2 (en) Cage for medical balloon
KR102576554B1 (ko) 기계적으로 팽창 가능한 심장 판막
US9788942B2 (en) Prosthetic heart valve having tubular seal
US4787901A (en) Two-way acting valve and cardiac valve prosthesis
US7641687B2 (en) Attachment of a sewing cuff to a heart valve
US4759758A (en) Prosthetic heart valve
CA1186453A (en) Method of leaflet attachment for prosthetic heart valves
KR100581361B1 (ko) 판륜성형용 고정구
US4561129A (en) Low-profile biological bicuspid valve
WO2016126524A1 (en) Prosthetic heart valve having tubular seal
US20120053676A1 (en) Implantable Prosthetic Vascular Valves
US20100324668A1 (en) Mitral Spacer
KR20090085083A (ko) 이식 가능한 교정 디바이스
WO2015135763A1 (en) Cardiac stent-valve and delivery device for such a valve
JPH06507091A (ja) 人工心臓弁膜用サポート
IL152239A (en) Intra-chamber device for the treatment and repair of cardiomyopathy
US20180043141A1 (en) Balloon catheter
WO2015153066A1 (en) Directional tissue expander
WO2019128583A1 (zh) 心脏瓣膜假体及其支架
JP2009544415A (ja) 組織適合な心臓弁縫製リング
JP7443632B2 (ja) 心臓弁修復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319979A1 (en) Stent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6425902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heart valve reconstruction
KR100581359B1 (ko) 유연한 판륜성형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