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675B1 -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675B1
KR100580675B1 KR1020030048459A KR20030048459A KR100580675B1 KR 100580675 B1 KR100580675 B1 KR 100580675B1 KR 1020030048459 A KR1020030048459 A KR 1020030048459A KR 20030048459 A KR20030048459 A KR 20030048459A KR 100580675 B1 KR100580675 B1 KR 10058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target
moving
detection signal
target
lim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387A (ko
Inventor
최은기
안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3004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6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2Land-based targets, e.g. inflatable targets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41J1/10Target stands; Target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외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이동표적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사격시 발생하는 리미트감지신호를 받아들이는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과, 시스템 초기화시 자체 동작테스트를 해주는 자체점검수단과, 들어온 신호에 의해 이동표적을 제어해주는 제어수단과, 모터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표적을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며,
이동표적이 외부의 신호에 의해서 원격으로 제어되고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에서 받아들이는 자극에 의해서 이동표적이 구동됨으로써 사격시험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사격시 안정성의 확보해 주고 타임오프 장치가 있어 이동표적의 이중 제동 장치의 역할을 해줘 모터의 과도한 회전을 막아 모터의 수명을 연장해 주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마이크로 콘트롤러, 모터, 타임오프장치

Description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Using Micro controller for Controlling Moving Targe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신호 수신부 13 : 신호수신기
15 : 변환증폭부 20 : 리미트감지신호 수신부
24 : 제1리밋 스위치 25 : 제2리밋 스위치
27, 29, 35 : 증폭부
30 : 자체점검부 40 : 제어부
50 : 구동부 53 : 정회전부
55 : 역회전부 57 : 제동부
본 발명은 이동표적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콘트롤러가 사격시 외부의 자극에 따라 반응하여 이동표적을 동작하게 하는 이동표적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시 표적은 고정식과 이동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 이동식의 경우는 사격가능 범위내에 왼쪽이나 오른쪽 끝에 표적물을 세워두고 원격으로 이동표적 출발 스위치를 누르면 표적이 한쪽끝에서 반대편끝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표적방식은 사격동안 표적에 적중했는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무조건 한쪽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표적이 끝까지 이동한 다음 직접 표적을 확인해야 결과를 알 수 있고 재사격시 마다 표적을 다시 셋팅(Setting)해 주는 번거로움과 이동표적이 끝까지 이동해야만 모터가 정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모터가 과동작됨으로써 모터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시 발생하는 리미트감지신호를 이동표적이 반응하면서 동작하기때문에 사격의 효율성을 높여주고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외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이동표적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받아들이는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사격시 발생하는 리미트감지신호를 받아들이는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과, 시스템 초기화시 자체 동작테스트를 해주는 자체점검수단과,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들어온 신호에 의해 이동표적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모터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표적을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이동표적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신호를 받아들여 표적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우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자동모드일때는 이동표적이 정지한 상태에서 리미트감지신호를 기다리고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좌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이동표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받아들이는 제어신호 수신부(10)와, 사격시 발생하는 리미트감지신호를 받아들이는 리미트감지신호 수신부(20)와, 외부의 신호없이 자체적으로 이동표적 구동신호를 인가해 자체동작테스트를 해주는 자체점검부(30)와, 제어신호 수신부(10)와 리미트감지신호 수신부(20)로부터 들어온 신호에 의해 이동표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모터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표적을 동작시키는 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제어신호 수신부(10)는 외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수신기(13)와, 저항과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변환 증폭부(15)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신호수신기(13)에서 받아들이고 그 펄스신호를 변환 증폭부(15)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증폭후 그 신호를 제어부(40)로 보낸다.
리미트감지신호 수신부(20)는 제1리밋 스위치(Limit Switch)(24)와 제2리밋 스위치(25)와, 저항과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각각의 증폭부(27, 29)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개의 리밋 스위치(24, 25)에 어느 한쪽에 자극이 주어지면 증폭부(27, 29)에서 신호를 증폭시킨후 제어부(40)로 보내준다.
자체점검부(30)는 자체적으로 모터구동 신호를 보내주는 셀프테스트 스위치(Self Test Switch)(33)와, 저항과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증폭부(35)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33)에서 나온 셀프테스트용 신호를 증폭부(35)에서 증폭하고 제어부(40)로 보내준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 Controller)으로 구성되고 제어신호 수신부(10)와, 리미트감지신호 수신부(20)와, 자체점검부(30)에서 들어온 신호를 처리하여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부(50)는 정회전 모터부(51)와, 역회전 모터부(53)와, 제동 모터부(55)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40)에서 나오는 정회전 신호, 역회전 신호, 제동 신호에 따라 각 모터부가 작동하게 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방법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방법은 크게 이동표적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신호를 받아들여 표적모드을 판단하는 단계(S100)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우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200)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자동모드일때는 이동표적이 정지한 상태에서 리미트감지신호를 기다리고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300)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좌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400)로 되어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편의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제1리밋 스위치(24)는 이동표적의 좌측반응을 감지하는 좌리밋 스위치로, 제2리밋 스위치(25)는 이동표적의 우측반응을 감지를 담당하는 우리밋 스위치로, 정회전 모터부(51)는 이동표적을 좌에서 우로 가게하는 우향모터로, 역회전 모터부(53)는 이동표적을 우에서 좌로 가게하는 좌향모터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표적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신호를 받아들여 표적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00)에서는 이동표적 자동제어 장치에 전원이 인가여부를 판단(S120)하고 전원이 인가된후 외부의 제어신호가 신호수신기(13)에 들어왔는지를 판단(S130)한다. 그리고 외부의 제어신호가 신호수신기(13)에 들어오면 그 신호가 어떤 표적 모드의 신호인지를 제어부(40)에서 판단(S140)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들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크게 세개의 표적모드로 분기된다. 분기된 표적모드는 판단된 표적모드가 우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200)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자동모드일때는 이동표적이 정지한 상태에서 리미트감지신호를 기다리고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300)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좌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400)로 되어 있다.
첫번째, 판단된 표적모드가 우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200)에서는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부(40)는 이동표적을 좌에서 우로 이동시키면서 사격이 진행된다. 진행하는 동안 리밋 스위치(24, 25)에서 사격시 외부 자극이 좌측인지 우측인지 감지(S210)한다. 만일 좌리밋 스위치(23)에서 감지되면 제어부(40)에 의해 우향모터(53)가 작동하여 표적은 좌에서 우로 계속 이동(S220)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중 다음번 사격의 반응이 우리밋 스위치(25)에 감지(S230)되면 제어부(40)는 제동부(57)에 신호를 보내 이동표적을 정지시키지만 감지가 안된다면 다음 단계인 타임오프(Time Off)(S240)로 진행된다. 만일 타임오프(S240)가 되면 이동표적은 정지(S380)하지만 안된다면 우리밋 스위치(25)에서의 감지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0)으로 다시 진행한다.
상기 타임오프 단계(S240)는 후에 나올 두개의 표적모드에도 적용되는 단계(S340, S370, S440)로 이동표적이 한쪽으로 반대편끝까지 이동한 후에도 모터가 한참동안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만일 S230단계에서 우리밋 스위치부(25)에 반응이 없으면 이동표적이 계속 진행하면서 타임오프를 체크하게 된다. 타임오프 동안 이동표적이 사선의 끝까지 진행하지 않는다면 타임오프가 되지않아 다시 S230단계로 진행하지만 만약 이동표적이 끝까지 진행한 후에는 타임오프가 되어 소정의 시간이 지난후 멈추게 된다.
두번째, 판단된 표적모드가 자동모드일때는 이동표적이 정지한 상태에서 리미트감지신호를 기다리고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300)에서는 모드가 결정되면 표적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가 사격이 진행되면서 리밋 스위치(24, 25)에 반응이 감지(S310)되면 움직이기 시작한다. 자동모드(S300)는 처음 리밋 스위치(24, 25)에 자극이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두단계로 분기된다.
먼저 자극이 좌리밋 스위치(24)에 감지(S310)가 되면 우향모터(53)가 작동하고 표적은 좌에서 우로 이동(S320)하면서 우리밋 스위치(25)의 감지 여부를 확인(S330)한다. 그리고 어느 한편에 감지가 되면 제동부(57)가 작동하여 정지(S380)하고 감지가 안되면 다시 우리밋 스위치(25)의 반응 여부를 확인(S330)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자극이 우리밋 스위치(25)에 감지(S310)가 되면 표적은 좌향모터(51)가 작동하고 우에서 좌로 이동(S350)하면서 좌리밋 스위치(24)의 감지 여부를 확인(S360)한다. 그리고 어느 한편에 감지가 되면 정지(S380)하고 감지가 안되면 다시 좌리밋 스위치(24)의 반응 여부를 확인(S360)단계로 진행한다.
세번째, 판단된 표적모드가 좌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S400)에서는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부(40)에 의해 좌향모터(51)이 작동되어 이동표적은 우에서 좌로 움직이고 사격이 진행되면 리밋 스위치(24, 25)에서 사격시 외부 자극이 좌측인지 우측인지 감지(S410)한다. 만일 우측에서 감지되면 표적은 우에서 좌로 계속 이동(S420)하고 이동중 다음번 사격의 반응이 좌리밋 스위치(24)에 감지되면(S430) 정지하지만 감지가 안된다면 다음 단계인 타임오프(Time Off)로 진행된다(S440). 만일 타임오프가 되면(S440) 이동표적은 정지하지만(S380) 안된다면 좌리밋 스위치(24)의 감지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30)로 진행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이동표적이 외부의 신호에 의해서 원격으로 제어되고 리밋 스위치(24, 25)에서 받아들이는 자극에 의해서 이동표적이 구동됨으로써 사격시험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사격시 안정성의 확보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타임오프 장치가 있어 이동표적의 이중 제동 장치의 역할을 해주고 모터의 과도한 회전을 막아 모터의 수명을 연장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외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이동표적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받아들이는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사격시 발생하는 리미트감지신호를 받아들이는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과,
    시스템 초기화시 자체 동작테스트를 해주는 자체점검수단과,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들어온 신호에 의해 이동표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모터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표적을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신호 수신수단은 원격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와 상기 신호수신기와 신호를 변환 증폭해서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신호수신기는 원격으로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리미트감지신호 수신수단은 두개의 리밋 스위치와 각각의 증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자체점검수단은 스위치자체에서 제어신호를 보내는 소자와 증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정회전 모터와, 역회전 모터와, 두개의 제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7. 삭제
  8. 이동표적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신호를 받아들여 표적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우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자동모드일때는 이동표적이 정지한 상태에서 리미트감지신호를 기다리고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판단된 표적모드가 좌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판단된 표적모드가 우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한 판단된 표적모드가 자동모드일때는 이동표적이 정지한 상태에서 리미트감지신호를 기다리고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한 판단된 표적모드가 좌향 이동모드일때 이동표적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리미트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는,
    이동표적을 사선의 끝까지 이동한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후 정지시키는 타임오프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방법.
KR1020030048459A 2003-07-15 2003-07-15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8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59A KR100580675B1 (ko) 2003-07-15 2003-07-15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59A KR100580675B1 (ko) 2003-07-15 2003-07-15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87A KR20050008387A (ko) 2005-01-21
KR100580675B1 true KR100580675B1 (ko) 2006-05-15

Family

ID=3722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459A KR100580675B1 (ko) 2003-07-15 2003-07-15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6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87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537B1 (en) Pet training device
JP2001203930A5 (ko)
EP1588924A3 (en) Vehicle controller
WO2011061785A1 (ja) 障害物検知装置
US7497141B2 (en) Control system of starting motor for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JP2021510870A5 (ko)
KR100580675B1 (ko)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이동표적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3025818A5 (ko)
KR1016185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26615B2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KR102348125B1 (ko) 포브 위치 기반 원격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JP2010286235A (ja) 光電センサ
JP2002028328A5 (ko)
JP2680977B2 (ja) 光電スイッチ
JP2006069474A (ja) 車載用近接スイッチ
KR101195728B1 (ko) 차속에 따른 조향 특성을 고려한 토크 센서, 그를 이용한전자제어장치, 전동식 조향장치 및 모터 제어 방법
JP4555277B2 (ja) デューティソレノイド装置
JP2000206242A (ja) 障害物検知センサ
KR19980040262A (ko) 정체 대기시 차량 출발 경보장치 및 그 방법
JP7282804B2 (ja) 車両の外室および/または内室を空気伝播音音響式に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車両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EP4369034A1 (en) Object detection device
JP4378845B2 (ja) Tv受信システム
JP6286655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997597B2 (ja) 光送受信器
JP200813150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探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