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573B1 -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573B1
KR100580573B1 KR1020040080013A KR20040080013A KR100580573B1 KR 100580573 B1 KR100580573 B1 KR 100580573B1 KR 1020040080013 A KR1020040080013 A KR 1020040080013A KR 20040080013 A KR20040080013 A KR 20040080013A KR 100580573 B1 KR100580573 B1 KR 10058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oline
fuel
lpg
injector
lp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116A (ko
Inventor
민영기
최무석
Original Assignee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5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51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02M21/0254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 or piezo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0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93Safety devices; Fail-safe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4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ensors
    • F02M2200/248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피지(LPG; Liquefied Petroleum Gas)와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솔린 이씨유와 엘피지 인터페이스부 간의 캔 통신을 이용하여 가솔린 인젝터 및 가스 인젝터를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와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에 따라 현재 구동 중인 연료를 전환하기 위하여, 현재 구동중인 연료 장치의 인젝터가 가솔린 연료 장치의 가솔린 인젝터인 경우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구동 중인 연료 장치의 인젝터가 엘피지 연료 장치의 가스 인젝터인 경우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 및 냉각수온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 공급하는 가솔린 이씨유로 구비된다.
자동차, 연료 분사 신호, LPI 시스템, ECU

Description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Fuel of automobile using both LPG and gasol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분사 신호 및 가솔린 분사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입력부 13 : 가솔린 연료 장치
15 : 엘피지 연료 장치 17 : 센서부
19 : 가솔린 이씨유 21 : 엘피지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엘피지(LPG; Liquefied Petroleum Gas)와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 통신을 통해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량 및 냉각 수온에 따라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에서 가솔린 인젝터 및 가스 인젝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 중 엘피지(Liuefied Petroleum Gas) 연료는 옥탄가가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특징과 연료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일부의 승용차와 승합차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차에도 적용시킬 예정에 있다.
상기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되는 엘피지 연료는 액상이며 이를 기화시키게 되면 공기와의 혼합성이 좋아 가연성이 놓기 때문에 가솔린과 경유에 비해 노킹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며 베이퍼록(Vapor-Lock)이나 퍼컬레이션(Percolation)과 같은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가솔린이나 디젤 연료의 대체 연료로서 그 적용 범위가 점차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엘피지 연료 장치는 연료 펌프를 이용하여 엘피지 연료를 액상으로 인젝터에 공급하고, 이 인젝터를 통해 엘피지 연료를 실린더로 분사하며, 이 분사된 이 엘피지 연료는 공기가 혼합한 후 기화하여 엔진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은 엘피지 연료 사용이 필요한 기화기(Vaporizer)와 믹서(Mixer) 및 엘피지 연료 탱크(Bomber), 엘피지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엘피지 이씨유를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시동은 가솔린 연료에 의해 수행되게 하고 가솔린 시동 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예를 들어 시동 후 일 정시간이 경과하고 엔진 냉각 수온이 일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연료가 가솔린에서 엘피지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엔진 전환 장치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999025086호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는, 외부로부터 쓰로틀 포지션 센서, 산소센서, 및 수온 센서 등을 입력으로 연료 전환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연료 전환시 분사되지 않는 연료 라인을 차단시키기 위한 별도의 릴레이 등이 구비되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였다. 또한, 이씨유의 인젝터 제어를 통해 LPG를 인젝터(Injector)를 통하여 연소실에 직접 분사 시키는 엘피아이(LPI: Liquified Petroleum Injection) 시스템을 채택하여 별도의 믹서와 증발기를 사용하지 않고, 연비 및 동력 성능이 향상된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경우 상기의 기술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와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캔 통신을 통해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량 및 냉각 수온에 따라 가솔린 연료 장치 및 엘피지 연료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함으로써,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 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는,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와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에 따라 현재 구동 중인 연료를 전환하기 위하여, 현재 구동 중인 연료 장치의 인젝터가 가솔린 연료 장치의 가솔린 인젝터인 경우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구동 중인 연료 장치가 엘피지 연료 장치의 가스 인젝터인 경우 제2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 및 냉각수온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 공급하는 가솔린 이씨유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은,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 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가솔린 연료 장치의 가솔린 인젝터 및 엘피지 연료 장치의 가스 인젝터를 제어하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시동 후 이전 연료를 분사시켜 엔진을 구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가솔린 엔진 장치의 인젝터에 에러가 발생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가솔린 연료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솔린 엔진 장치의 인젝터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또는 가솔린 연료가 없는 경우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엘피지 인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솔린 연료가 있는 경우 엘피지 연료 장치에 에러가 발생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냉각수온이 기준치 이하인 지를 체크하여 기준치 이상인 경우 엘피지 연료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엘피지 연료 장치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냉각수온이 기준이 이하인 경우, 및 엘피지 연료가 없는 경우 중 하나일 때 제2 연료 전환 모드가 실행되어 가솔린 인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의 상기 제1 연료 전환 모드는
g-1)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분사 신호가 종료될 때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 엘피지 연료압 보상치와 엘피지 인젝터 플로우 보상치에 따라 엘피지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g-2) 상기 g-1) 단계의 실린더의 카운팅 완료 후 보정된 엘피지 연료 분사량에 따라 상기 가스 분사 신호를 보정하여 엘피지 인젝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의 상기 제2 연료 전환 모드는
h-1)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분사 신호가 종료될 때 가솔린 엔진 장치의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 가솔린 연료압 보상치에 따라 가솔린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h-2) 상기 h-1) 단계에서 실린더의 카운팅이 완료된 후 보정된 가솔린 연료 분사량에 따라 상기 가솔린 분사 신호를 보정하여 가솔린 인젝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캔 통신을 통해 상기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연료량 및 엘피지 연료량 및 냉각 수온에 따라 현재 구동중인 연료를 전환하기 위하여 전환하고자 하는 연료 장치의 인젝터에 연료 분사 신호를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함으로써, 연료 전환 시점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엔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LPI 시스템을 채택한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가솔린 분사 신호 및 가스 분사 신호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는, 운전자 선택에 따라 연료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11)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분사 신호에 따라 가솔린을 분사시키는 가솔린 인젝터를 포함하는 가솔린 연료 장치(13)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엘피지 분사 신호에 따라 엘피지를 분사시키는 가스 인젝터, 셔트 오프 밸브, 펌프, 및 연료 레일 에셈블리 등을 포함하는 엘피지 연료 장치(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전환 장치는 센서부(17)로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 신호를 수신하여 캔 통신을 통해 출력하는 가솔린 이씨유(19)와, 상기 가솔린 이씨유(19)의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 신호 중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구동 중인 연료를 전환하기 위하여 전환하고자 하는 연료의 분사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가솔린 연료 장치(13)의 가솔린 인젝터 및 엘피지 연료 장치(15)의 가스 인젝터를 제어하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캔 통신을 통해 상기 가솔린 이씨유(19)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 신호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엘피지 연료 장치(15) 및 가솔린 연료 장치(13)에 공급되는 가스 분사 신호 및 가솔린 분사 신호를 제어하여 연료를 전환시킨다.
즉, 상기 센서부(17)로부터 가솔린 연료 장치(13)에 에러가 발생되거나 가솔린 연료가 없는 경우 가솔린 이씨유(19)는 이러한 정보들을 캔 통신을 통해 엘피지 이씨유(21)에 공급하고, 가솔린 연료 장치(13)의 에러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가솔린 연료 없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가솔린 연료를 엘피지 연료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1 연료 전환 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연료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제1 연료 전환 모드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료 전환 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출력되는 가솔린 분사 신호(A)의 종점(t1)에서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 엘피지 연료압 보정치 및 엘피지 인젝터 플로우 보정치에 따라 가스 분사량을 보정하며, 실린더의 카운팅이 종료될 때 보정된 가스 분사량만큼 보정된 엘피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엘피지 연료압 보정치 및 인젝터 플로우 보정치에 따라 가스가 분사되는 가스 분사 시간(S1)과 다음 가스가 분사되는 가스 분사 시간(S2)의 비율이 결정되고, 이 비율에 따라 가스 분사 신호가 발생된다. 이 발생된 가스 분사 신호에 따라 엘피지 연료 장치(15)의 가스 인젝터가 구동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17)로부터 엘피지 연료 장치(15)의 에러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 엘피지 연료가 없음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냉각 수온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은 가솔린 이씨유(19)는 이러한 신호들 중 하나를 캔 통신을 통해 엘피지 이씨유(21)에 공급하고, 가솔린 연료 장치(13)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신호들 중 하나를 수신한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엘피지 연료를 가솔린 연료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2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2 연료 전환 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제2 연료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제2 연료 전환 모드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출력되는 가스 분사 신호의 종점(t3)에서 실린더의 수를 카운 팅하고, 가솔린 분사량을 보정한 후 실린더의 카운팅이 종료될 때 보정된 가솔린 분사량으로 가솔린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가솔린 분사 신호에 따라 가솔린 연료 장치(13)의 가솔린 인젝터가 구동된다.
상기 제1 연료 전환 신호 및 제2 연료 전환 신호가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가솔린 이씨유(1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발생된다.
한편, 운전자가 연료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키 입력부(11)의 연료 전환 키(미도시됨)를 선택한 경우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현재 구동 중인 연료가 가솔린 인지를 체크하여 가솔린인 경우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 경우 가스 인젝터를 구동하고, 가솔린 연료 컷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연료 전환 모드에 따라 보정된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현재 구동 중인 연료가 가솔린이 아닌 경우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경우 가솔린 인젝터를 구동하고, 가솔린 연료 컷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연료 전환 모드에 따라 보정된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미리 설정된 연료를 분사시키기 위한 가솔린 또는 가스 분사 신호를 발생하여 엔진을 구동시킨다(단계 101).
상기 단계(101)의 실행 중 운전자로부터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102)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현재 구동 중인 연료가 가솔린 인지를 체크하고(단계 103) 여기서, 가솔린 연료인 경우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 지를 체크하여(104)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 경우 가스 인젝터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솔린 연료 컷 모드가 아닌 경우 가솔린 연료를 엘피지 연료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연료 전환 신호를 발생하여(단계 107) 이 제1 연료 전환 신호에 따라 제1 연료 전환 모드가 실행된다. 이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통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엘피지 연료 장치(15)의 가스 인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단계(107)를 통해 제1 연료 전환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출력되는 가솔린 분사 신호의 종점(t1)에서 엘피지 엔진의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단계 109), 가솔린 분사 신호의 종점(t2)에서 엘피지 연료 장치(15)로부터 공급되는 엘피지 연료압 및 인젝터 플로우에 따라 보정된 가스 분사량을 보정한다(단계 111), 그리고, 실린더의 카운팅이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115) 실린더 카운팅이 종료된 후 상기 단계(111)에서 보정된 가스 분사량만큼 엘피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가스 분사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117). 상기 단계(117)에서 발생된 가스 분사 신호에 따라 엘피지 연료 장치(15)의 가스 인젝터가 구동되어 엔진이 구동한다(단계 119).
한편, 상기 단계(103)를 통해 현재 구동 중인 연료가 가솔린 연료가 아닌 엘피지 연료인 경우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지를 체크하여(단계 120)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경우 가솔린 인젝터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120)를 통해 엘피지 연료 컷 모드가 아닌 경우 엘피지 연료를 가솔린 연료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연료 전환 신호를 발생하고(단계 122), 상기 단계(122)를 통해 발생된 제2 연료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제2 연료 전환 모드가 실행된다. 이 제2 연료 전환 모드를 통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는 가솔린 연료 장치(13)의 가솔린 인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제2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단계(122)를 통해 제2 연료 전환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21)에서 출력되는 가스 분사 신호의 종점(t3)에서 가솔린 엔진의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단계 123), 가스 분사 신호의 종점(t4)에서 가솔린 연료 장치(1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가솔린 분사량을 보정한다(단계 125). 그리고, 실린더의 카운팅이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129) 종료된 경우, 상기 단계(125)에 의해 보정된 가솔린 분사량만큼 가솔린을 분사하기 위한 가솔린 분사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131). 상기 단계(117)에서 발생된 가스 분사 신호에 따라 가솔린 연료 장치(13)의 가솔린 인젝터가 구동되어 엔진이 구동한다(단계 133).
상기 단계(119) 또는 단계(133)를 통해 연료 전환이 완료된 후 시동이 꺼졌 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145) 시동이 꺼지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101)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103)를 통해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가솔린 엔진 장치에 에러가 발생되었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135)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가솔린 연료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지를 체크한다(단계 137). 여기서, 상기 단계(135) 또는 단계(137)를 통해 상기 가솔린 엔진 장치(13)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또는 가솔린 연료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단계(109)로 진행하여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엘피지 연료 장치(15)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스 분사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단계(137)를 통해 상기 가솔린 연료가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엘피지 연료 장치에 에러가 발생되었는 지를 체크하여(단계 139)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냉각수온이 제2 기준치 이하인 지를 체크하여(단계 141)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엘피지 연료가 제3 기준치 이하인 지를 체크한다(단계 143).
상기 단계(139) 내지 단계(143)를 통해 엘피지 연료 장치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냉각수온이 제2 기준치 이하인 경우, 및 엘피지 연료가 제3 기준치 이하인 경우 중 하나일 때 상기 단계(122)로 진행하여 제2 연료 전환 모드가 실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은, LPI 시스템을 가지는 가솔린 및 엘피지 겸용 차량에 있어, 캔 통신을 통해 상기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연료량 및 엘피지 연료량 및 냉각 수온에 따라 엘피지 연료 장치 및 가솔린 연료 장치를 제어 함으로써, 연료 전환 시 엘피지 분사 신호 및 가솔린 분사 신호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엔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LPI 시스템을 가지는 엘피지와 가솔린 겸용 차량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에 따라 현재 구동 중인 연료를 전환하기 위하여, 현재 구동중인 연료 장치의 인젝터가 가솔린 연료 장치의 가솔린 인젝터인 경우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구동 중인 연료 장치의 인젝터가 엘피지 연료 장치의 가스 인젝터인 경우 제2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 및 냉각수온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 공급하는 가솔린 이씨유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는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된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현재 구동중인 연료 장치가 가솔린 연료 장치인 경우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지를 체크하여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경우 미리 설정된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는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된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현재 구동중인 연료 장치가 엘피지 연료 장치인 경우,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 지를 체크하여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 경우 미리 설정된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의 제1 연료 전환 모드는
    가솔린 분사 신호가 종료될 때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 엘피지 연료압 보상치와 엘피지 인젝터 플로우 보상치에 따라 엘피지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여 실린더의 카운팅이 완료될 때 보정된 엘피지 연료 분사량에 따라 상기 가스 분사 신호를 보정하여 가스 인젝터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5.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및 엘피지 연료량과 냉각수온 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가솔린 연료 장치의 가솔린 인젝터 및 엘피지 연료 장치의 가스 인젝터를 제어하는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시동 후 이전 연료를 분사시켜 엔진을 구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가솔린 이씨유로부터 공급되는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가솔린 엔진 장치의 인젝터에 에러가 발생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가솔린 연료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솔린 엔진 장치의 인젝터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또는 가솔린 연료가 없는 경우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여 엘피지 인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스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솔린 연료가 있는 경우 엘피지 연료 장치에 에러가 발생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냉각수온이 기준치 이하인 지를 체크하여 기준치 이상인 경우 엘피지 연료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엘피지 연료 장치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냉각수온이 기준이 이하인 경우, 및 엘피지 연료가 없는 경우 중 하나일 때 제2 연료 전환 모드가 실행되어 가솔린 인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솔린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 전환 모드는
    g-1)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솔린 분사 신호가 종료될 때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 엘피지 연료압 보상치와 엘피지 인젝터 플로우 보상치에 따라 엘피지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g-2) 상기 g-1) 단계에서 실린더의 카운팅이 완료된 후 보정된 엘피지 연료 분사량에 따라 상기 가스 분사 신호를 보정하여 가스 인젝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 전환 모드는
    h-1) 상기 엘피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분사 신호가 종료될 때 가솔린 엔진 장치의 실린더의 수를 카운팅하고, 가솔린 연료압 보상치에 따라 가솔린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h-2) 상기 h-1) 단계에서 실린더의 카운팅이 완료된 후 보정된 가솔린 연료 분사량에 따라 상기 가솔린 분사 신호를 보정하여 가솔린 인젝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c-1) 상기 a) 단계의 실행 중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된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현재의 구동 중인 연료 종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연료 종류가 가솔린인 경우 가솔린 연료 컷 모드인 지를 체크하여 가스 인젝터를 구동하고, 가솔린 연료 컷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d) 단계로 진행하여 제1 연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연료 전환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c-2) 상기 a) 단계의 실행 중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된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연료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현재의 구동 중인 연료 종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연료 종류가 엘피지인 경우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지를 체크하여 엘피지 연료 컷 모드인 경우 가솔린 인젝터를 구동시키고, 엘피지 연료 컷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f)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연 료 전환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연료 전환 방법.
KR1020040080013A 2004-10-07 2004-10-07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58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13A KR100580573B1 (ko) 2004-10-07 2004-10-07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13A KR100580573B1 (ko) 2004-10-07 2004-10-07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16A KR20060031116A (ko) 2006-04-12
KR100580573B1 true KR100580573B1 (ko) 2006-05-16

Family

ID=3714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013A KR100580573B1 (ko) 2004-10-07 2004-10-07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5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60B1 (ko) 2008-07-23 2010-08-13 (주)모토닉 가솔린 및 lpg 겸용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및제어방법
KR100988608B1 (ko) 2008-11-26 2010-10-18 (주)비에프시스템 이중연료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WO2011021793A3 (ko) * 2009-08-19 2011-06-03 주식회사 케피코 가솔린 및 엘피지 겸용 차량의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33308A3 (ko) * 2010-09-06 2012-05-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인젝션의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56B1 (ko) * 2007-07-31 2008-10-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가솔린 연료 공급 장치 제어 방법
KR100929496B1 (ko) * 2008-04-01 2009-12-0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연료 분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112A (ja) 2001-08-22 2003-03-05 Aisan Ind Co Ltd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KR20030054615A (ko) * 2001-12-26 2003-07-02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액화가스 연료 분사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54613A (ko) * 2001-12-26 2003-07-02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액체 가스연료 분사 장치
KR20030061694A (ko) * 2002-01-15 2003-07-22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엔진의 가솔린 대체연료 분사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112A (ja) 2001-08-22 2003-03-05 Aisan Ind Co Ltd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KR20030054615A (ko) * 2001-12-26 2003-07-02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액화가스 연료 분사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54613A (ko) * 2001-12-26 2003-07-02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액체 가스연료 분사 장치
KR20030061694A (ko) * 2002-01-15 2003-07-22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엔진의 가솔린 대체연료 분사 제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60B1 (ko) 2008-07-23 2010-08-13 (주)모토닉 가솔린 및 lpg 겸용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및제어방법
KR100988608B1 (ko) 2008-11-26 2010-10-18 (주)비에프시스템 이중연료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WO2011021793A3 (ko) * 2009-08-19 2011-06-03 주식회사 케피코 가솔린 및 엘피지 겸용 차량의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46049B2 (en) 2009-08-19 2015-06-02 Kefi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in a bi-fuel vehicle running on two fuels, I.E. gasoline and LPG
WO2012033308A3 (ko) * 2010-09-06 2012-05-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인젝션의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16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5211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ous fuels
US9046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in a bi-fuel vehicle running on two fuels, I.E. gasoline and LPG
KR100852600B1 (ko) 가솔린 및 엘피지 겸용 자동차의 엔진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580573B1 (ko) 엘피지 및 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3090237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EP2108801A1 (en) An electronic control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wo fuel systems based on engine conditions
KR100664371B1 (ko) 엘피아이 차량의 고장 진단 방법
KR100475677B1 (ko) 엘피지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0663619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컷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52599B1 (ko) 엘피아이 차량의 가스 인젝션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49255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방법
KR100587856B1 (ko) 엘피아이 차량의 가스 인젝션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57161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49242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5092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59205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방법
KR100907371B1 (ko) 엘피아이 차량의 가스 인젝션 신호 제어 방법
KR10067219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제어 장치
KR100645314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엔진 상태 표시 방법
KR100587854B1 (ko) 엘피아이 차량의 가스 인젝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1824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587867B1 (ko) 엘피아이 차량의 가솔린 인젝션 라인 고장 진단 장치 및방법
KR100645311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53520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69764Y1 (ko) 엘피지와 가솔린 겸용 차량의 선택적 연료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