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095B1 -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095B1
KR100579095B1 KR1020030081700A KR20030081700A KR100579095B1 KR 100579095 B1 KR100579095 B1 KR 100579095B1 KR 1020030081700 A KR1020030081700 A KR 1020030081700A KR 20030081700 A KR20030081700 A KR 20030081700A KR 100579095 B1 KR100579095 B1 KR 10057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loor
side member
floor panel
floor s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98A (ko
Inventor
도록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0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뒷승객과 트렁크 부위를 지지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를 프론트측과 리어측으로 구분한 후,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상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하며 리어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하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하며 리어 플로워 패널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이들프론트측과 리어측이 서로 마주보는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연결부를 구성함으로써, 리어 플로워 패널의 높이를 낮춤은 물론 리어 플로워 패널의 성형성 향상을 통해 두께를 축소시켜 차체의 중량을 줄이고, 더불어 트렁크 공간내 편의장치의 패키지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를 제공한다.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 리어 플로워 패널

Description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Arrangment structure of rear floor side member}
도 1은 종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F-F선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리어 플로워 패널
21; 프론트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
22;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
22a; 용접작업구멍
23; 스폿용접 경사부
본 발명은 차체의 뒷승객과 트렁크 부위를 지지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리어측이 리어 플로워 패널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시켜 리어 플로워 패널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은 물론, 리어 플로워 패널의 성형성 향상으로 그 두께를 축소시켜 중량을 줄이고, 트렁크 공간내 편의장치의 패키지 구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뒷승객과 트렁크 부위를 지지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1)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된 후 리어 플로워 패널(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사각단면 구조를 가지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1)가 리어 플로워 패널(2)의 하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리어 플로워 패널(2)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위 높이가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1)의 단면 높이만큼 높이지면서 부품 성형시 빈번하게 찢어져 부품 제작성이 난이해질 뿐만 아니라, 리어 플로워 패널(2)의 두께가 증대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부위 높이가 높아지면, 그 높이만큼 트렁크의 실내 공간이 축소되면서 유효공간의 손실발생으로 편의장치의 패키지 구성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를 프론트측과 리어측으로 구분한 후,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상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하며 리어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하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하며 리어 플로워 패널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이들이 서로 마주보는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연결부를 구성함으로써, 리어 플로워 패널의 높이를 낮춤은 물론, 리어 플로워 패널의 성형성 향상을 통해 두께를 축소시켜 차체의 중량을 줄이고, 더불어 트렁크 공간내 편의장치의 패키지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D-D선 단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뒷승객과 트렁크 부위를 지지하도록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배치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22)는 연결된 구조로서 프론트측과 리어측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는 상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한 체 리어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 위치된 후 그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상면(a1)을 용접으로 고정하며,
상기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는 하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한 체 리어 플로워 패널(11)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된 후 그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하면(a2)을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이들 프론트측과 리어측이 서로 단면 모양을 역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연결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에는,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와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의 내부 구조 결합을 위해 용접작업구멍(22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프론트측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21)(22)의 분할부위에는, 프론트측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21)(22)의 결합을 위한 스폿 용접 경사부(23)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차체의 뒷승객과 트렁크 부위를 지지하도록 리어 플로워 패널(11)에는 연결된 구조로서 프론트측과 리어측으로 분할 구성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22)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는 분할선(24)을 기준으로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프론트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의 상면(a1)을 도 5에서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는 분할선(24)을 기준으로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패널(11)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의 하면(a2)을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둔다.
이때, 상기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에는 용접작업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는 바,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23a)가 프론트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되어 프론트/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21)(22)의 위치를 서로 안내되도록 하고, 그 연결부에는 리어 플로워 패널(11)의 프론트/리어 경계부를 위치시킨 후, 상기 용접작업구멍(22a)으로 용접건을 삽입시켜 도 8에서와 같이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와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2)의 내부 구조를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아울러, 상기 프론트측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21)(22)의 분할부위에는 스폿 용접 경사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스폿용접 경사부(23)를 프론트측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21)(22)를 도 6에서와 같이 스폿 용접하면, 리어 플로워 패널(11)에서의 프론트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21)(22) 배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를 프론트측과 리어측으로 구분한 후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리어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리어 플로워 패널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어 플로워 패널의 높이를 낮춤은 물론, 리어 플로워 패널의 성형성 향상을 통해 두께를 축소시켜 차체의 중량을 줄이고, 트렁크 공간내 편의장치의 패키지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차체의 뒷승객과 트렁크 부위를 지지하도록 리어 플로워 패널에 배치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연결된 구조로서 프론트측과 리어측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상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한 체 리어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위치시켜 그 리어 플로워 패널에 상면을 용접 고정하며,
    상기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는 하부로 개방된 단면을 유지한 체 리어 플로워 패널의 상방 즉 실내측에 위치시켜 그 리어 플로워 패널에 하면을 용접으로 고정하여,
    상기 프론트측과 리어측이 서로 마주보는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연결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에는,
    프론트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와 리어측의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내부 구조 결합을 위해 용접작업구멍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측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의 분할부위에는,
    프론트측 및 리어측 리어 플로워 사이드멤버의 결합을 위한 스폿 용접 경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KR1020030081700A 2003-11-18 2003-11-18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KR10057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00A KR100579095B1 (ko) 2003-11-18 2003-11-18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00A KR100579095B1 (ko) 2003-11-18 2003-11-18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98A KR20050047898A (ko) 2005-05-23
KR100579095B1 true KR100579095B1 (ko) 2006-05-12

Family

ID=3724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700A KR100579095B1 (ko) 2003-11-18 2003-11-18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0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98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2927B (zh) 车体后部构造
CN101181906B (zh) 组合的汽车车架组件和组装汽车侧架的方法
JP6764536B2 (ja) 車両のピラー構造体
JP2003212152A (ja) 車体構造
JP5358200B2 (ja) 車体構造
CN109476349A (zh) 车身车架构造
US659217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894629B2 (ja) 自動車のロッカー補強構造
KR102325352B1 (ko) 시트 금속 루프 및 유리 루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 유형들의 차량 세트
JP2016132312A (ja) 車体構造
KR100579095B1 (ko) 리어 플로워 사이드 멤버의 배치 구조
CN109591898B (zh) 车辆下部构造
CN103832480A (zh) 车体后部的上侧结构
CN105050889B (zh) 车辆的底板部结构
JP5193459B2 (ja) 車両用ルーフ支持組立体及びルーフ支持ピラー
US11312417B2 (en)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rear underbody of a vehicle
JP2007098982A (ja) 車体構造
EP3712015B1 (en) Rocker exterior component structure
JP2008013144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5231496A (ja) 車体のルーフヘッダ
JP6237609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0308989B1 (ko) 자동차용 루프 레일 보강구조
JP4179829B2 (ja) リヤクォータパネル構造
JP7047476B2 (ja) 車両後部構造
CN111434568B (zh) 车辆下部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