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108B1 -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108B1
KR100578108B1 KR1020040064836A KR20040064836A KR100578108B1 KR 100578108 B1 KR100578108 B1 KR 100578108B1 KR 1020040064836 A KR1020040064836 A KR 1020040064836A KR 20040064836 A KR20040064836 A KR 20040064836A KR 100578108 B1 KR100578108 B1 KR 10057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molecule composition
advertising
acrylate
advertising molec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413A (ko
Inventor
박정기
김원선
정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4006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1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중합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도록 하여 부피 수축 및 기록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은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은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1∼5중량%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 조성물{Phot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nanoparticle with photo-reactive on surface}
도 1은 실시예 1,2,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고분자의 광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2,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고분자의 회절 효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중합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도록 하여 부피 수축 및 기록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표시, 전달 및 저장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이를 위해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빛을 이용한 정보의 표시, 전달, 저장을 위한 소재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광통신 분야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이미 실용화 단계에 도달했으나, 3차원 정보 저장(information storage) 장치는 적절한 소재가 개발되지 않아 아직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현재 빛을 이용한 3차원 정보 저장 재료로는 광이성화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 광굴절성을 갖는 재료, 광고분자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광고분자는 빛에 민감한 특징을 가지며, 빛에 의해 상(phase), 색(color) 또는 굴절율(refractive index)이 변화되는 재료이다. 즉 광고분자는 이러한 빛에 대한 민감성을 이용하여 빛을 이용한 정보의 저장, 전달/처리 및 표시용 소자의 핵심적인 재료이다.
광고분자는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 광개시제, 고분자 바인더로 이루어지며, 빛의 간섭에 의한 광중합에 의해 보강 간섭이 일어난 곳에서는 광중합이 진행되어 광중합된 고분자의 농도가 높게 되고, 상쇄간섭이 일어난 곳에서는 중합이 일어나지 않아 고분자 바인더의 농도가 높은 영역이 형성되어, 두 고분자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회절 격자가 형성되게 되는 재료이다.
광고분자는 광중합에 의해 격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ROM(Read Only Memory) 형태의 3차원 정보 저장 재료로의 응용이 가능하며, 두 빛의 간섭에 의해 인-시투(in-situ)로 회절 격자가 생성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광고분자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선정에 따라 굴절율 차이가 유도되어, 회절 효율이 높고, 유기 재료의 설계가 용이하며, 제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현재 보고되고 있는 광고분자는 격자 기록과정에서 광중합에 의한 부피 수축이 수반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써 광고분자의 부피 수축을 억제하기 위해, 나노 크기의 기공을 갖는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Optics Letters, 24(10),658 (1999)). 또한 무기입자를 분산시켜 고분자 매트릭스의 견고성(rigidity)을 증가시킨 광고분자가 제안되었다(Applied Physics Letters, 81(22), 4121, (2002)).
그러나, 나노 크기의 기공을 갖는 유리를 사용시 나노 기공내로 광민감성 성분을 완전히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2주의 긴 침투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기 입자를 분산시킨 경우에는 광산란 손실이 20% 수준으로 매우 높고, 10초 정도의 반응 지연 시간이 있어 반응속도가 현저히 느린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광중합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표면에 광반응성 작용기가 그라프트된 나노입자를 광중합되는 공단량체로 도입하여, 고분자 바인더의 견고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광중합되는 격자의 운동성(mobility)을 제한하여 격자의 견고성을 높임으로써, 반응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부피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광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은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필수 구성성분인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광고분자의 광중합시 공단량체로 도입하여, 광중합시 격자의 운동성(mobility)을 제한하여 격자의 견고성을 높임으로써 반응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부피 수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광고분자의 부피수축 및 기록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분자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5중량% 초과하면 입자들간의 회합에 의한 광산란 손실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분자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의 함량은 1∼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입자 표면의 광반응성 관능기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알킬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벤질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 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비닐사이클로프로판, 바이사이클로부탄, 페난트렌퀴논(phenanthrenequinone, PQ) 계열의 유기관능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반응성 관능기에서 다관능성은 다이(메타)아크릴, 트리(메타)아크릴, 테트라(메타)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이고, 알킬기는 C1∼C10인 알킬기이다.
상기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실리카,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지르코니아,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magnesium oxide), 수산화 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오산화 안티몬(antimony pent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평균직경이 5∼6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평균직경을 가지는 나노입자를 적용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수치범위의 평균직경을 가지는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필수 구성성분인 광반응성 나노 입자는 표면에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 OH)을 갖는 실리카와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물질을 반응시켜 실리카 표면의 하이드록실 그룹과 광반응성 관능기가 결합 시켜 광반응성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광반응성 나노입자의 일예로서 표면에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 OH)을 갖는 실리카와 (메타)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실리카 1g에 대하여 클로라이드 그룹을 갖는 (메타)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364g을 반응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이용하여 35∼45℃에서 24∼48시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실리카의 표면 하이드록실 그룹의 밀도 3.5mmol/g에 대해, 상응하는 (메타)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의 몰수를 투입하여 하이드록실(OH)기와 클로라이드(Cl)의 비가 1:1이 되도록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은 상기의 필수 구성성분인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표면에 가지는 나노입자 이외에 종래 광고분자를 이루는 구성성분인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는 종래 광고분자 조성물에 적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의 선택하여 소정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아미드, 비스아크릴아미드, t-부틸아크릴아미드, 비닐카바졸, 알킬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알킬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벤질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이미다졸, 비닐 사이클로프로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광중합 가능한 단량체에서 다관능성은 다이(메타)아크릴, 트리(메타)아크릴, 테트라(메타)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이고, 알킬기는 C1∼C10인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19.5∼30중량%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서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이 19.5중량%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며, 최고 회절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30중량% 초과하면 단량체간의 회합에 의한 결정화가 유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분자에 있어서, 광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19.5∼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폭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메틸/에틸/벤질 셀룰로오즈,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바인더에서 알킬기는 C1∼C10인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은 40∼60중량%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서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광고분자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60중량% 초과하면 광반응속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분자에 있어서,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은 40∼6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전자 공여성 개시제, 전자 수용성 광민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공여성 개시제, 전자 수용성 광민감제는 1:9∼9:1의 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광개시제 중에서 전자 공여성 개시제는 트리에탄올아민, 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페닐글리신(N-phenylglycine), 설피네이트(sulfinates), 에놀레이트(enolates) 또는 카르복시레이트(carboxylates), p-톨루엔나트륨염(p-toluene sodium salt), 아세틸아세톤(acetylacetone), tt-부틸과산화수소(tt-butyl hydrogen peroxide), 구연산철암모늄(ferric ammonium citrate), 헥사아릴비이미다졸(hexaarylbiimidazole),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 케탈(keta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아실포스파인 옥사이드(acyl phosphine oxide), 케톤(ketone) 유도체, 퀴논(quinone)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광개시제 중에서 전자 수용성 광민감제는 메틸렌블루, 옐로우이오신, 티오닌, 로즈벵갈(Rose Bengal), 이리트로신 비(Erythrosin B), 아크릴플라빈(acrylflavi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광개시제의 함량은 19.5∼30중량% 사 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분자 조성물에서 광개시제의 함량이 19.5중량% 미만이면 광반응 속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30중량% 초과하면 광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낮아져 기록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분자에 있어서, 광개시제의 함량은 19.5∼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제조하였다.
평균직경이 30∼40nm인 실리카 나노 입자(Aerosil 200) 1g에 대하여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methacryloyl chloride) 0.364g을 반응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내에서 40℃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켜, 표면에 메타크릴레이트 단위(methacrylate unit)를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1>
고분자 바인더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1중량%, 광중합이 가능 한 단량체로 아크릴아미드 23.75중량%,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로서 상기 준비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표면에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입자 1.25중량%, 광개시제로서 전자 공여성 광개시제인 트리에탄올아민 12중량% 및 광민감제인 메틸렌블루 12중량%를 혼합하고 용액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두께가 130㎛인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광고분자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바인더와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트리에탄올 아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메틸렌블루 용액을 상기 용액에 혼합한 후, 이 용액에 표면 광반응성을 갖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산시켜 유리기판 상에 캐스팅하여 12시간 건조함으로써, 광고분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고분자 바인더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9.75중량%, 준비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표면에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입자 2.5wt%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120㎛인 광고분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고분자 바인더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2.25중량%를 사용하고, 준비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표면에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160㎛ 인 광고분자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광고분자의 광투과도
상기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고분자에 633nm의 레이저를 5분 동안 투과시켜 광고분자에서 투과되어 나오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광투과도를 측정하고, 평균 광투과도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광 조사시간에 따른 광고분자의 광투과도 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한편 도 1에서 실시예 1의 광고분자 투과도는 사각형(■, caseⅡ), 실시예 2의 광고분자 투과도는 동그라미(●, caseⅢ), 비교예의 광고분자 투과도는 세모(▲, caseⅠ) 모양으로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 광고분자의 광투과도
실시예 두께 투과도
실시예1 130㎛ 94%
실시예2 120㎛ 91%
비교예 160㎛ 95%
<시험예 2> 광고분자의 격자 기록특성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고분자의 격자 기록특성으로 광고분자의 회절효율 및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고분자를 각각 633nm의 레이저빔을 5분 동안 간섭시켜 평균 회절효율 및 민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고분자를 각각 633nm의 레이저빔으로 5분 동안의 노출시간에 따른 각각의 광고분자 회절 효율 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실시예 1의 광고분자 회절 효율 변화는 사각형(■, caseⅡ), 실시예 2의 광고분자 회절 효율 변화는 동그라미(●, caseⅢ), 비교예의 광고분자 회절 효율 변화는 세모(▲, caseⅠ) 모양으로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 및 비교예 광고분자의 회절 효율 및 민감도
실시예 회절효율 민감도
실시예1 85% 60 mJ/cm2
실시예2 83% 60 mJ/cm2
비교예 70% 60 mJ/cm2
<시험예 3> 광고분자의 부피 수축 측정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고분자의 부피 수축을 평가하기 위해 기록된 지점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3에 나타내었다.
광고분자의 두께 변화는 두 빔의 간섭에 의해 광중합 반응이 진행되면 부피 변화가 수반되어, 광반응에 의한 부피 변화가 광고분자의 두께 변화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광중합 반응 전후의 두께 변화를 표면 분석에 의해 측정하여 부피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표 3> 실시예 및 비교예 광고분자의 두께 변화
실시예 두께변화 부피수축율
실시예1 1.2㎛ 0.9%
실시예2 1㎛ 0.8%
비교예 3.2㎛ 2.0%
상기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3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진 광고분자는 종래 광고분자에 비해 광투과율이 적으며, 회절효율이 우수하고, 부피수축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광중합 가능한 단량체, 고분자 바인더,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에 광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1∼5중량%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반응성 관능기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알킬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벤질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 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비닐사이클로프로판, 바이사이클로부탄, 페난트렌퀴논 계열의 유기관능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상기에서 다관능성은 다이(메타)아크릴, 트리(메타)아크릴, 테트라(메타)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이고, 알킬기는 C1∼C10인 알킬기이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노입자는 실리카,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지르 코니아,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수산화 마그네슘, 오산화 안티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아미드, 비스아크릴아미드, t-부틸아크릴아미드, 비닐카바졸, 알킬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알킬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벤질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이미다졸, 비닐 사이클로프로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상기에서 다관능성은 다이(메타)아크릴, 트리(메타)아크릴, 테트라(메타)아크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이고, 알킬기는 C1∼C10인 알킬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폭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메틸/에틸/벤질 셀룰로오즈,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 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상기에서 알킬기는 C1∼C10인 알킬기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트리에탄올아민, 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페닐글리신, 설피네이트, 에놀레이트, 카르복시레이트, p-톨루엔나트륨염, 아세틸아세톤, tt-부틸과산화수소, 구연산철암모늄, 헥사아릴비이미다졸, 벤조인 에테르, 케탈, 아세토페논, 아실포스파인 옥사이드, 케톤 유도체, 퀴논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전자 공여성 개시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메틸렌블루, 옐로우이오신, 티오닌, 로즈벵갈, 이리트로신 비, 아크릴플라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전자 수용성 광민감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KR1020040064836A 2004-08-17 2004-08-17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KR10057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36A KR100578108B1 (ko) 2004-08-17 2004-08-17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36A KR100578108B1 (ko) 2004-08-17 2004-08-17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13A KR20060016413A (ko) 2006-02-22
KR100578108B1 true KR100578108B1 (ko) 2006-05-10

Family

ID=371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36A KR100578108B1 (ko) 2004-08-17 2004-08-17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88B1 (ko) 2005-04-06 2007-12-13 한국과학기술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14977B1 (ko) * 2005-07-29 2007-05-07 한국과학기술원 높은 회절 효율 및 낮은 부피 수축율을 갖는 유-무기하이브리드형 광고분자 조성물
ES2371678T3 (es) * 2006-03-13 2012-01-09 Basf Se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 nanopartículas poliméricas.
KR100803320B1 (ko) * 2007-03-21 2008-02-13 한국과학기술원 높은 광민감도를 갖는 에폭시 수지형 광고분자 조성물
WO2013181345A2 (en) * 2012-05-30 2013-12-05 The University Of Toledo Synthesis of polymeric ionic liquids using a photochemical polymerization process
US8785004B2 (en) 2009-01-30 2014-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V light-emissive fluorene-based copolymers
KR20110131194A (ko) * 2009-01-30 2011-12-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중합체 및 중합체-나노입자 조성물
US8709601B2 (en) 2009-01-30 2014-04-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lock copolymer nanoparticle composi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3252A (ja) * 1988-10-24 1990-04-25 Tokyo Ohka Kogyo Co Ltd 光重合性樹脂組成物
JPH06194837A (ja) 1992-10-02 1994-07-1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
KR19980042795A (ko) * 1996-11-26 1998-08-17 무네유끼마사유끼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감광성 시이트
KR20020074813A (ko) * 2001-03-22 2002-10-04 한국과학기술원 상안정성이 우수한 광굴절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17910A (ko) * 2002-08-22 2004-03-02 한국과학기술원 나노공극 막을 이용한 광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의해 제조한 광고분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3252A (ja) * 1988-10-24 1990-04-25 Tokyo Ohka Kogyo Co Ltd 光重合性樹脂組成物
JPH06194837A (ja) 1992-10-02 1994-07-1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
KR19980042795A (ko) * 1996-11-26 1998-08-17 무네유끼마사유끼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감광성 시이트
KR20020074813A (ko) * 2001-03-22 2002-10-04 한국과학기술원 상안정성이 우수한 광굴절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17910A (ko) * 2002-08-22 2004-03-02 한국과학기술원 나노공극 막을 이용한 광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의해 제조한 광고분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13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977B1 (ko) 높은 회절 효율 및 낮은 부피 수축율을 갖는 유-무기하이브리드형 광고분자 조성물
US6939648B2 (en) Optical article and process for forming article
Lawrence et al. Photopolymer holographic recording material
US6103454A (en) Recording medium and process for forming medium
JP5008080B2 (ja) 有機微粒子を含む感光性組成物
US6627354B1 (en) Photorecording medium, process for fabricating medium, and process for holography using medium
KR100806650B1 (ko) 홀로그램 기록 재료용 조성물, 홀로그램 기록 매체 및 그제조 방법
JP2000514468A (ja) 高度に誘発性の複屈折を示す光アドレス指定可能基質および光アドレス指定可能側基ポリマー類
KR100514567B1 (ko) 고감도의광어드레스성측면기중합체
KR100578108B1 (ko) 표면에 광반응성기를 가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고분자조성물
KR20070118940A (ko) 홀로그램 기록 재료
JP2004078224A (ja) 光学記録材料
EP2058702A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rising organic-zirconia composite microparticle
US20080176146A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Fine Particles
JPH08101501A (ja) 体積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媒体ならびに体積ホログラム形成方法
US20050036179A1 (en) Holographic storage medium comprising metal-containing high refractive index region, and storage article containing same
Bruder et al. Full-color self-processing holographic photopolymers with high sensitivity in red-the first class of instant holographic photopolymers
JP2006003388A (ja) 体積位相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組成物、ホログラム記録媒体とその製法、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法
JP2006003387A (ja) 体積位相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組成物、ホログラム記録媒体とその製法、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方法
Oh et al. Holographic recording on photopolymers containing pyrene for enhanced fluorescence intensity
JP2005221793A (ja) ホログラム記録材料用フォトポリマー組成物、ホ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65781B1 (ko) 광반응성을 갖는 분자 크기의 무기물이 포함된 높은광민감도를 갖는 광고분자 조성물
WO2009119576A1 (ja) 偽造防止ホログラム用感光性組成物及び偽造防止ホログラム媒体
KR100508332B1 (ko) 나노공극 막을 이용한 광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의해 제조한 광고분자
KR100525457B1 (ko) 고분자 바인더로 개질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를함유하는 광고분자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