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99B1 - 차량용 토크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99B1
KR100575599B1 KR1020010058135A KR20010058135A KR100575599B1 KR 100575599 B1 KR100575599 B1 KR 100575599B1 KR 1020010058135 A KR1020010058135 A KR 1020010058135A KR 20010058135 A KR20010058135 A KR 20010058135A KR 100575599 B1 KR100575599 B1 KR 10057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oil
coil assembly
detection
elastic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311A (ko
Inventor
정대종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5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토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코일조립체의 위치를 고정시킴은 물론, 검출코일조립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는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와 탄성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의 마련으로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는 검출코일조립체 내부 코일의 온도증가에 따른 열팽창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도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은 물론 위치변화가 방지되어 토션바에 작용하는 토크의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센서{Torque sensor for vehicle}
도 1은 종래 차량용 토크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토크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수단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 70: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
61,71: 코일 62,72: 보빈
63,73: 보빈하우징 80: 스페이서
90: 위치고정수단 100: 탄성지지부재
110: 밀착부재 111: 평면부
112: 곡면부 113: 지지리브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 크센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코일조립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검출코일조립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조향축을 통해 바퀴 측과 연결된 스티어링휠을 조작하여 운동방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바퀴와 노면과의 접지저항이 큰 상태에서는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이 약화되어 자동차를 신속하게 조향시킬 수 없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파워스티어링 장치이다. 이러한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조향장치의 도중에 보조동력장치를 설치하여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을 배력작용에 의해 경감시키게 한다.
파워스티어링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조향축은 입력축과 출력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 입력축은 스티어링휠 측에 결합되고 출력축은 타이로드의 랙바와 이물림 결합된 피니언기어 측과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축과 출력축은 토션바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면 출력축이 회전하며 피니언기어와 랙바의 기어작용에 의해 타이로드에 결합된 바퀴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때, 바퀴와 노면과의 접지저항이 큰 경우에는 랙바와 피니언기어와의 기어작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스티어링휠 측과 결합된 입력축에 비해 피니언기어 측과 결합된 출력축이 덜 회전하여 토션바가 비틀리게 된다. 이러한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는 전기적인 신호상태로 전자제어유닛에 입력되고, 전자제어유닛에서는 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랙바에 설치된 보조동력장치를 가동시켜 출력축의 회전을 보상하여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토션바의 비틀림 감지는 토크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차량용 토크센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토크센서는 입력축(1)의 하단과 출력축(2)의 상단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3)와, 자성체로 마련되며 입력축(1)과 출력축(2)의 연결부위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의 검출링(4a,4b,4c)과, 검출링들(4a,4b,4c)이 끼워져 설치되는 통형상의 센서하우징(5)을 구비한다.
출력축(2)의 하단은 바퀴(미도시)측의 타이로드(미도시)에 형성된 랙바(미도시)와 이물림결합된 피니언기어(미도시)와 연결되고, 입력축(1)의 상단은 스티어링휠(미도시)과 결합되어 스티어링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입력축(1)과 출력축(2)을 연결하는 토션바(3)가 비틀리면서 출력축(2)이 회전하게 된다.
복수개의 검출링(4a,4b,4c)은 입력축(1) 외주에 결합되어 스티어링휠(미도시)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 운동하는 제1검출링(4a)과 제2검출링(4b), 그리고 출력축(2) 외주에 결합되어 출력축(2)과 함께 회전 운동하는 제3검출링(4c)으로 구별된다. 또한, 제1검출링(4a)과 제2검출링(4b)의 하면 및 제3검출링(4c)의 상면에는 각각 요철이 반복된 톱니부(4d,4e,4f)가 형성된다.
또한, 센서하우징(5) 내부에는 검출링들(4a,4b,4c)의 톱니부(4d,4e,4f)를 감싸며 이들과 상호 작용하여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코일(6a,7a)이 권선된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와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가 배치된다.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는 제1검출링(4a)과 제2검출링(4b) 사이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는 제2검출링(4b)과 제3검출링(4c) 사이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스페이서(8)가 개재된다. 토션바(3)의 비틀림에 의해 제2검출링(4b) 과 제3검출링(4c)의 각 톱니부(4e,4f)들은 그 대향면적이 변화되며, 대향면적의 변화에 의하여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의 인덕턴스값이 변화되고, 입력축(1)과 출력축(2)의 회전편차는 이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코일조립체(6,7)들을 통해 토션바(3)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 검출코일조립체(6,7)들은 상기 센서하우징(5)의 내부에서 그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는데, 검출코일조립체(6,7)들의 위치고정을 위해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 하부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스톱퍼스크류(9)가 결합되어 각 검출코일조립체(6,7)들을 종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 스톱퍼스크류(9)는 외주에 수나사가 가공되어 암나사가 가공된 센서하우징(5)의 하단 내주에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스톱퍼스크류(9)를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의 하단과 접하도록 회전시키며 센서하우징(5)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는 그 하단과 스톱퍼스크류(9) 상단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가 쉽게 틀어지게 된다.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의 위치변화는 상단에 위치한 스페이서(8) 및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의 위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결국 검출코일조립체(6.7) 전체의 위치가 변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검출코일조립체(6,7)의 코일(6a,7a)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센서하우징(5)과 검출코일조립체(6,7)들은 열팽창을 일으키게 되는데,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센서하우징(5)과 검출코일조립체(6,7)는 각기 다른 정도로 열팽창하게 되고, 이러한 열팽창 정도의 차이에 따른 센서하우징(5)과 검출코일조립체(6,7)들의 체적변화는 센서하우징(5)과 검출코일조립체(6,7)들을 파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검출코일조립체(6,7)들은 상기 센서하우징(5)의 내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센서하우징(5) 내부에 설치되고, 스톱퍼스크류(9)로 검출코일조립체(6,7)들을 고정지지할 때도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와 스톱퍼스크류(9) 사이에 소정의 미세한 여유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센서하우징(5)과 검출코일조립체(6,7) 사이 및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와 스톱퍼스크류(9) 사이의 미세한 간격에 의해 외부로부터 토크센서 내부로 진동이나 충격 등이 전달되면, 센서하우징(5) 내의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 및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의 위치는 변하게 되어 토션바(3)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토크센서의 구조를 개선하여 검출코일조립체들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열적변형을 흡수함은 물론 검출코일조립체들의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토션바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이 결합되는 입력축과 조향기구와 결합되는 출력축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링, 상기 복수의 검출링 사이를 감싸도록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코일조립체,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센서하우징을 구비한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 토크센서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외면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에 밀착시키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외주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내주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하우징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밀착부재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 측에 형성되며 곡면으로 마련되는 곡면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재 측에 형성되며 평면으로 마련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탄력지지부재 측으로 돌출 연장된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토크센서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0)의 하단과 출력축(20)의 상단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30)와,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외주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링(41,42,43), 그리고 상 기 각 검출링(41,42,43)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 센서하우징(50)을 구비한다.
출력축(20)은 바퀴(미도시)측의 조향기구(미도시)와 결합되는데 출력축(20)의 하단에는 바퀴(미도시)측의 타이로드(미도시)에 설치된 랙바(미도시)와 이물림결합되도록 피니언기어(21)가 가공되며, 입력축(10)의 상단은 스티어링휠(미도시)과 결합되어 있어, 바퀴(미도시)와 노면과의 마찰력이 클 경우 스티어링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토션바(30)가 비틀리면서 출력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30)의 상단은 평행핀(10a)을 통해 입력축(1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센서하우징(50)의 하부로 연장된 출력축(20)에 압입 고정되며, 센서하우징(50)의 상부에는 입력축(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롤러베어링부재(10b)가 마련된다.
검출링(41,42,43)은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링(42) 그리고 제3검출링(43)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자성체로 마련되어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연결부에 설치된다.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링(42)은 입력축(10)의 하단 외주에 마련되며, 제3검출링(43)은 출력축(20)의 상단 외주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검출링(41), 제2검출링(42)의 하단과 제3검출링(43)의 상단에는 각각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톱니부(41a,42a,43a)가 마련된다.
센서하우징(50)은 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그 내주면이 각 검출링(41,42,43)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각 검출링(41,42,43)의 톱니부(41a,42a,43a)를 감싸며 이들과 상호 작용하여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검출코일조립체들(60,70)이 배치된다. 이중 제1검출링(41)과 제2검출 링(42) 사이에는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가 마련되고, 제2검출링(42)과 제3검출링(43) 사이에는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가 마련된다.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동일한 구조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61,71)이 권선된 보빈(62,72)과 보빈(62,72)이 수용되는 보빈하우징(63,73)을 각각 구비한다. 또한, 각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그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80)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센서하우징(50)과 검출코일조립체(60,70)들 사이에는 소정간격의 틈이 형성되는데, 이는 각기 다른 재질로 마련되어 있어 서로 다른 열팽창율을 갖는 검출코일조립체(60,70)와 센서하우징(50)이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코일(61,7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각기 다른 정도로 열팽창을 하더라도, 상기 소정간격의 틈이 이를 흡수하여 센서하우징(50)과 검출코일조립체(60,70)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소정간격의 틈에 의해 외부로부터 검출코일조립체(60,70)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될 경우, 검출코일조립체(60,70)들은 그 위치가 변화되어 토션바(30)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센서하우징(50)의 측면 일측에는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열팽창 및 상기 검출코일조립체(60,70)에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90)이 마련된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90)은 도 3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 및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측면과 대향되는 센서하우징(50)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며 판스프링 역할을 수행하는 탄성지지부재(100)와, 검출코일조립체(60,70)와 탄성지지부재(100) 사이에 마련되며 탄성지지부재(100)에 탄력지지된 상태로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 일측에 밀착되어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밀착부재(110)를 구비한다.
탄성지지부재(100)는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며, 밀착부재(110)를 검출코일조립체(60,70) 측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지지부재(100)의 각 모서리와 이와 대응하는 센서하우징(50)의 외주에는 탄성지지부재(100)를 센서하우징(50)에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120)가 체결되는 체결공(101,51)이 각각 마련된다.
밀착부재(110)는 원형의 판상으로 마련되되,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인덕턴스 값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반자성체로 마련되며, 탄성지지부재(100)와 대향하는 측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111) 및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 외주와 같은 곡률을 갖도록 곡면으로 구성되고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곡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부(112)에 의해 밀착부재(110)는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 외주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밀착부재(110)는 센서하우징(50)의 측면을 통해 센서하우징(50) 내부로 삽입되어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 일측을 감싸도록 되며, 이러한 밀착부재(110)의 삽입을 위해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측면 일측과 대응하는 센서하우징(50)에는 개구부(52)가 형성된다.
또한, 밀착부재(110)를 검출코일조립체(60,70) 측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해 탄 력지지부재(100)는 탄성변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평면부(111)에는 밀착부재(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탄성지지부재(100)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리브(1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리브(113)는 밀착부재(110)의 두께가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외주와 탄성지지부재(100)의 내주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지지부재(100)가 탄성변형되도록 함으로써, 탄성지지부재(1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부재(110)가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탄력지지 할 수 있게 한다. 즉, 탄성지지부재(100)는 밀착부재(110)가 검출코일조립체(60,70)에 밀착되도록 개구부(52)에 삽입된 후에 각 체결공(101,51)에 체결되는 볼트(120)에 의해 개구부(52) 외측의 센서하우징(5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데, 지지리브(113)가 상기 개구부(52)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탄성지지부재(100)는 지지리브(113)에 대응하는 부위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센서하우징(50) 외측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탄성지지부재(100)는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지지부재(100)는 밀착부재(110)를 검출코일조립체(60,70) 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밀착부재(110)의 두께가 탄성지지부재(100)와 검출코일조립체(60,70) 사이의 간격보다 커지도록 밀착부재(110)의 평면부(111)에 지지리브(113)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면부(112)와 평면부(111) 사이의 거리를 늘리거나 평면부(111)에 지지리브(113) 대신 지지돌기를 마련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되며, 곡면부(112)와 평면부(111) 사이의 거리를 늘리거나 평면부(111)에 지지돌기를 마련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와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각 코일(61,71)은 케이블(40)에 의해 차량의 적소에 마련된 신호처리장치(미도시)와 연결되기 때문에 탄성지지부재(100) 및 밀착부재(110)의 중앙에는 케이블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102,114)가 각각 마련된다.
탄성지지부재(1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부재(110)는 반경방향에서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탄력지지하게 되고, 이로써 검출코일조립체(60,70)는 밀착부재(110)와 센서하우징(50)의 내주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지지부재(100)는 밀착부재(110)를 통해 검출코일조립체(60,70)를 지지하되,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검출코일조립체(60,70)의 열팽창은 물론, 외부로부터 검출코일조립체(60,7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검출코일조립체(60,70)가 토션바(30)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미도시)을 조향시키면, 입력축(10)과 토션바(30)로 연계된 출력축(20)을 통해 조향기구(미도시)가 작동되며 바퀴(미도시)의 방향이 변화된다. 이때, 일정크기 이상의 조향력이 작용하게 되면, 바퀴(미도시)와 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스티어링휠(미도시)을 통해 직접적으로 회전하는 입력축(10)에 비해 토션바(30)로 연계된 출력축(20)의 회전각도가 작아 토션바(30)가 비틀린다. 토션바(30)의 비틀림으로 제2검출링(42)과 제3검출링(43)의 각 톱니부(42a,43a)는 그 대향면적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됨과 동시에 코일(61,71)에 흐르는 유기전압이 변화된다. 이러한 유기전압의 변화는 코일(61,71)의 자기저항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신호처리장치(미도시)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다.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조향편차를 측정하고, 동력수단(미도시)을 가동시켜 이를 보상한다. 그리고 이때, 온도보상 검출코일조립체(60) 및 자기저항 검출코일조립체(70)는 그 측면 일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기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검출코일조립체들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열적변형이 흡수되고, 검출코일조립체들의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되어 토크센서가 토션바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에는 검출코일조립체의 측면과 대향하는 센서하우징의 외주에 마련되는 탄성지지부재와, 검출코일조립체와 탄성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는 상기 위치고정수단의 마련으로 외부로부터 검출코일조립체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열적변형이 효과적으로 흡수됨은 물론, 검출코일조립체들의 위치 변화가 방지되어 토션바에 작용하는 토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스티어링휠이 결합되는 입력축과 조향기구와 결합되는 출력축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는 토션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링, 상기 복수의 검출링 사이를 감싸도록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코일조립체, 상기 검출코일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센서하우징을 구비한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 토크센서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외면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에 밀착시키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검출코일조립체의 외주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내주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밀착부재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검출코일조립체 측에 형성되며 곡면으로 마련되는 곡면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재 측에 형성되며 평면으로 마련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탄력지지부재 측으로 돌출 연장된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센서.
KR1020010058135A 2001-09-20 2001-09-20 차량용 토크센서 KR10057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135A KR100575599B1 (ko) 2001-09-20 2001-09-20 차량용 토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135A KR100575599B1 (ko) 2001-09-20 2001-09-20 차량용 토크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311A KR20030025311A (ko) 2003-03-29
KR100575599B1 true KR100575599B1 (ko) 2006-05-03

Family

ID=2772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135A KR100575599B1 (ko) 2001-09-20 2001-09-20 차량용 토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28A (ko) * 2003-06-26 2005-01-07 주식회사 만도 비접촉식 토크센서
KR100746718B1 (ko) * 2004-06-16 2007-08-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101034648B1 (ko) * 2010-11-29 2011-05-16 주식회사 거창전력 광방향에 따른 집광효율을 높인 태양전지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564A (ja) * 1998-02-26 1999-09-17 Nippon Seiko Kk トルクセンサ
KR20000016936A (ko) * 1998-08-04 2000-03-25 로베르 쟝-에두아르 혈액 샘플 중의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및 백혈구 검출용 시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564A (ja) * 1998-02-26 1999-09-17 Nippon Seiko Kk トルクセンサ
KR20000016936A (ko) * 1998-08-04 2000-03-25 로베르 쟝-에두아르 혈액 샘플 중의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및 백혈구 검출용 시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311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712B1 (ko) 차량용 토크센서
EP2832626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P2243685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20100071481A1 (en) Torque detector
JP5153490B2 (ja) トルクセンサ
EP3460434B1 (en) Torque sensor and torque angle sensor,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02274399A (ja) 車両用トルク感知装置
KR100575599B1 (ko) 차량용 토크센서
CN106464044B (zh) 开关磁阻电机
KR100721106B1 (ko) 차량용 토크센서
KR100779489B1 (ko) 차량용 토크센서
JP5955611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KR100365702B1 (ko) 차량용 토크감지장치의 댐핑장치
KR100962928B1 (ko) 차량의 전기식 조향장치용 비접촉식 조향토오크 감지장치
KR100398700B1 (ko) 차량용 토크감지장치
JP3571610B2 (ja) トルクセンサ
JP200301183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3170957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416964B1 (ko) 차량용 토크감지장치
JP425995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87954Y1 (ko) 토크센서
JP2008111805A (ja) トルク検知センサ
JP465834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95406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센서
KR200287952Y1 (ko) 토크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