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794B1 - 다극 잭 - Google Patents

다극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794B1
KR100573794B1 KR1020040047602A KR20040047602A KR100573794B1 KR 100573794 B1 KR100573794 B1 KR 100573794B1 KR 1020040047602 A KR1020040047602 A KR 1020040047602A KR 20040047602 A KR20040047602 A KR 20040047602A KR 100573794 B1 KR100573794 B1 KR 10057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leeve
contact
plu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658A (ko
Inventor
스즈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슬리브스프링에 개량을 가해 다극 잭의 잭하우징을 소형화하는 것으로, 4극 잭을 하우징본체(1a) 및 그 선단의 슬리브부(1b)로 된 잭하우징(1),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된 플러그(p)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하는 슬리브스프링(6), 칩전극에 접촉하는 칩스프링(3), 링전극에 접촉하는 링스프링(4) 및 제2슬리브전극에 접촉하는 제2슬리브스프링(5)으로 구성하고, 슬리브스프링(6)의 암모양스프링(6c)을 기부(6a)의 슬리브부(1b)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일어서게 하고 슬리브부(1b)의 상부에 형성한 암수납구(1b)에 수납하면서 다른 상부까지 연장하여 그 선단의 접촉부(6d)를 도입구(1b2)를 통해 플러그삽입구멍(2)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접촉하게 한다.
슬리브스프링, 암모양스프링, 암수납홈, 슬리브부

Description

다극 잭{Multi polar jack}
도 1(a)는 실시예인 잭의 정면도, (b)는 배면도 ,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평면도, (f)는 저면도이다.
도 2(a)는 도 1(d)의 A-A선 단면도, (b)는 도 1(e)의 B-B선의 단면도, (c)는 도 1(f)의 C-C선 단면도, (d)는 도 1(d)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실시예인 슬리브스프링의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평면도, (e)는 저면도, (f)는 (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인 제2슬리브스프링의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5(a)는 실시예의 링스프링의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저면도, (e)는 (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6(a)는 실시예인 칩스프링의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잭하우징 1a : 하우징본체
2 : 플러그삽입구멍 3: 칩스프링
4 : 링스프링 5 : 제2슬리브스프링
6 : 슬리브스프링 7, 8 : 판모양접편
본 발명은 주로 테이프레코더나 라디오수신기 이외의 오디오기기로 음성신호 및 각종의 제어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다극 잭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다극 잭에는 3극, 4극 및 6극이 있지만, 각각 같은 극수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4극의 잭은 같은 극수의 플러그에 대응하여 칩스프링, 링스프링 및 두 개의 슬리브스프링으로 된 4종류의 스프링모양 접편과 플러그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각 스프링모양 접편을, 그것들의 각 접촉부를 삽입구멍의 대응하는 플러그와의 접촉부위에 접촉하게 하면서 지지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3극의 잭은 물론 동일한 극수이고 또한 상기 4극의 플러그에 의해 슬리브전극의 수가 하나 적은 플러그에 해당하며, 슬리브스프링이 한 개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른 구성은 4극의 잭과 거의 같다. 또한 상기 6극의 잭은 이것도 물론 동일한 극수이고 또한 상기 4극의 플러그의 외측에 2개의 접점링이 추가된 구성의 플러그에 해당하고 상기 4극의 잭의 하우징의 외주에 2개의 접촉스프링이 추가된 구성의 것이다(공개특허공보 평8-138807호, 공개특허공보 2002-117946호).
이들 다극 잭은 종래, 특히 이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부를 접촉시키는 복수의 스프링모양 접편을 어느 것이나 하우징본체에 배치하여, 그 접촉부를 상기 해당부위에 연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공개특허공보 평8-138807호, 공개특허공보 2002-117946호). 3극의 잭으로는 3개의 스프링모양 접편을 하우징본체의 상하좌우내의 3면에 각각 배치하고, 4극 이상의 잭에서는 4개의 스프링모양 접편을 하우징본체의 상하좌우의 4면에 각각 배치하며, 예를 들면, 그 속의 칩스프링은 하우징본체의 전단측에 기부를 배치하여 그 접촉부를 플러그삽입구멍 내 후방의 해당하는 부위까지 연장한 구성이고, 그외의 스프링모양 접편은 하우징본체의 후단측에 기부를 배치하여 그 접촉부를 플러그삽입구멍 내의 전방의 해당하는 부위까지 각각 연장하는 구성으로 한다. 어떻게든 이상의 스프링모양 접편은 모두 하우징본체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본체가 크고 두꺼워져 버리는 것은 방지되지 않는다.
또, 3극의 잭에는 이상과는 다르게, 플러그측과 임피턴스정합을 얻는 취지에서, 그 슬리브터미널에,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을 포함하는 형태로 한 쌍의 구부러진 스프링을 배치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등록특허공보 제3422485호). 이것은 수평판부 및 그 양측으로부터 늘어지는 측판부로 되는 문형의 터미널본체와 이 수평판부의 양측의 일부 및 양측판부의 일부를 똑바로 세워, 수평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한 상태로 형성한 한 쌍의 구부러진 스프링으로 되고, 한 쌍의 구부러진 스프링은 이 두 개의 문형의 슬리브터미널본체의 내측에 원통모양의 슬리브접촉원통부를 형성하기 위해 이 선단상호를 가까이 맞댄 상태로 꺾어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이 슬리브터미널은 하우징본체의 전단상부 및 양측에 형성된 위치결정홈에 그 문형의 터미널본체를 장착하고, 상부의 수평판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구부러진 스프링을 위치결정홈 내의 상부에 개구한 구멍을 통해 터미널본체중의 플러그 삽입구멍에 장착하고, 그 둘레의 벽을 따라 배치한 것이다.
이 3극의 잭은 슬리브터미널을 이상과 같이 구성하기 때문에, 플러그측과 임피던스의 정합성이 얻어지는 이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우수한 것이지만, 결국 하우징본체의 구성이 대형으로 되고, 이것을 얇고 작게 하고자 하는 요망에는 응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4극 이상의 잭에는 슬리브터미널을 하우징본체에 상기와 같이 배치하는 것은 스프링모양 접편의 수와의 관계에서 곤란하다.
본 발명은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슬리브스프링에 관해 개량을 가하는 것에 의해 잭하우징을 소형화한 다극 잭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은 하우징본체 및 그 선단측에 위치하는 원통모양의 슬리브부로 되고, 슬리브부의 선단에 플러그삽입구멍을 개구한 잭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하는 부위에 접촉부를 접촉시킨 슬리브스프링 및 그 외의 각 전극에 접촉된 부위에 접촉부를 접촉시킨 소정 수의 스프링모양 접편으로 구성한 다극 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스프링이 그 기부를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측부로부터 슬리브부의 측부에 걸리게 배치하고, 기부의 슬리브부측으로부터 암모양스프링을 일어서게 하여 반대측 측부상으로 연장하고, 그 선단의 접촉부를 반대측 측부상으로부터 상기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시켜서 구성한 다 극 잭이다.
본 발명의 2는 본 발명의 1의 다극 잭에 있어서, 상기 암모양스프링이, 상기 슬리브부의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한 암수납구를 상기 기부로부터 슬리브부의 반대측의 측상부까지 연장하고, 반대측의 측상부에 개구한 도입구에서 선단의 접촉부를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탄성후퇴 가능하게 접촉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1의 다극잭에 의하면, 슬리브스프링의 가동부인 암모양스프링 및 그 선단의 접촉부를 다른 스프링모양 접편의 배치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슬리브부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한편으로 다른 스프링모양 접편과의 간섭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게 여유를 가지고 설치가능하게 되며, 타방으로는 하우징본체에 구성하는 요소가 감소했으므로, 그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시킨 접촉부는 잭의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와의 접촉시에 탄력적으로 후퇴가능할 필요가 있고, 그 탄력적인 후퇴동작을 확보하기 위해서 접촉부를 선단에 배치한 암모양스프링은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암모양스프링의 길이는 가동부인 이 부위를, 상기 한 바와 같이, 슬리브부의 측부로부터 일어서게 하고, 반대측의 측상부까지 연장하는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2의 다극 잭에 의하면, 상기 암모양스프링을 슬리브부의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한 암수납구에 수납한 것이기 때문에, 특히 잭하우징의 두께 방향의 치수의 증대화를 피하고, 소형화, 박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 때문에, 상기 플러그삽입구멍에 플러그가 삽입되고, 이것에 접촉한 접촉 부가 약간후퇴동작을 한 경우에 암모양스프링은 암수납구에서 대응하는 후퇴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의 근접하는 물품류와의 간섭문제의 발생의 우려도 없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우징본체 및 그 선단측에 위치하는 원통모양의 슬리브부로 되고, 슬리브부의 선단에 플러그삽입구멍을 개구한 잭하우징과 각각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대응하는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슬리브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모양으로 구성한 다극 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스프링을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측부로부터 슬리브부의 측부에 걸리게 배치한 기부와 기부의 슬리브부측의 부위로부터 일어서게 하고, 반대측 측부상까지 연장한 암모양스프링과 암모양스프링의 선단에 위치하고, 반대측 측부상에서 상기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시켜서 배치한 접촉부로 구성한 다극 잭이다.
이 다극 잭은 하우징본체의 선단측에 플러그삽입구멍이 개구한 원통모양의 슬리브부를 구비한 것이 적용조건이다. 또한 그 극수는 복수이고, 플러그삽입구멍 내에서 적어도 스프링모양 접편의 내에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하는 슬리브스프링을 구비한 다극 잭이라면 적용가능하다. 3극 또는 4극의 잭 외 하우징의 외주측에 2개의 접촉스프링을 배치한 6극의 잭이라도,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하게 배치되는 스프링모양 접편에 따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적용가능하다.
가장 중요한 적용조건은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그 접촉부가 접촉하게 배치된 스프링모양 접편에 관한 것이고, 그 관점에서는 3극 또는 4극의 잭이 보다 적합성이 높은 적용대상이고, 그 중에서도 더욱 많은 스프링모양 접편이 혼합되어 소형화 가 한층 곤란한 4극 잭이 보다 적합성이 높은 적용대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모양 접편은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대응하는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스프링재로 된 접편부재의 전부를 칭하는 것이고, 그 하우징에의 설치부위, 플러그의 접촉대상전극, 그 외에 대응하여, 단자, 접촉부 및 암모양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모양 접편은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접촉부가 플러그의 칩전극에 접촉하는 칩스프링, 링전극에 접촉하는 링스프링, 슬리브전극에 접촉하는 슬리브스프링을 말하고, 또한 슬리브전극과 링전극 간에 제2슬리브전극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이것에 접촉하는 제2슬리브스프링도 포함하여 스프링모양 접편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모양 접편 내, 슬리브스프링에 특징이 있고, 이것이외의 칩스프링 및 링스프링 또는 제2슬리브스프링이 구성되는 경우는 이 제2슬리브스프링도 포함하고, 이것들에 대해서는 대게 종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스프링은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기부와 기부로부터 일어서게 한 암모양스프링과 그 선단에 배치한 접촉부로 되고, 도전성의 스프링재로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부는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일방의 전측부로부터 그 전단의 슬리브부의 측부에 배치한다. 하우징본체 및 슬리브부에 적당한 슬릿 등을 형성하여 기부를 부위에 배치할 수 있다. 슬릿 등에의 기부의 고정은 예를 들면 그 일부로부터 고정설편 등을 똑바로 세워서 이것을 슬릿 측면으로 누르는 등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 기부는 그 하우징본체 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하단부근으로부터 단 자를 인출해 두는 것이 적당하다. 이것도 당연히 기부와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 암모양스프링은 기부의 슬리브부 측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일어서게 한 것이고, 대체로 슬리브부의 주측에 따라 그 반대측의 측부상방까지 연장하고 그 선단의 접촉부를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슬리브부의 상부에는 둘레방향에 따라 암수납구를 형성해 두고, 암모양스프링은 이 속에 수납하고 이것에 따라 반대측 측부상방까지 연장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암수납구의 반대측상부에는 플러그삽입구멍에 연통하는 도입구를 개구하여 두고, 상기 암모양스프링의 선단의 접촉부를 도입구로부터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탄성후퇴 가능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또 상기 접촉부는 상기와 같이 암모양스프링의 선단에 구성하고,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해서 서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위이고, 이것에 알맞는 여러 구성을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모양스프링의 선단에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대면하는 쪽을 향해 볼록해 지는 반구형의 돌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극 잭에 의하면, 그 플러그삽입구멍에 대응하는 극수의 플러그를 삽입하면, 그 선단의 칩전극, 2번째의 링전극, 해당하는 경우에는 3번째의 제2슬리브전극에 각각 대응하는 칩스프링, 링스프링, 제2슬리브스프링의 접촉부가 이것들의 구성에 따라 동작을 하여 접촉하고, 또한 플러그의 가장 기부측의 슬리브전극에 슬리브스프링의 접촉부가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당연히, 잭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인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러그가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슬리브스프링의 접촉부는 플러그의 접촉부위에 의해 밖으로 눌러져 후퇴하게 되지만, 접촉부위는 기부로부터 연장된 암모양스프링의 선단에 구성되고 암모양스프링은 슬리브부의 한쪽 상부로부터 다른 쪽 상부까지 연장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때문에 상기의 후퇴동작은 탄력적으로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이 슬리브스프링을 적절한 탄력성을 가지는 스프링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접촉부는 적절한 스프링압으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암모양스프링은 상기와 같이 플러그가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접촉부를 후퇴동작시키면, 이것에 따라 외측으로 후퇴하고, 플러그가 빼내어지면 그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동작을 하고, 그 접촉부를 원위치까지 복귀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암모양스프링은 슬리브부의 지름방향에 약간 진퇴동작을 하는 것이 되지만, 그 움직임은 작기 때문에, 이것이 근접하는 외부의 물품류와 간섭을 발생하는 것과 같은 우려는 없다. 또한 슬리브부에 암수납구를 형성하고 이것에 암모양스프링을 수납한 경우는 한층 더 그 우려는 저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극 잭은 상기와 같이 그 슬리브스프링의 암모양스프링 및 그 선단의 접촉부를 잭하우징의 슬리브부에 배치한 것이고, 하우징본체 측에 배치한 요소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하우징본체의 두께방향 또는 폭방향의 치수를 저하시켜, 콤팩트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암모양스프링을 슬리브부의 상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형성한 암수납구에 수납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한층 더 잭하우징의 소형화, 박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적용한 4극 잭의 예이다.
이 실시예의 4극잭은 도 1(a) 내지 (f) 및 도 2(a) 내지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잭하우징(1)과 그 플러그삽입구멍(2)에 각 접촉부(3d, 4d, 5c, 및 6d)를 접촉시킨 칩스프링(3), 링스프링(4), 제2슬리브스프링(5) 및 슬리브스프링(6)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잭하우징(1)은 도 1(a) 내지 (f)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모양의 하우징본체(1a), 및 그 선단측에 돌출형태로 위치하는 원통모양의 슬리브부(1b)로 구성한 구성요소로, 물론, 절연성소재로 구성한 것이다. 슬리브부(1b)는 선단측의 외경이 약간 큰 직경으로 구성되고, 그 선단에 상기 플러그삽입구멍(2)을 개구시켜 개구부로부터 플러그(p)를 끼우고 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스프링(6)은 도 3(a) 내지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판상의 기부(6a)와 기부(6a)의 하우징본체(1a)에 배치된 측(도 3(b)중 좌측)의 하단으로부터 그 면에 직각으로 튀어나온 단자(6b)와 기부(6a)의 슬리브부(1b)에 배치된 측(도 3(b)중 우측, 도 3(c)중 좌측)의 상단으로부터 단자(6b)와 역방향으로 튀어나온 암모양스프링(6c)과 암모양스프링(6c)의 선단의 일부를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돌출시켜 형성한 접촉부(6d)와 기부(6a)중의 일부의 세면을 절개하여 직사각형모양의 부위를 형성하고 이것을 상기 암모양스프링(6c)을 튀어나오게 한 측에 비스듬히 상향으로 일으켜 구성한 고정설편(6e)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이 슬리브스프링(6)은 물론, 도전성의 스프링재로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암모양스프링(6c)은 도 3(a), (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단자(6b)와 반대측으로 돌출시켜 그 선단근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로 기울인 것으로 후술하며,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1b)의 한쪽 상부(좌측상부)로부터 다른 쪽 상부(우측상부)까지 슬리브부(1b)의 암수납구(1b1)에 수납되면서 연장되고, 그 선단을 다른 쪽 상부(좌측상부)에 개구하고 있는 도입구(1b2)로부터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접촉부(6d)는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된 플러그(p)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하기 위해 암모양스프링(6c)의 선단 하면측에 볼록하게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스프링(6)은 도 1(c), (e), (f) 및 도 2(a), (b),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기부(6a)를 잭하우징(1)의 하우징본체(1a) 및 슬리브부(1b)의 좌측부(플러그삽입구멍(2)을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형성한 슬릿(1a1, 및 1b3) 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슬릿(1a1, 및 1b3)은 각 하우징본체(1a) 및 슬리브부(1b)의 쌍방에 직립상태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본체(1a)의 일부에서 측방으로 열린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부(6a)의 하단에 구성한 단자(6b)는 열린 부위의 하방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상기 고정설편(6e)은 이 때, 도 2(a),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린 부위에서 내측의 하우징본체(1a)측의 면에 눌러져 접촉된 상태로 되고, 기부(6a)를 슬릿(1a1 및 1b3) 내에 장착한 상태로 된다.
상기 암모양스프링(6c)은 이상과 같이, 기부(6a)가 슬릿(1a1, 및 1b3) 내에 장착되고, 동시에 상기 슬리브부(1b)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한편, 도 1(e) 및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리브부(1b)의 상부에는 죄측상부로부터 우측상 부에 걸쳐 암수납구(1b1)가 형성되고 암수납구(1b1)의 우측상부에는 상기 플러그삽입구(2)에 연통하는 도입구(1b2)가 개구된다. 또한 암수납구(1b1)은 그 암수납구(1b1)으로부터 우측의 도입구(1b2)를 향해 하향경사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슬리브부(1b)의 상부에 배치되는 암모양스프링(6c)은 암수납구(1b1) 속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선단부는 도입구(1b2)를 통해 플러그삽입구멍(2)으로 약간 들어가게 되며, 그 하면측의 접촉부(6d)를 플러그삽입구멍(2)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하게 된다.
이하 상기 잭하우징(1)의 하우징본체(1a)에 배치된 상기 칩스프링(3), 상기 링스프링(4) 및 상기 제2슬리브스프링(5)에 대해 약술한다.
상기 제2슬리브스프링(5)부터 설명한다. 이 제2슬리브스프링(5)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모양의 기부(5a)와 그 하단(도 4(c) 중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5b)와 기부(5a)의 중앙부근으로부터 단자(5b)와 반대측에 원호모양으로 돌출된 판모양의 접촉부(5c)를 구비하고, 도전성부재로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이 제2슬리브스프링(5)은 도 1(a), (d), (e), (f) 및 도 2(a) 내지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a)의 앞부분측에 배치하고 접촉부(5c)를 플러그삽입구멍(2)에 접하게 한다. 이것은 동일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기부(5a)를 하우징본체(1a)의 우측(플러그삽입구멍(2)을 정면에서 본 경우) 앞부분의 위치에 형성한 슬릿에 눌러 넣고 그 접촉부(5c)를 플러그삽입구멍(2)에 접한 상태로 함으로써 구성한다. 이 때 동시에 상기 단자(5b)는 하우징본체(1a)의 오른쪽 하단에서 부터 옆으로 돌출한 상태로 된다.
상기 링스프링(4)은 도 5(a) 내지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모앙의 기부(4a)와 그 하단이 일부에서 외측으로 직각으로 튀어나온 단자(4b)와 기부(4a)의 상부일단에서 단자(4b)와는 반대측 옆으로 비스듬히 연장한 팔모양의 스프링(4c)과 그 선단부근을 단자(4b)와 반대측으로 굽어져 볼록하게 돌출된 접촉부(4d)를 구비하고, 도전성부재로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이 링스프링(4)은 도 1(a), (b), (c), (e), (f) 및 도 2(a),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의 좌측부 후방으로부터 중간부근에 배치하고 그 접촉부(4d)를 플러그삽입구멍(2)에 들어간 상태로 위치시킨다. 동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부(4a)를 하우징본체(1a)의 좌측(플러그삽입구멍(2)을 정면에서 본 경우) 뒷부분의 위치에 형성한 슬릿에 눌러 넣고 그 팔모양스프링(4c)을 하우징본체(1a)의 가동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연장하면 그 선단의 접촉부(4d)는 플러그삽입구멍(2)에 들어간 상태로 된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스프링(4)의 기부(4a) 및 팔모양스프링(4c)의 플러그삽입구멍(2) 측에는 기부(4a)와 평행하게 판모양접편(7)이 배치하고, 플러그(p)가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팔모양스프링(4c)의 접촉부(4d)와의 경계부가 판모양접편(7)의 앞쪽 끝의 접촉부(7a)에 접촉상태로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플러그(p)가 삽입되면, 이것에 의해 외측으로 눌러져 나가게 되고 경계부는 접촉부(7a)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판모양접편(7)의 하단측에는 옆으로 돌출한 단자(7b)를 구성한다.
상기 칩스프링(3)은 도 6(a) 내지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각형모양의 기부(3a)와 그 하단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단자(3b)와 기부(3a)의 내측의 앞쪽 끝에서부터 단자(3b)와는 반대측 옆으로 비스듬히 연장한 팔모양스프링(3c)과 그 선단도중을 단자(3b)와 반대측으로 굽어져 볼록하게 나오게 한 접촉부(3d)와 접촉부(3d)보다 선단측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반구모양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접점부(3e)를 구비하고, 도전성부재로서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이 칩스프링(3)은 도 1(a), (b), (d), (e), (f) 및 도 2(a), (b),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의 우측 뒷부분으로부터 우측 앞부분사이에 배치하고 그 접촉부(3d)를 플러그삽입구멍(2)으로 들어간 상태로 위치시킨다. 동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부(3a)를 하우징본체(1a)의 우측(플러그삽입구멍(2)을 정면에서 본 경우) 앞 뒤 사이에 형성한 슬릿에 눌러 넣어 그 팔모양스프링(3c)을 앞부분으로부터 하우징본체(1a)의 가동공간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상태로 배치하면, 그 선단도중의 접촉부(3d)는 플러그삽입구멍(12)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고 선단측의 접점부(3e)는 후술하는 판모양접편(8)의 접촉부(8a)에 접촉상태로 된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칩스프링(3)의 기부(3a)의 뒷부분측에 대면하는 플러그삽입구멍(2)측에는 기부(3a)와 평행하게 상기 판모양접편(8)이 배치되고, 플러그(p)가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팔모양스프링(3c)의 선단측의 접점부(3e)가 판모양접편(8)의 전단의 접촉부(8a)에 접촉상태로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플러그(p)가 삽입되면, 이것에 의해 외측으로 눌러져 나가게 되어 접점부(3e)는 접촉부(8a)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또한 판모양접편(8)의 하단측에 는 옆으로 돌출하는 단자(8b)가 구성된다.
또한 이상의 칩스프링(3), 링스프링(4) 및 제2슬리브스프링(5)의 각각의 접촉부(3d, 4d, 및 5c)는 플러그(p)를 잭하우징(1)의 플러그삽입구멍(2)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각각 대응하는 칩전극, 링전극, 제2슬리브전극에 눌러져 접촉된 상태가 되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슬리브스프링(6)의 접촉부(6d)가 같은 모양으로 삽입된 플러그(p)의 슬리브전극에 눌러져 접촉된 상태로 되는 위치관계에 있는 것도 물론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4극 잭에 의하면, 그 플러그삽입구멍(2)에 대응하는 4극의 플러그(p)를 삽입하고, 순차로 그 선단의 칩전극 또는 이것에 잇따르는 전극으로, 돌출하고 있는 접촉부(3d) 등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들어가고 이것을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하면, 선단의 칩전극은 칩스프링(3)의 접촉부(3d)에, 2번째의 링전극은 링스프링(4)의 접촉부(4d)에, 3번째의 제2슬리브전극은 제2슬리브스프링(5)의 접촉부(5c)에, 그리고 후단의 슬리브전극은 슬리브스프링(6)의 접촉부(6d)에 각각 접촉상태로 되고 서로는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 된다.
이 때 상기 칩스프링(3)은 그 접촉부(3d)가 플러그(p)에 외측으로 밀려서 후퇴하는 것에 의해 그 접점부(3e)가 상기 판모양접편(8)의 전단의 접촉부(8a)로부터 이탈되고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링스프링(4)도 마찬가지로 그 접촉부(4d)가 플러그(p)에 외측으로 밀려서 후퇴하는 것에 의해 그 팔모양스프링(4c)과의 경계부가 상기 판모양접편(7)의 접촉부(7a)로부터 이탈되고 여기서도 그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이 4극의 잭은 잭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인 전기적인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리브스프링(6)은 그 중요부분의 대부분을 잭하우징(1)의 슬리브부(1b)에 형성한 것이지만, 플러그(p)의 슬리브전극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슬리브스프링(6)은 플러그(p)가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되었을 때에 그 접촉부(6d)가 플러그(p)의 슬리브전극에 의해 외측으로 눌려져 후퇴하게 되지만, 접촉부(6d)는 상기 기부(6a)로부터 연장된 암모양스프링(6c)의 선단에 구성된 것이고, 또한 암모양스프링(6c)은 슬리브부(1b)의 한 쪽 상부에서 다른 쪽 상부까지 연장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후퇴동작은 탄력적으로 양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이 슬리브스프링(6)은 적절한 탄력성을 포함하는 스프링재로서 구성되는 것이고, 접촉부(6d)는 적절한 스프링압으로 플러그(p)의 슬리브전극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암모양스프링(6c)은 상기와 같이 플러그(p)가 플러그삽입구멍(2)에 삽입되어 접촉부(6d)를 후퇴동작시키면, 이것에 따라 외측으로 후퇴하고, 플러그(p)가 빼내어지면, 이 스프링힘에 의해 복귀동작을 하고 그 접촉부(6d)를 원위치까지 복귀시킨다. 이렇게 하여 팔모양스프링(6c)은 슬리브부(2)의 지름방향으로 약간의 진퇴동작을 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움직임은 적고 암모양스프링(6c)은 슬리브부(2)에 형성한 암수납구(1b1)에 수납한 것이기 때문에 그 동작에 의해 근접하는 외부의 물품류와 간섭을 발생하는 것과 같은 우려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4극 잭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그 슬리브스프링(6)의 암모양스프링(6c) 및 그 선단의 접촉부(6d)를 잭하우징(1)의 슬리브부(1b)에 배치하여 하우징본체(1a)측에 배치할 요소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하우징본체(1a)의 두께 방향 또는 폭방향의 치수를 저감시켜 콤팩트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스프링(6)의 암모양스프링(6c)을 슬리브부(1b)의 상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형성한 암수납구(1b1)에 수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잭하우징(1)의 소형화, 박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하우징본체 및 그 선단측에 위치하는 원통모양의 슬리브부로 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선단에 플러그삽입구멍을 개구한 잭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플러그삽입구멍에 삽입된 플러그의 슬리브전극에 접촉하는 부위에 접촉부를 접촉시킨 슬리브스프링 및 다른 각 전극에 접촉하는 부위에 접촉부를 접촉시킨 소정 수의 스프링모양접편으로 구성한 다극 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스프링은 그 기부를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측부로부터 슬리브부의 측부에 걸쳐 배치하고, 상기 기부의 상기 슬리브부측으로부터 암모양스프링을 일어서게 하여 반대측 측부상으로 연장하고, 그 선단의 접촉부를 반대측 측부상으로부터 상기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접촉시켜서 구성한 다극 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양스프링은, 상기 슬리브부의 상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형성한 암수납구를 상기 기부로부터 슬리브부의 반대측의 측상부까지 연장하고 반대측의 측상부에 개구한 도입구에서 선단의 접촉부를 플러그삽입구멍 내에 탄성후퇴 가능하게 접촉시킨 다극 잭.
KR1020040047602A 2004-03-19 2004-06-24 다극 잭 KR100573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9609A JP2005268067A (ja) 2004-03-19 2004-03-19 多極ジャック
JPJP-P-2004-00079609 2004-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658A KR20050093658A (ko) 2005-09-23
KR100573794B1 true KR100573794B1 (ko) 2006-04-24

Family

ID=3498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602A KR100573794B1 (ko) 2004-03-19 2004-06-24 다극 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08826A1 (ko)
JP (1) JP2005268067A (ko)
KR (1) KR100573794B1 (ko)
CN (1) CN1004265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5424B2 (ja) * 2006-03-17 2010-07-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JP2008300213A (ja) * 2007-05-31 2008-12-11 Smk Corp ジャック
JP5919997B2 (ja) * 2012-04-26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7456096B2 (ja) * 2019-06-11 2024-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529A (ja) 1999-10-29 2000-04-07 Smk Corp ジャック
KR20010022047A (ko) * 1998-05-22 2001-03-15 이케다 데루타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907A (en) * 1980-08-04 1983-01-11 Magnetic Controls Company Circuit monitoring jack
JP3268430B2 (ja) * 1997-02-26 2002-03-25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JP2003308933A (ja) * 2002-04-18 2003-10-31 Hosiden Corp ジャック
CN2600954Y (zh) * 2003-01-28 2004-01-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语音插座连接器(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047A (ko) * 1998-05-22 2001-03-15 이케다 데루타카
JP2000100529A (ja) 1999-10-29 2000-04-07 Smk Corp ジ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658A (ko) 2005-09-23
CN1671006A (zh) 2005-09-21
CN100426599C (zh) 2008-10-15
US20050208826A1 (en) 2005-09-22
JP2005268067A (ja)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793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EP1304770B1 (en) Coaxial connector with a switch
US7717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7857667B1 (en) Spring assembly with spring members biasing and capacitively coupling jack contacts
US20100248521A1 (en) Connector assembly featured head-to-head mating interconnection and quick-disconnection therefrom
US70940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nection
JP6023255B1 (ja) コネクタ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4846697B2 (ja) 電気コネクタ
US7008247B2 (en) Jack having switch
US6319030B1 (en) Switching receptacle connector
TW200302608A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US777583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lip member
US20080076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73794B1 (ko) 다극 잭
US6918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with pre-pressing structure
US7435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20090298348A1 (en) Contact terminal with contact engaging portion supported by reinforced spring arm
WO2004086570A1 (en) Audio jack connector
JP2011009122A (ja) コンタクトおよびこのコンタクトを用いたソケット
US7824228B1 (en) Audio plug connector
JP4527150B2 (ja) 電気的接触のための切替え機構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
US6457991B1 (en) Electrical connector couple having mating indication device
US7824229B1 (en) Audio plug connector
JP2012230877A (ja) 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