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662B1 -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662B1
KR100573662B1 KR1020040070254A KR20040070254A KR100573662B1 KR 100573662 B1 KR100573662 B1 KR 100573662B1 KR 1020040070254 A KR1020040070254 A KR 1020040070254A KR 20040070254 A KR20040070254 A KR 20040070254A KR 100573662 B1 KR100573662 B1 KR 10057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oner
voltage
roller
conductor plate
develop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491A (ko
Inventor
김정욱
연경열
정민영
장득우
석기원
주혜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662B1/ko
Priority to CNB2005100919534A priority patent/CN100414309C/zh
Priority to US11/216,103 priority patent/US7248060B2/en
Publication of KR2006002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실제로 인쇄를 하지 않고도 액체 토너의 화상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는 롤러와, 롤러의 아래에 위치하며 롤러가 접촉하여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도체평판과, 롤러와 도체평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롤러의 뒤에 롤러와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도체평판 위에 놓인 액체 토너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압측정기로 구성된다.
액체 토너, 표면전위, 전압변화, 최고전압, 현상롤러

Description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Test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Liquid Toner and Test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액체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에 의해 액체 토너의 전압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에 의해 측정한 액체 토너의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110; 롤러(현상롤러) 120; 전압측정기
121; 탐침(probe) 130; 도체평판
140; 전원장치 150; 컴퓨터
160,160'; 액체 토너 170; 이동수단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액체 토너(Liquid To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여 액체 토너로 인쇄를 하지 않고도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토너를 사용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입자가 작기 때문에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고속 프린팅이 가능하며, 토너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페이지당 인쇄원가가 저렴하다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습식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액체 토너는 용제인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계통의 액체 캐리어(liquid carrier) 내에 고분자 수지(resin), 착색제(pigment), 전하제어제(charge control agent), 분산보조제와 같은 첨가제들로 구성된 토너입자를 분산시켜 제조한다. 이때, 고분자 수지, 착색제, 전하제어제, 분산보조제 등의 고형성분은 약 10중량% 내외이고 나머지 약 90중량%는 용제성분이다.
이와 같은 액체 토너를 사용하여 인쇄를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념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체 토너는 현상기(10)를 통해 감광체(20)의 정전잠상을 현상한 후, 전사벨트(30)를 거쳐 전사롤러(40)에 의해 종이(P) 위에 전사된다. 이렇게 토너 입자가 전사된 종이(P)는 고온의 정착부(50)를 통과하면서 용제 성분은 휘발되고 고형성분은 경화되어 종이(P) 위에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칼라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현상기(10)를 4개 갖고 있으며, 미설명부호 31은 전사벨트(30)에 잔류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이다.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사벨트(30)를 사용하는 형식이외에 액체 토너가 감광체(20)로부터 종이(P) 위로 바로 전사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습식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액체 토너가 갖는 전기적 특성이 최종적으로 종이 위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여 종이에 인쇄될 화상의 품질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액체 토너의 전기적인 특성에 대한 평가는 토너 입자 단위 무게당 전하량, 즉 q/m(μC/g)의 측정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q/m은 현상기(10)에서 감광체(20)로의 전사단계(T0 단계, 도 1 참조)에서의 액체 토너의 전기적인 성질은 설명할 수 있지만 감광체(20)에서 전사벨트(30)로의 전사(T1 단계, 도 1 참조) 및 전사벨트(30)에서 전사롤러(40)에 의한 종이(P)로의 전사(T2 단계, 도 1 참조)에서의 전기적인 성질은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이 인쇄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화상형성기를 사용하여 특정 액체 토너로 실제로 인쇄를 한 후, 그 인쇄결과를 갖고 평가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액체 토너로 인쇄할 경우 인쇄품질이 어떠한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매번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여 실제로 인쇄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롭고,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체 토너의 인쇄품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 액체 토너에 의한 인쇄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토너가 놓이는 도체평판과, 상기 도체평판과 접촉하여 일정 거리 이동하도록 상기 도체평판 위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와 도체평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롤러의 뒤에 상기 롤러와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체평판 위에 놓인 액체 토너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를 포함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는 상기 롤러를 상기 도체평판 상에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측정기는 상기 롤러에 의해 평평하게된 액체 토너의 표면 전위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압측정기는 상기 전압변화를 그래프로 출력하거나,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측정된 전압변화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롤러는 상기 액체 토너가 사용될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토너가 놓이는 도체평판; 상기 도체평판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를 상기 도체평판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거리 회전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현상롤러와 도체평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현상롤러의 뒤에 상기 현상롤러와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체평판 위에서 상기 현상롤러에 의해 평평하게 된 액체 토너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를 포함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현상롤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는 컴퓨터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전압측정기로 측정한 전압값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평판 위에 액체 토너를 놓는 단계; 및 전압이 인가된 롤러로 상기 액체 토너를 평탄화시킨 후, 평탄화된 액체 토너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체평판 위에 놓는 액체 토너의 양은 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액체 토너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100)는 롤러(110), 도체평판(130), 전원장치(140), 전압측정기(120)로 구성된다.
롤러(110)는 도체평판(130) 위에 놓인 액체 토너(160)를 평탄화시키는 것으로서, 도체평판(130)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도체평판(130) 상에서 일정 거리 이동한다. 이때, 롤러(110)는 회전하면서 이동을 한다. 롤러(110)는 후술하는 전압측정기(120)의 탐침(121, probe)이 롤러(110)에 의해 평평하게 된 액체 토너 (160')상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롤러(110)를 일정한 힘으로 도체평판(130)과 접촉을 유지하며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롤러(110)에 이동용 지그(미도시)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110)는 평가대상인 액체 토너(160)가 사용될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평판(130)은 상기 롤러(110)의 아래에 위치하며, 롤러(11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는다. 또한 도체평판(130)은 철판,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장치(140)는 롤러(110)와 도체평판(130)에 일정 전압을 인가한다. 전원장치(140)로는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예:Trek사의 Model 605A)가 사용되며, 도체평판(130)에 음극(-)을 연결하고 롤러(110)에 양극(+)을 연결한다.
전압측정기(120)는 롤러(110)에 의해 평평하게 된 액체 토너(160')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그 탐침(121, probe)은 상기 롤러(110)의 뒤에서 롤러(110) 이동시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전압측정기(120)는 정밀한 측정을 위해 액체 토너(160')와 비접촉으로 그 표면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표면전위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전위계의 일례로는 Trek사의 Model370이 있다. 전압측정기(120)로 측정한 전압은 아날로그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그 변화를 관찰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디지탈로 처리하여 그래프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플로터가 부착된 계측기를 사용하거나 계측기를 컴퓨터(150)에 연결하여 측정값을 컴퓨터(150)로 저장한 후 이를 그래프로 변환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체평판(130) 상에 전기적 특성을 평가할 액체 토너(160)를 롤러(110) 전방에 놓는다. 이때, 액체 토너(160)는 1㎖ 이내를 도체평판(130) 위에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롤러(110)에는 양극(+)이 연결되고 도체평판(130)에는 음극(-)이 연결된 파워서플라이를 ON시킨다. 롤러(110)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동용 지그를 잡고 일정한 힘으로 롤러(110) 뒤에 설치된 탐침(121)이 롤러(110)에 의해 평평하게 된 액체 토너(160')의 중앙부 위에 위치할 때까지 민다(도 3 참조). 그러면, 전압측정기(120)에 의해 액체 토너(160')의 표면전위가 측정된다. 전압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전압은 실시간으로 컴퓨터(150)에 저장된다. 저장이 완료되면, 컴퓨터(150)를 통해 측정한 액체 토너(160')의 전압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이 그래프로부터 액체 토너(160')에 걸리는 최대 전압과 액체 토너(160')의 전압이 0V에서 최대 전압으로 상승하였다가 다시 0V로 감소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100)로 2가지의 액체 토너 - 하나는 인쇄품질을 알고 있는 액체 토너(이하, 'A 토너'라 함)이고, 다른 하나는 인쇄품질을 모르는 액체 토너(이하, 'B 토너'라 함)를 측정하였다. 도 6에 측정결과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A_1, A_2 그래프는 A 토너를 2회 측정한 결과이며, B_1, B_2 그래프는 B 토너를 2회 측정한 결과이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B 토너의 최대 전압이 A 토너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0V로 감소하는 시간도 A 토너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B 토너가 화상형성장치 내에서 현상될 때 필요한 충분한 대전 효율을 갖지 못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예측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로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여 A 토너와 B 토너로 종이에 인쇄한 결과 B 토너를 사용한 인쇄결과가 A토너를 사용한 인쇄결과보다 화상농도가 평균 0.4~0.5 정도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 측정한 특정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갖고, 다음과 같이 그 액체 토너로 출력한 출력물의 인쇄품질 을 평가할 수 있다. 먼저, 인쇄품질을 알고 있는 액체 토너(A 토너)에 대해 상기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특성 - 최대 전압과 0V로 감소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인쇄품질을 모르는 액체 토너(B 토너)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다. 그 후, A 토너와 B 토너의 최대 전압과, 전압이 0V로 감소하는 시간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B 토너의 최대 전압과 0V 감소 시간이 A 토너보다 작은 경우 B 토너의 인쇄품질이 A 토너보다 나쁘다고 평가할 수 있고, 반대로 B 토너의 최대 전압과 0V 감소 시간이 A 토너보다 큰 경우는 B 토너의 인쇄품질이 A 토너보다 좋다고 평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100')는 현상롤러(110), 도체평판(130), 이동수단(170), 전원장치(140), 전압측정기(120), 및 컴퓨터(150)로 구성된다.
현상롤러(110)는 도체평판(130)의 상측에 위치하며, 도체평판(130)과 접촉하하여 회전하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현상롤러(110)는 액체 토너(160)가 실제로 사용될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롤러를 사용한다.
현상롤러(110)의 일측에는 이동수단(170)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수단(170)은 동력을 발생시켜 현상롤러(1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72)와 현상롤러(110)가 회전하며 도체평판(130) 상을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171)를 포함한다. 구동부(172)는 공압실린더나, 모터와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과 같 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 현상롤러(110)의 아래에 위치하며, 현상롤러(110)가 접촉하여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도체평판(130)과, 이동수단(170)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현상롤러(110) 및 도체평판(13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140)와, 현상롤러(110)의 뒤에 현상롤러(110)와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도체평판(130) 위에 놓인 액체 토너(160)의 전압을 측정하는 탐침(121)과, 탐침(121)에 연결된 전압측정기(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터(150)는 디지털 출력이 가능한 전압측정기(120)로 측정한 전압을 저장하고 측정한 전압을 그래프로 출력한다. 또한, 컴퓨터(150)는 이동수단(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상롤러(110)의 전방의 도체평판(130) 상에 측정할 액체 토너(160)를 놓는다. 이때, 측정할 액체 토너(160)의 양은 1㎖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컴퓨터(150)로 시험장치(100')를 ON시키면, 전원장치(140)에 의해 현상롤러(110)와 도체평판(130)에 전압이 인가되고, 그 상태에서 이동수단(170)에 의해 현상롤러(110)가 일정 거리 이동한다. 그러면, 전압측정기(120)의 탐침(121)이 현상롤러(110)에 의해 평평해진 액체 토너(16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컴퓨터(150)는 전압측정기(120)의 탐침(121)에 의해 측정된 액체 토너(160)의 표면전위의 전압변화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전압측정이 완료되면 컴퓨터(150)의 출력수 단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압을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의 그래프로부터 측정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즉 최고 전압과 전압이 0V로 감소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토너의 인쇄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측정할 액체 토너를 도체평판 상에 놓는다(S100). 이때, 측정할 액체 토너의 양은 1 ㎖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전압이 인가된 롤러를 사용하여 액체 토너를 평평하게 만들고, 평평하게 된 액체 토너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S200). 이때, 롤러는 액체 토너가 실제로 사용될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체 토너의 전압변화는 표면전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전위계는 디지털 출력이 가능한 계측기를 사용하여 컴퓨터와 인터페이스시킨 후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측정된 액체 토너의 전압변화값으로부터 최대 전압과 전압이 0V에서 최대 전압이 되었다가 다시 0V로 감소되는 시간을 산출한다.
끝으로, 인쇄품질을 알고 있는 액체 토너와 최대 전압 및 전압이 0V로 감소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측정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로부터 인쇄품질을 예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여 실제로 인쇄를 한 후 화상품질을 볼 필요 없이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액체 토너의 평가가 편리하고 평가시간 및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미지의 액체 토너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평가시간 및 비용이 적게 드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4)

  1. 액체 토너가 놓이는 도체평판;
    상기 도체평판과 접촉하여 일정 거리 이동하도록 상기 도체평판 위에 배치된 롤러;
    상기 롤러와 도체평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롤러의 뒤에 상기 롤러와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체평판 위에 놓인 액체 토너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상기 도체평판 상에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기는 상기 롤러에 의해 평평하게된 액체 토너의 표면전위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기는 상기 전압변화를 그래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기는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측정된 전압변화값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액체 토너가 사용될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토너는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계통의 액체 캐리어(liquid carrier) 내에 고분자 수지(resin), 착색제(pigment), 전하제어제(charge control agent), 분산보조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8. 액체 토너가 놓이는 도체평판;
    상기 도체평판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를 상기 도체평판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 거리 회전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현상롤러와 도체평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현상롤러의 뒤에 상기 현상롤러와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체평판 위에서 상기 현상롤러에 의해 평평하게 된 액체 토너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현상롤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전압측정기로 측정한 전압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11. 도체평판 위에 액체 토너를 놓는 단계; 및
    전압이 인가된 롤러로 상기 액체 토너를 평탄화시킨 후, 평탄화된 액체 토너 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
  12. 제 11 항에서 상기 도체평판 위에 놓는 액체 토너의 양은 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액체 토너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
  14. 도체평판 위에 액체 토너를 놓는 단계;
    전압이 인가된 롤러로 상기 액체 토너를 평탄화시킨 후, 평탄화된 액체 토너 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액체 토너의 전압변화값으로부터 최대 전압과 전압이 0V에서 최대 전압이 되었다가 다시 0V로 감소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인쇄품질을 알고 있는 액체 토너와 최대 전압 및 전압이 0V로 감소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측정한 액체 토너의 인쇄품질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방법.
KR1020040070254A 2004-09-03 2004-09-03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057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254A KR100573662B1 (ko) 2004-09-03 2004-09-03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CNB2005100919534A CN100414309C (zh) 2004-09-03 2005-08-15 用于评测液体调色剂的电学性质的测试装置及其方法
US11/216,103 US7248060B2 (en) 2004-09-03 2005-09-01 Test apparatus for evaluating electrical properties of liquid toner and test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254A KR100573662B1 (ko) 2004-09-03 2004-09-03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491A KR20060021491A (ko) 2006-03-08
KR100573662B1 true KR100573662B1 (ko) 2006-04-26

Family

ID=3613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254A KR100573662B1 (ko) 2004-09-03 2004-09-03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3662B1 (ko)
CN (1) CN100414309C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466A (ja) * 1993-12-06 1995-06-23 Sharp Corp トナーの帯電量の測定装置
JPH09305025A (ja) * 1996-05-15 1997-11-28 Fuji Xerox Co Ltd トナー比電荷分布測定方法
JP2004226221A (ja) 2003-01-22 2004-08-12 Ricoh Co Ltd 単一トナー粒子の電荷量および質量の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922A (ja) * 1991-11-26 1993-06-15 Mita Ind Co Ltd トナー材料の帯電特性測定方法及びその測定装置
JP3606482B2 (ja) * 1995-11-10 2005-01-05 株式会社リコー 帯電量測定装置
JPH11264812A (ja) * 1998-03-19 1999-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湿式微粒子の帯電量測定装置
JP3105868B2 (ja) * 1998-08-07 2000-11-06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ナー濃度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132638B2 (ja) * 2000-10-30 2008-08-13 株式会社リコー 電気特性測定用セル
US6535700B1 (en) * 2000-11-03 2003-03-18 Xerox Corporation Liquid xerographic developability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466A (ja) * 1993-12-06 1995-06-23 Sharp Corp トナーの帯電量の測定装置
JPH09305025A (ja) * 1996-05-15 1997-11-28 Fuji Xerox Co Ltd トナー比電荷分布測定方法
JP2004226221A (ja) 2003-01-22 2004-08-12 Ricoh Co Ltd 単一トナー粒子の電荷量および質量の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3857A (zh) 2006-03-08
KR20060021491A (ko) 2006-03-08
CN100414309C (zh)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3285B1 (en) Developm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JP2003295540A (ja) 電子写真装置
JP4902515B2 (ja) バイアスされた荷電/転写ローラーをその場の電圧計及び光受容体厚み検出器として使用する方法並びにその結果でゼログラフィックプロセスを調整する方法
WO2014021869A1 (en) Techniques to determine concentration parameters of conductive liquid electrophoretic (lep) inks
US89486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measures time during which an image carrier contacts a toner carrier
JP2011522285A (ja) インク伝導率の測定方法
JP2927808B2 (ja) 静電記録装置とその感光体寿命評価方法
US4928065A (en) Voltammetry in low-permitivity suspensions
US68890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166550A (en) Charge measuring instrument
KR100573662B1 (ko) 액체 토너의 전기적 특성 평가시험장치 및 그 방법
EP0452818A2 (en) Electrostatic recorder and electrostatic latent image measuring instrument
KR100708126B1 (ko) 광수용기의 표면 전압 유지 방법
KR10046263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 제어방법
US5315353A (en) Image recording method including determining a gap between a photosensitive medium and a developing roller and apparatus therefor
US20070080693A1 (en) Contactles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points on a chargeable surface
US7248060B2 (en) Test apparatus for evaluating electrical properties of liquid toner and test method for the same
US6320387B1 (en) Charge measuring instrument for flexible materials
EP1349017A2 (en) A developing unit and density control method in electrophotography
US7062186B2 (en) Method of measuring resistance of a transfer roller
JP2002174953A (ja) 電荷移動状態の観測方法、及び電子写真システムにおける現像プロセスの評価方法
JP2002149005A (ja) 感光体劣化加速試験装置
KR100477665B1 (ko) 대전전압제어를 이용한 화상인쇄방법
US11143978B2 (en) Charge roller gap determination
EP3414627A1 (en) Photoconductor charging uniformity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