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661B1 -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661B1
KR100573661B1 KR1020040082631A KR20040082631A KR100573661B1 KR 100573661 B1 KR100573661 B1 KR 100573661B1 KR 1020040082631 A KR1020040082631 A KR 1020040082631A KR 20040082631 A KR20040082631 A KR 20040082631A KR 100573661 B1 KR100573661 B1 KR 10057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eveloper
developer
unit
slud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492A (ko
Inventor
이준희
박은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244,147 priority Critical patent/US7421238B2/en
Publication of KR2006003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화상이 전사된 후 화상전송매체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은 화상전송매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은 폐현상제포집부에서 폐현상제가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슬러지여과부는 각각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현상제에 함유된 슬러지를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 및/또는 제2다공성판부재를 통해 여과하도록 함으로써,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현상제의 슬러지 제거효율이 개선된다.
습식, 프린터, 현상제, 슬러지, 제거, 필터, 스폰지,

Description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used developer cleaning system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을 예시하는 부분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의 폐현상제받이의 슬러지 걸름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이 적용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선 I-I을 따라 취한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의 제1슬러지여과부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1슬러지여과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화상형성유닛 10: 전사벨트유닛
17: 화상전사벨트 100: 프린터
114: 폐현상제 150: 클리닝부
151: 클리닝블레이드 160: 폐현상제포집부
161: 폐현상제받이 170, 180: 슬러지여과부
171, 181: 다공성판부재 189: 폐현상제배출구
190: 폐현상제저장부 193: 연결튜브
195: 폐현상제저장통 200: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화상이 전사된 후 화상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와 같은 화상전송매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벨트 또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현상제로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사용하는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나누어지며, 습식의 경우에는 휘발성분의 액상 캐리어에 분말상태의 토너가 섞여있는 액체현상제가 현상제로 사용된다.
도 1은 액체현상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는 화상형성 유닛(5), 전사벨트유닛(10), 정착유닛(21), 배지유닛(30), 및 클리닝유닛(5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유닛(5)는 4가지의 칼라, 즉 블랙(black), 옐로우(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11), 네 개의 대전롤러(12), 네 개의 감광체(9), 및 네 개의 현상장치(13)를 포함한다.
각각의 현상장치(13)는 현상제저장부(6), 현상롤러(7), 디포지트(deposit)롤러(14), 메터링(metering)롤러(15), 및 클리닝롤러(16)를 구비한다. 현상제저장부(6)는 액체현상제(48)를 저장한다. 현상롤러(7)는 감광체(9) 하부에 위치한다. 디포지트롤러(14)는 현상롤러(7) 하부에 설치되고 액체현상제(48)에 전기력을 부가하여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을 형성한다. 메터링롤러(15)는 디포지트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면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한 토너량 또는 농도(% solid)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규제하여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nip)으로 공급한다. 클리닝롤러(16)는 현상롤러(7)를 클리닝한다.
디포지트롤러(14)와 메터링롤러(15)는 3-40 solid %의 고 농도의 액체현상제(48), 또는 사용중 변화되는 액체현상제(48)의 농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토너량 또는 농도의 현상제층을 현상롤러(7)와 감광체(9) 사이의 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 다.
각각의 감광체(9)는 감광드럼으로 구성되고, 상응하는 각각의 현상장치(13)에 의해 각각 다른 색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전사벨트유닛(10)는 제1전사롤러(8), 제2전사롤러(23) 및 화상전사벨트(17)로 구성된다. 화상전사벨트(17)는 벨트구동롤러(22)에 의해 제1, 및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을 따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회전한다. 제1전사롤러(8)는 감광체(9)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하고, 제2전사롤러(23)는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P)에 전사한다.
정착유닛(21)는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 및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는 기록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에 열을 가하며,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는 기록매체(P)를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에 대해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제1 및 제2 가열 및 가압롤러(25, 27; 26, 28)의 열과 압력으로 장착된 기록매체(P)는 배지유닛(30)의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와 제1 및 제2배지백업롤러(33, 34)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폐현상제 클리닝유닛(50)는 화상전사벨트(17)에 잔류하는 폐현상제(54)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레이드(51),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54)를 포집하는 폐현상제받이(63), 및 폐현상제받이(63)에 포집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통(40)으로 구성된다. 폐현상제저장통(40)은 통상 폐현상제받이(63)와 연결튜브(6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화상형성유닛(5)는 각 구성부분을 동작하여 네 가지 칼라를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화상형성 동작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감광체(9)에는 각각의 대전롤러(12)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에 의해 인쇄할 칼라의 화상에 대응하는 전하층, 즉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는 디포지트롤러(14)와 메터링롤러(15)에 의해 저장부(6)의 액체현상제(48)로부터 현상롤러(7)에 형성된 일정한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의 토너가 부착되어 현상제화상이 형성된다.
이때, 액체현상제(48)는 디포지트롤러(14)의 전기력에 의해 현상롤러(7)에 대전 현상제층으로 형성되고, 메터링롤러(15)에 의해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서 일정한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으로 현상롤러(7)에 형성된다.
각각의 현상장치(13)에 의해 각각의 감광체(9)에 현상된 현상제화상은 화상전사벨트(17)의 내측에 위치한 제1전사롤러(8)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감광체(9)로부터 화상전사벨트(17)로 1차 전사된다.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은 화상전사벨트(17)가 벨트구동롤러(22)에 의해 제1, 제2, 및 제3지지롤러(19, 20, 21)를 따라 회전 함에 따라 제2전사롤러(23)까지 이동하여 제2전사롤러(23)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기록매체(P)에 2차 전사된다.
기록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은 제1 및 제2가열롤러(25, 27)와 제1 및 제2가압롤러(26, 28)에 의해 기록매체(P)에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 후, 기록매체(P)는 배지유닛(30)의 제1 및 제2배지롤러(31, 32)와 제1 및 제2배지백업롤러(33, 34)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현상제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된 후, 화상전사벨트(17)는 계속 회전하여 제3지지롤러(21)의 측면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클리닝블레이드(51)까지 이동하며, 여기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표면에 잔존하는 폐현상제(54, 통상 기록지로 100% 전사되지 않고 90-95%만 전사됨)는 다음 화상인쇄를 위해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7)로부터 제거되어 폐현상제받이(63)에 포집된 후 폐현상제저장통(40)에 회수된다.
폐현상제(54)가 제거된 화상전사벨트(17)는 다시 각각의 감광체(9), 레이저 스캐닝 유닛(11) 및 현상장치(13)를 통해 다음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린터(1)는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54)를 폐현상제받이(63)에 저장하지 않고 연결튜브(66)를 통해 폐현상제받이(63)에 연결된 폐현상제저장통(40)에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유닛(5) 등의 교체시 폐현상제(54)가 외부에 누출되어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폐현상제(54)가 토너 등이 뭉쳐진 슬러지, 노파(Norpar), 및 캐리어를 함유하는 액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긁어져 폐현상제받이(63)로 모아진 폐현상제(54)를 슬러지가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폐현상제저장통(40)으로 보낼 경우 폐현상제받이(63)와 폐현상제저장통(40)을 연결하는 연결튜브(66)가 슬러지에 의해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결튜브(66)가 막히게 되면, 폐현상제(54)가 폐현상제받이(63)내에 계속 모이게 되고, 그 결과 폐현상제(54)가 폐현상제받이(63)에서부터 오버플로우되거나 화상형성유닛(5) 등의 교체시 외부에 누출될 수 있다. 폐현상제(54)가 폐현상제받이(63)에서부터 오버플로우되거나 누출되면, 전사유닛(10) 등의 주변 구성부품이 오염될 뿐 아니라 그로 인해 구성부품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린터(1)는 폐현상제받이(63)의 내부에 슬러지 걸름망(65)을 설치하고 있다.
슬러지 걸름망(6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태의 금속 또는 프라스틱 재질의 그물망으로 구성된다. 슬러지 걸름망(65)은 클리닝블레이드(51)에 의해 긁어져 폐현상제받이(63)로 모아진 폐현상제(54)를 큰 입자의 슬러지와 노파/캐리어액으로 분리하여 노파/캐리어액만 연결튜브(66)를 통하여 폐현상제저장통(40)으로 보낸다. 슬러지 걸름망(65)에 의해 여과된 큰 입자의 슬러지는 화상형성유닛(5) 등의 수명이 다할 때 까지 폐현상제받이(63) 내부에 남아 있다가 화상형성유닛(5) 등의 폐기시 함께 폐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러지 걸름망(65)은 그물망의 격자크기 보다 큰 입자의 슬러지만을 여과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러지 중에서 그물망의 격자크기 보다 작은 입자의 슬러지가 통과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슬러지 걸름망(65)을 통과한 작은 입자의 슬러지가 연결튜브(66)를 막히게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걸름망(65)은 폐현상제받이(63)의 형태에 맞게 제작해야 하므 로,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제작시 금형등이 필요하므로 제작코스트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현상제(54)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이 쉽고, 제작코스트로 많이 소요되지 않는 슬러지여과장치를 구비한 폐현상제 클리닝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화상이 전사된 후 화상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와 같은 화상전송매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 중에 함유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은 화상전송매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 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한 제1공간과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밖 에 위치한 제2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제1공간에 위치한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제2공간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공간에 위치한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폐현상제가 폐현상제저장부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러지여과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다공성판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제1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스폰지판으로 형성된다. 셀밀도는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 및 11 내지 16개 중 하나의 셀갯수를 가지는 셀밀도이고, 제1스폰지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1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제1셀밀도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셀밀도는 각각,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 및 11 내지 16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셀밀도이고, 제3 및 제4스폰지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은 폐현상제포집부의 제2공간에서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러지여과부는 제1다공성판부재의 셀밀도와 같거나 높은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다공성판부재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된다. 셀밀도는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 및 11 내지 16개 중 하나의 셀갯수를 가지는 셀밀도이고, 제2스폰지판은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2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제1셀밀도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셀밀도는 각각,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 및 11 내지 16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셀밀도이고, 제3 및 제4스폰지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전송매체는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벨트, 및 감광드럼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를 구비하는 전사유닛,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에 전사한 후 감광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와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한 후 화상전사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 중 적어도 하나를 클리닝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며;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감광체 및 화상전사벨트 중 적어도 한 곳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 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한 제1공간과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밖에 위치한 제2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제1공간에 위치한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제2공간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공간에 위치한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폐현상제가 폐현상제저장부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러지여과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갖는 제1다공성판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제1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스폰지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1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제1셀밀도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폐현상제포집부의 제2공간에서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러지여과부는 제1다공성판부재의 셀밀도와 같거나 높은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다공성판부재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2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제1셀밀도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벨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감광벨트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한 후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며;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 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공간은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한 제1공간과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밖에 위치한 제2공간을 포함한다. 이 때, 제1공간에 위치한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제2공간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공간에 위치한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폐현상제가 폐현상제저장부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폐현상제포집부의 제2공간에서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여 설명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등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급지카세트(도시하지 않음)에 적재된 용지와 같은 기록매체를 급지하는 급지유닛(도시하지 않음),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감광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5),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순차적으로 전사하고 화상전송매체를 구성하는 화상전사벨트(17)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10),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현상제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도시하지 않음), 및 현상제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된후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폐현상제(114)를 클리닝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을 구비한다.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을 제외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 또는 다른 공지된 프린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클리닝부(150), 폐현상제 포집부(160), 제1슬러지여과부(170), 및 폐현상제 저장부(190)를 구비한다.
클리닝부(150)는 화상전사벨트(17)에 잔류하는 폐현상제(114)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레이드(151)로 구성된다. 클리닝블레이드(151)는 화상전사벨트(17)에 잔류하는 폐현상제(114)를 긁어내기 위해 제3지지롤러(21)의 측면하부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화상형성면과 가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클리닝블레이드(151)의 양단부는 나사(157, 158)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폐현상제포집부(160)의 폐현상제받이(161)에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브라켓(155, 156)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부(150)는 클리닝블레이드(151)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화상전사벨트(17)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할 수 있는 다른 클리닝수단, 예를들면, 클리닝롤러(도시하지 않음), 또는 클리닝블레이드와 클리닝롤러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폐현상제포집부(160)는 클리닝블레이드(151)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7)에서 긁어져 낙하하는 폐현상제(114)를 포집하는 폐현상제받이(161)로 구성된다. 폐현상제받이(16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방체 형태를 가지며, 클리닝블레이드(151)하부에서 화상형성유닛(5)의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슬러지여과부(170)는 폐현상제(114)에 포함된 제1슬러지(116)를 1차 여과하는 제1다공성판부재(171)로 구성된다. 제1다공성판부재(171)는 폐현상제포집부(160)의 폐현상제받이(161)를 제1공간(164)과 제2공간(166)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받이(161)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다공성판부재(171)의 양단부는 클리닝블레이드(151)가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브라켓 (155, 156)과 폐현상제받이(161)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턱(174, 175) 사이에 배치되고, 접착제(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1및 제2 고정턱(174, 175)과 후술하는 폐현상제받이(161)의 제1바닥(163)에 고정된다.
제1다공성판부재(171)는 제1셀밀도, 예를들면,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브리지스톤(Bridge Stone)사의 HR-08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스폰지판(이하, '제1스폰지판'이라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1다공성판부재(171)는 제1셀밀도 보다 높은 제2셀밀도, 예를들면, 25mm의 길이내에 11 내지 16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브리지스톤사의 HR-13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1스폰지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셀밀도를 가지는 제1스폰지판으로 형성되든, 제1다공성판부재(171)는 3 내지 30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다공성판부재(171)에 의해 분리되는 폐현상제받이(161)의 제1공간(164)은 클리닝블레이드(151)에서 제거된 폐현상제(114)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2공간(166)은 클리닝블레이드(151)에서 제거된 폐현상제(114)가 낙하하는 위치밖에 위치한다. 또, 제1공간(164)에 위치한 폐현상제받이(161)의 제1바닥(163)은 제2공간쪽(166)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공간(166)에 위치한 폐현상제받이(161)의 제2바닥(165)은 폐현상제(114)가 후술하는 폐현상제저장부(190)의 폐현상제저장통(195)으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189)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클리닝블레이드(151)의 의해 폐현상제받이(161)로 낙하하는 폐현상제(11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닥(163)에 의해 제1공간(164)에서 제1다 공성판부재(171)를 통해 제2공간(166)쪽으로 유동하여 폐현상제(114)에 포함된 제1 및 제2슬러지(116,117)와 노파/캐리어액(115) 중 입자크기가 비교적 큰 제1슬러지(116)가 자연 여과된 후, 제2바닥(165)에 의해 제2공간(166)에서 후술하는 제2슬러지여과부(180)의 제2다공성부재(181)를 통해 다시 자연 여과된 다음 배출구(189)쪽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폐현상제(114)에 포함된 제2 슬러지(117)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180)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슬러지여과부(180)는 폐현상제받이(161)의 제2공간(166)에서 폐현상제배출구(189) 앞에 배치된 제2다공성판부재(181)로 구성된다. 제2다공성판부재(181)의 양단부는 폐현상제배출구(189) 앞에서 폐현상제받이(161)에 형성된 제2 및 제4고정턱(184, 185)과 폐현상제받이(161)의 제2바닥(165)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제2다공성판부재(181)는 제1다공성부재(171)의 셀밀도, 즉 제1셀밀도 또는 제2셀밀도 보다 높거나 같은 제3셀밀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스폰지판(이하, '제2스폰지판'이라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실시예에서, 제2다공성판부재(181)는 제2셀밀도, 즉 25mm의 길이내에 11 내지 16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브리지스톤사의 HR-13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다공성판부재(181)는 폐현상제(114)에 포함된 제1 및 제2슬러지(116,117)와 노파/캐리어액(115) 중 입자크기가 비교적 작은 제2슬러지(117)를 2차 여과한다.
제2다공성판부재(181)를 제1다공성판부재(171)의 셀밀도 보다 높거나 같은 제3셀밀도를 가지는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1셀밀도 또는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1다공성부재(171)에서 폐현상제(114)의 제1슬러지(116)가 1차로 여과되기 때문에, 2차로 여과하는 제2다공성부재(181)를 제1다공성판부재(171) 보다 낮은 셀밀도를 갖는 스폰지판으로 형성할 경우 추가 슬러지 여과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제2다공성판부재(181)는 제1다공성판부재(171)와 마찬가지로 3 내지 30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현상제저장부(190)는 제1 및 제2슬러지여과부(170, 180)의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171, 181)를 통해 제1 및 제2슬러지(116, 117)가 여과된 폐현상제(114)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통(195)으로 구성된다. 폐현상제저장통(195)은 연결튜브(193)를 통해 폐현상제받이(161)의 폐현상제배출구(189)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폐현상제(114)에 함유된 제1 및 제2슬러지(116, 117)를 각각 다른 셀밀도를 가지는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171, 181)를 통해 2단계로 여과하도록 함으로써, 폐현상제배출구(189)를 통해 배출되는 폐현상제(114)의 슬러지 제거효율이 개선될 뿐 아니라,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171, 181)를 폴리우레탄 재질의 스폰지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금형을 사용할 필요 없이 스폰지판을 절개하여 간단히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제작코스트가 절감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의 슬러지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아래 표1과 같은 실험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표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폐현상제저장통(195)에 회수되는 현상제(114)는 제1 및 제2슬러지(116, 117)가 함유되지 않은 노파/캐리어액(11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계 실험내용 투입량(ml) 누적경과시간(min) 여과정도
1 액체현상제(18% solid)와 슬러지 혼합후 제1바닥(163)에 10mm 두께로 쌓음 100 - -
2 액체현상제(6% solid) 5분간 투입 50 5 정상
3 액체현상제(18% solid) 5분간 투입 100 10 정상
4 10분간 대기 - 20 정상
5 노파 5분간 투입 100 25 정상
6 액체현상제(18% solid) 5분간 투입 100 30 정상
7 노파 20분간 투입 200 50 정상
8 60분간 대기 - 110 정상
9 액체현상제(18% solid) 5분간 투입 100 115 정상
10 액체현상제(6% solid) 5분간 투입 100 120 정상
11 60분간 대기 - 180 정상
12 노파 5분간 투입 100 185 정상
13 600분간 대기 - 785 정상
14 액체현상제(18% solid) 5분간투입 100 790 정상
15 60분간 대기 - 850 정상
이상에서,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제1 및 제2슬러지여과부(170, 180)가 각각, 한 층의 제1 및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171, 181)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슬러지여과부(170'; 제1슬러지여과부만 도시함)는 각각, 두 층, 즉 제3 및 제4스폰지판(173, 174)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171'; 제1다공성판부재도시함)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다공성판부재(171')는 제1셀밀도, 즉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브리지스톤사의 HR-08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3스폰지판(173)과, 제2셀밀도, 즉 25mm의 길이내에 11 내지 16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브리지스톤사 의 HR-13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4스폰지판(176)으로 구성되고, 제2다공성판부재는 제1다공성판부재(171')의 제3 및 제4스폰지판(173, 176)의 셀밀도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높은 셀밀도를 갖는 제3 및 제4스폰지판으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화상전송매체를 구성하는 화상전사벨트(17)의 하부에 설치되어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한 후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폐현상제(114)를 클리닝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화상전송매체를 구성하는 감광체에서도 감광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17)에 전사한후 감광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동일한 원리와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은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17)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10)을 포함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에서 화상전사벨트(17)에 남아있는 폐현상제(114)를 클리닝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습식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세스템(200)은, 감광체로써 감광드럼대신 감광벨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고 화상전사벨트(17)를 구비하는 전사벨트유닛(10)을 사용하지 않고 감광벨트에서 기록매체로 바로 현상제화상을 전사하여 정착하는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또는 전사/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에서도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동일 한 원리와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200)을 구비한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프린터(1)의 화상형성동작과 마찬가지로, 화상형성유닛(5)은 각 구성부분을 동작하여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고,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제1전사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광체로부터 화상전사벨트(17)로 1차 전사된 후, 제2전사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7)에서 기록매체로 2차 전사된다.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17)에서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화상전사벨트(17)는 벨트구동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계속 회전하여 제3지지롤러(21)의 측면에서 화상전사벨트(17)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클리닝블레이드(151)까지 이동한다.
클리닝블레이드(151)는 기록매체에 전사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7)의 표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114)를 화상전사벨트(17)로부터 긁어내게 되며, 클리닝블레이드(151)에 의해 긁어내어진 폐현상제(114)는 중력작용에 의해 현상제받이(161)내부로 낙하되어 제1공간(164)에 모인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전사벨트(17)에서 현상제받이(161)의 제1공간(164)으로 낙하되는 폐현상제(114)에 함유된 밀도가 높은 제1 및 제2슬러지 (116, 117)는 아래로 가라앉고 밀도가 낮은 노파/캐리어액(115)은 위로 뜨게된다. 또한, 위로 뜬 노파/캐리어액(115)은 제1 및 제2슬러지(116, 117)보다 유동성이 좋기 때문에 제1공간(164)에서 제2공간(166)쪽으로 하향 경사진 현상제받이(161)의 제1바닥(163)을 따라 제1 및 제2슬러지(116, 117) 보다 빠르게 제1다공성판부재(171) 쪽으로 이동한다.
제1다공성판부재(171)에 도달한 폐현상제(114) 중 입자크기가 제1다공성판부재(171)의 제1스폰지판의 셀 보다 작은 노파/캐리어액(115)와 제2슬러지(117)는 제1다공성판부재(171)를 쉽게 통과하는 반면, 입자크기가 제1다공성판부재(171)의 셀의 크기 보다 큰 제1슬러지(116)는 제1다공성판부재(171)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그후, 제1다공성판부재(171)를 통과한 노파/캐리어액(115)과 제2슬러지(117)는 배출구(189)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2바닥(165)을 따라 제2다공성판부재(181)쪽으로 이동한다.
제2다공성판부재(181)에 도달한 후, 입자크기가 제2다공성판부재(181)의 셀의 크기 보다 큰 제2슬러지(117)는 다시 제2다공성판부재(181)에 의해 여과되고, 입자크기가 제2다공성판부재(181)의 셀의 크기 보다 작은 노파/캐리어액(115)은 제2다공성판부재(181)를 통과하여 폐현상제배출구(189)쪽으로 이동한다.
그후, 폐현상제배출구(189)에 도달한 노파/캐리어액(115)은 연결튜브(193)를 통해 폐현상제저장통(195)에 회수된다. 이때, 노파/캐리어액(115)는, 제1 및 제2슬러지(116, 117)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폐현상제배출구(189)와 연결튜브(193)를 막 히게 하지않고 폐현상제저장통(195)으로 이동된다.
한편, 현상제화상이 전사된 기록매체는 정착유닛에 의해 현상제화상이 정착된후, 배지유닛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폐현상제에 함유된 슬러지를 적어도 한 종류이상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 및/또는 제2다공성판부재를 통해 여과하도록 함으로써,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현상제의 슬러지 제거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폐현상제에 함유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 및 제2다공성판부재를 폴리우레탄 재질의 스폰지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7)

  1. 화상전송매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상기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폐현상제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한 제1공간과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밖에 위치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상기 제2공간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폐현상제가 상기 폐현상제저장부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갖는 제1다공성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스폰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상기 제1셀밀도 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러지여과부는 상기 제1다공성판부재의 상기 셀밀도와 같거나 높은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갖는 제2다공성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상기 제1셀밀도 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11. 제5항 및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밀도는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 및 11 내지 16개의 셀갯수 중 하나를 가지는 셀밀도이며;
    상기 스폰지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12.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셀밀도는 각각, 25mm의 길이내에 6 내지 10개 및 11 내지 16개의 셀갯수를 가지는 셀밀도이며,
    상기 스폰지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송매체는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벨트, 및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14.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화상전사벨트를 구비하는 전사유닛;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현상제화상을 상기 화상전사벨트에 전사한후 상기 감광체에 남아있는 폐현상제와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한 후 상기 화상전사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 중 적어도 하나를 클리닝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상기 감광체와 상기 화상전사벨트 중 적어도 한 곳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상기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 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 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한 제1공간과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밖에 위치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상기 제2공간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폐현상제가 상기 폐현상제저장부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갖는 제1다공성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1스폰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상기 제1셀밀도 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러지여과부는 상기 제1다공성판부재의 상기 셀밀도와 같거나 높은 적어도 한 종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다공성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공성판부재는 하나의 셀밀도를 가지는 제2스폰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공성판부재는
    제1셀밀도를 가지는 제3스폰지판; 및
    상기 제1셀밀도 보다 높은 제2셀밀도를 가지는 제4스폰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벨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상기 감광벨트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한 후 상기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상기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포집하는 폐현상제포집부, 상기 폐현상제포집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폐현상제 포집부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제1슬러지여과부, 및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에 위치한 제1공간과 상기 클리닝부에서 제거된 폐현상제가 낙하하는 위치밖에 위치한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상기 제2공간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한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바닥은 폐현상제가 폐현상제 저장부로 배출되는 폐현상제배출구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클리닝유닛은 상기 폐현상제포집부의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폐현상제배출구 앞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슬러지여과부를 통해 1차 여과된 폐현상제에 포함된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슬러지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82631A 2004-10-14 2004-10-15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7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44,147 US7421238B2 (en) 2004-10-14 2005-10-06 Used developer clean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2369 2004-10-14
KR1020040082369 200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492A KR20060033492A (ko) 2006-04-19
KR100573661B1 true KR100573661B1 (ko) 2006-04-26

Family

ID=3714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631A KR100573661B1 (ko) 2004-10-14 2004-10-15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6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492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4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transfer device
JP5021383B2 (ja) 廃トナー収納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140440B (zh) 显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71909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liminates the inadvertence of mixed color toner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81688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100573661B1 (ko) 폐현상제 클리닝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421238B2 (en) Used developer clean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114403A1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81489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および湿式画像形成方法
JP2009183855A (ja) ろ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975824B2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427991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883523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
EP3841435B1 (en) Liquid carrier filtration
JPH1152738A (ja) 液体トナー掻き取りブレード
JP3734023B2 (ja) 電子写真装置
JPH1165292A (ja) 現像装置
JP3713390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1134101A (ja) 湿式電子写真装置
KR20050112675A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JP2608566B2 (ja) 湿式電子写真装置
JPH05289587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5250404A (ja) 画像形成装置
JPS60184277A (ja) 画像形成装置のトナ−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