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287B1 -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 Google Patents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287B1
KR100573287B1 KR1020040009584A KR20040009584A KR100573287B1 KR 100573287 B1 KR100573287 B1 KR 100573287B1 KR 1020040009584 A KR1020040009584 A KR 1020040009584A KR 20040009584 A KR20040009584 A KR 20040009584A KR 100573287 B1 KR100573287 B1 KR 10057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lock structure
coupling
wal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377A (ko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호남에스비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에스비티(주) filed Critical 호남에스비티(주)
Priority to KR1020040009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2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2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ceramics,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편이 형성된 블록형상의 블록구조체를 일정간격으로 대면하도록 배치하고 블록구조체를 플랫타이, 내부 연결봉 및 철근으로 배근을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골조 공사를 시행하며 공사 완료 후는 거푸집은 해체하지 않고 마감재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근 공사가 필요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을 벽체 완성후에도 제거할 필요가 없고, 거푸집과 배근을 일체로 설치하여 별도의 배근 작업과 거푸집 지지대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공장 생산의 규격화된 블록 구조체를 거푸집의 자재로 활용하여 벽체 완성후 별도의 마감작업이 불필요하며, 규격화된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거푸집 및 배근 구조를 완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제고 및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거푸집, 블록구조체, 플랫타이, 벽체, 슬라브, 인방

Description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A Dismonuting Wall And Floor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조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록구조체의 분해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9은 도 8의 C-C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D-D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E-E선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F-F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은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블록구조체의 사시도,
도 16는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블록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편이 형성된 블록형상의 블록구조체를 일정간격으로 대면하도록 배치하고 블록구조체를 플랫타이, 내부 연결봉 및 철근으로 배근을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골조 공사를 시행하며 공사 완료 후는 거푸집은 해체하지 않고 마감재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근 공사가 필요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 현장에서의 거푸집 시공과정을 보면, 바닥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철근에 연결하여 수직 수평 철근을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가는 철사로 철근을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속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한다. 거푸집은 배근된 철근과 약 3c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며, 거푸집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횡압력을 견디도록 지지대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을 대표하는 품목이 유로폼이다. 유로폼은 여러 종류의 부속자재(플랫타이, 웨치, 웨지판, 강관파이프 등)에 의해 조립되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골조공사 완료 후는 거푸집을 해체해야 한다.
또한 플랫타이가 골조면에 돌출되는 단점이 있어 플랫타이의 절단 작업이 필요하며 작업시 생기는 골조면의 흠집을 제거하는 모르타르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그리고 철근 배근 구조와 거푸집은 서로 연관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과 철근과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별도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에 의하면, 철근의 배근시 복잡성,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시공의 난이성, 거푸집의 지지대의 설치로 인해 작업환경이 복잡해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과 거푸집 제거 작업과 흠집 제거 작업 및 플랫타이 돌출부 제거 작업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과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거푸집을 벽체 완성후에도 제거할 필요가 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거푸집과 배근을 일체로 설치하여 별도의 배근 작업과 거푸집 지지대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공장 생산의 규격화된 블록 구조체를 거푸집의 자재로 활용하여 벽체 완성후 별도의 마감작업이 불필요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규격화된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거푸집 및 배근 구조를 완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제고 및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천공된 결합편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이상 형성되고, 결합편이 동일 높이상에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는 다수의 블록구조체; 일면에 반원형의 절개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판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되고, 각 양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대면하는 블록구조체에 형성된 동일높이의 결합편 사이에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는 플랫타이; 플랫타이의 절개부를 각각 수직 관통하는 다수의 철근; 및 각각의 결합편과 플랫타이를 고정하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은, 거푸집으로 구성되는 벽면의 개구부 상단이 형성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블록구조체의 각 내측면에 각각 접하고, 상향절곡면에는 블록구조체의 결합편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개구부 형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구조체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상단 결합편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수평띠와, 하나 이상의 하단 결합편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수평띠 및 상단 수평띠와 하단 수평띠 양단의 결합편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결합편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띠를 포함하고, 수평띠 및 수직띠로 형성되는 사각평면 상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푸집은,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와 결합편의 체결 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 체결되는 내부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합수단은, 못, 볼트 또는 리벳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 초 콘크리트층에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 각 벽체부의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를 포함하며, 벽체부는, 제 1결합편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이상 형성되고, 제 1결합편이 동일 높이상에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는 다수의 제 1블록구조체와, 일면에 반원형의 절개부가 동일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된 판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되고, 각 양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대면하는 제 1블록구조체에 형성된 동일높이의 결합편 사이에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는 플랫타이와, 플랫타이의 절개부를 각각 수직 관통하는 다수의 철근 및 각각의 결합편과 플랫타이를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층간 구획부는, 길이방향 양단이 대면하는 벽체부에 각각 걸쳐지고, 폭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수평면이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층간 베이스 형강 및 제 2결합편이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강의 수평면에 바닥면이 안치되고 수직면에 측면이 한정되도록 한 쌍의 층간 베이스 형강 사이에 형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 2블록구조체로 구성되어 병렬로 연속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 유닛과, 층간 베이스 형강을 벽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부는 중앙이 부분절개되어 병렬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의 인접한 형강의 두 개의 수직면이 삽입되고, 타단부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플랫타이의 일측의 구멍을 통해 결속되는 체결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블록구조체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상단 제 1결합편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제 1수평띠와, 하나 이상의 하단 제 1결합편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제 1수평띠 및 상단 제 1수평띠와 하단 제 1수평띠 양단의 제 1결합편에 각각 끼움결합 되어 상단 및 하단의 제 1결합편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1수직띠를 포함하고, 제 1수평띠 및 제 1수직띠로 형성되는 사각평면 상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블록구조체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상단 제 2결합편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제 2수평띠와, 하나 이상의 하단 제 2결합편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제 2수평띠 및 상단 제 2수평띠와 하단 제 2수평띠 양단의 제 2결합편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제 2결합편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2수직띠를 포함하고, 제 2수평띠 및 제 2수직띠로 형성되는 사각평면 상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벽체부는,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와 결합편의 체결 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 체결되는 내부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합수단은, 못, 볼트 또는 리벳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분명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부터 더 분명해 질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100)은 크게 블록구조체(10), 플랫타이(20), 철근(30), 결합수단(40) 및 내부 연결봉(50)으로 구성된다.
블록구조체(10)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천공된 다수의 결합편(11)이 블록구조체(10) 일면의 상/하단에 배치된다. 결합편(11)은 블록구조체(10)의 상/하단에 동일 개수로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단에 각각 2개씩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결합편(11)이 일면에 배치된 블록구조체(10)는, 결합편(11)이 동일 높이 상에서 대면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100)이 다른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과 만나는 부분에는 블록구조체(10)가 그대로 사용되기에는 곤란한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에는 블록구조체(10)의 길이보다 비교적 작은 토막 블록구조체(10')가 사용된다. 토막 블록구조체(10')도 일면의 상/하단 각각에 하나 이상의 결합편(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구조는 블록구조체(10)와 동일하다.
블록구조체(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하기로 한다. 플랫타이(20)는 일면에 반원형의 절개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판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되고,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대면하는 블록구조체(10)에 형성된 동일 높이의 결합편(11) 사이를 연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플랫타이(20)의 반원형의 절개부는 이하에서 설명될 철근(3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반원형 절개부가 형성된 각 플랫타이(20)가 한 쌍을 이루어 하나의 수직한 철근(30) 둘레에 접하여 철근(3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플랫타이(20)의 절개부를 2개를 구성하여 한 쌍의 플랫타이(20)가 2개의 철근(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께가 비교적 얇은 벽을 위한 거푸집에서는 절개부를 1개 구성할 수도 있고, 두께가 보다 두껍다면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철근(30)은 다수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철근(30)(이하 '수직철근'이라 한다)으로 구성되는데, 각 철근(3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랫타이(20)의 절개부를 각각 수직으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으로 수직철근(30)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철근(30)과 직교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미도시)(이하 '수평철근'이라 한다)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철근은 수직철근(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수직철근(3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평철근은 수직철근(30)이 세워진 후 수평방향으로 수직철근(30) 상호간을 결속하여 수직철근(30)과 플랫타이(20)의 결합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여 거푸집에 보다 큰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수직철근(30)과 수평철근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가는 철사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은 수직철근(3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수직철근(30) 및 수직철근(30)과 직교하는 수평철근을 포함하여 시공될 수도 있다.
내부 연결봉(50)은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20)와 결합편(11)의 체결 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 체결된다. 즉, 내부 연결봉(50)은,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의 동일 높이상에 대면하는 블록구조체(10)에서, 일면의 블록구조체(10)에 형성된 결합편(11) 및 그 결합편(11)과 각각 체결되는 플랫타이(20)의 결합부위를 블록구조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한 결합편(11) 및 플랫타이(20)의 결합부위와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은 블록구조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수단(40)은 각각의 결합편(11), 플랫타이(20) 및 내부 연결봉(50)을 고정한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결합수단(40)은, 각각의 결합편(11)의 결합구와 플랫타이(20) 및 내부 연결봉(5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편(11), 플랫타이(20) 및 내부 연결봉(50)을 고정한다. 따라서 결합수단(40)은 못, 볼트, 리벳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거푸집 제작시 흔하게 볼 수 있는 못으로 결합편(11), 플랫타이(20) 및 내부 연결봉(50)을 체결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보다 상세한 체결방식은 이하에서 설명될 본 실시예의 실시 순서에서 하기로 한다. 그리고 결합수단(40)은 현장 사정,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언급된 각 구성요소로 본 실시예가 구현되는 실시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거푸집(100)이 설치될 바닥면에 다수의 블록구조체(10)를 결합편(11)이 형성된 면이 대면하도록 배치한다. 즉, 거푸집(100)의 첫번째 단을 형성하는 블록구조체(10)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 때 거푸집(100)과 거푸집이 교차하는 부분에 블록구조체(10)가 채워지기 곤란한 부분에는 토막 블록구조체(10')가 채워진다. 그런데 토막 블록구조체(10')를 사용하여도 거푸집(100)의 체결방식은 변함이 없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따로 토막 블록구조체(10')를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블록구조체(10)가 대면하여 놓여지면, 대면하는 블록구조체(10)를 플랫타이(20)를 이용해 연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타이(20)의 일단은 일측의 블록구조체(10)에 형성된 결합편(11)에 결속하고, 타단은 대면하는 타측의 블록구조체(10)에 형성된 결합편(11)에 결속한다.
이 때, 플랫타이(20)는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10)에 형성된 상단 및 하단의 결합편(11)을 각각 연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편(11)을 블록구조체(10)의 상단에 2개, 하단에 2개를 형성하였으므로 대면하는 2개의 블록구조체(10)에는 총 4쌍의 플랫타이(20)가 체결된다. 그런데 거푸집(100)의 첫번째 단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플랫타이(20)로 블록구조체(10)의 하단 결합편(11)만을 연결한다. 그리고 여기서, 하단 결합편(11)의 상부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내부 연결봉(50)이 결속될 것이므로 플랫타이(20)는 하단 결합편(11)의 하부에 위치되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랫타이(20)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는 쌍을 이루는 플랫타이(20)의 절개부와 하나의 원형을 형성하게 되어 원형으로 수직철근(30)이 관통하게 되므로 한 쌍을 이루는 플랫타이(20)는 절개부 상호간이 대면하도록 하여 결합편(11)과 결속하여야 한다.
이 때 결합편(11)과 플랫타이(20)의 고정을 위해 결합편(11)에 형성된 결합 구와 플랫타이(20)의 양단의 구멍을 통해 못이 삽입된다. 고정방식은 삽입된 못의 하단을 손 또는 기구(예를 들면, 밴찌 등)를 이용해 일방향으로 구부리는 방식이다. 따라서 못은 비교적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결합편(11)의 두께와 플랫타이(20)의 두께를 합한 길이의 2 ~ 3배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블록구조체(10) 하단에서 이루어진 결합편(11)과 플랫타이(20)의 각 체결부위를 내부 연결봉(50)으로 연결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연결봉(50)은, 거푸집(100)의 일면을 이루는 블록구조체(10)의 하단 체결부위를 연속적으로 체결한다. 그리하여 내부 연결봉(50)은 블록구조체(10)와 동일높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블록구조체(10) 간을 고정하게 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 연결봉(50)의 일단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내부 연결봉(50)의 타단 사이의 공간에는 내부 연결봉(50)의 조각을 각 내부 연결봉(50)의 일단 및 타단이 겹치도록 결합하여 인접한 내부 연결봉(50)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 높이 상의 내부 연결봉(5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에 보다 큰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후 거푸집의 두번째 단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블록구조체(10)가 첫번째 단을 형성하는 블록구조체(10)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적조된다. 이 때 플랫타이(20)를 블록구조체(10)의 하단 결합편(11)에 결속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 결합편(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속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타이(20)가 첫번째 단의 블록구조체(10)의 상단 결합편(11)과 두번째 단의 블록구조체(10)의 하단 결합편(11)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이 후의 단 에서도 동일하다.
이 후, 못으로 두번째 단의 블록구조체(10)의 하단 결합편(11), 플랫타이(20) 및 첫번째 단의 블록구조체(10)의 상단 결합편(11)을 관통하게 한 후 휘어 3개의 구성요소를 결속한다.
다음에 첫번째 단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부 연결봉(50)을 결속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며 세번째, 네번째 단의 블록구조체(10)가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여기서 수직철근(30)은 상기에서 첫번째 단 또는 두번째 단의 블록구조체(10)를 적조할 때 시공될 수 있다. 수직철근(30)은, 한 쌍의 플랫타이(20)가 대면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절개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플랫타이(20)에 절개부를 2개씩 형성하여 한 쌍의 플랫타이(20)가 시공되었을 때 형성되는 절개부로 2개의 수직철근(30)이 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거푸집의 두께 등에 따라 2개 보다 적거나 더 많은 개수로 시공도 가능하다.
이 때 수직철근(30)에 수직으로 결속되는 수평철근을 시공하고자 한다면, 수평철근은, 수직철근(30)의 시공 직후 시공된다. 수직철근(30)과 수평철근의 결속은 일반적으로 가는 철사로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거푸집(100)이 완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 과정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결합 방식, 현장 상황 및 거푸집의 용도 등에 따라 시공 순서는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100)을 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따라서 건축물의 최하단을 이루는 기초부에 대한 시공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 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본 실시예를 보고 이해하는 본 분야에 익숙한 기술자에게는 통상적인 실시 변경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형성할 때 벽체부와 바닥층이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해 벽체부와 바닥층이 만나는 부분에는 블록구조체(10)를 생략하여 콘크리트가 벽체부와 바닥부에 연속적으로 타설 및 양생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록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체(10)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천공된 결합편(11)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구조체(10)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상단 결합편(11)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수평띠(13)와, 하나 이상의 하단 결합편(11)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수평띠(13) 및 상단 수평띠(13)와 하단 수평띠(13) 양단의 결합편(11)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결합편(11)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띠(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단 및 하단 수평띠(13)는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편(11)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띠(15)는, 상단 및 하단 수평띠(13)를 관통한 결합편(11)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를 통해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관계를 통해 결합편(11), 수평띠(13) 및 수직띠(15)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구조체(10)의 내부는, 수평띠(13) 및 수직띠(15)로 형성되는 사각평면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17)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메쉬(17)가 결합편(11)이 외부로 돌출되는 면을 기준으로 수평띠(13) 및 수직띠(15)의 후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와이어 메쉬(17)는 블록구조체(10)에 보다 큰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토막 블록구조체(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체(10)에 비해 외형이 비교적 작을 뿐 상기와 같은 블록구조체(10)의 내부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토막 블록구조체(10')도 수평띠(13) 및 수직띠(15)의 결합이 블록구조체(10)와 동일하게 내부에 존재한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9은 도 8의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D-D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거푸집(100)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개구부는 건축물에서 문이나 창문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거푸집에 개구부 형성판(60)을 추가하여 거푸집 제작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막아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구부 형성판(60)은, 거푸집(100)으로 구성되는 벽면의 개구부 상단이 형성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하여 배치되는 블록구조체(10)의 각 내측면에 각각 접하고, 상향 절곡된 면에는 블록구조체(10)의 결합편(11)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의 측면은 제 1 실시예에서 언급된 토막 블록구조체(10')가 사용되어 거푸집(100)의 측면부를 마무리하게 된다.
그 이외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실시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구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제 1 실시예와 같은 거푸집(100)을 형성한다. 이 후 개구부가 형성될 지점의 양측에만 블록구조체(10)를 적조하고, 개구부의 측면에는 토막 블록구조체(10')를 대서 마감한다.
토막 블록구조체(10')를 대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결합편(11)에 하나의 플랫타이(20)를 토막 블록구조체(10') 길이방향으로 대고, 동일 높이의 블록구조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체결하는 내부 연결봉(50)과 플랫타이(20) 및 하단 결합편(11)을 체결한다. 개구부 상단을 형성하기 전까지는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이 후 개구부의 상단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부 형성판(60)이 체결된다.
이러한 개구부 형성판(60)의 일단은 거푸집(100)에 형성하고자 하는 개구부의 일측에 걸쳐지고, 타단은 개구부의 타측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단일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구조체(10) 3개의 길이 정도의 개구부 형성판(60)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개구부의 폭이 보다 좁거나 넓다면 이에 따라 개구부 형성판(60)의 길이는 달리 될 수 있을 것이다.
개구부 형성판(60)의 길이방향 양단이 거푸집(100)에 지지되면, 블록구조체(10)의 결합편(11)을 개구부 형성판(60)의 관통구를 통해 삽입한다. 이러한 결합편(11)은 블록구조체(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결합편(11)이다. 결합편(11)이 삽입되면, 그 위에 내부 연결봉(50)이 체결된다. 내부 연결봉(50)의 체결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내부 연결봉(50)은 개구부 상단과 동일 높이에 적조되는 블록구조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 후 플랫타이(20)를 내부 연결봉(50) 상단에서 내부 연결봉(50)과 직각방향으로 체결한다. 따라서 도 7 및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결합편(11), 내부 연결봉(50) 및 플랫타이(20) 순으로 적층되어 못 등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플랫타이(20)의 절개부로 수직 철근(30)을 설치한다. 이 후의 거푸집 적층은 제 1 실시예에 설명한 순서대로 반복하여 시공된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E-E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F-F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슬라브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2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를 통해 구성되는 벽체부(100)와 본 실시예에서 새롭게 설명되는 층간 구획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체부(100)는 제 1블록구조체(10a), 플랫타이(20), 철근(30), 결합수단(40) 및 내부 연결봉(50)으로 구성되고, 층간 구획부(200)는 베이스 유닛(210)과 체결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유닛(210)은 층간 베이스 형강(220)과 제 2블록구조체(2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벽체부(100)는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되었으므로 이하에서는 층간 구획부(200)에 대해 설명하고, 층간 구획부(200)를 벽체부(10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시하기로 한다.
여기서 블록구조체(10)를 제 1블록구조체(10a)와 제 2블록구조체(230)로 구분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블록구조체(230)는 제 1블록구조체(10a)에 비해 보다 정사각형에 가깝다는 점 및 제 1블록구조체(10a)는 벽체부(100)에 사용되고 제 2블록구조체(230)는 층간 구획부(200)에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날 뿐 이들이 서로 다른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및 제 2블록구조체(10a, 230)는, 도 15 및 도 16에서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공통적으로 다수의 결합편(11a, 231)과 수평띠(13a, 233), 수직띠(15a, 235) 및 와이어 메쉬(17a, 237)가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 1결합편(11a)과 제 2결합편(231)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제 1블록구조체(10a)와 제 2블록구조체(230)에 포함된 결합편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결합편(11a, 23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베이스 유닛(210)은, 도 1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베이스 형강(220) 및 제 2블록구조체(230)로 구성된다. 층간 베이스 형강(220)은 길이방향 양단이 대면하는 벽체부(100)에 각각 걸쳐지고, 폭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수평면이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 배치된다.
그리고 제 2블록구조체(230)는 제 2결합편(231)이 상단에 위치되도록 형강(220)의 수평면에 안치되고 수직면에 양측이 한정되도록 대면하는 층간 베이스 형강(220)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층간 베이스 형강(220)은 "┗" 형상의 긴 부재로 길이방향 양단은 각각 대면하는 거푸집 상에 올려진다. 이 때 이러한 단일의 형강(220)을 폭방향 단면상에서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구분할 때 형강(220)은 수평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일정간격은 제 2블록구조체(230)가 적조될 수 있는 간격으로 제 2블록구조체(23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이 규격화되어 공장생산이 가능한 구조로 되도록 하기 위해 제 1블록구조체(10a)의 가로방향 길이과 동일한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블록구조체(230)가 대면하는 층간 베이스 형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조되어 베이스 유닛(210)을 구성한다. 즉, 다수의 제 2블록구조체(230)와 제 2블록구조체(230)의 하단 양측 모서리를 감싸는 두 개의 층간 베이스 형강(220)이 하나의 베이스 유닛(210)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다수의 베이스 유닛(210)이 병렬로 연속적으로 대접하여 설치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200)이 형성되는 것이다. 베이스 유닛(210)을 벽체부(100)에 고정하는 것은 체결판(2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체결판(240)은 층간 베이스 형강(220)을 벽체부(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부는 중앙이 부분절개되어 병렬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210)의 인접한 형강(220)의 두 개의 수직면이 삽입되고, 타단부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플랫타이(20)의 일측의 구멍을 통해 결합수단(40)에 의해 체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슬라브를 형성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블록구조체(10a, 230)를 적조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기는데, 이 부분은 도막 블록(230a)을 적조한다. 따라서 도막 블록(230a)은, 일단이 층간 베이스 형강(220) 의 수평면에 올려지고, 타단이 인접한 블록구조체(10a)의 상단에 올려지기 위한 크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층간 구획부(200)의 실시 순서는, 먼저 층간 베이스 형강(220)을 설치하고, 체결판(240)으로 플랫타이(20)에 고정한 후, 제 2블록구조체(230)를 적조하는 순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대면하는 거푸집 상에 층간 베이스 형강(220)의 길이방향 양단을 올려 놓는다. 이 때 층간 베이스 형강(220) 두 개의 수직면을 맞대어 "┻" 형상으로 한 후 플랫타이(20) 두 개당 하나씩 배치한다.
그 다음, 층간 베이스 형강(2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체결판(240)의 일단을 끼우고 체결판(240)의 타단을 동일 단면상에 있는 플랫타이(20)에 결합한다. 결합은 못 등을 체결판(240)의 체결구와 플랫타이(20) 일단의 구멍을 통과시킨 후 구부려 고정하는 방식이다.
층간 베이스 형강(220)이 올바른 위치에 고정되면 제 2블록구조체(230)를 층간 베이스 형강(220)의 수평면에 층간 베이스 형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적조한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작업으로 다수의 베이스 유닛(210)의 설치가 종료되면, 베이스 유닛(210)이 채우지 못한 슬라브의 측면부를 도막 블록(230a)을 적조하여 마무리한다.
도 15은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블록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16는 도 11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블록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블록구조체(10a, 230)는, 제 2블록구조 체(230)가 제 1블록구조체(10a)에 비해 보다 정사각형에 가깝다는 점 및 제 1블록구조체(10a)는 벽체부(100)에 사용되고 제 2블록구조체(230)는 층간 구획부(200)에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날 뿐 이들이 서로 다른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블록구조체(10a) 및 제 2블록구조체(2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제 1 및 제 2로 각각 구분한 것은 제 1 및 제 2블록구조체(10a, 23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는 서로 동일하다.
각각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블록구조체(10a)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천공된 제 1결합편(11a)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블록구조체(10a)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상단 제 1결합편(11a)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제 1수평띠(13a)와, 하나 이상의 하단 제 1결합편(11a)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제 1수평띠(13a) 및 상단 제 1수평띠(13)와 하단 제 1수평띠(13a)의 제 1결합편(11a)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제 1결합편(11a)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1수직띠(1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1블록구조체(10a)의 내부는, 제 1수평띠(13a) 및 제 1수직띠(15a)로 형성되는 사각평면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17a)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블록구조체(230)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천공된 제 2결합편(231)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블록구조체(230)의 내부도 제 1블록구조체(10a)와 유사한데, 하나 이상의 상단 제 2결합편(231)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제 2수평띠(233)와, 하나 이상의 하단 제 2결합편(231)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제 2수평띠(233) 및 상단 제 2수평띠(233)와 하단 제 2수평띠(233)의 제 2결합편(231)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제 2결합편(231)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2수직띠(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블록구조체(230)의 내부도, 제 2수평띠(233) 및 제 2수직띠(235)로 형성되는 사각평면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237)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서, 각 구성요소의 치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각 구성요소는 건물의 시공시에 필요한 벽체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치수가 정해질 수 있고, 구성요소와 유사한 건축부재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수평방향 철근을 사용한 실시예를 도면 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수평철근의 추가는 본 명세서에도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단순한 변형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의하면, 공장제작이 가능한 블록구조체, 플랫타이, 내부 연결봉 등을 통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배근 작업을 내부 연결봉, 플랫타이의 기본 골격에 철근을 배근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시공의 난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에 따라 거푸집 시공에 대한 인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은 물론이고 공기의 단축 과 공사비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부 건축현장에서 벽체나 바닥플레이트를 철근 콘크리트 모듈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시공하기도 하나 이러한 시공 방법은 공장제작물의 운반 및 시공이 어려워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은 건축물의 공작 제작화하는 현시점에 구성요소의 공장 생산, 비교적 간편한 운반 및 편리한 시공을 통해 바람직한 건축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구조체, 플랫타이 및 내부 연결봉의 기본 재료를 가지고 다양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랫타이에 철근의 배근을 위한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에 삽입된 철근의 직각방향으로 수평철근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는 벽체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대면하는 블록 구조체를 형성할 시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즉 대면하는 블록구조체를 연결하는 플랫타이 및 내부 연결봉의 인장력을 통해 블록 구조체 상호간이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도 고정될 수 있어 보다 단순하고 청결한 작업공간을 구축할 수 있고 지지장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블록구조체는 표면이 평탄하고 매끈하게 제조되므로 별도의 모르타르 마감이나 마감재의 사용없이 깨끗한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3)

  1. 거푸집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천공된 결합편(11)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11)이 동일 높이상에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는 다수의 블록구조체(10);
    일면에 반원형의 절개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판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되고, 각 양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대면하는 블록구조체(10)에 형성된 동일높이의 상기 결합편(11) 사이에 상기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는 플랫타이(20);
    상기 플랫타이(20)의 절개부를 각각 수직 관통하는 다수의 철근(30); 및
    상기 각각의 결합편(11)과 플랫타이(20)를 고정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상기 거푸집(100)으로 구성되는 벽면의 개구부 상단이 형성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블록구조체(10)의 각 내측면에 각각 접하고, 상향절곡면에는 블록구조체(10)의 결합편(11)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개구부 형성판(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거푸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10)의 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단 결합편(11)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수평띠(13)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단 결합편(11)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수평띠(13) 및 상기 상단 수평띠(13)와 하단 수평띠(13) 양단의 결합편(11)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결합편(11)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띠(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거푸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10)의 내부는, 상기 수평띠(13) 및 수직띠(15)로 형성되는 사각평면 상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1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거푸집.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상기 각 플랫타이(20)와 결합편(11)의 체결 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 체결되는 내부 연결봉(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거푸집.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은, 못, 볼트 또는 리벳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거푸집.
  7. 거푸집에 있어서,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100);
    상기 각 벽체부(100)의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부(100)는,
    제 1결합편(11a)이 일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편(11a)이 동일 높이상에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는 다수의 제 1블록구조체(10a)와,
    일면에 반원형의 절개부가 동일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된 판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되고, 각 양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대면하는 제 1블록구조체(10a)에 형성된 동일높이의 상기 결합편(11a) 사이에 상기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는 플랫타이(20)와,
    상기 플랫타이(20)의 절개부를 각각 수직 관통하는 다수의 철근(30) 및
    상기 각각의 결합편(11a)과 플랫타이(20)를 고정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층간 구획부(200)는,
    길이방향 양단이 대면하는 벽체부(100)에 각각 걸쳐지고, 폭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면이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층간 베이스 형강(220) 및 제 2결합편(231)이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형강의 수평면에 바닥면이 안치되고 수직면에 측면이 한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층간 베이스 형강(220) 사이에 상기 형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 는 제 2블록구조체(230)로 구성되어 병렬로 연속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 유닛(210)과,
    상기 층간 베이스 형강(220)을 상기 벽체부(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부는 중앙이 부분절개되어 병렬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210)의 인접한 형강(220)의 두 개의 수직면이 삽입되고, 타단부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플랫타이(20)의 일측의 구멍을 통해 결속되는 체결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록구조체(10a)의 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단 제 1결합편(11a)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제 1수평띠(13a)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단 제 1결합편(11a)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제 1수평띠(13a) 및 상기 상단 제 1수평띠(13a)와 하단 제 1수평띠(13a) 양단의 제 1결합편(11a)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제 1결합편(11a)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1수직띠(15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록구조체(10a)의 내부는, 상기 제 1수평띠(13a) 및 제 1수직띠(15a)로 형성되는 사각평면 상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17a)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블록구조체(230)의 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단 제 2결합편(231)이 각각 관통되는 상단 제 2수평띠(233)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단 제 2결합편(231)이 각각 관통되는 하단 제 2수평띠(233) 및 상기 상단 제 2수평띠(233)와 하단 제 2수평띠(233) 양단의 제 2결합편(231)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단 및 하단의 제 2결합편(231)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 2수직띠(2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블록구조체(230)의 내부는, 상기 제 2수평띠(233) 및 제 2수직띠(235)로 형성되는 사각평면 상의 일면부에 와이어 메쉬(23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는,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상기 각 플랫타이(20)와 결합편(11a)의 체결 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 체결되는 내부 연결봉(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은, 못, 볼트 또는 리벳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슬라브 거푸집.
KR1020040009584A 2004-02-13 2004-02-13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057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84A KR100573287B1 (ko) 2004-02-13 2004-02-13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84A KR100573287B1 (ko) 2004-02-13 2004-02-13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377A KR20050081377A (ko) 2005-08-19
KR100573287B1 true KR100573287B1 (ko) 2006-04-24

Family

ID=3726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84A KR100573287B1 (ko) 2004-02-13 2004-02-13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453B1 (ko) 2019-04-11 2021-06-01 남궁민우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102252141B1 (ko) 2019-05-22 2021-05-14 (주)다정하이테크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605A (ja) * 1994-02-28 1995-09-12 Tohoku Shizai Kogyo Kk 壁構造
JPH1018231A (ja) 1996-07-09 1998-01-20 Tamura Kogyo: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へのセパレータ取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20010023206A (ko) * 1997-09-02 2001-03-26 살바토레 트로바토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605A (ja) * 1994-02-28 1995-09-12 Tohoku Shizai Kogyo Kk 壁構造
JPH1018231A (ja) 1996-07-09 1998-01-20 Tamura Kogyo: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へのセパレータ取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20010023206A (ko) * 1997-09-02 2001-03-26 살바토레 트로바토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377A (ko)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304B1 (en) Structural thermal framing and panel system for assembling finished or unfinished walls with multiple panel combinations for poured and nonpoured walls
US5335472A (en) Concrete walls for buildings and method of forming
US20130047539A1 (en) Building Structure
SK136593A3 (en) Sheet metal structural member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0557335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WO2022150224A1 (en) Modular composite action panel and structural systems using same
KR100573287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EP2344703B1 (en) Stud frame
US1928748A (en) Concrete floor construction
JPH07116793B2 (ja) 建築用鋼板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壁柱
US2062724A (en) Permanent metallic form for concrete building structures
JPS58501239A (ja) 建築構造物、特に防空壕
US2075874A (en) Frameless building
KR100557330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0557276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0587216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JPS61169559A (ja) 組立鉄筋及びその組立鉄筋を用いた半既製コンクリ−ト版
JPH0449254Y2 (ko)
JP2022188502A (ja) 合成壁
KR20040094934A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KR200322026Y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WO2020222630A1 (ru) Круглопустотная плита безопалубочного вибропрессования
JPH08135195A (ja) 建造物内埋設用配筋および配筋方法
JPS63261037A (ja) ワツフルスラブの施工方法およびワツフルスラブの下部構成体
JP2000192662A (ja) 格子面状体の継手方法及び該格子面状体を用いる壁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