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682B1 -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682B1
KR100572682B1 KR20007006856A KR20007006856A KR100572682B1 KR 100572682 B1 KR100572682 B1 KR 100572682B1 KR 20007006856 A KR20007006856 A KR 20007006856A KR 20007006856 A KR20007006856 A KR 20007006856A KR 100572682 B1 KR100572682 B1 KR 10057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beam current
average
signal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70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306A (ko
Inventor
그리펜트록달프랭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1004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9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beam current of cathode ray tub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G09G1/165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using a CRT,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기술된다. 처리된 비디오 신호의 빔 전류 크기와 같은 특성의 피크 값이 결정된다. 비디오 신호의 동일한 특성의 평균값이 또한 결정된다. 이러한 평균값내의 변화가 추가로 감시된다. 그러므로, 비디오 신호의 특성은, 피크 값이 제 1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 2 임계값보다 적은 변화가 평균값에서 검출될 때만이 조정된다.

Description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CREEN SAVER FUN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면 보호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인데, 더 구체적으로, 처리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의 다양한 변화를 감시하는데 기초한 화면 보호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화면 보호기 응용은 널리 공지되었다. 화면 보호기 응용의 목적은, 화면의 활동(activity)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을 때 디스플레이의 형광체 화면상에서 고정된 패턴의 탄 자국(burning)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활동(inactivity)을 검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키보드 입력이 있는지를 감시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타이머는 각 키보드 입력 다음에 시작되고, 타이머가 다른 입력 전에 끝나면, 화면 보호기 응용은 화면이 공백이 되게 하거나 미리 결정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화면의 탄 자국을 방지한다. 화면은 또 다른 키보드 입력이 검출되자마자 복구될 것이다.
종래의 또 다른 화면 보호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움직임(motion)을 관찰하는 접근법을 취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후지쯔 제너럴 사(Fujitsu General Ltd.)에서 양도된 일본 특허 번호(6332418 A호)는 움직임 적응 회로를 갖는 화면 보호기 장치를 개시한다. 움직임 적응 회로는 비디오 신호를 검사하고, 해당 이미지의 움직임 특성을 결정한다. 정지한 화상(picture)이 검출되면, 타이머가 시작된다. 정지한 화상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까지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원(power supply)이 차단되어, 화면의 탄 자국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에 기초한 시스템은 복잡하여, 일반적으로 움직임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고가의 디지털 처리 회로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은 움직임 요소만 기초한 화면 보호기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화면의 불필요한 공백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전의 시스템은 일본 특허 출원 번호(09327031호)에서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특정 기간에서 비디오의 한 프레임의 피크 빔 전류 값을 결정한다. 시스템은 비디오 기준의 내부-프레임에 기초한 이미지의 움직임을 또한 검출한다. 그 후에, 휘도 제어 유닛은 정지 화상 디스플레이(still picture display) 동안 CRT의 빔 전류를 기준 전압 값에 해당하는 기준 전류 값으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복잡하고 고가의 회로를 필요로 한다. 특히, 움직임 적응형 3-차원 YC 독립 시스템(motion adaptive 3-dimension YC separation system)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움직임의 사용을 통해 상대적인 이미지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것은 A/D 변환기 및 디지털 프레임 저장 장치(stores)와 같은 고가의 성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가는, 비용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다른 기능에서 이미 사용된 회로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인식한다.
더욱이, 본 발명가는, 화면이 시간의 기간에 정적(static)일지라도,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해도, 화면을 공백으로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 바꾸어 말하면, 예를 들어, 화면 이미지가 정적일지라도,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저(low) 휘도(brightness) 및/또는 콘트라스트(contrast)이면 화면의 탄 자국이 일어날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기술된다. 처리된 비디오 신호의 빔 전류 크기와 같은 특성의 피크(peak) 값이 결정된다. 비디오 신호의 동일한 특성에 대한 평균값도 결정된다. 이러한 평균값의 변화는 추가로 감시된다. 그러므로, 비디오 신호의 특성은 피크 값이 제 1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 2 임계값보다 적은 변화가 평균값에서 검출될 때만 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회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비디오 신호의 소스는 저 레벨 칼라 신호 레드(r), 그린(g) 및 블루(b)를 갖도록 도시된다. 상기 신호의 소스는 텔레비전 수상기,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에 존재할 수 있다. 각 신호(r, g, b)의 각각은 드라이버 증폭기(11 내지 13) 중 각 하나에 결합된다. 드라이버 증폭기(11 내지 13)의 각각은, 키네스코프(kinescope)의 음극 또는 음극선 관(CRT)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각 노드를 구동하기 위한 각 출력 신호{레드(R), 그린(G), 블루(B)}를 제공한다.
더욱이, 피크 빔 전류 검출기(20)는 각 드라이버 증폭기(11 내지 13)의 전류 측정 출력단(14 내지 16)에 각각 결합된다. 전류 측정 출력단 각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노드로 들어가는 음극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피크 빔 전류 검출기(20)는 드라이버 증폭기(11 내지 13)의 하나의 음극 전류 크기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p)를 제공한다. 이러한 출력 신호(p)는, 그 기능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될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공급된다.
전류 측정 출력단(14 내지 16)은 또한 평균 빔 전류 검출기(30)에 또한 결합된다. 평균 빔 전류 검출기(30)의 기능은 음극 전류 중 평균 빔 전류 값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a2)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후에 출력 신호(a2)는 APL 변화 모니터(40)에 연결된다. 본 발명가는, 비디오 신호의 평균 화상 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의 변화를 감시하는 것이, 해당 이미지가 정적이거나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능률적이고 비용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또한 본 발명가는, APL의 변화를 감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그 대신 평균 빔 전류내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APL의 변화는 비디오 이미지내의 움직임의 변화를 나타내고, 평균 빔 전류의 변화는 APL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가 정적인지 또는 아닌지 결정하기 위해 평균 빔 전류의 변화를 감시한다.
따라서, APL 변화 모니터(40)는 검출기(30)로부터 평균 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a2)를 감시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APL에 변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c)를 제공한다. 이 출력 신호(c)는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장치의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결합된다.
평균 빔 전류 검출기(3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출력은 본 발명의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직접 결합되는 신호(a1)이다. 출력 신호(a1)는 처리된 빔 전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신호(a1)는, 1981년 2월 24일에 에브리(Avery)에 의해 발표된 미국 특허 번호(4,253,121호)에서, 상기 예에 대해 개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장치의 D.C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신호(a1)를 수신하는데 더하여,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신호(p 및 c)를 또한 수신한다. 이러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은 드라이버 증폭기(11 내지 13)의 키네(kine) 구동 전류(R, G, 및 B)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17 내지 19)를 제공한다. 더욱이,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어 신호(22)를 제공함으로써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비디오 신호의 휘도 및/또는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서 도시된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의 일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인 키네 드라이버 증폭기(11)는 트랜지스터(Q21 내지 Q23)를 갖도록 도시된다. 도 1에서 도시된 신호 소스(10)로부터의 레드 신호(r)는 입력으로서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드라이버(1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22)의 에미터(emitter)로부터 취득되고, 예를 들어, CRT(미도시)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레드 음극 노드에 연결된다.
측정 저항(R1)은 PNP 버퍼 트랜지스터(Q23)의 콜렉터(collector)에서 측정 다이오드(CR1)와 직렬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23)의 콜렉터는 또한 전류 측정 출력(14)의 역할을 한다. 상기 측정 출력단(14)은 아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 모두에 도시된 검출기(20 및 30) 모두에 결합된다. 그린 및 블루 드라이버 증폭기(12 및 13)는 레드 드라이버 증폭기(1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도시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먼저, 피크 빔 전류 검출기(20)의 작동이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먼저 기술될 것이다. 레드, 그린 또는 블루 드라이버 증폭기 중 하나에 있는 2 mA의 음극 전류는 Q1, Q2 또는 Q3의 에미터에서 약 2V를 발생시킬 것이다. 이는, Q1의 경우에, 다이오드(CR1)와 저항(R1)을 통한 전압강하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미터 전압 강하와 매칭(match)되기 때문이다. 드라이버 증폭기(12 및 13)에 대한 측정 다이오드 및 저항과 유사한 장치가 사용되지만 도시되지 않았다. 3개의 측정 출력단의 최대 음극 전류는 검출기(20)의 포인트(point)(31)에서 검출된다.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는, 최대 음극 전류가 2 mA를 초과할 때 Q4가 도통되도록 바이어스된다. 이러한 도통은, 커패시터(C5)가 충전될 때까지 트랜지스터(Q5 및 Q6)가 래치(latch)하게 한다. 빔 전류가 2 mA 이상의 레벨로 유지됨으로서 Q5는 포화된 채로 남아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피크 빔 전류 검출기(20)의 출력(p)은, 음극 빔 전류(R, G, B) 중 하나가 2 mA를 초과할 때 높아질 것이다.
이하 평균 빔 전류 검출기(30)의 작동이 기술될 것이다. 회로(30)는 점선으로 둘러싸이도록 도시된다. 회로(30)는 전술한 검출기(20)를 갖는 회로의 부분, 즉 성분(Q1 내지 Q3) 및 관련된 저항(R11 내지 R13), 및 커패시터(C11 내지 C13)를 공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성분으로부터 출력단(31)은, 레드, 그린 또는 블루 드라이버(11 내지 13) 중 하나에 있는 최대 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그 후에 이 출력단(31)은 직렬로 연결된 R16 및 C6에 의해 형성된 적분기에 연결된다. 따라서, R16 내지 C6의 적분기로부터의 출력(a2)은 검출된 최대 빔 전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그 후에 이 필터링된 출력 신호(a2)는 APL 변화 모니터(40)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APL 모니터는 Q8 내지 Q14를 포함하는 차분(differential) 비교 회로를 포함한다. 양 또는 음 중 하나인 입력 레벨(a2)에서의 변화는 Q8 또는 Q9 중 하나가 도통하게 하고, 그 결과 Q14가 도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정적인 것을 나타내어, 평균 빔 전류에 어떠한 변화도 없을 때 Q14의 출력은 높아진다.
빔 전류 제어 시스템의 일예는 검출기(20 및 40)의 출력(p 및 c)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하는 블록(50)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신호는 저항(R30 및 R32)을 통해 각각 트랜지스터(Q7)에 연결된다. 피크 빔 전류 검출기(20)가 빔 전류(즉, Q5는 고 출력을 갖는다) 중 하나에서 2 mA가 초과된다는 것을 나타낼 때, 트랜지스터(Q7)는 천천히 도통될 것이고 Q15가 도통되게 되며, 또한 검출기(30)는 어떠한 움직임도 나타내지 않는 APL(즉, Q14는 높음)에서 어떠한 변화도 감지하지 않는다. 필터 커패시터(C9)는 긴 시간 상수를 발생시키기 위해 피드백 경로에 연결된다.
Q15의 전류 출력은, 감지 포인트(52)를 감시하는, 예를 들어, 비디오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51)에 연결되고, 이에 응답하여, 도 1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은 빔 전류 구동 제어 신호(17 내지 19, 및/또는 22)를 제공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Q15의 감지 포인트(52)는 공지된 방법으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이산 논리에 결합되는데, 상기 이산 논리는 제어 신호(17 내지 19, 및/또는 22)에 상당하는 것을 제공할 것이다.
도 2b는 또한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본 발명의 회로도 형태로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대부분의 회로가 도 2a에서 도시된 회로와 유사하기 때문에, 도 2b는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 사이의 주요한 차이는 도 2b에 있는 트랜지스터(Q1a 내지 Q3a)의 추가 및 관련된 저항(R16a 내지 R16c 및 R40 내지 R42)이다. 이러한 성분의 추가 때문에, 신호(a1)는 이제 이용가능하다. 신호(a1)는 도 1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키네 드라이버 증폭기(11 내지 13)에 있는 모든 3개의 빔 전류(R, G, B)의 평균을 나타내고, 도 1과 관련하여 전술되었다. 도 2b에서의 신호(a1)는,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연결되고,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비디오 신호 소스(r, g, 및 b)의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더욱이, 동일한 신호는 비디오 신호내의 움직임의 변화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APL 변화 모니터(40)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도 2b에 있는 신호(a2')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2b에 있는 신호(a2')는 모든 3개의 빔 전류(R, G, B)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반면, 도 2a내의 신호(a2)는 도 2a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3개의 빔 전류(R, G, B)의 최대 빔 전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단계는 이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의 단계(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된 비디오 신호의 평균 빔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a1)는 도 1의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의해 감시된다. 예를 들어, 감시된 평균 빔 전류가 예를 들어 1.5 mA와 같은 제 1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 신호는 도 3의 단계(104 및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신호의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도록 생성된다.
단계(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된 비디오 신호의 빔 전류 크기와 같은 특성의 피크 값을 나타내는 또 다른 신호(p)는 도 1의 빔 전류 제어 시스템(50)에 의해 또한 감시된다. 예를 들어, 감시된 피크 빔 전류가 예를 들어 6 mA와 같은 또 다른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 신호는 도 3의 단계(105 및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신호의 빔 전류 크기를 조정하도록 또한 생성된다.
최종적으로, 단계(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화상 레벨(APL)내의 변화는 처리된 이미지내의 움직임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또한 감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PL내의 변화는 도 2a 및 도 2b의 예시적인 회로(30 및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전류 크기의 평균값의 변화를 감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106 및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 빔 전류가 예를 들어, 2 mA와 같은 또 다른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만이, 및 APL내에 어떠한 변화도 없을 때(즉, APL 변화는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신호의 빔 전류 특성을 조정하도록 생성될 것이다. 단계(104 내지 106)가 빔 전류 제어의 예로서 비디오 신호의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는 과정만을 보여줄지라도,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의 휘도를 감소시키거나, 콘트라스트와 휘도 모두를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화면 보호기 기능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된 패턴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면 최대 평균 빔 전류와 피크 빔 전류에서 디스플레이가 작동하게 하고, 패턴이 검출된 동안 어떠한 변화도 없거나, 임계값보다 적은 패턴내에 변화가 있을 때, 감소된 피크 빔 전류(즉, 2 mA)에서 작동한다. 최대 피크 빔 전류 성능(즉, 6 mA)은 패턴이 변화할 때 복구된다. 이러한 화면 보호기 기능은 손쉽게 관찰하기 위해 최대 피크 빔 전류 및 평균 빔 전류에서 영사(projection) 디스플레이를 작동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특히 영사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도움이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와 같은 임의의 모니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예와 변화가 단지 도시를 위해서이고,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리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의 다양한 변화를 감시하는데 기초한 화면 보호기 장치 및 방법에 이용된다.

Claims (12)

  1. 비디오 신호(r, g, b)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피크 빔 전류 값을 결정하기 위한 피크 검출기(20)와,
    상기 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평균 빔 전류 값을 결정하기 위한 평균 검출기(30), 및
    임의의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기 피크 빔 전류 값, 및 임의의 제 2 임계값보다 적은 상기 평균 빔 전류 값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의 화상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기(50)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비디오 신호의 콘트라스트(contrast)인, 신호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비디오 신호의 휘도(brightness)인, 신호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빔 전류 값의 변화는 변화 모니터(40)에 의해 감시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전류 제어기는 상기 특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특성을 조정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의 피크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신호의 상기 평균값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신호의 상기 평균값의 변화가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 값이 임의의 제 1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평균값에서의 변화가 검출될 경우에만 상기 비디오 신호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는 상기 평균값의 변화가 임의의 제 2 임계값보다 적을 경우에만 조정되는,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상기 비디오 신호에 의해 나타난 이미지의 평균 화상 레벨에 해당하는,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007006856A 1997-12-29 1998-12-21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72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71297P 1997-12-29 1997-12-29
US60/068,712 1997-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306A KR20010040306A (ko) 2001-05-15
KR100572682B1 true KR100572682B1 (ko) 2006-04-19

Family

ID=2208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7006856A KR100572682B1 (ko) 1997-12-29 1998-12-21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42910B1 (ko)
JP (1) JP4343429B2 (ko)
KR (1) KR100572682B1 (ko)
CN (1) CN1177466C (ko)
AU (1) AU1833399A (ko)
DE (1) DE69839890D1 (ko)
MX (1) MX218615B (ko)
WO (1) WO1999034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6900B1 (en) * 2000-06-28 2002-1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display screen saver
WO2002037842A1 (en) * 2000-10-31 2002-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WO2003090455A1 (en) * 2002-04-22 2003-10-30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prevent screen aging
KR100506609B1 (ko) 2003-08-11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55326B2 (en) 2008-05-13 2013-10-08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detection of and response to an idle mode of a remote sender device
CN105448261B (zh) * 2015-12-31 2018-05-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
CN108366228A (zh) * 2018-02-08 2018-08-03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与监控视频关联的壁纸显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779B2 (ja) * 1996-06-05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受像機
KR100368683B1 (ko) * 1996-05-22 2003-03-1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빔전류제한장치및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121A (en) * 1978-10-12 1981-02-24 Rca Corporation Plural sequential operating mode automatic kinescope beam current limiter
JPH096273A (ja) * 1995-06-20 1997-01-10 Fujitsu General Ltd 焼き付き防止機能を備えた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683B1 (ko) * 1996-05-22 2003-03-1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빔전류제한장치및그방법
JP3382779B2 (ja) * 1996-06-05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9890D1 (de) 2008-09-25
CN1283360A (zh) 2001-02-07
CN1177466C (zh) 2004-11-24
MXPA00006449A (es) 2001-10-01
MX218615B (en) 2004-01-12
KR20010040306A (ko) 2001-05-15
WO1999034593A1 (en) 1999-07-08
JP2002500477A (ja) 2002-01-08
EP1042910B1 (en) 2008-08-13
JP4343429B2 (ja) 2009-10-14
EP1042910A1 (en) 2000-10-11
AU1833399A (en) 199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46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60158790A (ja) ビーム電流制限装置
KR100572682B1 (ko) 화면 보호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563495B1 (en) Automatic screen saver
JPH09312852A (ja) 自動ビーム電流制限装置
JP2611755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CA2082243C (en) Contrast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with secondary brightness beam current limiting provisions
US5313294A (en)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having a peak amplitude, responsive threshold
JPH07110058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S623640B2 (ko)
EP0196695A1 (en) Picture display device
JP3522345B2 (ja) ホットスタートフラッシュを防止するakb装置
US4760450A (en) Limiter circuit for preventing blooming in a video display terminal
US4814880A (en) Blanking circuit for use in a display apparatus which has a cathode-ray tube
JPH0779449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KR100345435B1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및빔스캔속도변조회로
JPH1016461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受像管制御回路
JPH03231567A (ja) スポットキラー回路
KR100244775B1 (ko) 모니터에서 자동 휘도제한시 비디오신호 보상회로
EP0551379B1 (en)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having a peak amplitude responsive threshold
US5719735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RT screen
KR970007804B1 (ko) 컬러텔레비전의 컬러량자동조정장치
JPH07212679A (ja) Crtの高圧放電回路
JPH0628862Y2 (ja) ピ−クabl回路
KR840001465B1 (ko) 영상신호 처리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