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012B1 -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012B1
KR100572012B1 KR1020040053294A KR20040053294A KR100572012B1 KR 100572012 B1 KR100572012 B1 KR 100572012B1 KR 1020040053294 A KR1020040053294 A KR 1020040053294A KR 20040053294 A KR20040053294 A KR 20040053294A KR 100572012 B1 KR100572012 B1 KR 10057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groove
pin
inner cylin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247A (ko
Inventor
시로조에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5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0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57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Abstract

(과제)
키 코드의 설정 변경이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외통의 내주면에 키 삽입홈과 연통하는 제 1 통과홈 및 제 2 통과홈이 형성되고, 폭이 넓은 제 1 통과홈에는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각 등부분이 끼워맞춤되고, 폭이 좁은 제 2 통과홈은 체인지키의 등부분만이 끼워맞춤된다. 서로 연통하는 내통 및 외통의 적어도 한 조의 핀 구멍에는 바닥 핀, 체인지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핀 군이 수용되고, 잔여의 조의 핀 구멍에는 바닥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핀 군이 수용된다. 제 1 통과홈과 제 2 통과홈의 전단 개구는, 캡 원반으로 은폐된다. 키의 삽입 말단역에서 키가 내통의 중심 축선과 평행 이동하고, 키의 등부분이 제 1 통과홈에서 탈출하여 키 삽입홈으로 들어가고, 키의 키 코드용 요철부에 의하여 바닥 핀이 눌린다.
키 삽입홈, 제 1 통과홈, 제 2 통과홈, 상용키, 체인지키, 핀 구멍, 바닥 핀, 체인지 핀, 드라이버 핀, 캡 원반, 키 코드용 요철부

Description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VARIABLE TYPE CYLINDER 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의 정면도로서, 잠금장치 잠금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 사용하는 상용키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용키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 사용하는 체인지키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인지키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의 외통, 내통 및 캡 원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 도 3의 상용키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 있어서 내통 중간부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 도 6의 체인지키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용키가 삽입 말단역 근처까지 삽입된 때에 있어서의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체인지키가 삽입 말단역 근처까지 삽입된 때에 있어서의 도 1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용키에 의하여 내통이 잠금장치 잠금해제 위치(키 코드 변경 위치)로 회전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 1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키 코드 변경 위치에서 체인지키가 소요 깊이까지 삽입된 때의 도 1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체인지키를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의 전단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별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2 외통
3 내통 4 체인지 핀을 포함하는 핀 군
5 체인지 핀을 포함하지 않는 핀 군 6 구멍 폐쇄판
7 캠체 8 상용키
9 체인지키 11 고정링
12 고리형상 오목부 13 캡 원반
14 유지링 15 제 1 수용홈
16 제 2 수용홈 17 측면 구멍
18 키 등부분 통과용 홈 19 중앙 구멍
20 외통 본체 21 끼워맞춤 구멍
21a 원형 오목부 22 핀 구멍
23 핀 구멍 24 핀 구멍
25 핀 구멍 26 끼워맞춤 홈
27 제 1 통과홈 28 제 2 통과홈
29 고리형상 플랜지부 30 내통 본체
30a 연장벽부 32 중경축부
33 고리형상 홈 34 키 삽입 홈
35 핀 구멍 36 핀 구멍
37 가로구멍 38 가이드 돌기
39 후단 소경 축부 41 바닥 핀
42 체인지 핀 43 드라이버 핀
44 스프링 51 바닥 핀
53 드라이버 핀 54 스프링
71 경사 캠면 72 수직 정지면
73 횡단 핀 81 등부분
82 배부분 83 가이드 홈
84 캠 사면 85 경사 홈부
86 키 코드용 요철부 87 키 코드용 요철부
88 도피용 오목부 91 등부분
92 배부분 93 가이드 홈
94 캠 사면 95 경사 홈부
96 키 코드용 요철부 97 키 코드용 요철부
본 발명은, 외통에 대하여 내통을 회전운동가능 또는 회전운동불가능하게 하는 상용키의 키 코드가 필요에 따라서 설정변경할 수 있는 핀 텀블러(pin tumbler) 방식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핀 텀블러 방식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는, 전후 방향에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된 외통과, 이 끼워맞춤 구멍에 회전운동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내통과, 이 외통과 내통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핀 구멍 사이를 출입하는 핀 군과, 이 내통의 전후 방향의 키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핀 군을 이동시켜서 내통을 외통에 대하여 회전가능 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통과 내통의 복수개의 핀 구멍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하여 복수열로 배치되어 있고, 외통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내주면에는, 내통을 회전운동시켰을 때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과 연통하는 제 1 통과홈 및 제 2 통과홈이 전후 방향으로 동등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통을 회전운동시켰을 때 서로 연통하는 내통 및 외통의 적어도 한 조의 상기 핀 구멍에는 바닥 핀, 체인지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핀 군이 수용되는 한편, 잔여의 조의 상기 핀 구멍에는 바닥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핀 군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키를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할 때, 삽입 말단역에서 키가 내통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키의 등부분이 상기 제 1 통과홈에서 탈출하여 키 삽입홈에 들어가고, 키의 키 코드용 요철부에 의하여 상기 바닥핀이 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2002-4657호 공보 참조).
이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키 코드의 설정 변경을 종료한 후, 상기 키는 등부분을 상기 제 2 통과홈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내통의 키 삽입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한편, 외통에 대하여 내통을 회전가능(잠금해제상태)으로부터 회전 불능(잠금상태)으로 설정한 후, 상기 키는 등부분을 상기 제 1 통과홈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내통의 키 삽입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지만, 상기 제 1 통과홈과 제 2 통과홈의 폭 치수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역과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역은 엄격하게 구별되어 있다. 즉,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 방향을 시계방향 방향으로 하면,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규정되어 있다.
문짝 등의 개폐체를 박스 본체 등의 고정프레임체에 대하여 고정하는 통상의 사용 형태에서는, 고정프레임체측에 설치한 수용 금속체와 맞물리거나 맞물림해제되는 고정 금속판이 내통의 선단 축부에 끼워맞춤되고, 볼트 또는 너트에 의하여 내통에 체결되어 고착되어 있고,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 고정 금속판의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는, 내통의 축부에 끼워맞춤된 규제 원반이 외통측의 규제홈의 단면벽에 맞물리거나 맞물림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키 코드의 설정 변경을 실행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고착을 해제하고, 상기 규제 원반과 고정 금속판을 내통의 축부로부터 일단 떼어내고, 키 코드의 설정 변경을 종료한 후, 규제 원반가 고정 금속판을 내통의 상기 축부에 다시 끼워맞출 수 있고, 볼트·너트에 의하여 다시 체결고착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이러한 작업이 번잡했었다.
또한, 상기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상기 키의 주체 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세로 치수는, 키 삽입홈의 횡단면에 있어서 세로 치수와 합치하고 있지만, 키의 삽입 당초부터 삽입 말단역에 가까워지기 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키의 주단부 부분은 상기 키 삽입홈와 상기 제 1 통과홈에 걸쳐서 삽입된다. 그 때문에, 제 1 통과홈의 횡단면에 있어서 세로 치수가 잉여 치수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되고, 키의 삽입 과정에서 키의 주체 부분이 내통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흔들리는 여지를 주는 것이 된다. 이 흔들림이 큰 때에는, 키의 선단이 바닥 핀의 내단부에 부딪치고 키의 이후의 삽입이 저지되고, 키의 삽입을 다시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는, 잠금장치 기구가 고장난 것이라고 오인되어, 잠금장치의 제조·판매원에 보수 교환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핀 텀블러 방식의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바닥 핀의 안쪽 단부가 키 삽입홈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피킹(picking) 용구에 의한 억지로 여는 것에 대하여 약하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2002-4657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역과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규제 원반이나 고정 금속판을 착탈한다고 하는 여분의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키코드의 설정 변경이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다른 목적은, 키의 삽입이 흔들림을 수반하지 않고 원활히 행해지기 때문에, 잠금장치 기구의 고장으로 오인될 우려가 없고, 작동의 안정성이 우수한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통에 형성한 통과홈의 전단 개구가 캡 원반으로 은폐되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내부 구조를 관찰하기 어렵고, 또한, 바닥 핀의 내단부가 내통 전면부의 연장벽부로 은폐되기 때문에, 키 삽입홈의 정면측으로부터의 피킹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서, 보안에 있어서 개선된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는, 전후 방향에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된 외통과, 이 끼워맞춤 구멍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내통과, 이 외통과 내통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핀 구멍 사이를 출입하는 핀 군과, 이 내통의 전후 방향의 키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핀 군을 이동시켜서 내통을 외통에 대하여 회전가능 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상용키와, 상기 키 삽입홈에 삽입되고, 키코드를 설정 변경하는 체인지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통과 내통의 복수개의 핀 구멍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하여 복수열로 배치되어 있고, 외통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내주면에는, 내통을 회전시켰을 때 내통의 상기 키삽입 홈과 연통하는 제 1 통과홈 및 제 2 통과홈이 전후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통과홈은 상기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각 등부분이 끼워맞춤되도 록 폭이 넓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제 2 통과홈은 상기 체인지키의 등부분만이 끼워맞춤되도록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고,
내통을 회전시켰을 때 서로 연통하는 내통 및 외통의 적어도 한 조의 상기 핀 구멍에는 바닥 핀, 체인지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핀 군이 수용되는 한편, 잔여의 조의 상기 핀 구멍에는 바닥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핀 군이 수용되어 있고,
외통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전단 내주부에는 고리형상 오목부가 직경확장 형성되고, 이 고리형상 오목부에 캡 원반이 회전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전되고, 이 캡 원반의 중앙 구멍에 내통의 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캡 원반에 의하여 외통의 제 1통과홈과 제 2 통과홈의 전단 개구가 은폐되어 있고,
상기 상용키 또는 체인지키를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할 때, 삽입 말단역에서 상용키 또는 체인지키가 내통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상용키의 등부분 또는 체인지키의 등부분이 상기 제 1 통과홈 또는 제 2 통과홈에서 탈출하여 키 삽입홈으로 들어가고, 상용키 또는 체인지키의 키 코드용 요철부에 의하여 상기 바닥 핀이 눌린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발명의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상용 키와 체인지키의 배부분에는 가이드 홈이 각 키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의 키 삽입홈의 입구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선단측 개구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맞춤된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통에 는 상기 키 삽입홈의 안쪽 단부에 상향 구배의 경사 캠면을 가지고 있는 캠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의 기단부에는 하향 구배의 경사 홈부가 상기 경사 캠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의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의 입구부에는 상기 바닥 핀의 내단부를 은폐하는 연장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각 기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경사 홈부과 평행하게 상기 연장벽부용의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1)는, 외통(2), 내통(3), 2 종류의 핀 군(4, 5) 및 구멍 폐쇄판(6)을 가지고 있다.
외통(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가 평행면에 형성된 대략 원통 모양 본체(20)을 가지고 있고, 이 외통 본체(20)의 중심부에 끼워맞춤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 본체(2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끼워맞춤 구멍(21)으로 관통하여 4 조의 핀 구멍(22, 23, 24, 25)의 열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구멍(22)과 핀 구멍(23)의 각 구멍 열은 각 5 개의 등간격 피치로 정렬한 핀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핀 구멍(24)과 핀 구멍(25)의 각 구멍 열은 각 6 개의 등간격 피치로 정렬한 핀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통(2)의 중심에 대한 핀 구멍(22)과 핀 구멍(23)의 배치 각도는 45도이고, 핀 구멍(23)과 핀 구멍(24)의 배치 각도는 90도이고, 핀 구멍(24)과 핀 구멍(25)의 배치 각도는 45도이다. 상기 각 핀 구멍의 외단부에는 구멍 폐쇄판(6)의 끼워맞춤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2)에는 끼워맞춤 구멍(21)의 내면부에 대략 사각형 단면의 제 1 통과홈(27)과 제 2 통과홈(28)이 전후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과홈(27)과 제 2 통과홈(28)의 전단은, 끼워맞춤 구멍(21)의 전단 대경부(21a)로 개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통과홈(28)은 상기 핀 구멍(24)의 열에 대면하고 있다. 제 1 통과홈(27)과 제 2 통과홈(28)의 후단은, 끼워맞춤 구멍(21)의 후단 대경부(21b)로 개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구멍(21)의 후단 대경부(21b)와 끼워맞춤 구멍 본체 부분과의 사이에는 고리형상 플랜지부(29)가 안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핀 구멍의 개수 및 각도 간격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피치는 반드시 등간격의 피치가 아니라도 좋다.
외통 본체(20)의 끼워맞춤 구멍(21)의 전단 내주부에는 고리형상 오목부(12)가 직경을 확대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형상 오목부(12)에는 캡 원반(13)이 낙하 덮개 형상으로 안쪽으로 끼워져 있다. 고리형상 오목부(12)의 내주면에는 제 1 수용홈(15)이 형성되고, 캡 원반(13)의 외주면에는 제 2 수용홈(16)이 형성되어 있 다. 제 1 수용홈(15)과 제 2 수용홈(16)에 걸쳐서 C자 형태의 유지용 링(17)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캡 원반(13)이 외통(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장전되어 있다.
캡 원반(13)의 중앙 구멍(19)에는 내통 본체(30)의 전단부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캡 원반(13)에 의하여 외통(2)의 제 1 통과홈(27)과 제 2 통과홈(28)이 은폐되게 되어 있다.
캡 원반(13)에는, 정면츨에서 보았을 때 키의 빼고 꽂음 위치에서 외통(2)의 제 1 통과홈(27) 또는 제 2 통과홈(28)과 겹쳐지는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 본체(20)의 끼워맞춤 구멍(21)의 후단 내주부에는, 고리형상 플랜지부(29)를 사이에 두고 원형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 본체(30)의 후부의 중경축부(32)에 형성한 고리형상 홈(33)에는 고정링(11)이 끼워맞춤되고, 이 고정링(11)은 외통 본체(20)의 상기 고리형상 플랜지부(29)의 배면에 맞닿는 것에 의하여, 내통(3)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내통 본체(3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키삽입 홈(34)가 전후 방향에 형성되고, 키 삽입 홈(34)의 양측에 2 조의 핀 구멍(35, 36)의 열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구멍(35)의 구멍 열은 5 개의 등간격 피치로 정렬한 핀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핀 구멍(36)의 구멍 열은 6 개의 등간격 피치로 정렬한 핀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통(3)의 중심에 대한 핀 구멍(35)과 핀 구멍(36)의 배치 각도는 135도이고, 핀 구멍(36)과 키삽입 구멍(34)의 배치 각도는 135도이고, 키삽입 홈(34)와 핀 구멍(35)의 배치 각도는 90도이다. 각 핀 구멍(35, 36)의 안쪽 단부는 바닥 핀이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폭이 좁은 부분을 통하여 키삽입 홈(34)으로 개방되어 있다.
내통 본체(30)의 전면부에는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벽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키 삽입 홈(34)의 입구부의 위쪽 가장자리부 부근을 은폐하고 있다.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이 키의 빼고 꽂음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서로 연통하는 내통(3)의 각 핀 구멍(35)과 외통(2)의 각 핀 구멍(22)에는, 바닥 핀(51), 드라이버 핀(53) 및 스프링(54)으로 이루어지는 핀 군(5)이 수용되어 있는 한편, 서로 연통하는 내통(2)의 앞에서 2번째, 3번째, 5번째 및 6번째의 각 핀 구멍(36)과 외통(2)의 앞에서 2번째, 3번째, 5번째 및 6번째의 각 핀 구멍(24)에는, 바닥 핀(41), 체인지 핀(42), 드라이버 핀(43) 및 스프링(44)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핀 군(4)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서로 연통하는 내통(2)의 앞에서 1번째 및 4번째의 각 핀 구멍(36)과 외통(2)의 앞에서 1번째 및 4번째의 각 핀 구멍(24)에는, 바닥 핀(51), 드라이버 핀(53) 및 스프링(54)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핀 군(5)이 수용되어 있다.
내통 본체(30)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로구멍(37)에는, 핀으로 된 가이드 돌기(38)가 삽입 고착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38)의 내단부는 키 삽입 홈(34)의 한쪽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키 삽입 홈(34)의 안쪽 단부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각 삼각형판 모양의 캠체(7)가 조밀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횡 단 핀(73)에 의하여 내통 본체(30)에 고착되어 있다. 캠체(7)는 상향 구배의 경사 캠면(71)을 가지고 있고, 이 경사 캠면(71)의 상단에는 수직 정지면(72)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3)의 후단 소경 축부(39)에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회전 각도 제어용의 규제 원반과 고정 금속판이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너트에 의하여 체결고착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키(8)의 주체 부분은 등부분(81)과 배부분(82)로 이루어지고, 등부분(8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의 제 1 통과홈(27)에 끼워맞춤된다. 배부분(82)의 한쪽의 측면에는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가이드 홈(83)이 상용키(8)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부분(81)과 배부분(82)의 선단면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캠 사면(84)에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홈(83)의 선단은 이 캠 사면(84)으로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 홈(83)의 기단부에는 하향 구배의 경사 홈부(85)가 캠 사면(84)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용키(8)의 배부분(82)에는,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열의 키코드용 요철부(86, 87)가 135도의 배치 간격으로 측면부와 에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부분(82)의 근원부에는, 내통(3)의 상기 연장벽부(30a)가 들어가는 도피용 오목부(88)를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지키(9)의 주체 부분은 등부분(91)과 배부분(92)로 이루어지고, 등부분(9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시에는 외통(2)의 제 1 통과홈(27)에 끼워맞춤되고, 빼낼 때에는 외통(2)의 제 2 통과홈(28) 을 통과한다. 체인지 핀(9)의 등부분(91)은, 손잡이부측의 근원 부분을 제외하고 배부분(92)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배부분(92)의 한쪽의 측면에는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가이드 홈(93)이 체인지키(9)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부분(91)과 배부분(92)의 선단면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캠 사면(94)에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홈(93)의 선단은 이 캠 사면(94)으로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 홈(93)의 기단부에는 하향 구배의 경사 홈부(95)가 캠 사면(94)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체인지키(9)의 배부분(92)에는, 도 6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열의 키코드용 요철부(96, 97)가 135도의 배치 간격으로 측면부와 에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부분(92)의 근원부에는, 내통(3)의 상기 연장벽부(30a)가 들어가는 도피용 오목부(98)를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키(8)를 내통(3)의 키 삽입 홈(34)으로부터 빼낸 잠금해제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 군(4)의 드라이버 핀(43)과 각 핀 군(5)의 드라이버 핀(53)이, 각각 외통(2)의 핀 구멍(22)와 내통(3)의 핀 구멍(35)에 걸쳐서 끼워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내통(3)은 외통(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이 때, 외통(2)의 핀 구멍(23)에는 다른 드라이버 핀(43)의 전체가 끼워맞춤하고 있고, 외통의 핀 구멍(25)에는 다른 드라이버 핀(53)의 전체가 끼워맞춤하고 있다.
바깥쪽으로 향한 플랜지부(31)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31a)은 정면측에서 보아 외통(2)의 제 1 통과홈(27)에 겹쳐지는 위치에 있고, 키 등부분 통과용 홈(31a) 은 제 1 통과홈(27)과 서로 연통하고 있다.
캡 원반(13)을 적절하게 회전 조정하여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과 외통(2)의 제 1 통과홈(27)의 위치 맞춤을 행하고, 상용키(8)의 가이드 홈(83)의 선단 개구를 내통(3)의 가이드 돌기(38)에 맞춤과 동시에, 상용키(8)의 등부분(81)을 바깥쪽으로 향한 플랜지부(31)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31a)에 맞추고, 상용키(8)를 내통(3)의 키 삽입 홈(35)에 끼워넣으면, 가이드 돌기(38)과 가이드 홈(83)의 유도 작용에 의하여 상용키의 등부분(81)은 제 l 통과홈(27)의 안쪽 바닥면에 미끄럼접합한 상태에서 키 삽입 홈(34)에 삽입되고, 삽입 과정에서 상용키(8)가 내통(3)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흔들리거나 요동하는 일이 없이, 일직선상으로 끼워넣어진다. 이로 인해, 상용키(8)의 선단이 바닥핀(41 ,51)의 내단부 측면에 부딪쳐서 삽입이 저지되는 일이 없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의 제 1 통과홈(27) 및 내통(3)의 키삽입 홈(34)에 대한 상용키(8)의 삽입이 삽입 말단역의 근처까지 진행하고, 상용키(8)의 캠사면(84)이 상기 캠체(7)의 경사 캠면(71)에 부딪친 때에는, 가이드 돌기(38)는 가이드 홈(83)의 주체 부분과 경사 홈부(85)의 교차부에 위치되어 있다. 그 후, 상용키(8)을 더욱 눌러 넣으면, 상기 캠 사면(84)와 경사 캠면(71)의 유도 작용 및 가이드 돌기(38)과 경사 홈부(85)의 유도 작용에 의하여, 상용키(8)는 내통(3)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밀어올려진다.
이 밀어올리기 동작에 의하여 상용키(8)의 등부분(81)은 외통(2)의 제 1 통과홈(27)으로부터 탈출하고, 배부분(82)과 등부분(81)의 전단면이 내통(3)의 키 삽 입홈(34) 안으로 들어가고, 배부분(82)의 키 코드용 요철부(86, 87)가 대응하는 핀 군(4, 5)의 바닥핀(41 ,51)을 밀어올린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 군(4, 5)의 각 바닥 핀(41, 51)이 소정 거리를 밀어올려지는 것에 의하여, 핀 군(4)에 있어서는 체인지 핀(42)과 드라이버 핀(43)의 접촉점이 외통(2)와 내통(3) 사이의 전단선으로 이동하고, 핀 군(5)에 있어서는 바닥 핀(51)과 드라이버 핀(53)의 접촉점이 외통(2)과 내통(3) 사이의 전단선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외통(2)에 대한 내통(3)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고 잠금해제 상태로 된다.
그래서, 도 11에서 내통(3)을 상용키(8)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 내통(3)의 후단 소경 축부(39)에 장착된 고정 금속판(도시하고 있지 않음)이 고정프레임체측의 수용 금속부(도시하고 있지 않음)로부터 이탈하고, 문이 개방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통(3)을 회전시켰을 때, 캡 원반(13)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은 정면측에서 보아 외통(2)의 제 2 통과홈(28)에 겹쳐지는 위치에 있다.
이 단계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의 핀 구멍(35)이 외통(2)의 핀 구멍(23)에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있는 한편, 내통(3)의 핀 구멍(36)이 외통(2)의 핀 구멍(25)에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잠금해제 조작후에 상용키(8)를 내통(3)의 키 삽입홈(34)로부터 빼낼 때, 핀 군(5)의 바닥 핀(51)은 외통(2)의 핀 구멍(23)에 적절하게 출입하고, 핀 군(4)의 체인지 핀(42)은 외통(2)의 핀 구멍(25)에 적절하게 출입한다. 즉, 본 예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 치는, 상용키(8)는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의 2 개소에서 빼고 끼워넣을 수 있다.
이처럼 내통(3)을 잠금 위치에서 잠금해제 위치로 회전시켰을 때, 내통(3)의 키삽입 홈(34)이 외통(2)의 제 2 통과홈(28)에 대면하는 위치에 오지만, 제 2 통과홈(28)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용키(8)의 등부분(81)의 판두께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키(8)의 등부분(81)이 제 2 통과홈(28) 안으로 빠져 들어가는 일은 없다.
다음에 키 코드의 설정 변경을 실행할 필요가 생긴 때에는, 종전의 상용키(8)에 의하여 내통(3)을 도 19에 도시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이 상용키(8)를 내통(3)의 키 삽입 홈(34)과 외통(2)의 제 2 통과홈(28) 및 캡 원반(13)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으로부터 뽑아낸다. 상용키(8)를 뽑아낸 직후에 스프링(44, 54)의 작용에 의하여 각 핀 군(4, 5)의 드라이버 핀(43, 53)이 내통(3)을 향하여 눌리기 때문에, 드라이버 핀(43, 53)의 일부가 내통(3)의 핀 구멍(35, 36)으로 들어가고, 내통(3)이 외통(2)에 대하여 회전 구속된다.
내통(3)이 회전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지키(9)의 가이드 홈(93)의 선단 개구를 내통(3)의 가이드 돌기(38)에 맞춤과 동시에, 체인지키(9)의 등부분(91)을 캡 원반(13)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에 맞추고, 체인지키(9)를 외통(2)의 제 2 통과홈(28) 및 내통(3)의 키 삽입홈(34)에 끼워넣는다.
이 때, 가이드 돌기(38)와 가이드 홈(93)의 유도 작용에 의하여 체인지키(9) 는, 등부분(91)이 제 1 통과홈(27)의 안쪽 바닥면에 미끄럼접합한 상태에서 키 삽입 홈(34)에 삽입되고, 삽입 과정에서 체인지키(9)가 내통(3)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흔들리거나 요동하는 일이 없이, 일직선상으로 끼워넣어진다. 그 때문에, 체인지키(9)의 선단이 바닥 핀(41 ,51)의 내단부측면에 부딪쳐서 삽입이 저지되는 일이 없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의 제 2 통과홈(28) 및 내통(3)의 키 삽입 홈(34)에 대한 체인지키(9)의 삽입이 진행하여, 체인지키(9)의 캠 사면(94)이 상기 캠체(7)의 경사 캠면(71)에 부딪친 때에는, 가이드 돌기(38)는 가이드 홈(93)의 주체 부분과 경사 홈부(95)의 교차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후, 체인지키(9)를 더욱 눌러 넣으면, 상기 캠 사면(94)과 경사 캠면(71)의 유도 작용 및 가이드 돌기(38)과 경사 홈부(95)의 유도 작용에 의하여, 체인지키(9)는 내통(3)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밀어올려진다.
이 밀어올리기 동작에 의하여 체인지키(9)의 등부분(91)은 외통(2)의 제 2 통과홈(28)으로부터 탈출하고, 배부분(92)와 등부분(91)의 전단면이 내통(3)의 키 삽입 홈(34) 안으로 들어가고, 배부분(92)의 키코드용 요철부(96, 97)가 대응하는 핀 군(4, 5)의 바닥 핀(41 ,51)을 밀어올린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 군(4, 5)의 각 바닥 핀(41 ,51)이 소정 거리를 밀어올려지는 것에 의하여, 핀 군(4)에 있어서는 체인지 핀(42)과 드라이버 핀(43)의 접촉점이 외통(2)와 내통(3) 사이의 전단선으로 이동하고, 핀 군(5)에 있어서는 바닥 핀(51)과 드라이버 핀(53)의 접촉점이 외통(2)와 내통(3) 사 이의 전단선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외통(2)에 대한 내통(3)의 회전 구속이 해제된다. 도 15에 있어서 내통(3)을 체인지키(9)에 의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 캡 원반(13)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이 정면측에서 보아 외통(2)의 제 1 통과홈(27)에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 단계에서는, 내통(3)의 핀 구멍(35)이 외통(2)의 핀 구멍(22)에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한편, 내통(3)의 핀 구멍(36)이 외통(2)의 핀 구멍(24)에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지키(9)를 내통(3)의 키 삽입 홈(34)으로부터 뽑아내면, 체인지키(9)의 키 코드 설정용 요철부(96, 97)에 대응하여 핀 군(5)의 바닥 핀(51)은 외통(2)의 핀 구멍(22)에 적절하게 출입하고, 핀 군(4)의 체인지 핀(42)은 외통(2)의 핀 구멍(24)에 적절하게 출입한다.
이 체인지키(9)의 빼내기의 개시 직후에, 상기 캠 사면(94)과 경사 캠면(71)의 유도 작용 및 가이드 돌기(38)과 경사 홈부(95)의 유도 작용에 의하여, 체인지키(9)는 내통(3)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아래로 당겨지고, 체인지키(9)의 등부분(91)이 외통(2)의 제 1 통과홈(27) 및 외향 플랜지부(31)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31a)으로 빠져 들어간다.
체인지키(9)가 내통(3)의 키 삽입 홈(34) 및 외통(2)의 제 1 통과홈(27) 및 캡 원반(13)의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으로부터 빠져 나온 때에는, 키 코드 설정용 요철부(96, 97)에 대응하여 각 핀 군(4)의 체인지 핀(42)이 외통(2)의 핀 구멍(24) 안으로 이동하거나, 내통(3)의 핀 구멍(36) 안에 이동하고 있고, 체인지핀(42)이 내통(3)측에 존재하거나, 또는 외통(2)측에 존재하는 것에 의하여, 실린더 잠금장치(1)는 새로운 키 코드에 설정되고, 그 키 코드를 가지고 있는 다른 새로운 상용키(8)가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동작하는 본 예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 내통(3)의 회전역과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의 내통(3)의 회전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키코드 설정 변경에 즈음하여 규제 원반이나 고정 금속판을 그때마다 착탈할 필요가 없다.
잠금 또는 잠금해제의 실행이나 키 코드의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3)의 회전 각도는, 상기 각도로 한정되지 않고, 핀 군(4, 5)의 열 수나 배치 각도를 조정하면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홈(83, 93)도 키 배부분(82, 92)의 좌우 양측에 형성하고, 가이드 돌기(38)를 좌우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의 내통(3)의 회전 역 내에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3)의 회전역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캡 원반(13)은 고리형상 오목부(12)로의 안쪽에 끼우는 덮개 방식의 것이었지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용 링(14)의 제 1 수용홈(15)을 외통(2)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하고, 제 2 수용홈(16)을 캡 원반(13)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바깥쪽에 끼우는 덮개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캡 원반(13)은 잠금 또는 잠금해제 조작이나 키 코드 변경 조작의 경우마다, 외통 본체(20)로부터 떼어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캡 원반(13)을 외통(2) 및 내통(3)의 어느 쪽 에 대해서도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캡 원반(13)을 임의의 회전 위치에 배치하여, 제 1 통과홈(27)과 제 2 통과홈(28)을 동시에 은폐할 수 있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38)용의 핀을 캡 원반(13)의 측면 구멍(17)에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캡 원반(13)을 내통(3)의 전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고, 키 등부분 통과용 홈(18)과 키삽입 홈(34)을 언제나 서로 연통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1의 발명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외통의 제 1 통과홈은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각 등부분이 끼워맞춤되도록 폭이 넓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제 2 통과홈은 체인지키의 등부분만이 끼워맞춤되도록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고,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역과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의 회전역이 동일하거나, 또는,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함에 있어서의 내통(3)의 회전역 내에 키 코드 설정 변경에 있어서 내통(3)의 회전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 원반이나 고정 금속판을 그때마다 착탈한다고 하는 여분의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키코드의 설정 변경이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통 전단의 고리형상 오목부에 캡 원반이 회전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장전되고, 캡 원반의 중앙 구멍에 내통의 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캡 원반에 의하여 외통의 제 1 통과홈과 제 2 통과홈의 전단 개구가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내부 구조를 관찰하기 어렵고, 보안이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배부분에는 가이드 홈이 각 키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내통의 키 삽입홈의 입구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선단측 개구로부터 끼워맞춤된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고, 내통의 키 삽입홈의 안쪽 단부에는 상향 구배의 경사 캠면을 가지고 있는 캠체가 설치되고, 가이드 홈의 기단부에는 하향 구배의 경사 홈부가 상기 경사 캠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키나 체인지키의 삽입이 흔들림을 수반하지 않고 원활히 행해지게 되고, 키 선단이 바닥 핀의 내단부측면에 부딪쳐서 삽입 불능으로 되는 것에 의하여, 잠금장치 기구의 고장으로 오인될 우려가 없고, 작동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3의 발명의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에서는,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의 입구부에는 바닥 핀의 내단부를 은폐하는 위치까지 연장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각 기단부에는 가이드 홈의 상기 경사 홈부와 평행하게 연장벽부용의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 삽입홈의 정면측에서의 피킹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보안에 있어 개선된다.

Claims (3)

  1. 전후 방향에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된 외통과, 이 끼워맞춤 구멍에 회전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내통과, 이 외통과 내통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핀 구멍 사이를 출입하는 핀 군과, 이 내통의 전후 방향의 키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핀 군을 이동시켜서 내통을 외통에 대하여 회전 가능 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상용키와, 상기 키 삽입홈에 삽입되고, 키 코드를 설정 변경하는 체인지키로 이루어 지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로서,
    상기 외통과 내통의 복수개의 핀 구멍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하여 복수열로 배치되어 있고, 외통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내주면에는, 내통을 회전시켰을 때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과 연통하는 제 1 통과홈 및 제 2 통과홈이 전후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통과홈은 상기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각 등부분이 끼워맞춤되도록 폭이 넓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제 2 통과홈은 상기 체인지키의 등부분만이 끼워맞춤되도록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고,
    내통을 회전시켰을 때 서로 연통하는 내통 및 외통의 적어도 한 조의 상기 핀 구멍에는 바닥 핀, 체인지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핀 군이 수용되는 한편, 잔여의 조의 상기 핀 구멍에는 바닥 핀, 드라이버 핀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핀 군이 수용되어 있고,
    외통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전단 내주부에는 고리형상 오목부가 직경확장 형성되고, 이 고리형상 오목부에 캡 원반이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 가능하게 장전되고, 이 캡 원반의 중앙 구멍에 내통의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캡 원반에 의하여 외통의 제 1 통과홈과 제 2 통과홈의 전단 개구가 은폐되어 있고,
    상기 상용키 또는 체인지키를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할 때, 삽입 말단역에서 상용키 또는 체인지키가 내통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상용키의 등부분 또는 체인지키의 등부분이 상기 제 1 통과홈 또는 제 2 통과홈으로부터 탈출하여 키 삽입홈으로 들어가고, 상용키 또는 체인지키의 키 코드용 요철부에 의하여 상기 바닥 핀이 눌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키와 체인지키의 배부분에는 가이드 홈이 각 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의 키 삽입홈의 입구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선단측 개구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맞춤되는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키 삽입홈의 안쪽 단부에 상향 구배의 경사 캠면을 가지고 있는 캠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의 기단부에는 하향 구배의 경사 홈부가 상기 경사 캠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기 키 삽입홈의 입구부에는 상기 바닥 핀의 내단부를 은폐하는 연장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용키와 체인 지키의 각 기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경사 홈부과 평행하게 상기 연장벽부용의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KR1020040053294A 2004-07-09 2004-07-09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KR10057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94A KR100572012B1 (ko) 2004-07-09 2004-07-09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94A KR100572012B1 (ko) 2004-07-09 2004-07-09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47A KR20060004247A (ko) 2006-01-12
KR100572012B1 true KR100572012B1 (ko) 2006-04-17

Family

ID=3711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294A KR100572012B1 (ko) 2004-07-09 2004-07-09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0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47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6363C (en) Cylinder lock and key
US7802455B2 (en) Programmable lock having incidental change control
TWI412652B (zh) 掛鎖搭扣總成
JPH0633689B2 (ja) エ−ル錠
US4233913A (en) Safe door
KR100572012B1 (ko) 가변식 실린더 잠금장치
EP2982817B1 (en) Lock core
US6854307B2 (en) Lock-picking prevention apparatus
JP4422694B2 (ja) 可変式シリンダ錠
JP3776087B2 (ja) 可変式シリンダー錠
KR100629616B1 (ko) 가변식 실린더 자물쇠
US6854306B2 (en) Self-contained lock assembly
JP3776086B2 (ja) 可変式シリンダー錠
RU2755356C1 (ru) Замок
JPH0238675A (ja) サイドバーシリンダ錠
JP4322607B2 (ja) 施錠用シリンダ
ITBO960635A1 (it) Serratura a cilindro con perni antieffrazione perfezionati
JP3504925B2 (ja) シリンダー錠
US864743A (en) Padlock.
JP4202465B2 (ja) ディスクタンブラー錠
RU22938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локирования для зам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KR200371745Y1 (ko) 열쇠 및 이를 사용하는 자물쇠
JPH0245396Y2 (ko)
JP4003972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の交換用ピンタンブラ式シリンダー錠
JPH11241534A (ja) ピンタンブラー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