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592B1 - 삽탈식 범용 소켓 - Google Patents

삽탈식 범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592B1
KR100571592B1 KR1020060001478A KR20060001478A KR100571592B1 KR 100571592 B1 KR100571592 B1 KR 100571592B1 KR 1020060001478 A KR1020060001478 A KR 1020060001478A KR 20060001478 A KR20060001478 A KR 20060001478A KR 100571592 B1 KR100571592 B1 KR 10057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ase
bulb
socket termin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to KR102006000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탈식 범용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수직상으로 일정높이 형성되되 전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전구 삽입구를 갖고, 상면으로부터 전구 삽입구를 향해 일부가 노출되되 베이스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소켓단자 삽입홈을 갖는 통형 측벽과, 베이스의 양측에서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소켓단자 삽입홈 각각과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도선 인입홀과, 소켓단자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되 도선 인입홀까지 인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도선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도선과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결선될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소켓단자를 구비하고, 소켓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선 결합이 가능하게 상호 이격되게 섹터 나사선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삽탈식 범용 소켓{Socket for la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탈식 범용 소켓의 소켓단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켓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소켓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구 및 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홈 및 도선인입홀의 형성구조를 나타내 보인 소켓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소켓에 대해 선택적으로 소켓단자를 장착 및 어레이하여 교번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는 구동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베이스 120: 통형 측벽
131: 제1소켓단자 132: 제2소켓단자
본 발명은 삽탈식 범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소켓 단자의 선택적 적용에 의해 다양한 발광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삽탈식 범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백열전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백열전구용 소켓은 전구를 나사식으로 돌려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식 소켓은 두개의 전극단자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시, 디스플레이, 광고 등을 위해 다수의 전구를 다양한 패턴으로 점멸시키고자 할 경우 각 소켓에는 두 개의 전극 단자만 있어 배선 및 구동회로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순 끼움구조식 전구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소켓 단자의 선택적 적용에 의해 다양한 발광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삽탈식 범용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삽탈식 범용소켓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상으로 일정높이 형성되되 전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전구 삽입구를 갖고, 상면으로부터 상기 전구 삽입구를 향해 일부가 노출되되 상기 베이스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소켓단자 삽입홈을 갖는 통형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소켓단자 삽입홈 각각과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도선 인입홀과; 상기 소켓단자 삽 입홈을 통해 삽입되되 상기 도선 인입홀까지 인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도선과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결선될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소켓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선 결합이 가능하게 상호 이격되게 섹터 나사선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단자 삽입홈은 4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구 삽입구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지지전극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삽탈식 범용소켓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탈식 범용 소켓의 소켓단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켓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삽탈식 범용소켓(100)은 베이스(110), 통형 측벽(120), 소켓단자(130)를 구비한다.
베이스(11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4개의 도선 인입홀(111 내지 114)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15는 베이스(110)를 상하 방향에서 관통되게 형성된 것으로 부착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이다.
통형측벽(120)은 베이스(110)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부가 열린 전구 삽입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측벽(12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켓단자 삽입홈(121 내지 124)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하방으로 연장되게 4개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 측벽(120)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20)을 결합할 수 있게 결합용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 측벽(120)과 캡(220) 상호 간의 탈착 구조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홈(미도시)과 돌기(미도시)를 이용한 걸림구조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소켓단자 삽입홈(121 내지 124)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도선인입홀(111 내지 114)까지 연통되게 베이스(110)의 일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소켓단자 삽입홈(121 내지 124)은 베이스(110) 상면까지 전구삽입구(126)를 행해 열리되 개방된 부분 보다 확장된 수용부를 갖는 'ㄷ'자 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단자 삽입홈(124)은 소켓단자(130)의 호환성을 위해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단자(130)는 각 소켓단자홈(124)에 삽입되되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면 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2종의 소켓단자(130)가 적용되었다.
제1소켓단자(131)는 중앙부분에서 수평상으로 전구 삽입구(126)의 중심을 지날 수 있는 길이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전극부를 갖는 전구(210)의 하부에 형성된 전극단자를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수평지지전극(131a)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소켓단자(131)의 수평지지전극(131a) 상부에는 전구(210)의 나선형 골에 대응되는 섹터 나사선(131b)이 형성되어 있다. 섹터 나사선(131b)은 소켓단자홈(12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구 삽입구(126) 쪽으로 돌출되어 부분적인 나선 골을 형성할 수 있게 형성되면 된다.
이러한 섹터 나사선(131b)은 나사결합식 전구(210)에 대해 회전에 의해 삽입 및 분리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착 및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해준다.
제2소켓단자(132)는 중앙부분에서 수평상으로 돌출된 돌기(132a)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종단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돌기(132a)의 돌출길이는 전구(210)의 측면에 형성된 전극을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적절하게 돌출되면 되고, 수평 지지전극(131a) 보다는 높은 위치에 형성되면 된다.
나사선 결합식 전구(210)에 대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2소켓단자(132)에 섹터 나사선을 형성시키고, 제1소켓단자(131)에는 섹터 나사선(131a)를 생략한 구조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삽탈식 범용소켓(100)은 필요에 따라 소켓단자(131)(132)를 일부만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적용되는 전구가 나사선식이 아니고 양측면에 전극이 형성된 경우 제2소켓단자를 적어도 2개 이상 소켓단자삽입홈(121 내지 124)에 삽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소켓단자 삽입홈(121 내지 124)를 상호 90도 각도씩 어긋나게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소켓단자 삽입홈(121)(123)에 대해서는 제2 및 제3 도선인입홀(112)(113)이 소켓단자 삽입홈(121)(123)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일부만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소켓단자(131)(132)의 경사진 부분의 종단과 접촉된다. 도선(150)과 소켓단자(131)(132) 상호간의 접촉영역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호 엇갈리게 소켓단자 삽입홈(121 내지 124)이 형성되도록 하면 소켓단자(131)(132)와의 접촉공간을 보다 확보할 수 있고, 소켓단자(131)(132) 종단을 앞서 설명된 경사구조와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수평종단, 홈을 갖는 구조 등 다양한 접촉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삽탈식 범용소켓(100)은 복수개를 상호 어레이시켜 교번으로 점멸시키고자 할 때 전기배선을 용이하게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열로 배열된 다수의 삽탈식 범용소켓(100)에 대해 전원(160)으로부터 홀수번째로 배열된 소켓(100)에 대해서는 제1소켓단자 삽입홈(121)과 제4소켓단자 삽입홈(124)에 각각 제2소켓단자(132)와 제1소켓단자(131)을 삽입하고, 짝수번째로 배열된 소켓(100)에 대해서는 제2 소켓단자 삽입홈(122)과 제4소켓단자 삽입홈(124)에 제1소켓단자(131)를 삽입한다. 제3소켓단자(123)에 삽입된 제2소켓단자(132)는 전구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 생략해도 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도선(151)은 각 소켓(100)의 제1소켓단자(131)와 접속될 수 있게 제4소켓삽입홈(124)에 대응되는 제4도선인입홀을 통해 직렬상으로 접속시키고, 제2도선(152)은 제1소켓삽입홈(121)에 대응되는 제2도선인입홀을 통해 직렬상으로 각 소켓(100)에 관통시키되 제2소켓단자(132)가 적용된 홀수번째 소켓(100) 과 접속시킨다. 그리고, 제3도선(153)은 제2소켓삽입홈(132)에 대응되는 제1도선인입홀을 통해 직렬상으로 각 소켓(100)에 관통시키되 짝수번째 소켓(100)의 제2 소켓단자(132)와 접속시킨다.
또한, 전원(160)의 양 단자 중 어느 하나는 공통선이 되는 제1도선(151)과 접속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스위칭 소자(165)에 의해 제2도선(152)과 제3도선(153)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배선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교번으로 스위칭하면 홀수번째 소켓(100)과 짝수번째 소켓(100)의 스위칭 주기로 교번으로 점등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소켓(100)에 선택적으로 소켓단자(131)(132)를 적용하고 배선하면 원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점멸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소켓(100)은 도선이 베이스(110)를 관통되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구동에 필요한 도선끼리만 대응되는 소켓단자 삽입홈(121 내지 124)를 통해 소켓단자(131)(132)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어 배선이 용이함과 아울러 도선에 의한 소켓의 지지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탈식 범용 소켓에 의하면, 구동에 필요한 소켓 단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다수 개를 도선에 의해 어레이 시켜 선택적인 구동을 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상으로 일정높이 형성되되 전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전구 삽입구를 갖고, 상면으로부터 상기 전구 삽입구를 향해 일부가 노출되되 상기 베이스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소켓단자 삽입홈을 갖는 통형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소켓단자 삽입홈 각각과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도선 인입홀과;
    상기 소켓단자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되 상기 도선 인입홀까지 인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도선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도선과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결선될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소켓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탈식 범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단자 삽입홈은 4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구 삽입구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지지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탈식 범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선 결합이 가능하게 상호 이격되게 섹터 나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탈식 범용 소켓.
KR1020060001478A 2006-01-05 2006-01-05 삽탈식 범용 소켓 KR10057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78A KR100571592B1 (ko) 2006-01-05 2006-01-05 삽탈식 범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78A KR100571592B1 (ko) 2006-01-05 2006-01-05 삽탈식 범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592B1 true KR100571592B1 (ko) 2006-04-14

Family

ID=3718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478A KR100571592B1 (ko) 2006-01-05 2006-01-05 삽탈식 범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234A (ja) * 1993-04-28 199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JPH1167413A (ja) 1997-08-20 1999-03-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バルブソケットと電線の接続方法及びバルブソケットと電線の接続用治具
JP2002025726A (ja) 2000-07-11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灯具の防水構造
JP2002025727A (ja) 2000-07-11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灯具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234A (ja) * 1993-04-28 199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JPH1167413A (ja) 1997-08-20 1999-03-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バルブソケットと電線の接続方法及びバルブソケットと電線の接続用治具
JP2002025726A (ja) 2000-07-11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灯具の防水構造
JP2002025727A (ja) 2000-07-11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灯具の防水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023B2 (en) Electric connecting member and LED lamp using the same
US7270555B2 (en) Car interior LED lamp adapter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KR101347256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EP2333407B1 (en) LED Lighting assemblies
BR102013027804A2 (pt) tipo de bloco de construção condutor de contato modularizado
JP2007533135A (ja) 可撓性高性能led照明システム
US20140104857A1 (en) Oled illuminant for a lamp
JP2008218013A (ja) 発光装置用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EP3273159A1 (en) Integrated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for led lamp
KR101916653B1 (ko) Oled 발광체를 갖는 램프용 소켓
KR20120024769A (ko) 조명관용 엔드캡 조립체
KR20110073824A (ko) Led 모듈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조립체
JP5774048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ES2274465T3 (es) Modulo de conexion de hilos conductores para placas de circuito impreso.
US20060098442A1 (en) Removable LED lampholder
KR100571592B1 (ko) 삽탈식 범용 소켓
ES2533606T3 (es) Clavija de enchufe variable de un conector
KR200448368Y1 (ko) 플러그형 led 전구 연결 접속구
US8882309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contacting a lighting means, a lighting module, or lamp
GB2053440A (en) Vehicle light cluster
JP6111127B2 (ja) コンセント及びプラグ、並びに照明装置
JP6056474B2 (ja) 発光装置
JP5839434B2 (ja) 蛍光灯型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0831048B1 (ko) 엘이디 회로 기판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조립체
KR101718787B1 (ko) 스마트 전구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