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266B1 -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266B1
KR100571266B1 KR1019980045506A KR19980045506A KR100571266B1 KR 100571266 B1 KR100571266 B1 KR 100571266B1 KR 1019980045506 A KR1019980045506 A KR 1019980045506A KR 19980045506 A KR19980045506 A KR 19980045506A KR 100571266 B1 KR100571266 B1 KR 100571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ase
sub
flash memory
sector
s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554A (ko
Inventor
홍성훈
김태규
안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4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26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04Convergence or correction of memory cell threshold voltages; Repair or recovery of overerased or overprogrammed cells
    • G11C16/3409Circuits or methods to recover overerased nonvolatile memory cells detected during erase verification, usually by means of a "soft" programming ste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11C16/344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erasure or for detecting overerased cells
    • G11C16/3445Circuits or methods to verify correct erasure of nonvolatile memory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11C16/3468Prevention of overerasure or overprogramming, e.g. by verifying whilst erasing or writing
    • G11C16/3477Circuits or methods to prevent overerasing of nonvolatile memory cells, e.g. by detecting onset or cessation of current flow in cells and using the detector output to terminate erasing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1.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택 게이트 플래쉬 메모리 셀을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플래쉬 메모리 셀의 과소거를 방지하고, 전체 소거 동작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함.
3.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모드에서 메모리 셀을 섹터 단위로 소거한 후 서브 섹터 단위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 서브 섹터의 소거 확인 동작 시간 동안에 또 다른 서브 섹터들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
4.발명의 중요한 용도
스택 게이트 플래쉬 메모리 셀을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모드(Erase mode)에서 메모리 셀을 섹터 단위로 소거한 후 서브 섹터(Subsector) 단위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 서브 섹터의 소거 확인 동작 시간 동안에 또 다른 서브 섹터들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소거 모드에서 발생하는 과소거(Over erase)를 방지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택 게이트 플래쉬 메모리 셀 소거 방법은 프리프로그램 모드(Preprogram mode), 소거 모드(Erase mode) 및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Postprogram mode)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프로그램, 프로그램 확인, 소거, 소거 확인, 포스트 프로그램 및 포스트 프로그램 확인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소거 방법은 메모리 셀의 소거동작 후 소거 확인 동작에서 메모리 셀이 불량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메모리 셀에 대해 소거 동작 및 소거 확인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메모리 셀이 정상적으로 패스(Pass) 될 때까지 소거 모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소거 상태가 불량인 셀에 의해 정상적으로 소거된 셀이 과소거(Over erase)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거 확인 동작 후 과 소거된 셀의 문턱전압(Vt)을 증가시키기 위해 포스트 프로그램 및 포스트 프로그램 확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과 소거된 셀들은 포스트 프로그램이 되지 않아 메모리 소자(Memory device)를 불량(Fail)으로 처리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모드에서 메모리 셀을 섹터 단위로 소거한 후 서브 섹터 단위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 서브 섹터의 소거 확인 동작 시간 동안에 또 다른 서브 섹터들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프리프로그램단계, 소거 단계 및 포스트 프로그램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에 있어서, 소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섹터가 복수의 서브 섹터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서브 섹터들 각각이 플래쉬 메모리 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섹터에 대한 소거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복수의 서브 섹터들 중 어느 하나의 소거 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섹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소거 확인 동작 동안, 나머지 서브 섹터들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복수의 서브 섹터들 중 어느 하나의 소거 상태가 정상이 아닐 경우, 소거 동작, 소거 확인 동작, 및 리커버리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로서, 프리프로그램 모드(1), 소거 모드(2) 및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3)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프리프로그램 모드(1)에서는 먼저, 단계(101)에서 소거 명령에 따라 단계(102)로 진행하여 섹터(Sector) 단위로 프리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단계(103)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103)에서는 프리프로그램 확인 동작을 수행하여 정상적으로 프리프로그램 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결과 정상이 아니면 단계(104)로 진행하여 카운터 루핑(Looping) 횟수가 최종 루핑 횟수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최종 루핑 횟수이면 단계(121)로 진행하여 소거 상태가 불량임을 알리고 종료하고, 최종 루핑 횟수가 아니면 단계(105)로 진행하여 카운터 루핑 횟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프리프로그램 단계(102)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103)에서 확인 결과 프리프로그램 상태가 정상이면 단계(106)로 진행하여 최종 어드레스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최종 어드레스가 아니면 단계(107)로 진행하여 어드레스를 증가시킨 후 상기 프리프로그램 단계(102)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최종 어드레스이면 단계(108)로 진행하여 후속 모드인 소거 모드(2)를 수행하게 된다.
소거 모드(2)의 경우, 단계(108)에서 섹터 단위의 소거 동작을 수행한 후 단계(109)로 진행하여 서브 섹터 단위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하는 동시에 선택되지 않은 또 다른 서브 섹터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확인 결과 서브 섹터가 정상이 아니면 단계(110)로 진행하여 카운터 루핑 횟수가 최종 루핑 횟수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최종 루핑 횟수이면 단계(121)로 진행하여 소거 상태가 불량임을 알리고 종료하고, 최종 루핑 횟수가 아니면 단계(111)로 진행하여 카운터 루핑 횟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소거 단계(108)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109)에서 확인 결과 소거 상태가 정상이면 단계(112)로 진행하여 최종 어드레스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최종 어드레스가 아니면 단계(113)로 진행하여 어드레스를 증가시킨 후 상기 소거 단계(108)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최종 어드레스이면 단계(114)로 진행하여 후속 모드인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3)를 수행하게 된다.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3)의 경우, 단계(114)에서 칼럼(Column) 단위의 포스트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 후 단계(115)로 진행하여 포스트 프로그램 확인 동작을 수행한다. 확인 결과 정상이 아니면 단계(116)로 진행하여 카운터 루핑 횟수가 최종 루핑 횟수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최종 루핑 횟수이면 단계(121)로 진행하여 소거 상태가 불량임을 알리고 종료하고, 최종 루핑 횟수가 아니면 단계(117)로 진행하여 카운터 루핑 횟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포스트 프로그램 단계(114)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115)에서 확인 결과 포스트 프로그램이 정상이면 단계(118)로 진행하여 최종 칼럼 어드레스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최종 칼럼 어드레스가 아니면 단계(119)로 진행하여 칼럼 어드레스를 증가시킨 후 상기 포스트 프로그램 단계(114)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최종 칼럼 어드레스이면 단계(120)로 진행하여 소거상태가 정상임을 알리고 소거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서브 섹터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시간은 소거확인 동작시간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수행함으로써 소거 동작시간은 증가되지 않게 된다.
도 2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어느 한 섹터를 각 서브 섹터(Subsector)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섹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 셀 어레이는 복수의 서브 섹터 그룹들(그룹1~그룹4)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섹터 그룹들(그룹1~그룹4) 각각은 복수의 섹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브 섹터 그룹(그룹1)은 복수의 서브 섹터들(서브 섹터1, 서브 섹터5, 서브 섹터 9, 서브 섹터1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룹 1(Group 1)에서 서브 섹터 1(Subsector 1)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 할 경우, 서브 섹터 5 내지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그룹 1(Group 1)에서 서브 섹터 1(Subsector 1)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시, 서브 섹터 5 내지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실행하는 이유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그룹 1(Group 1)에서 서브 섹터 1(Subsector 1)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시, 최종 루핑횟수가 아니거나, 또는 최종 어드레스가 아닐 경우, 상기 소거 단계(108)로 복귀하여 섹터 단위의 소거 동작이 추가로 실시된다. 이처럼 소거 동작이 섹터 단위로 실행되기 때문에, 서브 섹터 1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즉, 서브 섹터 1의 소거 동작이 완료될 때가지), 서브 섹터 5, 9,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가 반복적으로 소거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섹터 5, 9,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 반복적인 소거 동작에 의해 서브 섹터 5, 9,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의 메모리 셀들이 과 소거될 수 있다. 하지만, 서브 섹터 1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시 서브 섹터 5, 9,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이 실행되면, 최종 루핑 횟수가 아니거나, 또는 최종 어드레스가 아닐 경우, 상기 소가 단계(108)로 복귀하여 추가로 실시되는 섹터 단위의 소거 동작시, 서브 섹터 5, 9, 13과, 서브 섹터 그룹 2,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의 메모리 셀들이 과 소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그룹 2에서 서브 섹터 2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 할 경우에는 서브 섹터 6, 10, 14와, 서브 섹터 그룹 1, 서브 섹터 그룹 3 및 서브 섹터 그룹 4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그룹 3에서 서브 섹터 3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 할 경우에는 서브 섹터 7, 11, 15와, 서브 섹터 그룹 1, 서브 섹터 그룹 2 및 서브 섹터 그룹 4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4에서 서브 섹터 4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 할 경우에는 서브 섹터 8, 12, 16과, 서브 섹터 그룹 1, 서브 섹터 그룹 2 및 서브 섹터 그룹 3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거 모드에서 서브 섹터의 소거 확인 동작시간 동안에 또 다른 서브 섹터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소거 모드에서 발생하는 과 소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 셀들의 과 소거가 방지됨에 따라, 소거 모드 이후, 실행되는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의 동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모드에서 섹터 단위로 소거한 후 서브 섹터 단위로 소거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 서브 섹터의 소거 확인 시간 동안에 또 다른 서브 섹터에 대해 리커버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소거 모드에서 발생하는 과 소거를 방지할 수 있어 셀의 신뢰성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소거된 서브 섹터를 소거 확인 동작에서 동시에 리커버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의 동작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메모리 셀 어레이(array)의 어느 한 섹터를 각 서브 섹터(Subsector)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리프로그램 모드 2: 소거 모드
3: 포스트 프로그램 모드

Claims (2)

  1.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프리프로그램 단계, 소거 단계 및 포스트 프로그램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터가 복수의 서브 섹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섹터들 각각이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터에 대한 소거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섹터들 중 어느 하나의 소거 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서브 섹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거 확인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거 확인 동작 동안, 나머지 서브 섹터들에 대한 리커버리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 섹터들 중 어느 하나의 소거 상태가 정상이 아닐 경우, 상기 소거 동작, 상기 소거 확인 동작, 및 상기 리커버리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커버리 동작 시간은 상기 소거 확인 동작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KR1019980045506A 1998-10-28 1998-10-28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KR100571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06A KR100571266B1 (ko) 1998-10-28 1998-10-28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06A KR100571266B1 (ko) 1998-10-28 1998-10-28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54A KR20000027554A (ko) 2000-05-15
KR100571266B1 true KR100571266B1 (ko) 2006-08-10

Family

ID=1955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506A KR100571266B1 (ko) 1998-10-28 1998-10-28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9116B2 (en) 2010-02-17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s, operating methods thereof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54B1 (ko) * 2002-05-17 2004-12-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 소거 방법
KR100715151B1 (ko) * 2006-05-23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섹터별로 소거 패스 전압을 가지는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이에 대한 소거 방법
KR101691092B1 (ko) 2010-08-26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669A (en) * 1991-02-20 1993-12-21 Sundisk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programming floating gate memory cells
KR19980055758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75955A (ko) * 1998-03-26 1999-10-1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방법
KR20000004246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 방법
KR20000004214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 방법 및 그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669A (en) * 1991-02-20 1993-12-21 Sundisk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programming floating gate memory cells
KR19980055758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75955A (ko) * 1998-03-26 1999-10-1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방법
KR20000004246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 방법
KR20000004214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 방법 및 그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9116B2 (en) 2010-02-17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s, operating methods thereof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10650903B2 (en) 2010-02-17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s, operating methods thereof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54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854B1 (ko) 플래쉬 메모리의 소거 방법
KR100315321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소거 검증 방법
US6778443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emory blocks pre-programmed before erased
US7403430B2 (en) Erase operation for use in non-volatile memory
TW201337930A (zh) 縮短抹除操作的方法與裝置
US20080285368A1 (en) Method for nrom array word line retry erasing and threshold voltage recovering
CN110619915A (zh) 一种新型非易失性存储器的过擦除处理方法和装置
CN101447231A (zh) 用于执行非易失性存储器件中的擦除操作的方法
US2006020960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lash memory device
US8462554B2 (en) Over-erase verification and repair methods for flash memory
JPH11250673A (ja) 電気的に消去及びプログラムできる非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消去方法
KR100571266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JP201125359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796041B1 (ko) 소거 시 대역 대 대역 터널링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입력/출력 분할 시스템 및 방법
KR10033576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방법
KR100305215B1 (ko) 플래쉬메모리셀의소거방법및그회로
TWI443665B (zh) 反或閘型快閃記憶體與其過抹除驗證與修復方法
CN114005479A (zh) 一种提高NOR Flash数据读写可靠性的方法、装置及其应用
US11797193B2 (en) Error detection method for memory device
KR10040294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 방법
KR10035805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방법
CN102568571A (zh) 或非门型快取存储器与其过抹除验证与修复方法
CN113345505B (zh) 闪存及闪存的工作方法
CN113409870A (zh) 一种闪存擦除方法、扇区选择电路、装置和电子设备
KR100293636B1 (ko) 플래쉬 메모리셀의 소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