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434B1 -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434B1
KR100570434B1 KR1020040063205A KR20040063205A KR100570434B1 KR 100570434 B1 KR100570434 B1 KR 100570434B1 KR 1020040063205 A KR1020040063205 A KR 1020040063205A KR 20040063205 A KR20040063205 A KR 20040063205A KR 100570434 B1 KR100570434 B1 KR 10057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late
cathode ray
flat panel
ray tube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602A (ko
Inventor
김정묵
추경문
김석영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4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01J29/862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of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에 있어서, 유효화면(111)을 포함하고,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가 550mm 이상이며, 10,000 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면(114) 및 외면(114)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면(115)이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 플레이트(110)와,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120)와, 페이스 플레이트(110)와 스커트부(120)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130)를 포함하고,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부 두께(T1)와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T2/T1 ≥ 2.1 인 관계를 가지며, 틴트 글래스로 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으로써 종래의 투명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별도의 코팅 공정 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휘도 균일성 저하를 방지하며,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함에 따른 도밍 특성 저하를 방지하여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 채용시와 유사한 화면 품위를 유지함과 아울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FORMED TYPE FLAT PANEL FOR USE IN A CATHODE RAY TUB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의 모따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페이스 플레이트 111 : 유효화면
112 : 페이스 중앙영역 113 : 페이스 주변영역
114 : 외면 115 : 내면
120 : 스커트부 130 : 브랜드 라운드부
131 : 모따기부 141,142 : 장변
151,152 : 단변
T1 : 유효화면의 중앙부 두께
T2 : 유효화면의 대각선 방향 끝단 두께
D : 유효화면의 대각선 길이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으로써 별도의 코팅 공정 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저가의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함에 따른 도밍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라고도 함)은 전자빔을 전광변환(電光變換)한 표시장치로서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극선관(10)은 전면유리인 패널(11)의 후측에 퍼넬(funnel)(12)이 결합되고, 패널(11)의 후면에 형광면(13)이 형성되며, 퍼넬(12)의 일측에 형광면(13)과 대향하도록 전자총(14)이 결합되고, 형광면(13)과 전자총(14) 사이에 새도우 마스크(15)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새도우 마스크(15)는 마스크 지지대(16)에 결합됨과 아울러 스프링(17)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스터드 핀(18)에 의해 패널(11) 에 지지된다.
패널(11)은 평면패널의 경우 틴트 글래스(tint glass)로 만들어진 텐션타입 평면패널(tension type flat panel)과 도 2에 도시된 폼드타입 평면패널(formed flat panel)(11)이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은 페이스 플레이트부(11a)와, 페이스 플레이트부(11a)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퍼넬(12)(도 1에 도시)과 연결되는 스커트부(11b)와, 페이스 플레이트부(11a)와 스커트부(11b)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blend round portion)(11c)("코너부"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페이스 플레이트부(11a)는 거의 평면인 외면(11d)과 외면(11d)에 비해서 상당히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인 내면(11e)을 가진다. 그리고, 스커트부(11b)는 새도우 마스크(15)(도 1에 도시)로서 폼드 마스크(formed mask)를 스프링(17), 스터드 핀(18) 등에 의해서 고정시킨다.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은 새도우 마스크로서 텐션 마스크(tension mask)를 이용하는 텐션타입 평면패널(미도시)에 비해 웨지율이 높다. 즉, 텐션타입 평면패널은 외면 및 내면 모두 실질적으로 평면이므로 낮은 웨지율을 가짐으로써 페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두께와 주변두께의 차이를 무시할 수 있으나,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은 내면(11e)이 외면(11d)에 비해서 상당한 곡률을 가지므로 웨지율이 높다. 따라서,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은 페이스 플레이트(11a)의 중앙부와 주변부 사이의 광투과율(또는, 흡수율)에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페이스 플레이트(11a)에 형성된 이미지의 휘도 균일성(uniformity)에 문제가 생긴다.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은 휘도의 균일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 틴트 글래스를 대신해서 투명 글래스(clear glass)로 제조되어 페이스 플레이트(11a) 전체에 걸쳐서 휘도를 높이고, 페이스 플레이트(11a) 중앙부의 휘도를 주변부에 비해서 더 많이 떨어뜨리기 위해 페이스 플레이트(11a)의 외면(11d)을 코팅 처리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1a) 전체에 대한 휘도 균일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새도우 마스크(15)는 전자총(14)의 전자빔을 정확하게 형광면(13)에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극선관(10)의 선명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품이다. 전자총(14)으로부터 투사된 전자빔중 ⅓만이 형광면(13)에 도달하고, 나머지는 새도우 마스크(15)에 충돌하여 열에너지로 바뀌어 새도우 마스크(15)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새도우 마스크(15)는 온도 상승시 열팽창에 의해 전자빔이 통과하는 홀의 형상을 변화시켜서 전자빔이 정확하게 형광면(13)에 도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로 인해 도밍(doming) 특성이 저하되어 색번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음극선관(10)은 해상력을 높이기 위하여 열팽창계수가 낮은 재료로 새도우 마스크(15)를 제작한다.
새도우 마스크(15)에 채용되는 재료중 열팽창 계수가 낮은 재료로는 36.5% 니켈(Ni) - 63.5% 철(Fe) 합금인 인바(invar) 합금이 있으며, 인바 합금은 0 ∼ 100 ℃ 사이에서 열팽창 계수가 약 0.6×10-6 정도로서 고화질 또는 대형 모니터용 음극선관에 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에 비해 열팽창 계수가 높지만, 국내의 제강업체에서 생산되는 저가인 AK강(Al-killed steel)으로 제작되는 새도우 마스크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장치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도 높은 원가절감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휘도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 투명 글래스로 제작하며, 이로 인해 페이스 플레이트(11a)의 외면(11d)에 별도의 코팅 공정을 추가하는 등 패널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킬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투명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을 위한 투명 글래스의 생산은 틴트 폼드타입 평면패널(11)을 위한 틴트 글래스(tint glass) 생산을 위해서 사용되는 유리 용해로에서 이루어지므로, 글래스 색조 전환에 따른 탱크 색조 전환 손실을 유발하고, 탱크 색조 전환 손실은 투명 폼드타입 평면패널을 위한 투명 글래스 곱(gob)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에서 틴트 텐션타입 평면패널을 위한 틴트 글래스 곱의 생산을 위한 프로세스로의 전환 또는 그 역으로의 전환시 발생하게 되어 글래스 곱의 색조 변경에 수일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패널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음극선관(10)이 새도우 마스크(15)의 재료로서 열팽창 계수가 낮은 인바 합금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고가여서 음극선관의 생산 단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음극선관에서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에 비해 열팽창 계수가 높지만, 국내의 제강업체에서 생산되는 저가의 AK강을 새도우 마스크로 채용하는 한편, 폼드타입 평면패널(20)을 비교적 공정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틴트 글래스로 제작하더라도 휘도 균일성 등이 뛰어나며, 도밍 특성을 향상시키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의 평면패널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으로써 종래의 투명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별도의 코팅 공정 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휘도 균일성 저하를 방지하며,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함에 따른 도밍 특성 저하를 방지하여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 채용시와 유사한 화면 품위를 유지함과 아울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있어서, 유효화면을 포함하고, 유효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550mm 이상이며, 10,000 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면 및 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 플레이트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페이스 플레이트와 스커트부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페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 두께(T1)와 유효화면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T2/T1 ≥ 2.1 인 관계를 가지며, 틴트 글래스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의 모따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AK강(Al-killed steel)의 새도우 마스크(15)(도 1에 도시)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용 패널로서, 유효화면(111)을 포함하는 페이스 플레이트(110)와,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120)와, 페이스 플레이트(110)와 스커트부(120)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blend round portion)(130)를 포함하며, 서로 대략 나란한 두 개의 장변(141,142) 및 두 개의 단변(151,152)을 가짐으로써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채용되는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는 미세한 홀들로 천공되어 전자총(14)(도 1에 도시)으로부터 투사되는 전자빔이 홀들을 통과시 색선별되도록 하며, AK강은 철(Fe)이 99.0 ∼ 99.7% 가량 함유되어진 순철로 이루어진다.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 역할을 하는 페이스 중앙영역(112)과 유효화면(111) 둘레의 페이스 주변영역(113)을 가지고, 일정 수치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면(114)과 외면(114)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면 (115)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50mm 이상이고, 외면(114)은 10,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중앙부 두께(T1)와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T2/T1 ≥ 2.1
수학식 1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유효화면(111)의 중앙부 두께(T1)의 210% 이상이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00mm 이상 550mm 미만이고, 외면(114)은 5,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중앙부 두께(T1)와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T2/T1 ≥ 1.9
수학식 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유효화면(111)의 중앙부 두께(T1)의 190% 이상이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50mm 미만이고, 외면(114)은 5,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중앙부 두께(T1)와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제 1 실시예에서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110)는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유효화면(111)의 중앙부 두께(T1)의 210% 이상이 된다.
스커트부(120)는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새도우 마스크(15)(도 1에 도시)가 스터디 핀(18)(도 1에 도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브랜드 라운드부(130)("코너부"라고도 함)는 페이스 플레이트(110)와 스커트부(120)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페이스 플레이트(110)와 스커트(120)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브랜드 라운드부(130)는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모든 모서리 부위에 모따기부(131)가 형성된다.
모따기부(131)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의 중량 감소를 위하여 브랜드 라운드부(130)의 외측 모서리 부위에 그 단면이 직선 또는 아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모따기부(13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과 아크 형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따기부(131)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윤곽선과 만나는 점을 제 1 점(A)이라고 하고, 스커트부(120)의 외측윤곽선과 만나는 점을 제 2 점(B)이라 할 때, 제 1 점(A)와 제 2 점(B)을 각각 그 양 끝점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132)와 제 1 점(A)와 제 2 점(B)을 각각 그 양 끝점으로 하는 선분(L1)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점(A)에서 폐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윤곽선과 매끄럽게 연결됨과 아울러 제 2 점(B)에서 스커트부(120)의 외측윤곽선과 매끄럽게 연결된다.
또한, 모따기부(131)는 제 1 점(A) 및 제 2 점(B)을 각각 그 양 끝점으로 하는 선분(L1)이 되거나 선분(L1)과 평행함과 아울러 가상의 원호(132)와 두 점에서 만나는 또 다른 선분일 수 있다. 이 때, 모따기부(131)는 제 1 점(A)에서 폐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윤곽선과 매끄럽게 연결됨과 아울러 제 2 점(B)에서 스커트부(120)의 외측윤곽선과 매끄럽게 연결된다.
그리고, 모따기부(131)가 두 개 이상의 선분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선분이 서로 만나는 부분은 곡률반경이 약 1mm 이상의 곡선이 되도록 라운드처리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상의 원호의 곡률 반경은 8 mm 이상 15 mm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제 1 점(A)과 제 2 점(B) 부분은 곡률반경이 1 mm 이상의 곡선으로 라운드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모따기부(131)는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의 포밍(foaming)시 형성되도록 하거나, 포밍후 커팅(cutting)이라는 별도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코팅 공정 등을 실시하여야 하는 투명 글래스(clear glass) 대신에 틴트 글래스(tint glass)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AK강으로 제작된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하는 음극선관에 사용되며,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는 인바(invar) 합금으로 제작되는 새도우 마스크에 비해 가격이 저가임과 아울러 에칭성이나 성형성이 뛰어나나, 열팽창계수가 8 ∼ 20×10-6/℃에 해당하여 열팽창계수가 0.6×10-6/℃인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내면(115)이 외면(114)에 비해서 상당한 곡률을 가지므로 웨지율이 높아서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유효화면(111)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사이의 광투과율(또는, 흡수율)에 차이가 있어서 휘도 균일성이 저하됨에도 불구하고 투명 글래스 대신에 틴트 글래스로 제작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부 두께(T1)와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 께(T2)의 관계가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50mm 이상임과 아울러 외면이 10,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경우는 수학식 1,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00mm 이상 550mm 미만임과 아울러 외면이 5,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경우는 수학식 2,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00mm 미만임과 아울러 외면이 5,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경우는 수학식 1을 각각 만족하게 됨으로써 도밍(doming) 특성과 드롭(drop)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이 각각 사용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여 도밍특성과 드롭특성을 각각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내지 표 3에 나타나 있다. 또한, 표 1과 표 3에는 수학식 1을, 표 2에는 수학식 2를 만족하지 않는 폼드타입 평맨패널이 각각 사용됨과 아울러 AK강 또는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가 채용되는 다른 음극선관(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5)에 대한 실험 결과를 함께 나타내었으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은 모두 틴트 글래스로 제작되었다.
Figure 112004035863935-pat00001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라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50mm 이상에 해당하는 29인치이며, 외면(114)의 곡률반경이 10,000mm 이상인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T2/T1의 비율이 2.52인 경우로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도밍 특성뿐만 아니라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의 강도향상으로 인해 드롭 특성까지 만족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아니하는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각각 사용되는 음극선관(제 1 비교예 내지 제 8 비교예)에서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한 음극선관은 도밍 특성과 드롭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4035863935-pat00002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라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00mm 이상 550mm 미만을 만족하는 21인치이며, 외면(114)의 곡률반경이 5,000mm 이상인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T2/T1의 비율이 1.93인 경우로서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 도밍 특성뿐만 아니라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의 강도향상으로 인해 드롭 특성까지 만족함을 알 수 있으며, 수학식 2를 만족하지 못하는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각각 사용되는 음극선관(제 9 비교예 내지 제 11 비교예)에서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한 음극선관은 도밍 특성과 드롭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4035863935-pat00003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라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길이(D)가 500mm 미만에 해당하는 17인치이며, 외면(114)의 곡률반경이 5,000mm 이상인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T2/T1의 비율이 2.12인 경우로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도밍 특성뿐만 아니라 드롭 특성까지 만족하며, 수학식 1을 만족하지 하지 못하는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각각 사용되는 음극선관(제 12 비교예 내지 제 15 비교예)에서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한 음극선관은 도밍 특성과 드롭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인바 금속에 비해 열팽창계수가 큰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하는 음극선관에 사용됨과 아울러 투명 글래스 대신에 틴트 글래스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10)의 유효화면(111)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유효화면(111)의 중앙부 두께(T1)의 210% 이상 또는 190% 이상이면 휘도 균일성 저하를 방지하며, 도밍 특성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은 코팅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는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라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인바 금속에 비해 저가인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할 수 있음으로써 역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랜드 라운드부(130)가 적어도 일측의 모서리 부위, 바람직하게는 모든 모서리 부위에 모따기부(131)를 형성함으로써 폼드타입 평면패널(1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으로써 종래의 투명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별도의 코팅 공정 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휘도 균일성 저하를 방지하며,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함에 따른 도밍 특성 저하를 방지하여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 채용시와 유사한 화면 품위를 유지함과 아울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은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으로써 종래의 투명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별도의 코팅 공정 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틴트 글래스로 제작됨에 따른 휘도 균일성 저하를 방지하며, 폼드타입 평면패널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채용함에 따른 도밍 특성 저하를 방지하여 인바 합금의 새도우 마스크 채용시와 유사한 화면 품위를 유지함과 아울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있어서,
    유효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효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550mm 이상이며, 10,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면 및 상기 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 두께(T1)와 상기 유효화면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T2/T1 ≥ 2.1 인 관계를 가지며, 틴트 글래스로 제작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드 라운드부는,
    적어도 일측의 모서리 부위에 중량 감소를 위하여 그 단면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과 아크 형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3.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있어서,
    유효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효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500mm 이상 550mm 미만이며, 5,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면 및 상기 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 두께(T1)와 상기 유효화면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T2/T1 ≥ 1.9 인 관계를 가지며, 틴트 글래스로 제작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드 라운드부는,
    적어도 일측의 모서리 부위에 중량 감소를 위하여 그 단면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과 아크 형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5. AK강의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에 있어서,
    유효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효화면의 대각선 길이는 500mm 이하이며, 5,00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외면 및 상기 외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커트부를 연결하는 브랜드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 두께(T1)와 상기 유효화면의 대각선 방향 끝단의 두께(T2)가 T2/T1 ≥ 2.1 인 관계를 가지며, 틴트 글래스로 제작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드 라운드부는,
    적어도 일측의 모서리 부위에 중량 감소를 위하여 그 단면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직선과 아크 형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KR1020040063205A 2004-08-11 2004-08-11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KR10057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205A KR100570434B1 (ko) 2004-08-11 2004-08-11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205A KR100570434B1 (ko) 2004-08-11 2004-08-11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602A KR20060014602A (ko) 2006-02-16
KR100570434B1 true KR100570434B1 (ko) 2006-04-12

Family

ID=3712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205A KR100570434B1 (ko) 2004-08-11 2004-08-11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4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124A (ja) 1997-08-14 1999-03-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124A (ja) 1997-08-14 1999-03-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602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5942B2 (en) Color picture tube
US20050242700A1 (en) Formed type flat panel for use in a cathode ray tube
KR100570434B1 (ko)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KR100272720B1 (ko) 컬러음극선관
US5606217A (en) Color cathode ray tube of shadow mask type
JP2003197126A (ja) 平面型カラー陰極線管
US701235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505097B1 (ko) 칼라 음극선관
US7084561B2 (en) Panel for flat type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05234B1 (ko) 칼라음극선관
KR20020076830A (ko)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KR100449257B1 (ko) 음극선관용 폼드타입 평면패널
KR100486325B1 (ko) 에칭 천공성이 우수한 플랫 마스크용 고강도 합금재
US20070126332A1 (en) Color picture tube
JP2007287555A (ja) カラー受像管
KR100505944B1 (ko) 음극선관용 패널
KR100241600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489606B1 (ko) 음극선관
US20060066207A1 (en) Color picture tube
KR10048131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20050008859A (ko)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JPH08148093A (ja)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US20070018556A1 (en) Color picture tube
JP2007157436A (ja) カラー受像管
JPH11307005A (ja) シャドウマスク用フラットマスクおよびシャドウマスク用薄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