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169B1 -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169B1
KR100570169B1 KR1020040092931A KR20040092931A KR100570169B1 KR 100570169 B1 KR100570169 B1 KR 100570169B1 KR 1020040092931 A KR1020040092931 A KR 1020040092931A KR 20040092931 A KR20040092931 A KR 20040092931A KR 100570169 B1 KR100570169 B1 KR 10057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eye
lightweight
casting
fl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652A (ko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이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명 filed Critical 이상명
Priority to KR102004009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16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1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의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눈에 몰딩액을 넣어 만든 초본의안을 이용하여 석고형틀을 만들고, 석고형틀을 이용하여 2개의 의안주조물을 만든다음, 하나의 의안주조물의 후면부를 절삭하여 전면판을 만들고, 다른 의안주조물의 전면부를 절삭하여 후면판을 만들어, 전면판 후면판을 접합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키고, 표면을 연마하여 경량의안을 제조하는 경량의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량의안은, 종래의 경량의안보다 무게를 더욱 줄여 하안검 처짐을 방지하고, 위생적이며, 안와에 보다 정확히 맞도록 되어 있어 의안 착용시 수반되는 통증나 염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다양한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안, 경량, 무중력, 부력, 중공, 공간, 진공

Description

경량의안의 제조방법{LIGHT ARTIFICIAL EYE MANUFACTURING METHOD}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플라스크의 단면도.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플라스크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부석고형틀과 상부석고형틀의 사이에서 의안주조물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만든 의안주조물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경량의안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하부플라스크 12. 상부플라스크 14. 고정구
20. 하부석고(하부석고형틀) 22. 상부석고(상부석고형틀) 30. 제1의안주조물
32. 전면판 34. 입체 동자 40. 제2의안주조물
42. 후면판 50. 완성된 경량안 52. 공간부
본 발명은 경량의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눈에 몰딩액을 넣어 만든 초본의안을 이용하여 석고형틀을 만들고, 석고형틀을 이용하여 2개의 의안주조물을 만든다음, 하나의 의안주조물의 후면부를 절삭하여 전면판을 만들고, 다른 의안주조물의 전면부를 절삭하여 후면판을 만들어, 전면판 후면판을 접합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키고, 표면을 연마하여 경량의안을 제조하므로써, 종래의 경량의안보다 무게를 더욱 줄여 하안검 처짐을 방지하고, 위생적이며, 안와에 보다 정확히 맞도록 되어 있어 의안 착용시 수반되는 통증나 염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다양한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경량의안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36226호(출원번호 10-2000-66306호, 인용발명1)에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74052호(출원번호 10-2002-38151호, 인용발명2)에는 의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92980호(출원번호 10-2002-30834호, 인용발명3)에는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1은 의안의 후면에 탈지면을 넣고 이를 다시 빼내야 하는 등 위생상 문제가 많으며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으며, 인용발명2는 발포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대략적인 의안의 형상을 만들고 그 위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원액을 코팅하여 의안을 만드는 것으로 안와에 정확히 대응되는 의안을 만들기 어 려우며 입체동공을 삽입하는 등 의안의 내부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용발명3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만들어진 주조물의 후면을 제거하고 발포플라스틱으로 후면을 채운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원액을 코팅하여 의안을 만드는 것으로 안와에 정확히 대응되는 의안을 만들기 어려우며 입체동공을 삽입하는 등 의안의 내부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의안주조물을 어느 하나는 절삭하고, 다른 하나는 전면부를 절삭하여 서로 접합시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경량의안의 제조방법으로써, 종래의 경량의안보다 무게를 더욱 줄여 하안검 처짐을 방지하고, 위생적이며, 안와에 보다 정확히 맞도록 되어 있어 의안 착용시 수반되는 통증나 염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다양한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경량의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의안 제조방법은,
환자의 눈에 몰딩액을 넣어 안와에 대응되는 초본의안을 얻고, 하부플라스크에 석고액을 붓고 상기 초본의안을 삽입하여 굳힌후, 굳은 하부플라스크의 석고에 분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하부플라스크에 상부플라스크를 장착하고 석고액을 부어 하부석고형틀과 상부석고형틀을 만드는 석고형틀제조단계와; 상기 석고형틀을 이용하여 제1의안주조물과 제2의안주조물을 주조하는 주조단계와; 상기 제1의안주조물의 후면부를 절삭하여 전면판을 만드는 전면판형성단계와; 상기 제2의안주조물의 전면부를 절삭하여 후면판을 만드는 후면판형성단계와; 상기 전면판의 후면부와 상기 후면판의 전면부를 대향시켜 경계면을 밀봉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공간부형성단계와; 상기 공간부형성단계에서 만들어진 의안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조단계에서 제1의안주조물에는 입체 동자를 삽입하여 주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판의 후면부에는 실리콘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플라스크(12)의 단면도이며,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플라스크(10)의 단면도이다.
하부플라스크(10)는 중앙 하부에 받침이 되어 있어 하부로 석고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하부플라스크(10)도 상부플라스크(12)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도록 만들수도 있으나, 작업대가 더러워지거나, 석고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플라스크(10)를 이동시키는 경우 석고가 유동하여 석고형틀이 찌그러질 수도 있으므로 하부에 받침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4는 고정구이다. 고정구(14)는 그 안에 볼트를 끼워 너트로 조이므로써 하부플라스크(10)과 상부플라스크(12)를 결합시키고 조이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하부플라스크(10)과 상부플라스크(12) 중 어느 하나는 고정구(14)가 플라스크 밖으로 개방된 개방형으로 할 수도 있다. 고정구(14)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부분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부석고형틀과 상부석고형틀의 사이에서 의안주조물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의 생성단계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구가 손상된 환자는 안구 대체물(보통 천연산호를 이용한 다공성 산호질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삽입한 상태로 인공안구에, 안구가 손상되지 않은 환자는 안구 자체에 인공 의안을 착용시킨다.
의안을 제작하기 위하여는 우선, 의안이 필요한 환자의 눈에 몰딩액을 넣는다. 몰딩액은 보통 융점이 낮은 파라핀왁스를 사용한다. 융점이 50~70°인 파라핀액 또는 겔을 결막낭으로 넣고, 5~10분 경과하면 파라핀왁스가 굳는다. 국은 파라핀왁스를 꺼내면 초본의안이 완성된다.
초본의안이 완성되면, 하부플라스크(10)에 석고액을 붓고 석고액이 굳기 전에 상기 초본의안의 전면부(볼록한 부분)가 하부로 향하도록 하부플라스크(10)의 석고에 압력을 가하여 삽입하고 석고가 굳기를 기다린다.
하부플라스크(10)의 석고가 굳으면, 굳은 석고에 분리제를 바르고, 상부플라스크(12)를 하부플라스크(10)에 올려놓고, 석고액을 붓는다. 상기 분리제에 의해 하부플라스크(10)의 석고와 상부플라스크(12)의 석고는 서로 분리된다.
상부플라스크(12)의 석고가 굳으면, 하부플라스크(10)와 상부플라스크(12)를 분리하고, 초본의안도 분리한다.
하부플라스크(10)에서 굳은 석고는 하부석고형틀(20)이되고, 상부플라스크(12)에서 굳은 석고(22)는 상부석고형틀(22)이 된다(석고형틀제조단계).
도2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하부석고형틀(20)의 상부 오목한 부분에 적당량의 수지겔을 넣은 후, 상부석고형틀(22)를 상부에 올려놓고, 적절히 조여 의안주조물(30)을 제조한다. 이때, 하부석고형틀(20)에 입체동자(미도시)를 먼저 올려 놓고 수지겔을 넣을 수도 있다.
상기 수지겔을 고형화하기 위하여 적절히 가열할 수도 있으며, 장시간 방치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겔은 통상적으로 폴리메틸케타크릴레이트(PPMA)가 많이 쓰이고 있으며, 단량체인 액체 PPMA와 중합체인 분말 PPMA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단량체와 중합체를 섞은 PPMA는 100℃에서 중합되어 굳으므로 끓는 물에서 적정시간 가열한다. PPMA가 중합되는 시간은 단량체와 중합체의 섞는 비율에 따라 달라지며, 중합체:단량체=2.5:1 인 경우 끓는 물에 60~100분 정도면 중합되어 굳는다. PPMA를 빨리 굳혀야 하는 경우에는 중합체:단량체=4~5:1 정도로 할 수도 있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중합체:단량체=1:1 정도로 한다.
상기 수지겔은 끓는 물에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다이렉트 레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이렉트 레진은 액과 분말을 1:1로 섞어서 3분정도 경과후 사용하고, 10분정도 경과하면 자체적으로 굳어지므로 편리하지만 비용이 고가이므로 범용화되지 않고 있다.
도2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의안주조물(30)이 만들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에서 하부플라스크(10)와 상부플라스크(12)를 분리하면 의안주조물(30)이 분리된다.
도3은 도2에서 만든 의안주조물(30)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경량의안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의 석고형틀을 이용하여 2개의 의안주조물(30, 40)을 제조한다. 제1의안주조물(30)은 도2에서 입체동자(34)를 삽입하고 만든 것이며, 제2의안주조물(40)은 입체동자(34)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만들었다. 입체동자(34)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제1의안주조물(30)도 입체동자(34) 없이 제조할 수도 있다. 입체동자(34)가 없는 경우에는 의안의 무게가 더 가벼워지겠지만, 의안의 눈동자가 평면적이 되므로 실제 눈과 비슷해 보이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의안을 하는 관점에서 보면 바람직하지는 않다.
제1의안주조물(30)은 후면부(도면상의 상부)를 적절한 절삭용구를 이용하여 가공하여 전면판(32)을 생성한다. 가공시에는 전면판(32)의 두께가 적절히 되도록 후면을 제거한다. 도면 (c)에는 입체동자(34)가 도시되어 있다. 가공시에 입체동자(34)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제1의안주조물(30)이 입체동자(34)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면판(32)은 대략 균일한 두께로 가공할 수 있다.
제2의안주조물(40)은 전면부(도면상의 하부)를 적절한 절삭용구를 이용하여 가공하여 후면판(42)을 생성한다. 가공시에는 후면판(42)의 두께가 적절히 되도록 전면을 제거한다.
제1의안주조물(30) 또는 제2의안주조물(40)의 가공시에 사용하는 절삭용구는 통상적인 핸드피스가 사용된다.
(c)의 전면판(32)의 후면부(도면상 상부)에 (d)의 후면판(42)을 밀착시키고 전면판(32)과 후면판(42)이 떨어지지 않도록 밀봉하여 (e)와 같이 공간부(52)를 형성시킨다.
전면판(32)과 후면판(42)을 밀봉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원발명에 전면판(32) 또는 후면판(42)과 같은 재질의 물질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MMA를 사용하여 전면판(32)과 후면판(42)을 제조한 경우에는 PMMA를 접착물질로 사용한다. PMMA를 접착제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단량체:중합체=1~4:1의 비율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와 같이 제조된 의안(50)은 외부 표면을 적절한 연마도구를 이용하여 연마하여 착용감이 좋게 하거나 광택이 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e)와 같이 만들어진 경량의안(50)의 후면판(42)의 표면인 후면 부에는 실리콘을 도포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경량의안보다 무게를 더욱 줄여 하안검 처짐을 방지하고, 위생적이며, 안와에 보다 정확히 맞도록 되어 있어 의안 착용시 수반되는 통증이나 염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다양한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경량의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눈에 몰딩액을 넣어 안와에 대응되는 초본의안을 얻고, 하부플라스크에 석고액을 붓고 상기 초본의안을 삽입하여 굳힌후, 굳은 하부플라스크의 석고에 분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하부플라스크에 상부플라스크를 장착하고 석고액을 부어 하부석고형틀과 상부석고형틀을 만드는 석고형틀제조단계와;
    상기 석고형틀을 이용하여 제1의안주조물과 제2의안주조물을 주조하는 주조단계와;
    상기 제1의안주조물의 후면부를 절삭하여 전면판을 만드는 전면판형성단계와;
    상기 제2의안주조물의 전면부를 절삭하여 후면판을 만드는 후면판형성단계와;
    상기 전면판의 후면부와 상기 후면판의 전면부를 대향시켜 경계면을 밀봉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공간부형성단계와;
    상기 공간부형성단계에서 만들어진 의안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하는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단계에서 제1의안주조물에는 입체 동자를 삽입하여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의 후면부에는 실리콘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KR1020040092931A 2004-11-15 2004-11-15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KR10057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931A KR100570169B1 (ko) 2004-11-15 2004-11-15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931A KR100570169B1 (ko) 2004-11-15 2004-11-15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52A KR20040105652A (ko) 2004-12-16
KR100570169B1 true KR100570169B1 (ko) 2006-04-11

Family

ID=3738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931A KR100570169B1 (ko) 2004-11-15 2004-11-15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02B1 (ko) * 2005-06-24 2006-12-13 박기영 의안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762A (ja) * 1995-12-28 1997-07-15 Menicon Co Ltd 人工角膜
KR20020036226A (ko) * 2000-11-09 2002-05-16 전말수 인체용 의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3061A (ko) * 2002-05-31 2003-12-06 이상렬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0092980A (ko) * 2002-05-31 2003-12-06 이상렬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762A (ja) * 1995-12-28 1997-07-15 Menicon Co Ltd 人工角膜
KR20020036226A (ko) * 2000-11-09 2002-05-16 전말수 인체용 의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3061A (ko) * 2002-05-31 2003-12-06 이상렬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0092980A (ko) * 2002-05-31 2003-12-06 이상렬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52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252B2 (en) Molding artificial teeth in denture base disc
JPH01286809A (ja)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20140272798A1 (en) Stress-reduced denture base disc
US3701592A (en) Vacuum spectacle bridge
KR100570169B1 (ko)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CN105666760A (zh) 建筑装饰用异型人造石的多彩浇注制造方法
JP2000232912A (ja) つけ爪チップの作製方法
US6390621B1 (en) Manufacturing of positive power ophthalmic lenses
KR100570170B1 (ko) 입체의안의 제조방법
KR100570171B1 (ko) 눈물순환형 의안 및 그 제조방법
US2457114A (en) Process of forming dentures from polymerizable acrylic materials
US2936490A (en) Process of bonding cast metal and plastic
US4846682A (en) Method of fabricating artificial dentures
US3251909A (en) Method of molding dentures
KR100485661B1 (ko)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089496B (zh) 一种烤瓷贴面制作方法
KR100485664B1 (ko)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56502B1 (ko) 의안제조방법
KR100485657B1 (ko)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289679A (ja) 義歯の製作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通路シール材
JPS6361225A (ja) 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
CN106798598B (zh) 基托蜡在口腔固定修复中应用方法
JP2010131320A (ja) 義歯の製造方法
GB2107341A (en) Low shrinkage polymer/monomer mixtures for biomedical use
KR20190073228A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