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226A - 인체용 의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체용 의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226A
KR20020036226A KR1020000066306A KR20000066306A KR20020036226A KR 20020036226 A KR20020036226 A KR 20020036226A KR 1020000066306 A KR1020000066306 A KR 1020000066306A KR 20000066306 A KR20000066306 A KR 20000066306A KR 20020036226 A KR20020036226 A KR 2002003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flask
human
artificial eye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776B1 (ko
Inventor
전말수
전종헌
전성운
Original Assignee
전말수
전성운
전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말수, 전성운, 전종헌 filed Critical 전말수
Priority to KR10-2000-006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7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1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2Artificial eyes from organic plast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1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with pattern for identification or with cosmetic or therapeutic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08Artificial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의안의 내주면을 약 1.0mm 정도의 두께로 균일하게 가공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이 공간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캡(cap)을 씌워 외관상 통상의 의안과 동일하도록 형성한 인체용 의안 및 이 의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체용 의안 및 그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IT HUMAN BODY ARTIFICAL EYE}
본 발명은 인체용 의안(Artifical Ey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의안보다 현저히 가볍고 착용감이 향상된 인체용 의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안은 어느 한쪽 눈이 안질환 또는 안구에 상해를 입어 시기능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 정상적인 인상(人相)과 미용을 위해서 착용하는 유사안구(類似眼球)로서, 비록 실명(失明)은 되어서도 심리적인 결여감 없이 타인의 시선을 괘념(掛念)치 않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꼭 필요한 예술적 안구(Artifical Eye Ball) 역할을 한다.
한편, 각막의 혼탁 내지 가벼운 위축(萎縮)은 비록 실명은 되었을지라도 안구 손상이 크지 않아 가볍고 얇은 의안으로 만들 수 있어 착용자는 큰 불편 없이 착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 두터운 막인 공막(鞏膜)이 많이 손실되었거나 안구적출(眼球摘出)로 인할 경우에는 안와(眼窩)의 용적(容積)이 켜져서 이에 적용될 의안의 부피도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큰 용량의 의안을 착용할 경우, 의안의 용량에 따른 무게에서 오는 짓눌리는 압박감을 종종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착용시 얼마간은 중압감을 못 느껴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점 뻑뻑한 거북함을 느낀다는 게 착용자들의 공통된 증상이다. 이는 무게가 주는 압박감에서 안구 주위의 점막이 반응하여 일어나는 반사증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사안들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의안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종래의 의안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시 중압감 및 뻑뻑한 느낌이 전혀 없는 인체용 의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며 의안 착용으로 인한 하안검이 무게에 의해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인체용 의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하부 플라스크에 석고를 투입한 후, 여기에 개략적인 형상으로 만들어진 의안을 삽입한 다음, 상기 석고의 상면과 상기 의안의 후면 전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하부 플라스크에 상부 플라스크를 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 플라스크에 석고를 투입하여 고착시킨 후, 상기 의안을 하부 플라스크에서 분리시킨 다음, 상기 의안의 후면을 가공하는 과정과; 아크릴 레진 분말과 레피드 레진 용액을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겔 상태로 만든 다음, 이를 상기 상부 플라스크에 평평하게 펴서 올려놓는 과정과; 상기 의안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의안의 후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상기 상부 플라스크에 올려놓은 후, 상기 하부 플라스크를 결합시킨 다음, 이를 소독기에 넣고 가열시킨 후, 상기 의안의 전체면을 염마하고 광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용 의안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N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안과 종래의 의안의 중량을 비교한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플라스크20: 상부 플라스크
30a,30b: 석고40: 개략적으로 만들어진 의안
50: 분리제60: 탈지면
80: 캡용 혼합물500: 무중력 의안
510: 캡520: 공간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의안의 기능 및 역할에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의안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념을 살펴보면,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의안의 내주면을 약 1.0mm 정도의 두께로 균일하게 가공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이 공간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캡을 씌워 외관상 통상의 의안과 동일하도록 형성한 인체용 의안 및 이 의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인체용 의안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의안(Artifical Eye)은 외관은 통상의 의안과 동일하며 그 내부는 통상의 의안보다 가볍게 하기 위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는 캡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
즉, 전술한 의안(이하 "무중력 의안(500)"이라 함)은 일반적인 의안의 외형과 같이 외안각, 내안각, 공막 및 각막, 동공, 혈관 등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은 약 0.5∼1.5mm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으며 이를 편의상 공간부(520)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무중력 의안(500)의 후면에는 캡(510)이 접착되며, 이 캡(510)은 착용자의 안구와 접촉되는 곳이며 전술한 공간부(5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무중력 의안(500)은 도 3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중이 낮기 때문에 물에 뜨며, 통상의 의안은 물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물속에 깔아 앉게된다. 이는 본 발명의 무중력 의안(500)이 통상의 의안보다 훨씬 무게가 가볍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실험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중력 의안의 제조방법을 도 2A 내지 도 2N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후술하는 실시 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선, 도 2A에 도시한 형상을 가지는 상/하부 플라스크(flask)(10,20)를, 바람직하게는 위/아래가 오픈된 링 타입의 플라스크(10,20)를 준비하였다. 또한 개략적으로 만들어진 의안(이하 "의안(40)"이라 함)을, 즉 외안각, 내안각, 공막, 각막 및 통공, 혈관 등이 외면에 표시된 의안을 준비하였다.
이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플라스크(10)를 바닥면에 올려놓은 다음, 하부 플라스크(10)의 내부에 반죽한 석고(30a)를 투입하였다.
다음,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석고(30a) 위에 후면이 위로 향하도록 의안(40)을 삽입한 다음, 도 2D와 같이 석고(30a)의 상면과 의안(40)의 후면 전체에 분리제(50)를 도포 하였다.
이후,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플라스크(10)의 상단에 상부 플라스크(20)를 올려놓은 다음, 이들을 나사로 체결 고정한 후, 도 2F와 같이 상기 상부 플라스크(20)의 내부에 반죽한 석고(30b)를 투입한 다음, 40∼50분 동안 경화시킨 후, 상부 플라스크(20)를 분리시켰다.
이후, 전술한 하부 플라스크(10)에서 의안(40)을 꺼낸 다음, 상기 의안(40)의 후면을 마이크로 포인트 드릴(micro-point drill: 치과 기공용 드릴)로 깍아내면서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안(40)의 표면이 약 1.0mm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균일하게 가공하였다.
다음, 도 2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된 의안(40)의 후면에,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의 바가지 모양으로 된 의안의 공간부(40a)에 탈지면(60)을 꽉 차도록 집어넣었다. 이때 탈지면((40a)을 삽입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공정, 즉 도 2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안(40)을 상부 플라스크(20)의 홈틀(70)에 안착시킬 때 혼합물(80)이 의안(40)의 공간부(40a)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분말과 레피드 심플리 파이드(Rapid Simplified) 용액을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겔 상태로 만든 다음(이하 "혼합물(80)"이라 함), 이를 유리판에 놓고 압설자로 평평하게 1.0mm 정도 두께로만들었다.
다음, 도 2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라스크(20)의 상면에 평평하게 펴진 혼합물(80)을 올려놓은 다음, 전술한 의안(40)의 후면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의안(40)의 표면이 40∼50℃가 유지되도록 100V/100W의 전구빛을 10cm 정도의 거리에서 약 30∼50분간 쪼인 후 사용하였다. 이때 전술한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 2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후, 도 2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의안(40)의 후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 다음, 이를 상부 플라스크(20)의 홈틀(70)에 삽입시키면서 누른다. 즉, 의안(40)의 후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반죽된 겔상태의 혼합물(80) 위에 씌우듯이 부착시키면서 눌렀다.
다음, 도 2K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라스크(20)의 상단에 하부 플라스크(10)를 올려놓은 다음, 이들을 나사로 체결 고정시킨 후, 상기 플라스크(10,20)를 자비 소독기에 넣고 71∼74℃ 사이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플라스크(10,20)가 소독기에서 끓기 시작할 때 30분간 더 끓이면서 가열ㆍ소독하였다.
이후, 하부 플라스크(10)를 상부 플라스크(2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의안(40)을 상부 플라스크(20)에서 깨낸 후, 도 2L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안(40)의 후면에, 바람직하게는 의안(40)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접착 고정된 혼합물(80)의 중심에 구멍(80a)을 뚫었다.
다음, 도 2M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안(40)의 내부에 삽입된 탈지면(60)을 구멍(80a)을 통해 끄집어 낸 다음, 상기 구멍(80a)에 전술한 혼합물(80)을 도 2N과 같이 삽입시킨 다음, 이를 자비 소독기에 넣고 71∼74℃ 사이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한 다음, 이를 다시 끓기 시작할 때 30분간 더 끓이면서 가열ㆍ소독하였다. 이때 전술한 의안(40)의 구멍(80a)에 메워진 부분은 편의상 마감캡(100)이라 한다.
이후, 전술한 과정을 거친 의안(40)의 후면과 구멍(80a)에, 바람직하게는 의안(40)의 전체면에 남아있는 요철부분을 연마하고 광택을 내어 도 1과 같은 무중력 의안을 만들었다. 이때 전술한 제조과정을 설명할 때 혼합물(80)과 마감캡(100)은 도 1에 도시한 캡(510)에 해당되며, 의안(40)은 연마 가공된 무중력 의안(500)에 해당된다.
{실시예 2}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분말과 레피드 심플리 파이드(Rapid Simplified) 용액을 3:1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이를 실온상태에서 30∼40분 동안 숙성시켜 끈끈한 점액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과정을 거친 결과물과 레피드 심플리 파이드 용액을 1:7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이를 유리병에 넣고 실온상태에서 1주일간 보관하면서 하루에 3번 정도, 바람직하게는 8시간 간격으로 흔들어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의안보다 무게가 절반 가까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볍고 장시간 동안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의안을 착용시 중압감 및 뻑뻑한 느낌이 전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며 의안 착용으로 인한 하안검이 무게에 의해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착제는 의안의 이음새에 안와주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이 삼투되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안와 염증까지도 예방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링 타입으로 형성된 상/하 분리용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인체용 의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라스크에 석고를 투입한 후, 여기에 개략적인 형상으로 만들어진 의안을 삽입한 다음, 상기 석고의 상면과 상기 의안의 후면 전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하부 플라스크에 상부 플라스크를 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 플라스크에 석고를 투입하여 고착시킨 후, 상기 의안을 하부 플라스크에서 분리시킨 다음, 상기 의안의 후면을 가공하는 과정과;
    아크릴 레진 분말과 레피드 레진 용액을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겔 상태로 만든 다음, 이를 상기 상부 플라스크에 평평하게 펴서 올려놓는 과정과;
    상기 의안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의안의 후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상기 상부 플라스크에 올려놓은 후, 상기 하부 플라스크를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플라스크를 소독기에 넣고 가열시킨 후, 상기 의안의 전체면을 염마하고 광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의안의 후면에 탈지면을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의안의 후면에 구멍을 뚫은 다음, 상기 탈지면을 제거한 후, 이를 다시 가열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안의 후면을 가공할 때 상기 의안의 표면이 0.5∼1.5mm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과정은 71∼74℃ 사이에서 1∼2시간 정도 가열시킨 다음, 이를 다시 끓기 시작할 때 30분간 더 가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레진 분말과 레피드 레진 용액을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숙성시킨 다음, 여기에 레피드 레진 분말 용액을 상기 혼합물 대비 1:7의 비율로 첨가한 후, 이를 상온에서 1일 3회씩 1주일 동안 교반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체용 의안.
  8. 인체용 의안에 있어서,
    상기 의안의 내측면은 소정 깊이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의안의 테두리면에는 캡이 접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안은 0.5∼1.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안과 캡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의안.
KR10-2000-0066306A 2000-11-09 2000-11-09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KR100406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306A KR100406776B1 (ko) 2000-11-09 2000-11-09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306A KR100406776B1 (ko) 2000-11-09 2000-11-09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226A true KR20020036226A (ko) 2002-05-16
KR100406776B1 KR100406776B1 (ko) 2003-11-21

Family

ID=1969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306A KR100406776B1 (ko) 2000-11-09 2000-11-09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7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61B1 (ko) * 2002-05-31 2005-04-27 이상렬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85657B1 (ko) * 2002-05-31 2005-04-27 이상렬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85664B1 (ko) * 2002-05-31 2005-04-27 이상렬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70171B1 (ko) * 2004-11-22 2006-04-11 이상명 눈물순환형 의안 및 그 제조방법
KR100570169B1 (ko) * 2004-11-15 2006-04-11 이상명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KR100711730B1 (ko) * 2005-07-19 2007-04-25 이병만 의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50B1 (ko) 2004-10-28 2006-08-09 전말수 정밀의안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762A (ja) * 1995-12-28 1997-07-15 Menicon Co Ltd 人工角膜
US5919227A (en) * 1997-09-11 1999-07-06 Bello; Louis Moving artificial ey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61B1 (ko) * 2002-05-31 2005-04-27 이상렬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85657B1 (ko) * 2002-05-31 2005-04-27 이상렬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85664B1 (ko) * 2002-05-31 2005-04-27 이상렬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경량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70169B1 (ko) * 2004-11-15 2006-04-11 이상명 경량의안의 제조방법
KR100570171B1 (ko) * 2004-11-22 2006-04-11 이상명 눈물순환형 의안 및 그 제조방법
KR100711730B1 (ko) * 2005-07-19 2007-04-25 이병만 의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6776B1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izada et al. Ocular prosthesis
US20030056281A1 (en) Eye mask
KR100406776B1 (ko) 인체용 의안의 제조방법.
KR100630576B1 (ko) 컴퓨터를 이용한 의안 및 그 제조방법
US2466780A (en) Artificial eye
Jayaswal et al. Restoration of an atrophic eye socket with custom made eye prosthesis, utilizing digital photography
CN1061932C (zh) 一种软性义眼
Dhiman et al. Rehabilitation of a rhinocerebral mucormycosis patient
KR100485661B1 (ko) 입체투명 홍채를 갖는 의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11050B1 (ko) 정밀의안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353083A (zh) 一种美容面罩
CN206303999U (zh) 带囊袋的人工虹膜
CN206730034U (zh) 一种用于多种体位眼部烧伤患者的眼部护理装置
Looi et al. Visual rehabilitation with new-age rigid gas-permeable scleral contact lenses--a case series
KR20030076156A (ko) 인공 안와충전물의 제조방법
CN2560372Y (zh) 一种用于视力矫正的医用可贴
KR20050013790A (ko) 연성의안 및 그 제조방법
CN206730039U (zh) 一种用于仰卧位眼部烧伤患者的眼部护理装置
Nuriyanto et al. Post exenteration surgery rehabilitation with orbital prosthesis–A case report
KR100611051B1 (ko) 입체적인 홍채를 갖는 의안.
RU2283073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е протезирование
Janya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ocular defect resulting from pediatric retinoblastoma
KR100723263B1 (ko) 저마찰 의안
Prasad et al. Esthetic problem: prosthetic solution for an ocular defect
KR200329880Y1 (ko) 연성의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