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854B1 - 선박 배관용 관통구 - Google Patents

선박 배관용 관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54B1
KR100569854B1 KR1020030010828A KR20030010828A KR100569854B1 KR 100569854 B1 KR100569854 B1 KR 100569854B1 KR 1020030010828 A KR1020030010828 A KR 1020030010828A KR 20030010828 A KR20030010828 A KR 20030010828A KR 100569854 B1 KR100569854 B1 KR 100569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tube
cabin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384A (ko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김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열 filed Critical 김상열
Priority to KR102003001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실이나 화물실 등을 구획하는 각 격벽체에 구비되어 선실이나 화물실의 화재시 화염 및 열이 배관을 타고 타 선실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각 격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을 보호하는데 적용되는 관통구에 관한 것으로, 선실 사이를 구획하는 벽 또는 천정 등의 격벽체를 관통하여 배관을 보호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이며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며 상기 격벽체를 관통하여 중간 외측둘레가 격벽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어 있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배관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관통되는 난연성 재질의 원통형 단열재로 구성되되; 상기 관통관은, 일측에 구비되어 외측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지지관과, 상기 배관 지지관의 내측에 장착되어 관통되는 배관을 외관을 잡아주는 쇄기부와, 상기 배관 지지관의 외측을 감싸며 체결되어 상기 쇄기부를 관통관의 내부로 밀어주어 내경이 좁아지면서 배관을 관통관의 중앙에 고정시키는 배관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배관용 관통구{A through pipe for a vessel piping}
도 1은 본 발명의 관통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통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통구가 천정 격벽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배관 관통방법을 개략 도시한 도면.
도 7는 도 6의 B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실
11 : 격벽체
2 : 배관
3 : 관통구
31 : 함몰 둘레홈
4 : 원통형 단열재(FILLER)
5 : 배관 고정부
51 : 배관 지지관
511 : 나선부, 512 : 내측 경사면
52 : 쇄기부
521 : 원뿔체, 522 : 원호면, 523 : 경사면, 524 : 간격 공간부
53 : 배관 고정캡
531 : 공구 잠금홈
6 : 단열재
본 발명은 선실이나 화물실 등을 구획하는 각 격벽체에 구비되어 선실이나 화물실의 화재시 화염 및 열이 배관을 타고 타 선실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각 격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을 보호하는데 적용되는 관통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관을 타고 전도되는 열의 전도를 최대로 차단함으로서 선실이나 화물칸에서 발생된 화재가 타 선실이나 화물칸 및 타 실내의 격벽으로 번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함은 물론, 배관을 통한 고온전도를 차단함에 따라 타 선실로 화재가 번지는 시간을 최대로 연장하고자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船舶;vessel)이라 함은, 넓게는 물 위의 교통기관을 총칭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현재 법규상 총 톤수 5t 이상의 것을 선박으로 취급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는 영국선급협회(Lloyd’s Register of shipping)가 배의 통계자 료로 채택하고 있는 총톤수 100t 이상의 강선(鋼船)을 선박으로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톤수와 관계없이 모든 강선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선박은, 선원실, 객실, 화물실, 기관실, 제어실(이하, 총칭하여 "선실"이라 칭함) 등의 여러 용도의 실내공간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 선실들은 벽체격판 및 천정격판(이하, "격벽체"로 칭함)으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격벽체를 관통하는 각종 배관을 보호하고 화재방지를 위한 관통구에 관한 것으로서, 먼저 종래 선박의 격벽체에 관통되어 사용되고 있는 관통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종래의 선박을 개략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C부 확대도로서, 선실 또는 화물실(100)의 사이를 구획하는 벽 또는 천정 등의 격벽체(101)를 관통하여 배관(200)을 보호하는 선박용 배관 관통구에 있어서, 상기 배관 관통구은, 상기 격벽체(101)에 관통 고정되어 상기 배관(200)이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관(3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관통관(300)은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을 절단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관(300)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관통관(300)을 격벽체(101)에 관통시켜 용접 고정한 다음, 관통관(300)의 내부에 배관(200)을 삽입 관통시켜 시공을 마감하는 것이다.
한편, 국제해상안전장비기구(IMO)의 2002년도 규정에 의하면, 선박의 화재 발생시 선실의 화염이 타 선실로 번지는 것을 최대로 예방하여 대피 및 진화시간을 벌수 있도록 배관의 열 전도성을 극히 제한하고 있다.
즉 화재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기관실에서 인출되는 배관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배관의 열 전도성을 더욱 엄밀하게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관통관으로 구성된 배관 관통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관통관과 관통배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서 이 공간을 통해 화재 선실에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열이 타 선실로 빠르게 전달되게 된다.
특히 화염의 고열이 배관을 타고 타 선실에 빠르게 전도됨으로서, 화재가 급속하게 타 선실로 번지게 되는 문제점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관통관으로는 상술한 국제해상안전장비기구의 안전 규정을 통과할 수 없고 그에 따라 앞으로는 사용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상기 단일 관통관으로 구성된 배관 관통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의 운항시 선체의 유동으로 인하여 배관이 관통관의 내측면과 반복적으로 충돌되어 배관이 파열되는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관통관을 천정의 격벽체에 적용할 경우에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관이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관통관의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됨으로서 배관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열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배관과 관통구 사이를 고온 단열재로 완전히 밀폐하여 화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 고 배관 관통구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의 열 전도율을 최대로 낮춤으로서, 화재 선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타 선실로 전달되는 시간을 최대로 연장하고자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통구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을 관통구의 중앙에 고정함으로서 배관이 관통구의 내측에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하고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또 관통구를 천정 격벽체에 수직으로 장착하더라도 배관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실 사이를 구획하는 벽 또는 천정 등의 격벽체를 관통하여 배관을 보호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이며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며 상기 격벽체를 관통하여 중간 외측둘레가 격벽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어 있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배관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관통되는 난연성 재질의 원통형 단열재로 구성되되; 상기 관통관은, 일측에 구비되어 외측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지지관과, 상기 배관 지지관의 내측에 장착되어 관통되는 배관을 외관을 잡아주는 쇄기부와, 상기 배관 지지관의 외측을 감싸며 체결되어 상기 쇄기부를 관통관의 내부로 밀어주어 내경이 좁아지면서 배관을 관통관의 중앙에 고정시키는 배관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부를 더 포함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통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관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관통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구는, 선박의 각종 선실(1)들의 사이를 구획하는 벽 또는 천정 등의 격벽체(11)를 관통하여 배관(2)을 보호하는 선박용 배관 관통구로 상기 격벽체(11)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관통구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며 상기 격벽체(1)를 관통하여 중간 외측둘레가 격벽체(1)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관통관(3)과, 상기 관통관(3)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상기 배관(2)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관통되는 난연성(불연성) 재질의 원통형 단열재(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관(3)의 내측면에는 상기 원통형 단열재(4)의 외측 둘레의 일부가 삽입 충진되어 원통형 단열재(4)가 관통관(3)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몰 둘레홈(3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관 관통구를 격벽체에 사용할 경우에는, 관통관(3)의 내측면과 배관(2)의 외측면 사이에는 난연성(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 단열재(4)가 구비됨으로서, 화재가 발생된 선실의 화염이 관통관(3)의 내측과 배관(2)의 외측 사이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즉 상기 단열재를 통해 열이 타 격실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더불어 상기 원통형 단열재(4)는 난연성(불연성)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서 그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2)의 열전도성을 흡수하여 최대로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즉 배관의 관 자체를 타고 이동되는 열이 원통형 단열재(4)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안전규정 이하로 전달됨으로서, 일측 선실의 화염열이 배관을 타고 타측 선실로 빠르게 전도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배관과 관통관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배관 관통구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의 열 전도율을 최대로 낮춤으로서, 하나의 선실에서 발생된 화재가 타 선실로 번지는 시간을 최대로 연장하여 선원들의 대피시간 및 화재의 진화시간을 최대로 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관(3)은, 일측에 구비되어 외측에는 나선부(511)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지지관(51)과, 상기 배관 지지관(51)의 내측에 장착되어 관통되는 배관의 외관을 잡아주는 쇄기부(52)와, 상기 배관 지지관(51)의 외측을 감싸며 체결되어 상기 쇄기부(52)를 관통관(3)의 내부로 밀어주어 내경이 좁아지면서 배관을 관통관(3)의 중앙에 고정시키는 배관 고정캡(53)으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부(5)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배관 고정캡(53)의 외측면에는 배관 고정캡(5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봉이 삽입되는 다수의 공구 잠금홈(5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쇄기부(52)는, 내측에 배관(2) 과 밀착되는 원호면(52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삽입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23)을 가지는 원뿔체(521)가 간격 공간부(524)를 두고 다수로 조합되어 원뿔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간격 공간부(524)를 통해 각 원뿔체(521)가 이루는 내경이 작아짐으로서 배관을 수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관 지지관(51)의 내측면에는, 상기 쇄기부(5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쇄기부(52)를 구성하는 각 원뿔체(521)의 외측 경사면(523)과 동일한 기울기의 내측 경사면(5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관 고정부(5)를 통해 배관을 고정하는 과정을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관(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단열재(4)의 내부에 배관을 관통시켜 장착한다.
다음 쇄기부(52)의 외측을 감싸며 배관(2)에 관통되어 있는 배관 고정캡(53)을 회전시켜 배관 지지관(51)의 나선부(511)에 체결 시켜 관통관(3)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배관 지지관(51)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쇄기부(52)가 관통관(3)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쇄기부(52)를 구성하는 각 원뿔체(521)들이 이루는 내측면의 직경이 줄어들게 됨으로서 배관(2)이 쇄기부(52)의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쇄기부(52)는, 관통관(3)과 일체로 구성된 배관 지지관(51)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고정됨으로서, 관통관(3)과 쇄기부(52) 및 배관(2)이 상기 배관 고정캡(53)의 체결이동을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통관(3)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이 관통관(3)의 내부 중앙에 고정됨으로서, 선박의 운항 중 배관이 관통관(3)의 내측에서 유동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관통구가 천정 격벽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천정 격벽체(11)에 관통관(3)을 수직으로 장착하더라도 배관(2)이 쇄기부(52)를 통해 관통관(3)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서, 배관(2)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하부로 처지거나 선체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관통관(3)의 외부 주위에는, 외부의 열이 관통관(3)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 주위을 감싸는 단열재(6)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된 선실의 화염 열이 관통관(3)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로 지연시킴으로서, 일 선실에서 발생된 화재가 타 선실로 이동되는 시간을 최대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은 선박의 격벽체에 적용하는 상태로 설명되었으나, 대현 건축물의 격벽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관과 관통구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화염의 이동을 방지함은 물론, 배관 관통구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의 열 전도율을 최대로 낮춤으로서, 하나의 선실에서 발생된 화재가 타 선실로 전달되는 시간을 최대로 연 장하여 선원들의 대피 및 진화 시간을 최대로 길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선박의 운항중 선체의 유동으로 인하여 배관이 관통구의 내측에서 파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배관을 좀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천정 격벽체에 관통구를 수직으로 장착하더라도 배관이 쇄기부를 통해 관통구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서, 배관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하부로 처지거나 선체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배관을 좀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선실(1) 사이를 구획하는 벽 또는 천정 등의 격벽체(11)를 관통하여 배관(2)을 보호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이며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크며 상기 격벽체(1)를 관통하여 중간 외측둘레가 격벽체(1)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관통관(3)과, 상기 관통관(3)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어 있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배관(2)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관통되는 난연성 재질의 원통형 단열재(4)로 구성되되;
    상기 관통관(3)은, 일측에 구비되어 외측에는 나선부(511)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 지지관(51)과, 상기 배관 지지관(51)의 내측에 장착되어 관통되는 배관을 외관을 잡아주는 쇄기부(52)와, 상기 배관 지지관(51)의 외측을 감싸며 체결되어 상기 쇄기부(52)를 관통관(3)의 내부로 밀어주어 내경이 좁아지면서 배관을 관통관(3)의 중앙에 고정시키는 배관 고정캡(53)으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부(5)를 더 포함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3)은, 내측면에 상기 원통형 단열재(4)의 외측 둘레의 일부가 삽입 충진되어 원통형 단열재(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몰 둘레홈(3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부(52)는, 내측에 배관(2)과 밀착되는 원호면(52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삽입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23)을 가지는 원뿔체(521)가 간격 공간부(524)를 두고 다수로 조합되어 원뿔통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관(51)은, 쇄기부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쇄기부(52)를 구성하는 각 원뿔체(521)의 외측 경사면(523)과 동일한 기울기의 내측 경사면(512)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캡(53)의 외측면에는 배관 고정캡(5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봉이 삽입되는 다수의 공구 잠금홈(531)이 등간격으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3)은, 외부열이 관통관 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 주위을 감싸는 단열재(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관통구.
  7. 삭제
KR1020030010828A 2003-02-20 2003-02-20 선박 배관용 관통구 KR10056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828A KR100569854B1 (ko) 2003-02-20 2003-02-20 선박 배관용 관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828A KR100569854B1 (ko) 2003-02-20 2003-02-20 선박 배관용 관통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94U Division KR200312839Y1 (ko) 2003-02-20 2003-02-20 선박 배관용 관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384A KR20040075384A (ko) 2004-08-30
KR100569854B1 true KR100569854B1 (ko) 2006-04-11

Family

ID=3736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828A KR100569854B1 (ko) 2003-02-20 2003-02-20 선박 배관용 관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30B1 (ko) * 2006-08-16 2007-12-13 김상열 선박용 배관고정장치
KR100748678B1 (ko) *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30078B1 (ko) * 2009-01-16 2011-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부재용 단열 구조물
KR101063212B1 (ko)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KR101275154B1 (ko) * 2011-04-05 2013-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용 배관의 소음저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384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100B1 (ko) 내화성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JPS58196395A (ja) 貯蔵タンク
KR100569854B1 (ko) 선박 배관용 관통구
US3331525A (en) Device for connecting liquefied gas tank linings with the bulkheads of a ship
JP2009530034A (ja) 膨張剤を含む、火災抑制装置および方法
JP7055667B2 (ja) 液化水素運搬船および船体保護方法
US3050134A (en) Means for protecting constructions and buildings against the risk of fire
KR200312839Y1 (ko) 선박 배관용 관통구
KR100569853B1 (ko) 선박 배관용 관통구
JP2018176996A (ja) 船舶
KR20180124620A (ko) 방화자켓
KR200312842Y1 (ko) 선박 배관용 관통구
KR20150001347A (ko) 벽 관통부의 파이어 씰링구조
KR100785430B1 (ko) 선박용 배관고정장치
EP3497362B1 (en) Insulation system
KR101122275B1 (ko) 격리밸브 보호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1259099B1 (ko) 환기 구조를 가진 벽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0481486Y1 (ko) 파이프를 감는 열선의 격벽 관통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WO2019039132A1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構造、浮体構造物、貯蔵タンクの内部圧力の逃がし方法
JP7094174B2 (ja) 配線・配管材の断熱壁貫通配設構造、断熱ブロック体、および断熱壁貫通部形成装置
KR102027277B1 (ko) 화물 탱크
KR101224835B1 (ko) 선박용 클래스월 및 선박용 클래스월을 포함하는 선박
RU2257536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зрывоопасного груза
KR102027279B1 (ko) 화물 탱크
US11918838B2 (en) Fire suppressant system for aircraft cargo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