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802B1 -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 Google Patents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02B1
KR100569802B1 KR1020040011345A KR20040011345A KR100569802B1 KR 100569802 B1 KR100569802 B1 KR 100569802B1 KR 1020040011345 A KR1020040011345 A KR 1020040011345A KR 20040011345 A KR20040011345 A KR 20040011345A KR 100569802 B1 KR100569802 B1 KR 10056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support tube
coupl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775A (ko
Inventor
송영환
Original Assignee
송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환 filed Critical 송영환
Priority to KR102004001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발명은 윈치의 와이어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핀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조절대에 고정브라켓을 부착하고 고정브라켓 내부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용이토록 지지관을 결합하며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중 한개의 고정공과 지지관의 통공으로 고정핀을 결합시켜서 지지관의 회전을 각도별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관에는 회전브라켓을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한뒤 회전브라켓의 내부에는 윈치의 와이어와 접촉을 하는 주로울러를 중심축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주로울러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을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에 의해 지지관으로 부터 탈거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거나 필요시에는 분리가 용이토록 된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를 제공한다.
고정대,조절대,고정브라켓,보조로울러,지지관,조절편,회전브라켓,회전축,주로울러

Description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WIRE REGULATOR FOR WINCH}
도1은 종래 윈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윈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3은 본발명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발명 와이어 조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발명 회전브라켓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6은 본발명 와이어 조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발명 와이어 조정기의 정면 견인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발명 와이어 조정기의 측면 견인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고정대 102-조절대
103-조절공 104-연결핀
111-고정브라켓 112-힌지축
113-고정공 114-고정핀
115-중심핀 116-보조로울러
121-지지관 122-통공
123-보조관 131-조절편
132-스토퍼 133-탄성부재
141-회전브라켓 142-회전축
143-삽입홈 144-중심축
145-주로울러 151-윈치
152-와이어 161-연결관
162-결합공
본발명은 윈치의 와이어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핀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조절대에 고정브라켓을 부착하고 고정브라켓 내부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용이토록 지지관을 결합하며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중 한개의 고정공과 지지관의 통공으로 고정핀을 결합시켜서 지지관의 회전을 각도별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관에는 회전브라켓을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한뒤 회전브라켓의 내부에는 윈치의 와이어와 접촉을 하는 주로울러를 중심축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주로울러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을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에 의해 지지관으로 부터 탈거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거나 필요시에는 분리가 용이토록 된 것으로 와이어의 견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와이어가 지면이나 다른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해 안정된 견인을 할 수 있는 이유에 의해 견인효율을 높일 수 있고 윈치의 견인력이 와이어로 정확하게 전달되면서 견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손쉽고 신속한 견인작업이 가능하며 정면견인 뿐만 아니라 측면견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견인장소의 지리적,물리적 여건에 맞추어 견인작업이 가능토록 된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는 지하방호창,셔터문,고층건물의 창문제거 및 차량사고에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건물붕괴, 지하맨홀사고, 소방대원보호 및 인명구조작업에 사용된다.
종래 차량에 장착되는 윈치의 구성은 도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윈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우터(1)와, 자동풀림과 수동으로 와이어를 풀 수 있도록 조정을 하는 기능을 가진 클러치(2)와, 상기 모우터(1)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에 감기면서 견인을 하는 와이어(3)와, 상기 와이어(3)의 견인력이 대상물에 작용되도록 대상물로 결합되는 후크(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윈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윈치는 견인하기 위한 대상물, 일예를 들어 차량을 견인할 경우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윈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이 견인장소에 도착한다.
그리고, 상기 견인차량의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3)를 풀어서 견인할 차량에 후크(4)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윈치의 모우터(1)를 구동시켜서 드럼에 와이어(3)를 감으면 상기 와이어(3)가 감겨지면서 발생되는 견인력에 의해 대상차량을 견인차량이 위치된 장소로 견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견인대상차량이 위치한 지면과 견인차량이 위치한 지면의 높이 차이가 크면 클 수록 많은 애를 먹게 된다.
이는,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와이어(3)가 지면 언덕에 닿으면서 와이어(3)의 견인력을 분산시키게 되므로 모우터(1)가 더 큰 힘으로 회전되어야 하는 이유에 의해 이에 따른 동력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지면 언덕과 접촉하는 와이어(3)는 견인시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급기야는 절단되는 일까지 종종 벌어지기 때문에 안전에 각별한 주위를 기울여야 했었다.
그리고, 상기 견인차량이 위치해야 할 장소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견인차량은 윈치를 차량 전방의 앞범퍼 위치에 장착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견인대상차량과 정면으로 마주 보아야 견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견인장소의 지리적 조건에 의해 견인차량을 정면으로 위치시키지 못하거나 상기 견인장소에 장애물등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등에는 많은 애로사항을 겪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견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와이어가 지면이나 다른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해 안정된 견인을 할 수 있는 이유에 의해 견인효율을 높일 수 있고 윈치의 견인력이 와이어로 정확하게 전달되면서 견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손쉽고 신속한 견인작업이 가능하며 정면견인 뿐만 아니라 측면견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견 인장소의 지리적,물리적 여건에 맞추어 견인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핀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조절대에 고정브라켓을 부착하고 고정브라켓 내부에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용이토록 지지관을 결합하며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중 한개의 고정공과 지지관의 통공으로 고정핀을 결합시켜서 지지관의 회전을 각도별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관에는 회전브라켓을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한뒤 회전브라켓의 내부에는 윈치의 와이어와 접촉을 하는 주로울러를 중심축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주로울러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을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에 의해 지지관으로 부터 탈거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거나 필요시에는 분리가 용이토록 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대(101)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핀(104)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조절대(102)에 부착된 고정브라켓(111)과,
상기 고정브라켓(111)내부로 삽입된뒤 힌지축(112)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지지관(121)과,
상기 지지관(121)의 회전을 각도별로 단속하기 위해 고정브라켓(111)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13)중 한개의 고정공(113)과 지지관(121)의 통공(122)으로 결합되어 지지관(121)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14)과,
상기 지지관(121)에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되는 회전브라켓(141)과,
상기 회전브라켓(141)의 내부로 중심축(144)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되어 윈치(151)의 와이어(152)와 접촉을 하는 주로울러(145)와,
상기 주로울러(145)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을 지지관(121)으로 부터 탈거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거나 필요시에는 분리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은 회전브라켓(141)의 하측부로 형성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의 하측 주연부로 형성되는 삽입홈(143)과,
상기 삽입홈(143)으로 삽입되어 회전축(142)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관(121)의 보조관(123)내부로 결합되어 삽입홈(143)내부로 삽입되는 스토퍼(132)가 형성된 조절편(131)과,
상기 조절편(131)의 스토퍼(132)를 회전축(142)의 삽입홈(143)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하기 위해 보조관(123)의 내부에 탄설되어 스토퍼(132)를 탄지하는 탄성부재(133)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주로울러(145)에 작용되는 와이어(152)의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 고정브라켓(111)에 중심핀(115)으로 결합되어 윈치(151)의 와이어(152)와 접촉하는 보조로울러(116)를 더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121)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측부에는 회전브 라켓(141)의 회전축(142)에 형성된 삽입홈(143)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조절편(131)이 결합되어 있고 하측부에는 지지관(121)에 결합된 조절편(131)의 스토퍼(13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62)을 천공하고 있는 연장관(161)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발명의 와이어 조정기는 기존의 차량에 설치된 윈치(151)전방으로 장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윈치(151)의 받침판 저면으로 고정대(101)를 용접하거나 다수개의 보울트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발명의 와이어 조정기를 윈치(151)전방으로 부착한뒤 윈치 (151)에 감겨 있는 와이어(152)를 고정브라켓(111)에 중심핀(115)으로 결합되어 있는 보조로울러(116)와 회전브라켓(141)에 중심축(144)으로 결합되어 있는 주로울러 (145)를 경유하여 전방으로 위치시켜 놓는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조정기는 지하방호창,셔터문,고층건물의 창문제거 및 차량사고,건물붕괴,지하맨홀사고,소방대원보호 및 인명구조작업등에 사용되지만 아래에서는 차량을 견인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윈치(151)와 와이어조정기가 장착된 견인차량이 견인장소에 도착한다.
이때, 상기의 견인차량은 견인장소의 지리적여건 및 물리적 여건등을 고려하여 도7에 나타낸 바와같이 견인대상차량과 정면으로 마주보며 위치시킬 수 있고 정면견인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측방으로 견인차량을 위치시켜 측면견인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견인차량이 위치되면 와이어 조정기에 감겨진 와이어(152)를 풀어서 견인할 차량에 후크를 연결한다.
그리고, 윈치(151)를 작동시키면 와이어(152)가 윈치(151)의 드럼에 감기면서 견인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와이어(152)는 고정브라켓(111)의 보조로울러(116)와 회전브라켓(141)의 주로울러(145)에 지지되면서 견인을 하게 되고 고정브라켓(111)에 힌지축(112)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지관(121)은 크레인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관(121)에 의해 와이어(152)를 높이 들어주기 때문에 도7과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견인대상차량의 지면과 견인차량의 지면이 높이 차이가 나면서 발생되는 언덕이 있을 경우라도 아무런 문제 없이 차량을 견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의 지지관(121)은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도별 조절이 가능한바, 고정브라켓(111)의 고정공(113)과 지지관(121)의 통공(122)으로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114)을 분리하면 지지관(121)이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관(121)을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킨뒤 고정핀(114)에 의해 고정시키면 변화된 각도의 지지관(121)및 회전브라켓(141)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대(101)에 결합되는 조절대(102)의 길이도 조절이 가능한바, 고정대(101)에 연결핀(104)이 삽입되는 통공이 한개가 천공되어 있는 반면, 조절대 (102)에는 다수개의 조절공(103)들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대(102)를 전,후진 시킨뒤 연결핀(104)으로 고정시켜 줌으로서 조절대(102)와 지지관(121)및 회전브라켓(141)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로울러(145)를 결합하고 있는 회전브라켓(141)은 지지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회전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관(121)의 상측 내부로 회전브라켓(141)의 회전축(142)을 헐겁게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브라켓(141)의 회전에 의해 도7의 정면견인은 물론 도8의 측면견인까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회전브라켓(141)은 지지관(121)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자회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지지관(121)으로 부터 탈거되어서는 아니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브라켓(141)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을 접목하였다.
즉, 상기 지지관(121)의 일측부로 연결된 보조관(123)내부에는 조절편(131)과 연결된 스토퍼(132)가 탄성부재(133)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바, 상기의 스토퍼 (132)가 지지관(121)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회전축(142)의 삽입홈(143)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축(142)이 자회전만을 할뿐 지지관(121)으로 부터 자연 탈거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관(121)의 길이를 연장할 경우에는 지지관(121)으로 회전브라켓(141)대신 후술하는 연결관(161)을 결합시키기 위해 회전브라켓(141)을 분리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조관(123)의 조절편(131)을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스토퍼(132)가 탄성부재(133)를 압축하면서 회전축(142)의 삽입홈(143)을 빠져나와 보조관(123)내부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므로 회전축(142)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관(121)으로 부터 회전브라켓(141)을 분리한 다음에는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결관(161)의 끝단부를 지지관(121)내부로 삽입하여 지지관 (121)에 결합된 조절편(131)의 스토퍼(132)를 결합공(162)으로 삽입시킴으로서 연결관(161)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61)에도 보조관(123)의 내부에 스토퍼(132)가 구비된 조절편(131)과 탄성부재(133)등이 내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관(161)으로 회전브라켓(141)의 회전축(142)을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조절대(102)의 길이조절과 지지관(121)의 각도조절 그리고 회전브라켓(141)의 회전작용과 고정 및 해정작용 또한,연결관(161)의 연결작용등을 복합하여 적절하게 사용을 함으로서 현장의 견인 조건에 알맞는 조절사용이 가능하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와이어의 견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와이어가 지면이나 다른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해 안정된 견인을 할 수 있는 이유에 의해 견인효율을 높일 수 있고 윈치의 견인력이 와이어로 정확하게 전달되면서 견인을 할 수 있 기 때문에 보다 손쉽고 신속한 견인작업이 가능하며 정면견인 뿐만 아니라 측면견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견인장소의 지리적,물리적 여건에 맞추어 견인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핀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조절대에 부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내부로 삽입된뒤 힌지축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회전을 각도별로 단속하기 위해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중 한개의 고정공과 지지관의 통공으로 결합되어 지지관을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지지관에 회전이 용이토록 결합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의 내부로 중심축에 의해 회전용이토록 결합되어 윈치의 와이어와 접촉을 하는 주로울러와,
    상기 주로울러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을 지지관으로 부터 탈거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거나 필요시에는 분리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의 고정 및 해정수단은 회전브라켓의 하측부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측 주연부로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관의 보조관 내부로 결합되어 삽입홈 내부로 삽입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스토퍼를 회전축의 삽입홈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하기 위해 보조관의 내부에 탄설되어 스토퍼를 탄지하는 탄성부재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로울러에 작용되는 와이어의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 고정브라켓에 중심핀으로 결합되어 윈치의 와이어와 접촉하는 보조로울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측부에는 회전브라켓의 회전축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조절편이 결합되어 있고 하측부에는 지지관에 결합된 조절편의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을 천공하고 있는 연장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KR1020040011345A 2004-02-20 2004-02-20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KR10056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345A KR100569802B1 (ko) 2004-02-20 2004-02-20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345A KR100569802B1 (ko) 2004-02-20 2004-02-20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75A KR20050082775A (ko) 2005-08-24
KR100569802B1 true KR100569802B1 (ko) 2006-04-10

Family

ID=3726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345A KR100569802B1 (ko) 2004-02-20 2004-02-20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34B1 (ko) * 2017-10-11 2018-04-23 마당월드 주식회사 와이어 권취 지지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34B1 (ko) * 2017-10-11 2018-04-23 마당월드 주식회사 와이어 권취 지지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WO2019074147A1 (ko) * 2017-10-11 2019-04-18 마당월드 주식회사 와이어 권취 지지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75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652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US6059266A (en) Recovery device
US5211509A (en) Extraction of underground pipe
US6283455B1 (en) Multi-mission recovery device
US4568036A (en) Wheel-operated winch
JP2014504697A (ja) 洋上風力発電機の接続構成及びタワーシステム
US6672568B1 (en) Winch assembly for a tractor
KR100569802B1 (ko) 윈치용 와이어 조정기
US20080089767A1 (en) Quick attach off-road recovery device for skid steer loader or similar machine
US6957804B2 (en) Blade installation tool
US6261027B1 (en) Portable pulling apparatus
CN110017101B (zh) 钻进斜度可调的无钻塔钻探方法
EP1373043B1 (en) Method for detaching towable device from ski lift and detaching member
EP3568373B1 (en) Winch appliance for towing compact loads, in particular logs
KR20050058089A (ko)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JP2003192271A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タワーアタッチメントの格納方法及びその装置
JP3182333B2 (ja) 杭打機のリーダ吊上げ吊下し装置
KR100784328B1 (ko) 하수관 감시 시스템
US6151774A (en) System of conveying and assembling logging tools
CN218145515U (zh) 一种吊车防护装置
US20070222201A1 (en) Robot trailer
WO1999054248A1 (en) A device for handling of a hose
JPH10273288A (ja) ウインチのための乱巻防止装置
JPH0442358Y2 (ko)
JP2747456B2 (ja) 配線・配管材の懸吊部材及び懸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