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640B1 -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640B1
KR100569640B1 KR1020047003283A KR20047003283A KR100569640B1 KR 100569640 B1 KR100569640 B1 KR 100569640B1 KR 1020047003283 A KR1020047003283 A KR 1020047003283A KR 20047003283 A KR20047003283 A KR 20047003283A KR 100569640 B1 KR100569640 B1 KR 10056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ternal combustion
intake valve
combustion engine
electromagnetically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050A (ko
Inventor
미즈따다메또시
마쯔모또이사오
시라따니가즈히꼬
가쯔마따쇼지
요에다게이지
오기소마꼬또
니시다히데유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2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201/00Electronic control systems;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00Power plants
    • Y10S60/90Excess air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assist 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상기 방법으로, 흡기밸브의 개방 명령 신호에 따라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소정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고, 내연기관이 흡기공기로 충전되는 흡기공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한다. 흡기밸브의 밸브 폐쇄 시기 또는 흡기밸브와 협동 작용하는 배기밸브의 밸브 폐쇄 시기가 보정될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METHOD OF OPER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ELECTROMAGNETICALLY DRIVEN INTAKE VALVES}
본 발명은 차량의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좀더 명확히는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내연기관의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가 크랭크축에 의해 동기적으로 구동되는 캠축을 갖는 캠에 의해 작동되었다.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 기술의 진보로 인해 전자기적 액츄에이터에 의한 흡기 또는 배기밸브의 작동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밸브 작동 시기의 범위가 늘어나게 되었고, 다양한 모드에서 특히 차량용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기술이 예를 들면 JP-A-2000-73800, 2001-182570 그리고 2001-193504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 JP-A 2001-193504의 도 2 에 대응함 )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에서, 흡기부(26)가 주위에 밸브시트(200)가 장치된 개방단을 갖는다. 개방단은 흡기밸브의 밸브(28a)에 의해 열리고 닫힌다. 밸브(28a)는 상하로 움직이도록 수직으로 안내되는 밸브축(28b)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28a)는 전자기적 구동 시스템(30)에 의해 밸브 개방 위치와 밸브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자기적 구동 시스템(30)은 하우징(300), 밸브 폐쇄 코어(301), 밸브 개방 코어(302), 밸브 폐쇄 코일(303), 밸브 개방 코일(304) 및 전기자(305)를 포함하는데, 전기자는, 밸브 폐쇄 코어(301) 및 밸브 폐쇄 코일(303)을 갖는 밸브 폐쇄 전자기적 장치와 밸브 개방 코어(302) 및 밸브 개방 코일(304)을 갖는 밸브 개방 전자기적 장치 사이에서 밸브축(28b)에 의해 이동된다. 전자기적 구동 장치(30)는, 코일( 303 또는 304 )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전기자(305)를 상기 두 전자기적 장치 사이의 중앙에 탄성적으로 위치시키는 압축 코일 스프링(306, 307)을 또한 포함한다.
도 1 에서, 흡기밸브 행정 센서(40)가 전자기적 구동 시스템(30)에 직접 조립되어 있다. 행정 센서(40)는 전자기적 구동 시스템(30)의 하우징(300)에 연결된 하우징(400), 하우징(400) 내에 있는 밸브축(28b)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원반형 타겟(401) 및 타겟(401)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해 하우징(400)에 제공된 틈센서(402)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이 작동하는 동안, 적절한 전기 제어기가 기관의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밸브 폐쇄 코일과 밸브 개방 코일 사이의 전류 공급을 전환한다. 결과적으로, 흡기밸브 폐쇄 코일(303)에 전류를 공급하면 흡기포트는 닫히게 된다. 흡기밸브 개방 코일(304)에 전류를 공급하면 흡기포트 열리게 된다.
상기 코어, 코일, 전기자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기적 구동 시스템에서, 전기자의 위치 편차가 위치적 제한, 즉 작동시 캠의 모양에 의해 야기되지 않고, 힘의 불균형에 의해 야기된다. 따라서,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명령하는 전기적 명령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의 개방 및 폐쇄가, 전기적 명령 신호에 따른 매 개방 및 폐쇄 밸브 작동시 소정 정상 특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밸브는 분산될 마찰력이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에 작용하는 폐쇄 상태에서 밸브시트에 단단히 착좌된다. 특히 내연기관의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의 환형의 숄더부( shoulder portion )가 각 중심축을 따라 환형의 밸브시트에 접하는 경우,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이 부재들의 동심도에 의존하며 변할 수 있다. 밸브가 폐쇄 상태에서 열릴 때, 밸브에 일시 작용하는 마찰항력이 각각이 동일하게 설계된 복수의 밸브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더욱이, 단일 밸브에 작용하는 마찰항력은 또한 매 개방 및 폐쇄 작동시 변할 수 있다. 흡기밸브를 개방하는 시기가 배기밸브를 폐쇄하는 시기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밸브 개방 특성의 작은 차가, 공기 흡기 상태가 변화된 후의 기관의 작동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흡기밸브 개방 시기가 제어 목적값에서 약간이라도 벗어나면, 기관 작동의 제어에 있어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 결합의 마찰에서의 분산으로 인해, 배기밸브에서 정상 특성으로부터 밸브 개방 작동의 편차가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배기밸브의 개방 작동이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 또는 폐쇄 작동과 중첩되지 않는다면, 내연기관의 작동 제어에서 배기밸브의 개방 특성에서의 근소한 분산이 무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연기관의 흡기밸브, 특히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작동 특성의 분산에 의해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이, 흡기밸브의 개방 명령 신호에 따라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소정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고, 내연기관이 흡기공기로 충전되는 흡기공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한다.
밸브 폐쇄 시기, 흡기밸브 또는 흡기밸브와 협동 작용하는 배기밸브가 보정될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내연기관의 전자기적 구동 밸브인 흡기밸브는 전기적 명령 신호에 따라 작동될 때, 흡기밸브가 항상 명령 신호에 따른 소정 정상 특성과 일치하여 개방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없다. 소정 정상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해, 흡기밸브의 실제 개방 작동은 명령 신호에 따른 흡기밸브 개방의 소정 정상 특성과 비교된다. 상기 편차로 인한 내연기관이 흡기공기로 충전되는 흡기공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이 보정된다. 이로써 밸브 개방 명령 신호에 따른 소정 정상 특성으로부터 흡기밸브의 실제 개방 작동의 편차로 인해 흡기공기 충전 상태가 목적값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연기관의 제어로 바람 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흡기밸브의 폐쇄 시기라고 가정하면, 흡기밸브의 폐쇄 시기를 보정하여 정상 특성으로부터 흡기밸브의 실제 개방 작동의 편차로 인해 야기되는 흡기공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배기밸브의 폐쇄 시기라고 가정하면, 배기밸브의 폐쇄 시기를 보정하여 정상 특성으로부터 흡기밸브의 실제 개방 작동의 편차로 인해 야기되는 공기 흡기 상태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흡기밸브 및 그 흡기밸브와 관련된 행정 센서의 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전류가 밸브의 개방 및 폐쇄용 코일에 공급되는 각 상태와, 밸브의 개방 및 폐쇄용 코일에의 전류 공급에 따라 흡기밸브의 밸브 행정량에서의 변화를 보여주는 타임차트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전류가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및 폐쇄용 코일에 공급되는 각 상태와, 전류가 이 코일들에 공급될 때 흡기밸브의 밸브 행정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타임차트이다. 밸브가 폐쇄될 때, 밸브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밸브 폐쇄용 코일에 낮은 레벨의 유지 전류가 공급된다. 밸브를 개방 하기 위해 시점 t1 에서 전류가 끊기고, 밸브를 폐쇄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시점 t2 까지 잠시동안 밸브 폐쇄 코일에 전류가 역으로 공급된다. 역으로 공급되는 전류로 인해 전기자가 밸브 폐쇄용 전자기적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는, 밸브와 마찰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던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밸브, 밸브축 및 전기자는 도 1 의 중립 위치쪽으로 이동되도록 모두 힘을 받는다. 전류가 밸브 개방용 코일에 공급되는 시점 t3 에서, 전기자는 중립점을 지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나아간다. 전기자는 중립점을 지난 후 스프링에 의한 복귀 편향력에 대항하여 관성력과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밸브 개방용 전자기적 장치쪽으로 이동된다. 시점 t4 에서, 밸브는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된다. 밸브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밸브 개방용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가 낮은 레벨의 유지전류로 전환되어 시점 t5 까지 유지된다.
시점 t5 에서 밸브 폐쇄 명령 신호가 발생되면, 밸브 개방용 코일에 공급된 전류가 끊기고, 밸브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전기자가 벗어나도록 시점 t6 까지 잠시동안 밸브 개방용 코일에 전류가 역으로 공급된다. 그 다음, 전기자는 스프링힘에 의해 중립점쪽으로 이동된다. 시점 t7 에서 밸브 폐쇄용 코일에의 전류 공급이 시작되면, 밸브 폐쇄용 전자기적 장치에 의해 끌리는 전기자는 중립점을 지난다. 그리고 나서, 전기자는 스프링의 복귀력에 대항하여 시점 t8 에서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여기서 밸브 폐쇄용 코일에 공급된 전류가 밸브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낮은 레벨의 유지전류로 더 감소된다.
도 2 의 타임차트에서, 흡기밸브를 작동시키는 명령 신호는 밸브의 폐쇄 및 개방용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레벨을 표시하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반면, 밸브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의 정상 특성은 밸브 행정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밸브가 밸브시트에 단단히 착좌된 상태에서, 밸브 개방 작동시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 저항에 분산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도 2 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동일한 밸브 개방 명령 신호에 따른 시점 t1 내지 t4 에서의 밸브 개방은 정상 특성 곡선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도 2 의 점선으로 표시된 편차는, 밸브 폐쇄 코일에 공급된 유지전류가 끊기고 시점 t1 에서 전류가 역으로 공급될 때, 정상 특성의 밸브 개방 시기보다 이른 밸브 개방 시기로 인해 야기된다. 밸브 개방 작동의 상기 편차는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의 마찰 결합의 해제에 걸리는 시차로 결정된다. 시차는 밸브 행정이 0에서 증가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시간 지체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작은 밸브 행정, 예를 들면 L1 또는 더 큰 밸브 행정의 경우, 실제 밸브 개방 작동을 나타내는 점선이 소정의 시간 지체를 가지면서 시간축을 따라 정상 특성을 나타내는 실선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로를 따른다. 이는 작은 상승 상태가 밸브 행정의 증가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상 특성으로부터 밸브 개방 작동의 편차는, 밸브 행정량이 초기 상승치보다 큰 소정의 값( 예를 들면 L1 )에 도달하는 시간과 정상 특성에 의해 설정된 시간 사이의 시차( Δt )를 구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된 것처럼, 편차는 내연기관 작동의 제어와 관련된 특정 파라마터의 보정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빨리 그러한 편차를 검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밸브 행정의 소정의 작은 값( 예를 들면, L1 )이 명확한 편차를 나타내는 시간과 정상 특성에 의해 설정된 대응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편차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의 마찰 결합에서의 분산으로 인한 밸브 개방 작동의 편차는 소정의 시간 지체를 가지면서 시간축을 따라 정상 특성 곡선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로를 따른다. 따라서, 편차에도 불구하고 흡기공기 충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밸브 폐쇄 작동시 정상 특성 곡선이 시간축을 따라 평행이동된다. 그러므로, 흡기밸브의 폐쇄 시기가 파라미터 중 하나인 경우, 흡기밸브에 대한 밸브 폐쇄 신호가 발해지는 시기를 변경함으로써 그 파라미터가 보정된다.
전자기적 구동 배기밸브의 개방 작동에서의 편차는 또한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의 마찰 결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나, 배기밸브의 개방 작동은 흡기밸브의 개방 및 폐쇄 작동과 중첩되지 않는다. 내연기관의 작동 제어의 관점에서 보면 배기밸브의 밸브 개방 작동에서의 편차는 무시될 수 있다. 한편, 흡기 행정에서의 배기 가스 재순환율이 배기밸브의 폐쇄 시기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내연기관이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면서 작동될 때, 정상 특성 곡선으로부터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편차가 배기밸브의 폐쇄 시기를 보정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음을 뜻한다. 그러므로, 정상 특성 곡선으로부터 흡기밸브의 개방 및 폐쇄 작동에서의 편차를 극복하기 위해, 보정될 파라미터 중 하나로서 배기밸브의 폐쇄 시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의 전자기적 구동 밸브에 흡기밸브의 밸브 행정량을 변화시키는 장치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정상 특성으로부터 흡기밸브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의 편차를 보 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작동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보여준다. 내연기관은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도 3 에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기(100)가 가속기 개방 센서(1)로부터 가속기 개방량을 나타내는 신호, 기관 속도 센서(2)로부터 내연기관의 기관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 차량 속도 센서(3)로부터 차량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 길이방향 가속도 센서(4)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 가속도를 나타내는 신호, 기관 냉각제 온도 센서(5)로부터 내연기관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 크랭크축 앵글 센서(6)로부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흡기밸브 행정 센서(7, 도 1 의 "40" )로부터 흡기밸브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신호 그리고 배기밸브 행정 센서(8)로부터 배기밸브의 개방 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제어기(100)는 내연기관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즉각 결정하기 위해, 내연기관의 흡기 통로 내에 배치된 스로틀밸브(9), 내연기관의 흡기공기 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10), 점화 플러그를 작동시키는 점화 코일, 흡기밸브 폐쇄용 코일(12, 도 1 의 "303"에 대응함 ), 흡기밸브 개방용 코일(13, 도 1 의 "304"에 대응함 ), 배기밸브 폐쇄용 코일 그리고 배기밸브 개방용 코일(15)을 차량 및 내연기관의 작동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흡기밸브는 도 2 에 나타난 상기 제어 구조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기(100)는 차량 센서( 1 ∼ 8 )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차량 및 내연기관의 작동 상태와 제어기(100)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제어 맵에 따라 차량, 즉 내연기관의 작동에 대한 계산을 행한다.
제어기(100)는 스로틀밸브(9) 등과 같은 작동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수십 밀리초의 사이클타임으로 제어 신호를 작동 요소에 또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작동 제어 방법은 도 2 의 실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전류가 흡기밸브의 폐쇄용 코일(12) 및 개방용 코일(13)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방법에서, 흡기밸브 폐쇄용 코일(12)에 공급된 전류는 시점 t1 에서 유지 전류에서 역방향 전류로 전환된다. 제어기는 시점 t2 까지 이 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제어기는 흡기밸브 행정 센서(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밸브 행정량이 L1이 되는 시점을 검출한다. 시차( Δt )를 계산하기 위해, 검출된 시점을, 시점 t1 과 시점 t2 에 기초하여 정상 특성 곡선에 따라 밸브 행정(L1)에 도달하는 시점과 대조한다.
제어기(100)는 시점 t5 및 시점 t6 을 보정하기 위해 얻은 시차를 이용하여 피드포워드( feedforward ) 제어를 행하는데, 시점 t5 에서 흡기밸브 개방용 코일(13)에 공급되는 유지 전류가 흡기밸브를 폐쇄하기 위해 끊기고, 시점 t6 에서 도 2 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시차에 따라 상기 코일(13)에 공급되는 역전류가 중단된다. 제어기(100)는 또한 시점 t7 및 시점 t8 을 보정하는데, 시점 t7 에서 흡기밸브 폐쇄용 코일(12)에의 전류 공급이 시작되고, 시점 t8 에서 도 2 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시차에 따라 상기 코일(12)에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에서의 시차는 내연기관(그 안에서 배기 가스가 재순환됨 )의 작동 동안 배기밸브의 폐쇄 작동을 보정함으로써 보상된다.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이 정상 특성에 의해 설정된 시기보다 빨리 이루어지는 경우, 정상 특성 곡선에 의해 설정된 폐쇄 작동이, 도 2 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배기밸브의 실제 밸브 폐쇄에 대해, 이점 쇄전으로 표시된 것처럼 늦어진다. 흡기 행정의 초기에 실린더 챔버로 흡입되는 흡기공기에 비해 배기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흡기밸브의 밸브 폐쇄가 정상 특성 곡선에 따라 이루어지더라도, 이른 밸브 개방 작동으로 인한 흡기공기의 초과 흡입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본 기술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밸브 행정량의 수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예의 실시가 가능함이 명백하다.

Claims (10)

  1.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으로서,
    흡기밸브의 개방 명령 신호에 따라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소정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및
    내연기관이 흡기공기로 충전되는 흡기공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정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흡기밸브의 밸브 폐쇄 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전자기적 구동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고, 보정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흡기밸브와 협동 작용하는 배기밸브의 밸브 폐쇄 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흡기밸브의 밸브 행정량을 포함하는,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행정량이 상기 밸브 행정량의 증가 후에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편차가 검출되는, 차량용의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6.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으로서,
    흡기밸브의 개방 명령 신호에 따라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소정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고,
    내연기관이 흡기공기로 충전되는 흡기공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
  7. 제 6 항에 있어서, 보정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흡기밸브의 밸브 폐쇄 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
  8. 제 6 항에 있어서, 전자기적 구동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고, 보정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흡기밸브와 협동 작용하는 배기밸브의 밸브 폐쇄 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흡기밸브의 밸브 행정량을 포함하는,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행정량이 상기 밸브 행정량의 증가 후에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의 개방 작동의 편차가 검출되는,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갖는 내연기관.
KR1020047003283A 2001-09-04 2002-09-03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KR100569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7686 2001-09-04
JP2001267686A JP4852809B2 (ja) 2001-09-04 2001-09-04 内燃機関の電磁吸気弁開弁誤差対処運転方法
PCT/IB2002/003561 WO2003021086A1 (en) 2001-09-04 2002-09-03 Method of oper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electromagnetically driven intake val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050A KR20040031050A (ko) 2004-04-09
KR100569640B1 true KR100569640B1 (ko) 2006-04-10

Family

ID=1909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283A KR100569640B1 (ko) 2001-09-04 2002-09-03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1594B2 (ko)
EP (1) EP1434930B1 (ko)
JP (1) JP4852809B2 (ko)
KR (1) KR100569640B1 (ko)
DE (1) DE60223272T2 (ko)
WO (1) WO2003021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0899B2 (en) 2005-04-15 2010-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ing electrically actuated valve lift
US7458345B2 (en) 2005-04-15 2008-1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ing ballistic valve timing
US9316147B2 (en) * 2013-08-29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rmination of wastegate valve position
US10774696B2 (en) * 2018-02-23 2020-09-15 SentiMetal Journey, LLC Highly efficient linear motor
US10601293B2 (en) 2018-02-23 2020-03-24 SentiMetal Journey, LLC Highly efficient linear motor
GB2597031B (en) * 2019-03-29 2024-05-01 Sentimetal Journey Llc Highly efficient linear motor
CN110469411A (zh) * 2019-08-12 2019-11-19 南京理工大学 一种应用可变气门的内燃机压燃运行范围扩展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779A (en) * 1989-04-18 1992-04-14 Hare Sr Nicholas S Electro-rheological valve control mechanism
JP3683300B2 (ja) * 1995-01-27 2005-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29615396U1 (de) * 1996-09-04 1998-01-08 Fev Motorentech Gmbh & Co Kg Elektromagnetischer Aktuator mit Aufschlagdämpfung
JP3454116B2 (ja) * 1997-11-10 2003-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3465568B2 (ja) * 1998-01-19 2003-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電磁駆動弁制御装置
JPH11280503A (ja) * 1998-03-26 1999-10-12 Daihatsu Motor Co Ltd バルブ開閉装置
JP2000008892A (ja) * 1998-06-19 2000-01-11 Hitachi Ltd 電磁駆動式吸気バルブを備えた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4082478B2 (ja) * 1998-06-24 2008-04-3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磁駆動バルブの制御装置
JP3541685B2 (ja) 1998-08-04 2004-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磁駆動弁の電流制御装置
JP2000073800A (ja) 1998-08-28 2000-03-07 Hitachi Ltd 電磁駆動式吸排気バルブを備えた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724542B2 (ja) * 1998-11-18 2005-12-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可変動弁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3985375B2 (ja) * 1999-01-14 2007-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01159327A (ja) * 1999-12-03 2001-06-12 Nissan Motor Co Ltd 可変動弁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562415B2 (ja) 1999-12-24 2004-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動弁機構を有する内燃機関
JP2001193504A (ja) * 2000-01-11 2001-07-17 Toyota Motor Corp 電磁駆動弁を有する内燃機関
JP3873559B2 (ja) * 2000-01-21 2007-0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電磁動弁制御装置
JP2002147260A (ja) * 2000-11-14 2002-05-22 Honda Motor Co Ltd 電磁バルブ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4930B1 (en) 2007-10-31
KR20040031050A (ko) 2004-04-09
DE60223272T2 (de) 2008-08-14
US7111594B2 (en) 2006-09-26
JP2003074384A (ja) 2003-03-12
WO2003021086A1 (en) 2003-03-13
DE60223272D1 (de) 2007-12-13
US20050016478A1 (en) 2005-01-27
EP1434930A1 (en) 2004-07-07
JP4852809B2 (ja)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2357A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311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ient load response in a camless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1112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equipped with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engine valve
EP1149234B1 (en) Intake-air quant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1106792B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752478A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1002939B1 (en) Intake-air quantity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US6494187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rol valve for a diesel injection system
US7194998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22442B1 (en) Intake-air quantity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US5005552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of engine
EP1770267B1 (en) Idle spe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ngine
US6510037B1 (en) Method for monitoring an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0569640B1 (ko) 전자기적 구동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US6705256B2 (en) Valve tim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104842B1 (en) Intake air control system of engine
US6546903B2 (en) Control system for electromagnetic actuator
EP1104850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gnition timing in an engine with a variably operated intake valve
US7007920B2 (en) Method of controlling energization of electro-magnetically driven valve with variable feedback gain
US638615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8055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197273B2 (ja) 電磁駆動弁の制御装置
JP2001159344A (ja) エンジンのトルク制御装置
JPH06229281A (ja)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