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714B1 -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714B1
KR100568714B1 KR1020040018387A KR20040018387A KR100568714B1 KR 100568714 B1 KR100568714 B1 KR 100568714B1 KR 1020040018387 A KR1020040018387 A KR 1020040018387A KR 20040018387 A KR20040018387 A KR 20040018387A KR 100568714 B1 KR100568714 B1 KR 10056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main crash
main
steel bar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141A (ko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7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2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a foamable synthetic material or metal being add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의 메인크러쉬패드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에 스틸바아의 끼움부를 삽입 고정하여 상기 스틸바아로 인하여 메인크러쉬패드의 함몰부에 형성되었던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므로 금형크기를 줄이고 금형파손을 방지하여 중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니는 매우 유용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메인크러쉬패드 우레탄폼 스틸바아 함몰부 걸림턱

Description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 A Structure For Rfinforcing The Strength Of Main Crash Pad }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메인크러쉬 패드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메인크래쉬패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의 결합 상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가 삽입된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메인크러쉬패드 4 : 우레탄폼
6 : 스킨 8 : 돌출부위
10 : 계기판설치부위 20 : 스틸바아
22 : 걸림턱 24 : 끼움부
A : 인스트루먼트패널 B : 보강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메인크러쉬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의 메인크러쉬패드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에 스틸바아의 끼움부를 삽입 고정하여 상기 스틸바아로 인하여 메인크러쉬패드의 함몰부에 형성되었던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므로 금형크기를 줄이고 금형파손을 방지하여 중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니는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패널(Instrument panel)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져셔 미터류가 들어 있는 계기판 뿐만아니라 오디오 시스템이나 에어콘유닛등이 들어 있는 센터페시아 부분등을 패드로 감싸는 패널을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내부는, 프라스티그사출물로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메인크러쉬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크러쉬패드 외측에는 쿠션을 위한 우레탄폼재가 배치되며, 상기 우레탄폼재의 외측에는 외장재로서 스킨(Skin)재가 형성되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메인크러쉬 패드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종래의 인스트루먼트패널(A)의 단면 구성을 살펴 보면, 내부에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라스틱 사출물로 금형 제작하는 메인크러쉬패드(2)와;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의 외측면에 쿠션을 주기 위하여 내장되는 우레탄폼(4)과; 상기 우레탄폼(4)의 외부에서 외장을 나타내기 위하여 적층되는 얇은 스킨(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A)중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분(10)의 메인크러쉬패드(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돌출부위(8)가 형성되어진다.
그런데,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에서 돌출부분(8)은, 계기판설치부위(10)에 설치되는 계기판(미도시)을 상측에서 차단하고, 외측에 설치되는 스킨(6)과 우레탄폼(4)의 형상을 지지하고 일정 두께의 우레탄폼(4)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운전자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지므로 금형상에서 뾰족한 돌출부위(10)를 형성하면서 금형의 파손가능성이 크고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의 메인크러쉬패드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에 스틸바아의 끼움부를 삽입 고정하여 상기 스틸바아로 인하여 메인크러쉬패드의 함몰부에 형성되었던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므로 금형 크기를 줄이고 금형 파손을 방지하여 중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니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내부에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라스틱 사출물로 금형 제작하는 메인크러쉬패드와;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외측면에 쿠션을 주기 위하여 내장되는 우레탄폼과; 상기 우레탄폼의 외부에서 외장을 나타내기 위하여 적층되는 얇은 스킨으로 이루어진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있어서,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위에 함몰되어져 들어가도록 금형으로 형성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공간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외측에 적층되는 우레탐폼와 스킨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인 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함몰부 양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끼움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져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금속재인 스틸바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의 끼움부에 진입을 정지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메인크래쉬패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의 결합 상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에 스틸바아가 삽입된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라스틱 사출물로 금형 제작하는 메인크러쉬패드(2)와;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의 외측면에 쿠션을 주기 위하여 내장되는 우레탄폼(4)과; 상기 우레탄폼(4)의 외부에서 외장을 나타내기 위하여 적층되는 얇은 스킨(6)으로 이루어진 인스트루먼트패널(B)에 있어서,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설치부위(10)에 함몰되어져 들어가도록 금형으로 형성하는 함몰부(9)와; 상기 함몰부(9)의 공간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의 외측에 적층되는 우레탐폼(4)와 스킨(6)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부재(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B)는,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의 함몰부(9) 양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공(12)과; 상기 삽입공(12)에 끼움부(24)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져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금속재인 스틸바아(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B)의 끼움부(24)에 진입을 정지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B)인 스틸바아(20)는, 상기 함몰부(9)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2개의 삽입공(12)에 비하여 간격이 넓거나 좁도록 형성하여 상기 스틸바아(20)의 끼움부(24)가 상기 삽입공(12)에 탄성적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설치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스틸바아(20)의 끼움부(24)에는, 걸림후크를 형성하거나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12)에 체결되거나 걸려져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를 금형으로 제조하면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설치부위(10)에 뾰족한 부위를 없애기 위하여 내측으로 약간 함몰되도록 하는 함몰부(9)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9)의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삽입공(12)을 2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의 함몰부(9)를 감쌀 수 있는 스틸바아(20)를 형성하도록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스틸바아(20)의 끝단부분에는 진입을 정지하고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크러쉬패드(2)를 금형을 형성한 후에 상기 삽입공(12)에 상기 보강부재(B)인 스틸바아(20)을 탄성적을 오므리거나 벌려서 끼움부(24)를 상기 삽입공(12)에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스틸바아(20)가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된 후에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을 지니고 있으로 삽입공(12)에서 걸림턱(22)이 미찰되어지면서 진입이 정지되고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틸바아(20)를 메인크러쉬패드(2)에 조립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크러쉬패드(2)의 외측으로 우레탄폼(4)과 스킨(6)을 형성하 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보강부재(B)인 스틸바아(20)가, 강도를 보강하는 역활을 하므로 메인크러쉬패드(2)에서 도 1에서와 같이, 돌출부위(8)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우레탄폼(4)과 스킨(6)을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인스트루먼트패널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의 메인크러쉬패드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에 스틸바아의 끼움부를 삽입 고정하여 상기 스틸바아로 인하여 메인크러쉬패드의 함몰부에 형성되었던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므로 금형크기를 줄이고 금형파손을 방지하여 중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내부에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라스틱 사출물로 금형 제작하는 메인크러쉬패드와;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외측면에 쿠션을 주기 위하여 내장되는 우레탄폼과; 상기 우레탄폼의 외부에서 외장을 나타내기 위하여 적층되는 얇은 스킨과;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외측에 적층되는 우레탄폼와 스킨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있어서,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에서 계기판이 설치되는 부위에 함몰되어져 들어가도록 금형으로 형성하는 함몰부와;
    상기 메인크러쉬패드의 함몰부 양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끼움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져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금속재인 스틸바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바아의 끼움부에 진입을 정지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크러쉬 강도보강구조.
KR1020040018387A 2004-03-18 2004-03-18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KR10056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387A KR100568714B1 (ko) 2004-03-18 2004-03-18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387A KR100568714B1 (ko) 2004-03-18 2004-03-18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141A KR20050093141A (ko) 2005-09-23
KR100568714B1 true KR100568714B1 (ko) 2006-04-07

Family

ID=3727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387A KR100568714B1 (ko) 2004-03-18 2004-03-18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740B1 (ko) * 2015-01-14 2016-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시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141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601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 후레임
CA2009694A1 (en) Vehicle air bag cover
US9527458B2 (en) Interior trim element for a vehicle door trim
US20120246894A1 (en) Slidable seatbelt buckle with integral ribbed cover
JP2008037026A (ja) 内装用パネル及び射出成形方法
JPH07228211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パッド
JP5112654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57995B1 (ko) 범퍼 백빔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한 범퍼 백빔
KR100568714B1 (ko) 메인크러쉬패드의 강도보강구조
KR20080038736A (ko)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EP2849973B1 (en) Passive knee bolster
JPS6332660B2 (ko)
JP4614847B2 (ja) 部品取付構造
JP5808942B2 (ja) 衝撃吸収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衝撃吸収パッド
JP2009255854A (ja) クリップ取付台座
JP6487894B2 (ja) 吸音材取付構造
KR101124953B1 (ko) 자동차용 루프몰딩
JP4745781B2 (ja) シート用パッド、並びにその成形型及び製造方法
KR101673740B1 (ko) 차량용 크래시패드
KR102487881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JP6665382B2 (ja) 内装部品及び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100471564B1 (ko) 돌출부를 구비한 사이드 가니쉬
KR200467005Y1 (ko) 차량용 외장 몰딩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프레임
JP2005313388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KR200316362Y1 (ko) 차량용 긴급 정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