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165B1 - 차량용 먼지 떨이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먼지 떨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165B1
KR100568165B1 KR1020040002923A KR20040002923A KR100568165B1 KR 100568165 B1 KR100568165 B1 KR 100568165B1 KR 1020040002923 A KR1020040002923 A KR 1020040002923A KR 20040002923 A KR20040002923 A KR 20040002923A KR 100568165 B1 KR100568165 B1 KR 10056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uster
vehicle
dus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126A (ko
Inventor
심성진
Original Assignee
(주)카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카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04000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1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56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pivotable 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의 차체 표면이나 가구 등의 표면에 흡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들을 소제하기 위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가 개시된다.
종래의 차량용 먼지 떨이구는 목재나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중량이 무거워 노약자나 여성 운전자가 소제하는 것이 어렵고, 손잡이가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됨에 따라 소제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면에 걸레부를 갖는 떨이부재와, 상기 떨이부재 내에 삽입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는 손잡이를 갖는 먼지 떨이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에 있어서, 상기 먼지 떨이구 본체(20)는 삽입구(23)의 일측에 결합구멍(23a)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4)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결합 구멍(23a) 내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25a)를 갖는 탄성부재(25)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가 제공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며, 손잡이의 결합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먼지 등의 소제 및 보관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손잡이의 결합 방향에 따라 적은 힘으로 소제가 가능하므로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차량, 먼지, 떨이, 손잡이, 결합, 분리

Description

차량용 먼지 떨이구{A duster for vehicles}
도 1은 종래 차량용 먼지 떨이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일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떨이부재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먼지 떨이구의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먼지 떨이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먼지 떨이구 본체 21: 지지판
21a: 보강 돌기 23: 삽입구
23a: 결합 구멍 23b: 암나사부
24: 손잡이 24b: 숫나사부
25: 탄성부재 25a: 걸림 돌기
28: 힌지핀 30: 떨이부재
31: 식모부 32: 걸레부
33: 삽입부
본 발명은 차량용 먼지 떨이구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며 손잡이를 양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먼지 떨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표면에는 주행중이나 주차 중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됨으로써 차체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관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운전자는 먼지 떨이구를 이용하여 수시로 먼지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 먼지 떨이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상측에는 일측으로 손잡이(11)가 횡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판(10)의 저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떨이부(12)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먼지 떨이구는 베이스판, 손잡이가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이 무거워 여성 등의 노약자는 먼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힘들고 사용시 쉽게 파손되며, 특히 손잡이가 일측으로 고정 설치됨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더욱 많은 힘을 필요로 하여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며 손잡이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힘으로 소제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는, 저면에 걸레부를 갖는 떨이부재와, 상기 떨이부재 내에 삽입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는 손잡이를 갖는 먼지 떨이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에 있어서, 상기 먼지 떨이구 본체는 삽입구의 일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결합 구멍 내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갖는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며, 손잡이의 결합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먼지 등의 소제 및 보관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손잡이의 결합 방향에 따라 적은 힘으로 소제가 가능하므로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먼지 떨이구 본체(20)에는 떨이부재(3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판모양의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의 상측에 돌출되는 상태로 하단이 고정된 브라켓(22)과, 상기 브라켓(22)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구(23)와, 상기 삽입구(23) 내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는 손잡이(2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1), 브라켓(22), 삽입구(23) 및 손잡이(24)는 금속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23)에는 일측에 결합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원호형상의 탄성부재(25)가 위치되고, 상기 탄성부재(25)의 일측에는 표면에 걸림 돌기(25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5)는 박판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걸림 돌기(25a)를 누르게 되면 탄성부재(25)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삽입구(23)의 결합구멍(23a) 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손잡이(24)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걸림 돌기(25a)는 손잡이(24)의 외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며, 이 걸림 돌기(25a)는 삽입구(23)에 형성된 결합구멍(23a) 내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24)가 삽입구(2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24)의 양 선단에는 결합부재(26a)(26b)가 삽입 고정되고, 양측 외부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재(27a)(27b)가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24)는 삽입구(23)에 결합할 때 필요에 따라 양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21)에는 상하 표면에 소제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강돌기(21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1)에는 떨이부재(30)가 삽입된다.
상기 떨이부재(30)는 천으로 이루어진 식모부(31)와, 상기 식모부(31)의 저면에 재봉된 걸레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모부(31)에는 지지판(21)이 삽입되는 삽입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33)의 일측에는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도록 지퍼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레부(3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고리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이 재봉사(31a)에 의해 식모부(31)에 재봉되도록 하여 차량의 표면을 소제할 때 엠블렘 등의 부착물에 걸레부(32)의 선단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 고 있다.
상기 걸레부(32)에는 절연유 등의 오일을 소량 흡수시켜 사용하게 되며, 이 오일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흡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체의 표면에 광택이 발현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먼지 떨이구는 지퍼부(34)를 개방하고 지지판(21)에 삽입부(33)를 통하여 떨이부재(30)가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지퍼부(34)를 닫고, 손잡이(24)를 삽입구(23)에 결합시키면 차체의 표면에 흡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4)는 걸림 돌기(25a)를 누르고 삽입구(23) 내에 삽입한 후 상기 걸림 돌기(25a)가 결합 구멍(23a) 내에 삽입되도록 하면 손잡이(24)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걸림 돌기(25a)는 누름 조작에 따라 탄성부재(25)가 변형되면서 눌려짐으로써 삽입구(23)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케 되고, 상기 걸림 돌기(25a)에 가하던 힘을 해제시키면 탄성부재(25)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걸림 돌기(25a)는 결합 구멍(25a)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손잡이(24)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1) 보다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도록 하여 소제를 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1)의 길이에 맞도록 상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에는 걸레부(32)에 전달되는 힘은 약한 반면에 소제 반경을 크게 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걸레부(32)에 전달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 상기 손잡이(24)에는 양측에 쿠션부재(27a)(27b)가 형성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파지가 가능하므로 더욱 소제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1)에는 복수 개의 보강돌기(21a)가 형성됨에 따라 소제시 힘을 주어도 지지판(21)이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삽입구(23)의 내측면에 암나사부(23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4)의 일측 선단 외측에는 숫나사부(24b)를 형성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손잡이(24)의 일측에 형성된 숫나사부(24b)를 삽입구(23)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3b) 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 양 방향으로 결합이 가능케 됨으로써 소제 및 보관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구(23)의 내측에 암나사부(23b)를 형성하고, 손잡이(24)의 외측에 숫나사부(24b)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삽입구(23)의 내측에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손잡이(24)의 외측에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손잡이(24)를 삽입구(23)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지지판(21)의 상측에 한 쌍의 브라켓(22)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22)의 중앙에는 손잡이(24)의 일측을 힌지핀(28)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2)의 상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결합구멍(22a)(22b)이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4)의 내측에도 상기 결합구멍(22a)(22b) 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걸림돌기(25a)를 갖는 탄성부재(2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결합구멍(22a)(22b) 및 탄성부재(25)는 2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1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24)를 필요에 따라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즉, 상기 손잡이(24)를 일측 방향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변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돌기(25a)를 누르면 손잡이(24)는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때 손잡이(24)를 회동시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28)을 중심으로 손잡이(24)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손잡이(24)가 힌지핀(28)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힌지핀(28)의 양측에 돌출된 걸림돌기(25a)가 브라켓(22)에 형성된 결합구멍(22a)(22b)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손잡이(24)는 원래의 위치에서 반대측으로 회동된 후 수평 상태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손잡이(24)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크기를 작게 하면 가구 등의 먼지 떨이구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며, 손잡이의 결합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먼지 등의 소제 및 보관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손잡이의 결합 방향에 따라 적은 힘으로 소제가 가능하므로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저면에 걸레부를 갖는 떨이부재와, 상기 떨이부재 내에 삽입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는 손잡이를 갖는 먼지 떨이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에 있어서,
    상기 먼지 떨이구 본체(20)는 삽입구(23)의 일측에 결합구멍(23a)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4)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결합 구멍(23a) 내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25a)를 갖는 탄성부재(25)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떨이구 본체(20)는 지지판(21)의 상측에 한 쌍의 브라켓(22)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22)에는 손잡이(24)의 일측을 힌지핀(28)으로 회동 가능케 결합함과 아울러 양측에는 결합구멍(22a)(22b)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4)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구멍(22a)(22b) 내에 삽입, 이탈되는 걸림돌기(25a)를 갖는 탄성부재(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떨이구.
KR1020040002923A 2004-01-15 2004-01-15 차량용 먼지 떨이구 KR10056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23A KR100568165B1 (ko) 2004-01-15 2004-01-15 차량용 먼지 떨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23A KR100568165B1 (ko) 2004-01-15 2004-01-15 차량용 먼지 떨이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139U Division KR200347482Y1 (ko) 2004-01-15 2004-01-15 차량용 먼지 떨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126A KR20050075126A (ko) 2005-07-20
KR100568165B1 true KR100568165B1 (ko) 2006-04-10

Family

ID=3726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923A KR100568165B1 (ko) 2004-01-15 2004-01-15 차량용 먼지 떨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90B1 (ko) * 2013-06-28 2014-12-04 (주) 재성 자동차용 세차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126A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515B2 (en) Cleaning apparatus
KR101015537B1 (ko)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US7181800B2 (en) Duster using to clean car exterior
US20110016652A1 (en) Rotational mop
US20040244133A1 (en) Mop head having clips for retaining a washable fabric sheet
US6571419B1 (en) Mop with a sucking plate and a mop unit having changeable soft and coarse sponge sides
KR100568165B1 (ko) 차량용 먼지 떨이구
US4811449A (en) Cleaner
KR200347482Y1 (ko) 차량용 먼지 떨이구
JP2006314363A (ja) 掃除具用柄とこれを用いた掃除具セット
KR100867335B1 (ko) 먼지떨이개
JP2013138849A5 (ko)
CN215656965U (zh) 折叠手柄及清洗机
US20110016650A1 (en) Cleaning tool
JP2001161618A (ja) モップハンドル
KR200438444Y1 (ko) 막대 걸레
KR200409362Y1 (ko) 차량용 옷걸이 커버
KR200413782Y1 (ko) 스팀청소기
TWI805451B (zh) 攜車架
KR100527120B1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CN210043941U (zh) 一种洗地车的折叠式拖把放置结构
JPH0610942Y2 (ja) モップにおける払拭シート取付台
JP4384367B2 (ja) トイレ装置
JPH0984730A (ja) 拭布挟着型モップ
JP3015015U (ja) 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