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335B1 - 먼지떨이개 - Google Patents

먼지떨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335B1
KR100867335B1 KR1020070069580A KR20070069580A KR100867335B1 KR 100867335 B1 KR100867335 B1 KR 100867335B1 KR 1020070069580 A KR1020070069580 A KR 1020070069580A KR 20070069580 A KR20070069580 A KR 20070069580A KR 100867335 B1 KR100867335 B1 KR 100867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uster
frame
magnetic plat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희
Original Assignee
이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희 filed Critical 이필희
Priority to KR102007006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0Cleaning implements actuat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Devices for cleaning same; Magnetic cleaning implements
    • A47L13/41Magnetic cleaning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떨이개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먼지 중에 포함된 금속성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자석판에 쌓인 금속성 먼지를 외부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떨이개에 관한 것으로, 유지시트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와, 상기 유지시트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를 포함하는 먼지떨이개로서,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안착홀에 단턱을 부여하고 동시에 자석이 붙는 금속재로 된 자석부착판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안착홀에 삽입되고 자석안착홀에 설치된 자석부착판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지떨이개, 자석, 노출, 자석부착판

Description

먼지떨이개{A DUSTER}
본 발명은 먼지를 떨어내는 먼지떨이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먼지떨이개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먼지 중에 포함된 금속성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자석판에 쌓인 금속성 먼지를 외부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떨이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떨이개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 운송수단 및 일반 가정에서 먼지를 털어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운송수단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먼지떨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떨이개는 유지시트를 통해 스티칭(stitching)되어 이 유지시트로부터 여러 가닥의 섬유사로 된 걸레가 설치되고 상기 유지시트의 상부로는 프레임을 통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먼지떨이개는, 걸레에 오일이나 왁스가 포함되고 주로 여러 가닥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 운송수단의 먼지를 털고 닦고 차체의 광택을 유지보호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먼지떨이개는, 유지시트에 여러 가닥의 섬유사를 스티칭하여 형성된 걸레가 형성되고 상기 유지시트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에 자루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먼지떨이개를 통해 자동차의 보디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거나 또는 보디에 광을 내는 등 청소를 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 고안자가 검토한 종래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먼지떨이개(1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먼지떨이개(100)는 유지시트(110)를 통해 스티칭되어 이 유지시트(110)로부터 여러 가닥의 섬유사가 형성된 걸레(120)가 설치되고 상기 유지시트(110)의 상부로 형성되는 포켓(112)을 통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130)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걸레(120)에는 필요에 따라 오일 또는 왁스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먼지떨이개(100)는 자루(130)를 손으로 파지하고 걸레(120)를 청소할 대상물, 예로, 차체의 보디에 밀착시켜 좌,우 또는 전, 후방향으로 움직여 보디에 있는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차량의 보디에 쌓여 있는 먼지 중에는 금속성분을 갖는 먼지가 포함되어 있는바, 상기 먼지떨이개(100)의 경우 걸레(120)에 금속성분이 달라붙어 반복되는 청소과정에서 걸레(120)에 달라붙은 금속성의 먼지가 차체 보디에 쓸리어 차체에 미세 흠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차체 도색을 퇴색시키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가 선행 발명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7호 및 미국 특 허 제7,181,800호의 자석이 부착된 먼지떨이개의 경우, 걸레가 끼워지는 프레임에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차량의 보디에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와 함께 청소효과를 높이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발명의 경우 프레임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먼지 중에 포함된 금속성분을 갖는 먼지가 계속해서 자석에 쌓이게 되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었다.
첫째, 자력에 의해 금속성분을 갖는 먼지가 걸레를 통해 포집되어 자연스럽게 자석에 붙게 되고 반복적인 청소에 의해 자석에 금속성분의 먼지가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 자석에 쌓인 금속성 먼지를 제거해야 하는데 상기 발명자가 발명한 기술은 프레임에서 자석을 제거하기에 구조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자석에 쌓인 먼지가 청소를 하는 과정에서 자석으로부터 떨어져 다시 걸레에 붙거나 아니면 차체의 보디에 붙어 차체에 흠집을 내거 광택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프레임에 부착된 자석에서 그때그때 쌓인 먼지를 제거해야 하는데, 발명자가 선행 발명한 상기 자석이 부착된 먼지떨이개의 경우 프레임의 내측에 부착된 자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유지시트에 감싸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석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는데 많은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프레임을 유지시트에서 벗겨내고 프레임에 부착된 자석에서 먼지를 제거하고 다시 유지시트에 프레임을 끼워넣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실질적 으로 사용자는 자석에 붙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첫째의 문제점을 항상 안고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력에 의해 먼지떨이개의 사용 편의와 함께 청소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자석에 붙어 있은 금속성분의 먼지를 그때그때 사용자가 외부에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석에 붙여 있는 먼지로 인하여 차량의 보디에 흠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광택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광택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떨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유지시트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와, 상기 유지시트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를 포함하는 먼지떨이개로서,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안착홀에 단턱을 부여하고 동시에 자석이 붙는 금속재로 된 자석부착판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안착홀에 삽입되고 자석안착홀에 설치된 자석부착판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시트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와, 상기 유지시트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를 포함하는 먼지떨이개로서,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의 하부에는 단턱홀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안착홀에 타이트하게 삽입되고 자석안착홀에 형성된 단턱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과 이 자석판에 손잡이블록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부착판은 자력을 높이기 위해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지시트에는 자석판과 대응하는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판의 상부에는 자석판을 쉽게 부여잡을 수 있는 손잡이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판은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판은 프레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블록의 측벽과 자석안착홀의 내벽에는 서로 대응하여 착탈 조립을 위한 조립턱과 조립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블록의 테두리에 탄성을 갖는 쿠션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는, 프레임에 설치된 자석판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자석부착판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으 로써 사용자가 자석판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성분의 먼지를 제거할 때 자석부착판으로부터 자석판을 떼어내어 먼지를 제거하게 되어 자석판의 먼지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는, 프레임에서 외부로 노출된 자석판이 금속재로 된 자석부착판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시에는 자석판이 자석부착판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석판의 자력에 의해 차체의 보디를 청소할 때 먼지를 강력하게 쓸어 내어 먼지포집력이 좋아 먼지 청소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는, 자석판에 설치된 손잡이블록에 의해 사용자가 자석판을 자석부착판에서 착탈 할 때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는, 자석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설명(특히 사용 용도의 설명)이 용이하고, 제품의 어필(appeal)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 도모 및 제품 단가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 예의 먼지떨이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예시된 먼지떨이개의 전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먼지떨이개(10)는 크게 유지시트(12), 상기 유지시트(12)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14), 상기 유지시트(12)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18) 및 이 프레임(18)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20)로 구성된다.
상기 자루(20)는 프레임(18)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여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22)에 의해 360도 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루(20)를 임의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8)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24)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24)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안착홀(24)에 단턱을 부여하고 동시에 자석이 붙는 금속재로 된 자석부착판(26)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안착홀(24)에 삽입되고 자석안착홀(24)에 설치된 자석부착판(26)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28)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자석부착판(26)은 자석판(28)의 자력을 높이기 위해 자석판(28)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개방홀(26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지시트(12)에는 자석판(28)과 대응하는 개방홀(12a)을 형성함으로써 걸레(14)로부터 포집되는 금속성분의 먼지를 자석판(28)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된 먼지떨이개(10)의 경우 프레임(18)에 설치된 자석판(28)이 일정 간격으로 하여 프레임(18)의 좌,우에 각각 2개씩 총 4개를 설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8)의 크기에 따라 자석판(28)의 수를 증가하거나 또는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자석판(28)의 길이를 길게 하여 프레임(18)의 좌,우에 각 한 개씩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자석판(28)은 프레임(18)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손으로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석판(28)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자석판(28)을 더욱 쉽게 부여잡을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블록(3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시된 손잡이블록(30)은 프레임(18)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그 모양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지시트(12)는 레자(인조 가죽), 염화비닐레더, 망직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루(20)는 2단 파이프로 하여 자루(20)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루(20)의 구조는 공지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먼지떨이개(10)는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프레임(18)의 중앙으로 돌출 형성된 볼안착구(32) 내의 안내공(34)을 통해 볼조인트(22)를 삽입하고, 볼안내핀(36)으로 막아 상기 볼조인트(22)를 조립하고, 자석판(28)을 프레임(18)에 형성된 자석안착홀(24)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저석판(28)은 자석안착홀(24)의 하부에 설치된 금속재의 자석부착판(2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18)을 유지시트(12)의 둘레를 통해 끼워 넣고, 자루(20)를 상기 볼조인트(22)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한다. 즉, 볼조인트(22)에 형성된 나사부(22a)에 자루(2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0a)를 나사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 먼지떨이개(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보디(50)에 있는 먼지를 청소할 때 사용자가 걸레(14)를 보디(50)에 밀착하기 위해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석판(28)의 자력에 의해 걸레(14)가 금속으로 된 차량의 보디(50)에 자연스레 밀착되어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차량의 도어나 펜더(fender) 등의 측면을 청소할 때 자석판(28)의 자력에 의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석판(28)의 자력에 의해 사용되는 먼지떨이개(10)는 자석판(28)의 자력에 의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가 걸레(14)에 의해 포집 되는 과정에서 자석판(28)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금속성분의 먼지가 보디(50)에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계속해서 자석판(28)에 쌓여진 먼지는 사용자가 자석판(28)을 자석부착판(26)으로부터 떼어내고 먼지를 제거한 후 다시 자석부착판(26)에 붙여 사용함으로써 금속성분의 먼지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자석판(28)을 자석부착판(26)으로부터 떼어낼 때 손잡이블록(3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 예의 먼지떨이개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2실시 예로 예시된 먼지떨이개(10a)의 부호 설명에서 1실시 예와 동일 내지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먼지떨이개(10a)는 유지시트(12)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14)와, 상기 유지시트(12)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18) 및 이 프레임(18)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8)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24)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24)의 하부에는 단턱홀(24a)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안착홀(24)에 타이트하게 삽입되고 자석안착홀(24)에 형성된 단턱홀(24a)을 통해 밑으로 빠지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28)과 이 자석판(28)에 손잡이블록(3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먼지떨이개(10a) 1실시 예와 달리 자석부착판(26)을 삭제하고 그 대신 자석안착홀(24)에 단턱홀(24a)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자석판(28) 과 손잡이블록(30)이 자석안착홀(24)에 타이트하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중 자석판(28)을 포함한 손잡이블록(30)이 자석안착홀(24)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자석판(28)을 포함한 손잡이블록(30)을 자석안착홀(24)에 빼낼 경우 손잡이블록(30)에 약간의 힘을 주어 빼내면 자석안착홀(24)에서 빠지게 되어 자석판(28)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먼지떨이개의 변형 예의 분리사시도로서, 이는 손잡이블록(30)의 측벽과 자석안착홀(24)의 내벽에는 서로 대응하여 착탈 조립을 위한 조립턱(30a)과 조립홈(24b)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손잡이블록(30)이 자석안착홀(24)에 설치될 때 조립턱(30a)이 조립홈(24b)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먼지떨이개의 또 다른 변형 예의 분리사시도로서, 이는 손잡이블록(30)의 테두리에 탄성을 갖는 쿠션테(31)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블록(30)에 쿠션테(31)를 설치함으로써 이 쿠션테(31)가 자석안착홀(24)에 쿠션을 갖고 설치됨으로써 빠지지 않게 되고, 자석판(28)을 포함한 손잡이블록(30)을 빼낼 때 손잡이블록(30)에 약간의 힘을 주어 빼내면 쿠션테(3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자석안착홀(24)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먼지떨이개(10)(10a)에 의하면, 자석판(28)에 붙어 있는 금속성분의 먼지를 제거할 때 상기 자석판(28)이 프레임(18)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자석판(28)의 먼지 제거(청소)를 더욱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먼지떨이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 예의 먼지떨이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먼지떨이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먼지떨이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석판의 변형 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석판에 손잡이블록을 설치한 대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먼지떨이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 예의 먼지떨이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먼지떨이개의 변형 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먼지떨이개의 또 다른 변형 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먼지떨이개 12 : 유지시트
12a, 26a : 개방홀 14 : 걸레
18 : 프레임 20 : 자루
20a, 22a : 나사부 22 : 볼조인트
24 : 자석안착홀 26 : 자석부착판
28 : 자석판 30 : 손잡이블록
32 : 볼안착구 34 : 안내공
36 : 볼안내핀 50 : 차량 보디

Claims (9)

  1. 유지시트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와, 상기 유지시트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를 포함하는 먼지떨이개로서,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안착홀에 단턱을 부여하고 동시에 자석이 붙는 금속재로 된 자석부착판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안착홀에 삽입되고 자석안착홀에 설치된 자석부착판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2. 유지시트를 통해 스티칭되어 여러 가닥으로 설치되는 걸레와, 상기 유지시트를 통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를 포함하는 먼지떨이개로서,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자석안착홀의 하부에는 단턱홀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안착홀에 타이트하게 삽입되고 자석안착홀에 형성된 단턱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먼지를 포집하는 자석판과 이 자석판에 손잡이블록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착탈 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착판은 자력을 높이기 위해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시트에는 자석판과 대응하는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판의 상부에는 자석판을 쉽게 부여잡을 수 있는 손잡이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판은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판은 프레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블록의 측벽과 자석안착홀의 내벽에는 서로 대응하여 착탈 조립을 위한 조립턱과 조립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블록의 테두리에 탄성을 갖는 쿠션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떨이개.
KR1020070069580A 2007-07-11 2007-07-11 먼지떨이개 KR10086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80A KR100867335B1 (ko) 2007-07-11 2007-07-11 먼지떨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80A KR100867335B1 (ko) 2007-07-11 2007-07-11 먼지떨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335B1 true KR100867335B1 (ko) 2008-11-06

Family

ID=4028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580A KR100867335B1 (ko) 2007-07-11 2007-07-11 먼지떨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3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5723A (zh) * 2015-05-12 2015-09-02 莫海基 一种车用拖把
CN106214087A (zh) * 2016-08-24 2016-12-14 武进区南夏墅金汇建材厂 高效去除水泥的拖把
CN109866737A (zh) * 2019-03-07 2019-06-11 梁灿明 一种清洗装置
KR102287349B1 (ko) * 2020-02-17 2021-08-06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형차량용 하부 세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99U (ko) * 1995-01-06 1996-08-17 정태연 자석을 설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
KR200188926Y1 (ko) 2000-02-24 2000-07-15 김익수 자동차용 더스터
JP2003048518A (ja) 2001-08-01 2003-02-18 Koichiro Anraku 洗車モップ
KR200318497Y1 (ko) 2003-04-07 2003-07-02 이필희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99U (ko) * 1995-01-06 1996-08-17 정태연 자석을 설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
KR200188926Y1 (ko) 2000-02-24 2000-07-15 김익수 자동차용 더스터
JP2003048518A (ja) 2001-08-01 2003-02-18 Koichiro Anraku 洗車モップ
KR200318497Y1 (ko) 2003-04-07 2003-07-02 이필희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5723A (zh) * 2015-05-12 2015-09-02 莫海基 一种车用拖把
CN106214087A (zh) * 2016-08-24 2016-12-14 武进区南夏墅金汇建材厂 高效去除水泥的拖把
CN109866737A (zh) * 2019-03-07 2019-06-11 梁灿明 一种清洗装置
KR102287349B1 (ko) * 2020-02-17 2021-08-06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형차량용 하부 세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800B2 (en) Duster using to clean car exterior
KR100867335B1 (ko) 먼지떨이개
KR101015537B1 (ko)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US20200397209A1 (en) Cleaning hand mitt with selectively invertable scrubbing pad
KR200484056Y1 (ko) 유리창 청소도구
KR101455037B1 (ko) 청소용 걸레 밀대
KR200425607Y1 (ko) 때밀이 전용기구
KR100775597B1 (ko) 닦음부재가 마련된 고정홀더가 착탈이 가능한 유리창청소기구
JPH08336494A (ja) 静電気を利用した掃除機具
KR100732570B1 (ko) 유리창 닦는 장치
CN209847058U (zh) 一种玻璃擦洗装置
JP3752475B2 (ja) 真空掃除機の補助雑巾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101035060B1 (ko) 빗자루
CN214102756U (zh) 一种自清洁猫抓箱
KR101469090B1 (ko) 자동차용 세차도구
CN213999016U (zh) 一种首饰抛光机
CN218999763U (zh) 一种手柄
CN101125525B (zh) 车载空气净化装置箱体的盖结构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KR200261228Y1 (ko) 유리창 닦이구
KR20080004917U (ko) 휴대용 자동차 외부 판넬 청소기
KR20170025584A (ko) 진공 청소기 흡입구 밑면 브러쉬 탈부착 구조
KR200408338Y1 (ko) 스팀 청소기의 개량구조
KR20090013031U (ko) 골프채 청소구
JPH02468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