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007B1 -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007B1
KR100568007B1 KR1020017004297A KR20017004297A KR100568007B1 KR 100568007 B1 KR100568007 B1 KR 100568007B1 KR 1020017004297 A KR1020017004297 A KR 1020017004297A KR 20017004297 A KR20017004297 A KR 20017004297A KR 100568007 B1 KR100568007 B1 KR 10056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alt
dermatological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997A (ko
Inventor
시까삘립
Original Assignee
라보라뜨와르 엑스팡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뜨와르 엑스팡샹스 filed Critical 라보라뜨와르 엑스팡샹스
Publication of KR2001007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부형제 중에서, 아미노산 글리신, 히스티딘 및 리신으로 구성된 대두 펩티드 및 트리펩티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살트임이 형성될 소지가 있는 부위 또는 살트임이 존재하는 부위에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학에서의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살트임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또는 치료가 가능하며, 피부의 내성과 관련하여 허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KIN STRIAE}
본 발명은 피부 살트임(stretchmark)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 방법,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피부학적 의약 생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살트임은 체중의 증가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해 피부가 늘어남으로써 피부에 생기는 자국으로서, 이는 특히 사춘기 또는 첫번째 임신후의 여성에서 나타난다. 임신 여성의 약 50%가 허벅다리, 복부 및/또는 유방에 살트임이 생긴다. 또한, 살트임은 비만, 결핵 및 장티푸스열과 같은 생리학적 또는 병리학적 상태 동안 그리고 비교적 강도 높은 규정 섭생 동안 나타날 수 있다.
살트임의 치료는 예를 들면 참고 문헌[P. Zheng et al., "Anatomy of stria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12:185-193 (1985)]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는 특히 살트임이 탄성 섬유를 파괴하는 염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후, 트레티오닌 (또는 모든 트랜스 레티노산)과 같은 살트임 치료를 위한 활성 성분으로서 많은 화합물들이 제안되어 왔다. 논문[R.E.B. Watson et al., "Fibrillin microfibrils are reduced in skin exhibiting striae distensa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38:931-937 (1998)]에 의하면, 트레티노인은 피브릴린의 망상 조직을 근본적으로 복구시키는 경향을 갖는 살트임 방지 작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포외성 매트릭스의 기타의 성분과 비교하여 탄성 섬유내의 미세섬유의 주성분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활성 화합물이 살트임 복귀의 효능을 생성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얻은 결과는 특히 트레티노인의 주지된 피부 불내성(intolerance) 문제로 인해서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만은 않다. 현재까지는 허용가능한 피부 내성을 가지면서 이와 같은 콤플렉스 및, 특히 살트임의 보기 흉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특정의 펩티드의 사용으로 피부 내성과 관련하여 허용가능한 방식으로 살트임을 완전 예방 및/또는 치료가 가능하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살트임이 형성될 소지가 있거나 또는 살트임이 존재하는 피부 부위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으로, 이 조성물은 적절한 부형제 내에서 아미노산 글리신, 히스티딘 및 리신으로 구성된 대두 펩티드 및 트리펩티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살트임 방지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어 "살트임 예방"이라는 것은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치료의 관점에서, 임신과 같이 살트임 발생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시점 이전에 그리고 그 상황 동안 조성물을 바름으로써 살트임의 길이, 폭 및/또는 깊이로 이를 예방하거나 또는 적어도 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어 "살트임 치료"라는 것은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치료의 관점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살트임의 길이, 폭 및/또는 깊이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측정 가능하게 복귀, 즉 재흡수시키는 작용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에서의 대두 펩티드는 살트임이 형성되고 있는 중의 살트임 또는 심지어는 이미 존재하는 살트임을 포함한, 살트임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피부 부위에 바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에서의 대두 펩티드는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는 작동 조건하에서 대두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은 임의의 펩티드, 즉 임의의 대두 단백질 수해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대두 펩티드는 미생물 균주를 사용한 발효 과정을 거친 펩티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발효된 대두 펩티드는, 글루코스, 무기염 및 소정의 미생물 균주의 존재하에 조절된 온도, pH, 산소화 반응 및 시간 조건하에서 대두 펩티드를 발효기에 넣어 얻게 된다. 발효를 완료한 후, 발효된 대두 펩티드를 통상의 분리 및 여과 조작에 의해 얻는다. 이러한 기법은 각종의 발효된 식물성 단백질 수해물을 시판하는 컴파니 콜레티카에 의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 중의 발효된 대두 펩티드 또는 미발효 대두 펩티드는 예를 들면 전기영동법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이 약 200∼약 20,000 달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에 특히 바람직한 대두 펩티드의 일례로는 컴 파니 콜레티카에 의해 시판되는 "Phytokine(등록상표)"으로 알려진 발효된 펩티드가 있다.
이와 같은 평균 분자량이 약 800 달톤인 특정의 발효된 대두 펩티드는 대두 펩티드를 유산균속 미생물 균주로 발효시켜 얻었으며, 이의 아미노산 조성은 하기와 같다.
100개당 잔기수
Hyp 0.39
Asp 12.64
Thr 2.93
Ser 4.29
Glu 20.08
Pro 7.31
Gly 7.95
Ala 7.76
Cys ND*
Val 5.59
Met 0.96
Ile 4.46
Leu 7.42
Tyr 1.38
Phe 3.39
His 2.12
Hyl 0.09
Lys 5.73
Trp ND*
Arg 5.53
βAla ND
*ND: 측정되지 않음
특히, 용어 "아미노산 글리신, 히스티딘 및 리신으로 구성된 트리펩티드"라는 것은 Gly-His-Lys 서열의 트리펩티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들 아미노산은 D, L 또는 DL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아연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과의 착체의 형태로 아세트산과 같은 카르복실산과 콘쥬게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산 글리신, 히스티딘 및 리신으로 구성된 트리펩티드 중에서, 컴파니 세포르가에서 INCI명이 "트리펩티드-1"인 트리펩티드 "Kollaren-CP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ollaren-CPP"는 아연과의 착체 형태의 아세트산(아세테이트)과 콘쥬게이트가 형성된 서열 Gly-His-Lys를 갖는 트리펩티드이다.
그래서, 특히 본 발명은 살트임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살트임 방지제는 대두 펩티드 Phytokine(등록상표), 트리펩티드 Kollaren-CPP(등록상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에서, 살트임 방지제의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약 10 중량%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은 살트임 방지제와 조합된 α-히드록시산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이의 이유는 놀랍게도, α-히드록시 산과의 병용이 적어도 살트임 방지제의 활성을 배가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특정의 경우에 있어서는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의 상승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α-히드록시 산은 임의의 α-히드록시 산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구연산, 파이루빈산, 글리콜산 또는 젖산과 같이 피부에 박리 및/또는 수분화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조성물에 매우 바람직한 α-히드록시 산의 일례로는 젖산이 있다.
α-히드록시산의 비율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약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은 α-히드록시 산과 같은 젖산과 함께 대두 펩티드 Phytokine(등록상표), 트리펩티드 Kollaren-CPP(등록상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이유는 이러한 병용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조성물의 살트임 방지 활성과 관련하여 특히 이로운 효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은 특히 α-히드록시 산을 부분적으로 중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pH를 약 2∼약 4, 바람직하게는 약 3.5 정도로 조절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이롭다. 특히,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알칸올아민 또는 아르기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사용된 조성물은 섭스턴스(substance)-P 및 뉴로펩티드-Y (또는 이하에서 NPY) 억제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섭스턴스-P 및 NPY 억제제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섭스턴스-P 및 NPY 억제제 화합물은 "남작 파래(Enteromorpha compressa)" (또는 "Ao-nori" 또는 "황록색 nori")로 공지된 녹조류로부터 얻은 활성 펩티드 분획을 포함하는 특이성 추출물, 예컨대 컴파니 쎄크마에서 상표명 "Enteline 2"(INCI명: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남작 파래 추출물; CAS No. 92128-82-0)으로 시판되는 것이 있다.
특히, α-히드록시 산, 특히 젖산의 자극성 효능을 고려하여 이와 같은 특이성 섭스턴스-P 및 뉴로펩티드-Y 억제제 화합물의 사용으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의 특히 이로운 내성 효능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에서의 섭스턴스-P 및 NPY 억제제 화합물의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약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조성물은 젖산 및 남작 파래 추출물과 조합된 대두 펩티드 Phytokine(등록상표), 트리펩티드 Kollaren-CPP(등록상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은 적절한 부형제를 포함하는데, 이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해, 크림, 로션, 겔, 연고 등의 형태로, 임의로 에멀젼의 형태로, 또한, 화장용 또는 피부학적 관점에서 조성물을 개선, 변성 또는 안정화시키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성분과 함께, 당업자에게 공지된 형태의 임의의 부형제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은 살트임 방지제 작용에 2차적으로 기여하는 화합물, 예컨대 살트임의 혈관형성 및 이의 색상을 조절하는데 기여하는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의 추출물, 또는 실란올 화합물, 예컨대 메틸실란올 락테이트 또는, 피부 단백질의 성분인 구리 및 아연계 미량 원소, 예컨대 아연 글루코네이트 및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작동 조건은 당업자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피부학적 의약 생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떠한 방법으로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살트임 방지용 크림(pH 3.5)
함량(%)
세틸디메티콘 (컴파니 골드슈미트에서 상표명 "Albilwax 9801"로 시판) 2
옥틸 세바케이트 5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콜, 세틸 팔미테이트 및 코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 (컴파니 시도브레 시노바에서 상표명 "Cutina CBS"로 시판함) 2.5
메틸 파라벤 0.1
프로필 파라벤 0.1
적당량 100
PEG 300 5
트리에탄올아민 4.8
Sepigel 305(등록상표) (컴파니 셉픽에서 시판하는 농조화제) 5.5
Phytokine(등록상표) 2
젖산 10
Enteline 2(등록상표) 0.4
소포라 자포니카 3
메틸실란올 락테이트 3
아연 글루코네이트 0.2
구리 글루코네이트 0.2
향료 0.35
실시예 2
살트임 방지용 크림(pH 3.5)
함량(%)
세틸디메티콘 (컴파니 골드슈미트에서 상표명 "Albilwax 9801"로 시판) 2
옥틸 세바케이트 5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콜, 세틸 팔미테이트 및 코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 (컴파니 시도브레 시노바에서 상표명 "Cutina CBS"로 시판함) 2.5
메틸 파라벤 0.1
프로필 파라벤 0.1
적당량 100
PEG 300 5
트리에탄올아민 4.8
Sepigel 305(등록상표) (컴파니 셉픽에서 시판하는 농조화제) 5.5
Kollaren CPP(등록상표) 2.5
젖산 10
Enteline 2(등록상표) 0.4
소포라 자포니카 3
메틸실란올 락테이트 3
아연 글루코네이트 0.2
구리 글루코네이트 0.2
향료 0.35

실시예 3
정상의 사용 조건하에서, 9 명의 성인 여성이 6 주간 피부에 반복해서 바른 후, 임상적 평가와 함께 기계를 사용한 평가를 토대로 한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의 살트임 복귀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연구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의 사용 조건하에서 9 명의 성인 여성이 6 주간 허벅다리 피부에 반복해서 바른 후, 생체역학적 변수의 측정과, 임상적 평가와 함께 허 벅다리 피부의 살트임의 비색 측정에 의해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의 살트임의 "복귀"에 대한 효능을 평가 및 비교하기 위함에 있다.
2. 테스트의 관련성
Cutometer(등록상표)를 사용하여 피부에서의 점탄성 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물을 반복하여 바른 후 피부의 생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생성물의 효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기계적인 흡입 스트레스를 가한 피부 부위의 변형 및 이의 회복력을 측정하는 것이다(Wilhelm et al., 1993). 특히, 피부의 점탄성 특성은 외피의 유연성 및 탄성 및 탄력성의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Chromameter를 사용한 측정으로 대조용 부위(정상의 피부)와 비교하여 살트임이 있는 부위에서의 피부 변색에 대한 생성물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구 감독에 의한 점수를 토대로 한 임상 평가와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 이러한 기계를 사용한 기법에 의해, 정상의 사용 조건하에서 6 주간 하루 2회 바른 후, 9 명의 성인 여성 패널에게서 살트임에 대한 생성물의 효능을 평가할 수가 있다.
3. 지원자
9 명의 패널 구성원은 실험 개시 직전에 실시한 실험에 대한 특이성 임상적 조사를 토대로 하여 연구 감독에 의해 최종적으로 승인받았다. 이들 모두는 실험 전체에 참여하게 된다.
결과 분석은 20 세에서 31 세 가량의 (평균 연령: 26 세) 9 명의 여성 지원 자 (또는 비색 측정의 경우에는 8 명)의 패널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8 개월 미만 으로 소급된 살트임을 갖는다.
4. 프로토콜
4.1 초기의 임상적 그리고 기계적 평가
4.1.1. 점탄성 변수의 측정
이들 변수는 양 허벅다리의 피부에 CutometerTM (꾸라즈+까자카,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유형의 실험을 수행하고 객관하하기 위해 특별히 선정, 모집된 성인 여성 지원자 개개인의 좌우 허벅다리에서 2 개의 정반대 방향의 대향 부위에서 평가하였다. 이러한 측정은 해부학적 마커를 갖는 투명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하여 해당 부위를 마킹한 후, 살트임이 있는 부위와, 이웃한 살트임이 없는 부위("정상의 피부")에서 실시하였다.
4.1.2. 비색 측정
살트임의 비색 평가는 직경 3 ㎜ 부위에서의 비색 측정용 원추가 구비된 CR 321 Chromameter(미놀타)를 사용하여 투명도 변수 "L*" 및 색도 좌표 "a*" 및 "b*"의 분석에 의해 양 허벅다리와 이웃한 대조용 부위(살트임이 없는 부위)의 피부에 실시하였다.
각 패널 구성원의 피부와 주위 환경의 수분 교환의 안정한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온도 및 습도 센서 발신기에 접속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22±2℃로 유지되는 상온 및 50±5%의 상대 습도로 상태조절된 실내에서 약 20 분간 휴식을 취한 후 비색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의 안정도를 모니터하고, 다경로 기록계를 사 용하여 연속적으로 인쇄하였다.
4.1.3 임상 평가
각 지원자의 양 허벅다리에서의 9-포인트 임상 점수(1∼9)를 토대로 하여 부감독이 하기 판단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살트임의 크기
· 살트임의 색상
· 살트임의 경감도
4.1.4. 사진
Nikon 105MM 매크로 대물 렌즈가 장착된 Nikon F-801S 카메라를 사용하여 "일광"형(6500°K) 조사하에 양 허벅다리의 피부 부위의 컬러 확대사진을 촬영하였다.
4.2 반복하여 바른 후의 생성물의 효능 평가
4.2.1. 도포 방법
연구한 생성물을 하루 2회씩 6 주간 연속해서 정상의 사용 조건 하에서 지원자 자신이 집에서 양 허벅다리 피부에 발랐다(무작위법에 의해 양 허벅다리에 1 개의 생성물; 바이노미날법).
연구 조건을 최대로 표준화하기 위해, 연구 생성물을 1주에 1회씩 실험 요원의 입회하에 발랐다.
4.2.2. 피부의 점탄성 특성(긴장도, 단단함, 유연성, 탄성)에 대한 효능
동일한 원칙하에 테스트 첫날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표시한 양 허벅다리의 피 부(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의 점탄성 변수를 생성물을 사용한지 6 주후 측정하였다. 이 평가는 반복 사용에 의해 유발된 피부 조직의 탄성 변수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측정하도록 생성물을 마지막으로 바른후 16∼24 시간 경과후 실험 요원이 실시하였다.
4.2.3. 피부의 변색에 대한 효과
피부 변색 측정은 동일한 원칙하에 실험 첫날 동안 측정하고 정확하게 표시한 부위(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서 6 주 사용후 Chromameter(등록상표)를 사용하여 피부 변색 측정을 수행하였다.
4.2.4. 임상 평가 및 자가 평가
초기 측정 동안 실시하고, 6 주간 바른 후 실시하는, 6-점 임상 점수를 기준으로 한 양 허벅다리의 피부 평가를 실험 감독이 수행하였다.
4.2.5. 사진
6 주간 바른 후, 동일한 원칙하에 실험 첫날 동안 측정하고, 정확하게 표시한 부위의 컬러 확대 사진을 촬영하였다.
4.3. 결과의 분석 및 해석
4.3.1. 생체역학적 변수
- 양 허벅다리(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서 D1 및 D43에서 측정한 점탄성 변수의 평균값은 모든 패널 구성원에게서 측정한 개개의 측정치의 평균(SEM)에 대하여 얻은 산술 평균 및 오차를 구하여 연산하였다.
- 좌우 허벅다리에서 측정한 초기값(생성물을 처음 바르기 이전의 값)을 분 산 분석법(ANOVA, 유의값: p<0.05)에 의해 비교하였다.
- 각 부위(좌우 허벅다리, 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 대해 한쌍의 일련의 스튜던트 "t" 검정("원-테일", 유의값: p<0.05)에 의해, 6 주간 생성물을 사용한 후 얻은 값을 1차 도포 이전에 측정한 초기값과 비교하였다.
- 좌우 허벅다리(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서 얻은 효과를 6 주간 사용후 없은 값과 초기값 사이의 차(ΔD43-D1)와 관련하여, 다중 비교 테스트(LSD)와 분산 분석법(ANOVA, 유의값: p<0.05)에 의해 비교하였다.
- 시험 동안 평가한 변수의 평균 분산율(%)은 패널 구성원 모두에 대해 얻은 평균값으로부터 초기값에 대해 6 주간 바른 후 각 피부 부위에 대해 계산하였다.
4.3.2. 비색 측정
- 실험의 각 단계에서 측정한 비색 변수의 평균값은 패널 구성원 모두에게서 구한 각각의 측정치의 평균값(SEM)에 대해 산술 평균 및 오차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이러한 측정은 투명도 변수 "L*", 색도 좌표 "a*" 및 "b *" 및 하기 수학식에 의해 계산한 각각의 유형분류적 각도 ITA°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1007625038-pct00001
- 좌우 허벅다리에서 얻은 초기값(생성물을 처음 바르기 이전의 값)을 분산 분석법(ANOVA, 유의값: p<0.05)에 의해 비교하였다.
- 각 부위(좌우 허벅다리, 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 대 해 한쌍의 일련의 스튜던트 "t" 검정("원-테일", 유의값: p<0.05)에 의해, 6 주간 생성물을 사용한 후 얻은 값을 처음 바르기 이전에 측정한 초기값과 비교하였다.
- 좌우 허벅다리(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서 얻은 효과를 6 주간 사용후 없은 값과 초기값의 차(ΔD43-D1)와 관련하여, 다중 비교 테스트(LSD)와 분산 분석법(ANOVA, 유의값: p<0.05)에 의해 비교하였다.
- 시험 동안 평가한 변수의 평균 분산율(%)은 패널 구성원 모두에게서 얻은 평균값으로부터 초기값에 대해 6 주간 사용후 각 피부 부위에 대해 계산하였다.
4.3.3. 임상 점수
- 임상 점수를 토대로 하여 연구의 각 단계에서 측정한 판단 기준의 평균값은 패널 구성원 모두에게서 구한 각각의 데이타의 산술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 생성물을 바른 후 얻은 값을 각각의 처리한 부위에 대해 한쌍의 일련의 Wilcoxon 테스트("원-테일", 유의값: p<0.05)에 의해, 시험 첫날 측정한 값과 비교하였다.
- 생성물의 효과를 반복 도포 전후에 얻은 값과 관련하여 한쌍의 일련의 Wilcoxon 테스트("원-테일", 유의값: p<0.05)에 의해 비교하였다.
- 각각의 평가 기준의 평균 편차율(%)을 모든 지원자에게서 얻은 평균값으로부터 출발하여 초기 데이타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5. 결과 및 토의
5.1. 큐토메트리 측정법
통계적 분석법에 의해 생체역학적 변수의 초기값이 첫번째로 살트임이 없는 부위 각각 그리고 두번째로 살트임이 있는 부위 각각에서 동일한 것으로 상기에서 예시되었다. 또한, 통계적 유의값차는 살트임이 있는 부위와 살트임이 없는 부위 사이에서는, 살트임이 있는 부위에서 피부가 더 늘어지고 더 탄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5.1.1. 실시예 1의 살트임 방지 크림
결과 분석에 의하면, 6 주간 사용후 초기 측정값에 대해 하기와 같은 사항을 규명할 수가 있다.
-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서
·1차 스트레스 및 3차 스트레스 동안 약 4% 정도로 Uf(최종 신장)가 감소되는 경향,
·Uv/Ue의 통계학상 유의적 감소가 약 14% 정도임(점탄성도는 탄력 반응에 대한 점성 반응의 크기를 측정함)
- 살트임이 있는 부위에서
·1차 스트레스 및 3차 스트레스 동안 약 2% 정도로 Uf(최종 신장)가 감소되는 경향,
·Ua/Uf(스트레스후 회복율)의 안정도,
·Uv/Ue의 통계학상 유의적 감소가 약 -17% 정도임(점탄성도는 탄력 반응에 대한 점성 반응의 크기를 측정함).
탄력성 및 긴장성 요소의 상당한 개선이 살트임이 있는 부위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5.1.2. 실시예 2의 살트임 방지용 크림
결과 분석에 의하면, 6 주간 사용후 초기 측정값에 대해 하기와 같은 사항을 규명할 수가 있다.
- 살트임이 없는 부위에서
·1차 스트레스 및 3차 스트레스 동안 약 6% 정도로 Uf(최종 신장)가 감소되는 경향,
·Ua/Uf(스트레스후 회복율)의 안정도,
·Uv/Ue(점탄성도)의 안정도.
- 살트임이 있는 부위에서
·1차 스트레스 동안 약 2% 정도로 Uf(최종 신장)가 감소되는 경향,
·Ua/Uf(스트레스후 회복율)의 안정도,
·약 9% 정도로 Uv/Ue(점탄성도)가 감소되는 경향.
살트임이 있는 부위의 피부의 탄력성 및 긴장성 요소의 개선에 대한 경향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9명의 패널 구성원의 경우 유의성이 없음).
5.2. 비색 측정
통계적 분석법에 의해 비색 변수의 초기값이 첫번째로 실트임이 없는 부위 각각 그리고 두번째로 살트임이 있는 부위 각각에서 동일한 것으로 상기에서 예시되었다. 살트임이 있는 부위의 피부(6 주간 생성물을 사용하기 전후)는 살트임이 없는 부위의 피부보다 더 엷었다(투명도 L*가 더 높고, ITA°가 더 높았다)
살트임이 있는 부위 및 살트임이 없는 부위와 무관하게 생성물을 각각 사용한 후 비색 변수에서는 유용하며 통계학상 유의성을 갖는 개선이 기록되지 않았다
5.3. 실험 감독에 의한 임상 평가
결과 분석에 의하면, 살트임의 길이를 제외하고는 하기의 기준에서 통계학상 유의적인 개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의적 차이는 실시예 2의 살트임 방지 크림을 사용하여 처리한 부위에서 살트임의 복귀가 훨씬 컸다는 것을 나타낸다.
살트임 방지 크림 (실시예 1) 살트임 방지 크림 (실시예 2)
살트임의 폭(얇음→넓음) -17%* -14%
살트임의 길이(짧다→길다) -8% -14%#
살트임의 색상 (비정상→정상) -18% (유의값에 근접하는 경향) -26%*
살트임의 경감 (오목/부풀다→정상) -26%* -16%*
* 초기 평가에 대해 6 주 경과후 통계학상 유의적임 # 실시예 1의 살트임 방지 크림과 비교하여 통계학상 유의적으로 감소됨 (Wilcoxon 테스트, "원-테일")

5.4. 지원자에 의해 평가된 화장용 생성물의 내성
- 피부 감각을 경험함:
·없음: 100%
- 내성이 가장 큰 생성물:
·차이 없음: 100%
피부 불내성의 상당한 병리학적 자극 반응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9 명의 지원자에게서는 실험 동안 어떠한 자극 및/또는 불쾌감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
6. 결론
결론을 말하자면, 사용한 살트임 방지제만이 서로 상이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살트임 방지 크림을 정상의 사용 조건하에서 9 명의 성인 여성에게 연속 6 주 동안 사용하여 살트임 복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계를 사용한 방법 및 임상적 점수를 토대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효능은 하기와 같은 사항을 반영하는 것이다.
- 실시예 1의 크림의 경우[Phytokine(등록상표) 사용]
·피부의 탄력성 및 긴장성 요소의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짐,
·살트임 폭의 복귀(-17%), 이의 경감(-26%), 이의 색상에서의 비-유의적 경향(-18%)이 통계학상 유의함.
- 실시예 2의 크림의 경우[Kollaren CPP(등록상표)]
·피부의 탄력성 및 긴장성 요소를 개선시키는 것에 대한 뚜렷한 비-유의적 경향이 있음,
·실시예 1의 크림과 비교하여 살트임의 길이가 통계학상 유의적으로 감소됨,
·살트임의 색상(-26%) 및 경감(-16%)에 있어서 통계적학상 유의적으로 개선됨.
문헌 참조
- Leveque J.L., Corcuff P. The Surface of the Skin - The Microrelief In Non Invasive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Skin Functions: An Update on Methodology and Clinical Applicaitions. Frosch P.J., Klingman A.M. Eds, Springer-Verlag, Berlin, New York, Paris 1993; 3-24.
- Wilhelm K.P., Cua A.B. and Maibach H.I. In vivo study on age-related elastic properties of Human skin. In "Noninvasive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skin Functions: An Update on Method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Frosch P.J. and Kigman A.M. Ed., Springer-Verlag, 1993: 190-203.

Claims (15)

  1. 부형제 중에서 아미노산 글리신, 히스티딘 및 리신으로 구성된 대두 펩티드 및 트리펩티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을, 살트임이 형성될 소지가 있는 피부 부위 또는 살트임이 존재하는 피부 부위에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부형제내에서 아미노산 글리신, 히스티딘 및 리신으로 구성된 발효된 대두 펩티드 및 트리펩티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을, 살트임이 형성될 소지가 있는 피부 부위 또는 살트임이 존재하는 피부 부위에 바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살트임 방지제는 대두 펩티드를 유산균속 미생물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대두 펩티드 Phytokine(등록상표), 아연과의 착체 형태의 아세트산(아세테이트)과 콘쥬게이트가 형성된 서열 Gly-His-Lys를 갖는 트리펩티드 Kollaren-CPP(등록상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살트임 방지제의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살트임 방지제와 조합하여 1 종 이상의 α-히드록시 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α-히드록시 산은 젖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α-히드록시 산의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젖산과 조합된, 대두 펩티드를 유산균속 미생물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대두 펩티드 Phytokine(등록상표), 아연과의 착체 형태의 아세트산(아세테이트)과 콘쥬게이트가 형성된 서열 Gly-His-Lys를 갖는 트리펩티드 Kollaren-CPP(등록상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아르기닌 또는 알칸올아민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1 종 이상의 섭스턴스(substance)-P 및 뉴로펩티드-Y 억제제 화합물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섭스턴스-P 및 뉴로펩티드-Y 억제제는 남작 파래(Enteromorpha compressa)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섭스턴스-P 및 뉴로펩티드-Y 억제제 화합물의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젖산 및 남작 파래 추출물과 조합된, 대두 펩티드를 유산균속 미생물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대두 펩티드 Phytokine(등록상표), 아연과의 착체 형태의 아세트산(아세테이트)과 콘쥬게이트가 형성된 서열 Gly-His-Lys를 갖는 트리펩티드 Kollaren-CPP(등록상표) 및 이들 펩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살트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의 추출물, 메틸실란올 락테이트, 구리 글루코네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및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15. 삭제
KR1020017004297A 1998-10-05 1999-10-05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KR100568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2,435 1998-10-05
FR9812435A FR2784029B1 (fr) 1998-10-05 1998-10-05 Methode de prevention et/ou de traitement cosmetique des vergetures de la peau et utilisation en dermatolog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997A KR20010079997A (ko) 2001-08-22
KR100568007B1 true KR100568007B1 (ko) 2006-04-07

Family

ID=953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297A KR100568007B1 (ko) 1998-10-05 1999-10-05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119344B1 (ko)
KR (1) KR100568007B1 (ko)
AT (1) ATE285224T1 (ko)
AU (1) AU5989499A (ko)
CA (1) CA2346384C (ko)
DE (1) DE69922819T2 (ko)
ES (1) ES2234336T3 (ko)
FR (1) FR2784029B1 (ko)
HK (1) HK1039271A1 (ko)
MX (1) MXPA01003518A (ko)
PL (1) PL347095A1 (ko)
PT (1) PT1119344E (ko)
WO (1) WO2000019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2413B1 (fr) * 1999-12-17 2003-10-31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contenant le tripeptide n-palmytoyl-gly-hys-lys, pour eliminer, reduire ou prevenir l'apparition de rides quelles qu'en soient la localisation et la cause
FR2811892B1 (fr) * 2000-07-18 2003-04-18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sophora japonica et utilisation
WO2002049656A1 (fr) * 2000-12-19 2002-06-27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Preparations externes pour la peau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FR2825918B1 (fr) * 2001-06-14 2005-01-21 Alfred Denner Procede cosmetique du traitement des vergetures
FR2827170B1 (fr) 2001-07-13 2004-07-16 Soc Extraction Principes Actif Utilisation de peptides pour augmenter l'adhesion cellulaire
ITMI20020147A1 (it) 2002-01-29 2003-07-29 Indena Spa Estrazione purificazione e modificazione di polipeptidi da seme di soia
FR2856294B1 (fr) 2003-06-18 2005-08-05 Expanscience Lab Utilisation cosmetique d'une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e oxazoline, a titre de principe actif, comme amincissant et/ou pour prevenir et/ou traiter la cellulite
WO2005048968A1 (en) * 2003-11-17 2005-06-02 Sederma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tetrapeptides and tripeptides
KR100656807B1 (ko) * 2005-02-23 2006-12-13 배석년 구연산, 아연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팽창선조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2008074788A (ja) * 2006-09-22 2008-04-03 Rohto Pharmaceut Co Ltd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
KR100846356B1 (ko) * 2007-11-27 2008-07-15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래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FR2938192B1 (fr) 2008-11-07 2012-08-24 Expanscience Lab Nouvel actif anti-vergetures et compositions le comprenant
FR2939039B1 (fr) 2008-12-01 2010-12-3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 agent inhibiteur de secretion de sebum
FR2954702B1 (fr) 2009-12-31 2013-07-0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 Agent stimulant l'expression de loxl
FR2973246B1 (fr) 2011-03-31 2013-04-12 Nuxe Lab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FR2977797B1 (fr) 2011-07-13 2014-01-17 Urgo Lab Utilisa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de composes oligosaccharidiques pour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es vergetures
FR2994387B1 (fr) 2012-08-13 2016-07-29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Ingredient hydratan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FR3003758B1 (fr) 2013-03-27 2015-07-17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polygonum bistorta
FR3010314B1 (fr) 2013-09-12 2017-05-0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tapirira guyanensis
FR3030275B1 (fr) 2014-12-23 2018-03-02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un extrait de lythrum salicaria
FR3049859B1 (fr) 2016-04-12 2023-11-03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e khaya senegalensis
FR3055799B1 (fr) 2016-09-15 2020-06-19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le utilisation cosmetique et/ou nutraceu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levure
FR3058641B1 (fr) 2016-11-17 2019-11-0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nutraceutique ou pharmaceutique preferentiellement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feuilles de la plante lansium domesticum pour diminuer la pigmentation de la peau et/ou des annexes cutanees
FR3061015B1 (fr) 2016-12-23 2019-09-20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e corchorus olitorius
FR3065876B1 (fr) 2017-05-05 2020-08-14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un extrait de nephelium lappaceum pour augmenter la fermete de la peau et/ou des muqueuses
FR3069162A1 (fr) 2017-07-24 2019-01-2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Extrait aqueux de momordica cochinchinensis pour maintenir et/ou augmenter l'expression des kindlines de la peau et des muqueuses
FR3097127B1 (fr) 2017-10-03 2022-09-16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édé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étique et/ou en nutraceutique
FR3071742B1 (fr) 2017-10-03 2020-07-10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ede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etique et/ou en nutraceutique
FR3082122B1 (fr) 2018-06-11 2021-01-0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un extrait de bixa orellana
FR3085839A1 (fr) 2018-09-13 2020-03-20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e phytosterols
FR3092493A1 (fr) 2019-02-12 2020-08-14 Dermaconcept Jmc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dermatologique pour lutter contre les vergetures
FR3093644B1 (fr) 2019-03-12 2021-07-02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le utilisation cosmétique de sphères poreuses d’oxyde métallique
FR3098405B1 (fr) 2019-07-12 2021-06-25 Expanscience Lab Composition comprenant des polyphénols de graines de passiflore, des peptides d’avocat et un extrait d’hamamélis et utilisation pour traiter et/ou prévenir les vergetures
FR3099702B1 (fr) 2019-08-08 2022-03-2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 Nouvelle utilisation cosmétique d’un extrait d’Epilobium angustifolium
FR3099701B1 (fr) 2019-08-08 2022-03-2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 Nouvelle utilisation cosmétique d’une combinaison d’oenothéine-B et de quercétine-3-O-glucuronide
FR3125967A1 (fr) 2021-08-06 2023-02-10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s cosmétiques contre la lumière bleue de microsphères poreuses d’oxyde métallique
FR3131838A1 (fr) 2022-01-18 2023-07-2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le utilisation cosmétique de sphères poreuses à porosité fermée d’oxyde métalliqu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091A (en) * 1994-05-24 1995-08-22 Dermatology Home Products, Inc. Method of applying alpha hydroxy acids for treating striae distensae
US5759555A (en) * 1996-06-07 1998-06-02 Moy; Lawrence S. Cosmetic formulation and method for amelioration of skin keratoses and striae distensa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9344B1 (fr) 2004-12-22
WO2000019974A1 (fr) 2000-04-13
FR2784029B1 (fr) 2001-01-05
MXPA01003518A (es) 2002-09-18
ES2234336T3 (es) 2005-06-16
PT1119344E (pt) 2005-05-31
DE69922819T2 (de) 2005-12-22
ATE285224T1 (de) 2005-01-15
PL347095A1 (en) 2002-03-25
CA2346384C (fr) 2011-07-12
DE69922819D1 (de) 2005-01-27
KR20010079997A (ko) 2001-08-22
FR2784029A1 (fr) 2000-04-07
AU5989499A (en) 2000-04-26
EP1119344A1 (fr) 2001-08-01
HK1039271A1 (en) 2002-04-19
CA2346384A1 (fr) 200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007B1 (ko) 피부 살트임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US6468564B1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for skin treatment
KR100928211B1 (ko) 태양광선에 의한 손상의 치료용 조성물 및 여드름 병변을 감소시키는 조성물
US9440098B2 (en) Antiwrinkle composition and age reversal complex
JP6554540B2 (ja) 皮膚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WO1996014085A1 (fr) Preparation dermoprotectrice d&#39;usage externe
US11911498B2 (en)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7533690A (ja) 日焼け用製品セットおよび日焼け用製品で肌を手入れする美容方法
US8466109B2 (en) Cosmetic method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skin stretchmarks, and use in dermatology
WO2020033450A1 (en) Wrinkle redu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7151275A (zh) 茶多糖提取物及其在皮肤外用剂中的应用
US20080153741A1 (en) Compounding ingredients for cosmetic formulation for improving skinditch density and cosmetic
CN114903810B (zh) 一种含肽抗皱组合物及其应用
WO2016033899A1 (zh) 一种调节头皮油脂平衡的去屑组合物
JP5414137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
JP2003155213A (ja) 化粧料組成物、並びに、その洗顔剤、パック剤および浴用剤
CN112153962B (zh) 脯氨酸衍生物的新颖用途
KR100520645B1 (ko) 피부처짐 개선 화장료 조성물
US20220287953A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use of the composition and tonic for facial application
KR20230037965A (ko) 피부장벽 형성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N113491643A (zh) 血管生成素的止痒用途
CN117482133A (zh) 粗茎秦艽提取物的新化妆品或皮肤病学用途
KR20180097467A (ko)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RO121404B1 (ro) Compoziţie pentru prevenirea şi regresia vergeturil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