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467A -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467A
KR20180097467A KR1020180021630A KR20180021630A KR20180097467A KR 20180097467 A KR20180097467 A KR 20180097467A KR 1020180021630 A KR1020180021630 A KR 1020180021630A KR 20180021630 A KR20180021630 A KR 20180021630A KR 20180097467 A KR20180097467 A KR 2018009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moisturizing
composition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임미진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ublication of KR2018009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중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1제와 2제 조성물의 혼합 시 점도가 상승되어 묵직한 점도를 유지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사용감을 구현하며, 피부보습 및 탄력 개선효과, 가려움증 및 붉은기 완화 효과가 있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moisturizing and elasticity of skin comprising poly gamma glutamic acid and arginin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갖는 것은 모든 사람이 바라는 것이나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는 노화되기 시작하여 여러가지 기능적,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나이에 의한 자연적 노화나 자외선, 활성산소 등 내외적인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의해 피부는 탄력과 촉촉함이 감소되며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주 원인은 피부내의 수분손실과 함께 각질층의 밀도감소, 표피세포의 분화둔화, 진피내의 섬유아세포에 의한 단백질 및 세포간 물질의 생체 합성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나타난다. 다시 말해, 생체결합수의 손실, 피부신진대사저하 및 세포수 감소, 세포간 물질 감소 및 비정상적 교차결합 등으로 인해 피부속이 함몰되어 결국 주름이 생기게 된다. 즉 주름이나 피부노화정도는 피부세포의 활성도와 세포간 물질의 합성량, 피부 내 생체결합수량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γ-PGA)은 글루탐산의 감마-카르복실기와 글루탐산의 알파-아미노기가 아미드(amide) 결합된 음이온성 아미노산 고분자를 의미한다. 폴리감마글루탐산은 볏짚을 이용한 한국의 전통 콩 발효 식품인 청국장, 일본의 전통 콩 발효 식품인 낫또, 또는 네팔의 전통 콩 발효 식품인 키네마 등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생산된다.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식용, 수용성, 음이온성 및 생분해성을 나타낸다. 또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며, 피부의 막을 형성하여 매끄러움과 보습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다.
아미노산류는 모든 생물들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물질로서, 보습 작용, 자외선 방어 작용, 항산화 작용, 유화 보조 작용, 항균 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아미노산류는 물 분자를 포함한 케라틴 섬유와 상호작용하여 케라틴 견사 사이의 분자간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각질층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아미노산류는 식용, 조미용, 의약용, 화장품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발효, 효소적 또는 화학적 수식(修飾)에 의한 구조 전환, 화학적 합성 등의 방법으로 생산된다. 아미노산류는 공통적으로 아미노기(-NH2)와 카르복시기(-COOH)를 가지고 있으며, 측쇄 그룹에 따라 그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르게 나타난다. 아미노산류에 있어서, 산성기로서의 카르복시기는 해리되어(H+가 유리됨) COO-의 음전하를 가지며, 염기성기로서의 아미노기는 H+와 결합되어 NH3 +의 양전하를 가진다. 그러나, 아미노산류는 높은 친수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피부에 있어서는 각질층 내부로 침투되지 않고 피부 상에 체류하여 일시적인 보습 효과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480689호에는 '저분자량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여 미네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165848호에는 '효소 및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보습 효과가 있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중화제로 기능하는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이 각각 분리된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1제 및 2제가 사용전 혼합되어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 에센스를 제조하고, 상기 에센스의 피부 임상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에센스 화장료가 위약군(placebo)과 비교하여 피부 보습력, 진피탄력 및 가려움증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중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개선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르기닌을 중화제로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켰으며,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포함하고 있는 1제와 아르기닌을 포함하고 있는 2제의 혼합 시 점도가 상승되어 묵직한 점도를 유지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사용감을 구현하여, 피부보습 및 탄력 개선효과, 가려움증 및 붉은기 완화 효과가 있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의 보습 지속력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의한 피부 수분함유량(A) 및 수분함유량 변화율(B)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진피탄력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중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1제 및 2제가 혼합되어 피부에 도포될 시, 보습지속력이 우수하며, 진피의 탄력 개선, 피부의 가려움증 및 붉은기의 완화 효과가 무도포 및 위약군 도포시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보습성분은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일 수 있고, 상기 중화제는 아르기닌(arginine)일 수 있다. 상기 아르기닌은 1제 조성물에서 점도조절제로 사용된 카보머의 높은 산도를 중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1제와 2제가 혼합될 시 높은 산도를 낮추는 기능을 한다. 또한, 아르기닌의 첨가로 인해 1제와 2제 혼합 시 화장료의 점도가 상승되게 된다.
더욱이, 아르기닌, 글리신(glycine), 세린(serine)과 같은 아미노산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성분인 천연보습인자를 구성하는 성분 중의 하나로, 본 발명에서 중화제로 사용된 아르기닌은 1제의 보습성분인 폴리감마글루탐산과 더불어 피부 보습 증진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감마글루탐산은 바람직하게는 1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5~0.0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보습 성분의 함량이 0.0005 중량%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0.005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1제 조성물은 폴리감마글루타민 외에,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금속이온봉쇄제),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피부보습제 및 수용성 점증제), 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피부보습제), 프로판디올(propanediol; 피부보습제, 용제, 점도조절제 및 방부효과 상승제), 카보머(Carbomer; 유화안정제 및 수용성 점증제),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피부 컨디셔닝제 및 피부보습제)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르기닌은 바람직하게는 2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0.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2제 조성물은 아르기닌 외에, 카라멜 색소와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미용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센스, 영양에센스,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아이 크림 및 모이스쳐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 구성표
성분 중량 (%)
1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0.02
글리세린 9
폴리글리세린 2
폴리감마글루탐산 0.001
프로판디올 5
카보머 0.2
방부제 정량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02
정제수 -100까지
2제 아르기닌 0.2
카라멜 0.32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
정제수 100까지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는 1제와 2제가 혼합되기 전에는 투명한 유액상이나, 1제와 2제를 혼합하게 되면 투명한 연갈색 유액상으로 변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실시예 1. 보습지속력 임상 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하, 시험제품)을 이용하여, 피부 테스트를 피엔케이피부염상연구센타(주)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특별한 피부 증상은 없으며,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 및 약물 복용력이 없는 만 20~55세의 성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시험제품 및 유효성분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제외하고 제조된 위약(placebo) 제품을 전박부의 시험부위(가로*세로 3x3cm)에 20㎕/cm2을 1회 도포한 후, 매 24시간 마다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eletronic GmbH, 독일)를 이용하여 총 72시간 동안 보습력을 측정하였고, 시험 종료 후 유효성 및 기호도에 관한 유효성 평가 설문조사(Global Assessment of Efficacy)를 실시하였다. 설문평가의 점수는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의 5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각 답변에 대한 시험대상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시험제품의 효능여부를 판단하였다.
수분측정기(Corneometer)는 탐침이 접촉하는 곳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는데, 수분 함유량과 정전용량은 서로 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피부 보습도가 높을수록 수분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수치가 높아진다. 측정은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수분함유량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제품 사용 전 대비 측정값의 유의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9.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시험제품은 사용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 시간 후에 무도포 및 위약과 비교하여 보습력이 유의하게 증가(p<0.05)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또한, 시험제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시험대상자에서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의학적 검사상에서도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장기간의 피부 수분함유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에 피부 수분함유량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2. 가려움증 완화 및 피부 붉은기 개선, 진피 탄력개선 임상 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건조증에 기인한 가려움증의 완화, 피부 붉은기의 개선 및 진피탄력 개선 효과가 있는지 시험하였다.
인체 적용 시험은 만 25~55세의 여성으로 안면부에 붉은기가 있으면서 피부 수분 함량이 평균 29 A.U. 이하인 자로 건조로 인한 가려움증이 있는 자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시험 대상자들은 1일 2회 시험제품을 얼굴과 전완부에 도포하고, Vapometer를 사용하여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10초간 측정하였으며 3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의 수치는 낮을수록 피부상태가 좋음을 의미하며, 피부의 수분 보유능을 예측하고 피부 수분장벽기능의 지표가 되는 TEWL은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량(g/h.m2)을 나타낸다. 경표피수분손실량 외에 Visioscan VC98(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를 사용하여 피부 각질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특수 필름(Corneofix)을 이용하여 각질을 채취한 후, Visioscan VC98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하기 식을 이용하여 D.I.(Desquamation Index)를 산출하고, 피부 각질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또한, 진피 탄력 측정은 Dermal Torque meter를 이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후에 볼의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은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진피 탄력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Ur(immediate retraction)/Ue(immediate distension)값을 분석하여 사용하였으며 Ur/Ue값이 증가할수록 진피 탄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 붉은기 측정은 시험제품 사용 전후에 VISIA-CR(Canfield Imaging Systems, 미국)로 시험 대상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는 Image-pro® plus를 이용하여 붉은기(a*)를 평가하였다. a*이 감소할수록 피부 붉은기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경표피수분손실량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4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표 2).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결과
g/m2h
구분 시험제품 위약(placebo)
사용 전 7.57±1.76 7.59±1.74
사용 2주 후 6.15±1.75 7.48±1.68
사용 4주 후 6.17±1.35 7.39±1.65
또한,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피부 각질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4주 후에 각질층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p<0.05).
피부 각질 측정결과
D.I.
구분 시험제품 위약(placebo)
사용 전 12.17±3.65 12.19±3.64
사용 2주 후 8.01±2.48 11.48±3.68
사용 4주 후 5.96±2.61 11.39±3.65
또한,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진피탄력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4주 후에 진피탄력이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p<0.025).
또한,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에 피부 붉은기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p<0.05).
또한,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가려움증 개선도를 VAS(visual analogue scale) 수치 변화를 통해 확인한 결과에서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4주 후에 가려움증의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p<0.05).
가려움증 개선도 평가결과
cm
구분 시험제품 위약(placebo)
사용 전 5.73±1.71 5.73±1.71
사용 2주 후 3.43±2.02 5.43±1.82
사용 4주 후 2.13±1.71 5.13±1.61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시험제품)은 인체 적용 시험 시, 수분지속력이 우수하며, 진피탄력을 개선하고, 가려움증 및 피부 붉은기 정도를 완화할 수 있어,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로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6)

  1.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중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성분은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이며, 폴리감마글루탐산은 1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5~0.0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아르기닌(arginine)이며, 아르기닌은 2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0.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제 조성물은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디소듐이디티에이,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카보머(Carbomer),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및 피부 붉은기 완화 효과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영양에센스,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아이 크림 및 모이스쳐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21630A 2017-02-23 2018-02-23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4121 2017-02-23
KR1020170024121 2017-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467A true KR20180097467A (ko) 2018-08-31

Family

ID=6340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30A KR20180097467A (ko) 2017-02-23 2018-02-23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4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921B2 (en) Moisturiz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11249209B (zh) 一种保湿修护霜及其制备方法
US10004681B2 (en) Seaweed-derived cosmetic compositions
US10722443B2 (en) Moisturiz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1772139B1 (ko) 피부 케어 제형
DE202012013018U1 (de) Kombination von Pflanzenextrakten zur Verbesserung des Hauttons
JP2002053428A (ja) 皮膚外用剤
KR20110060800A (ko) 세포 외 기질을 모사한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US20040126449A1 (en)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ged or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US9351952B2 (en) Use of hesperetin
CN111973490A (zh) 一种液晶结构的护肤化妆品
KR101986513B1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49697A1 (en) Preparation for antiwrinkle treatment based on caffeine micro - patches beta-glucan polysaccarides
JP3172753B2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CN108653088B (zh) 一种水漾丝滑润泽霜
KR100340185B1 (ko)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TW201946610A (zh) 活性成分包括γ-聚麩胺酸之化妝品組合物
KR20180097467A (ko)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7530260B (zh) 皮肤外用制剂
EP1790325A1 (de) Kosmetische Hydrodispersionen
US20170020805A1 (en) Cordyceps containing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
CN113749972A (zh) 一种具有抗皱效果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JP5527917B2 (ja) アルギナーゼ活性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230037965A (ko) 피부장벽 형성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N117338624A (zh) 一种温和易吸收的美白抗皱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