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355B1 -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355B1
KR100567355B1 KR1020007008630A KR20007008630A KR100567355B1 KR 100567355 B1 KR100567355 B1 KR 100567355B1 KR 1020007008630 A KR1020007008630 A KR 1020007008630A KR 20007008630 A KR20007008630 A KR 20007008630A KR 100567355 B1 KR100567355 B1 KR 10056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group
melting point
organic component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746A (ko
Inventor
뤼에르스게오르그
슈미트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그라세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572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673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세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그라세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4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킹 방지제 및 하나 이상의 유기성분을 함유하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유기성분(들)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5중량%의 농도로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내에 배치되고, 유기 성분(들)의 체적이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 체적보다 크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통합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 필름 및 사출 성형에서의 그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Description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INTEGRATED ADDITIVE COMPOSITION,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본 발명은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에서와 같은 폴리올레핀 필름에서의 용도 및 사출성형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필름, 특히 폴리올레핀을 함유한 중합체 필름의 제조에서는 다른 여러 첨가제중에서 두 가지 첨가제, 즉, a) 블로킹 방지제 및 b) 슬립제(slip agent)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정질의 다공성 합성 실리카 겔, 예컨대 그라세 게엠베하(GRACE GmbH)에서 제조된 실로블록(SYLOBLOCR)이 블로킹 방지제로서 널리 사용된다. 지방족 산 아미드, 특히 올레산 아미드 및 에루크산 아미드가 종종 슬립제로서 사용된다. 이들 두 성분은 전형적으로 중합체 필름에서 주 성분에 대해 1000 내지 3000ppm 농도로 사용된다.
유리한 가공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컨대 블로킹 방지제와 슬립제를 포함하는 예비 혼합된(pre-mixed)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분말 물질이 장거리 공기 작용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예비 혼합물은 종종 해혼합(demixing) 과정을 거친다. 또한, 유기 성분, 예컨대 슬립제는 상기와 같은 예비 혼합된 분말에서 접착제로서 작용하여 이들 분말의 자유-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렉살 드럭 앤드 케미칼 캄파니(Rexall Drug & Chemical Co.)의 DE 12 64 054호는 폴리올레핀 분말, 블로킹 방지제 및 슬립 보조제를 함유하는 분말 형태의 자유-유동성 첨가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입경 및 밀도가 다르므로, 조성물의 개별 성분이 쉽게 분리된다.
EP-A-0 138 203호는 고 농도의 블로킹 방지제 및 슬립제를 갖는 폴리올레핀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를 수득하기 위하여 실리카 겔 및 슬립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고 농도의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 1 단계는 실리카 겔과 슬립제를 혼합하는 것이다. 이는 EP-A-0 138 203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겹 원뿔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첨가제는 액체 질소의 첨가하에 충격 분쇄기에서 분쇄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방법으로는 점착되거나 각각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지 않고 공기 이송될 수 있는 자유-유동성 분말을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합체 필름의 제조시에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여러 물질이 합쳐져서 자유-유동성 특성이 우수한 분말로서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의 목적은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65중량% 농도로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pore)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성분(들) 및 블로킹 방지제를 함유하나, 이 때 유기 성분(들)의 체적이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 체적보다 크지 않은 통합 첨가제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본 발명에 따르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폴리올레핀 및 사출 성형에서의 용도가 또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 형태는 종속항의 청구대상이다.
도 1 및 도 2는 당해 분야의 현재 기술 상태에서 공지된 혼합물과 비교된 본 발명에 따르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의 공기 작용에 의한 이송 전후 점화시의 잔류량을 나타낸다.
도 3은 당해 분야의 현재 기술 상태에서 공지된 물리적 혼합물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첨가제 조성물에 함유된 분말의 입경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 성분이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에 배치되어 있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 자유-유동성이 뛰어나고 장거리 공기 작용에 의한 이송 후에도 성분이 해혼합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분말이 얻어진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다른 수단에 의한 운반도중에도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첨가제 조성물(이후, 통합 조성물이라고도 함)은 그 자체로 공지된 블로킹 방지제를 함유하더라도, 이들의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유기 성분의 통합적 혼입이 가능한 제품만이 블로킹 방지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 작용에 의한 이송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한 운반도중에 성분의 해혼합에 비하여 적당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교착되지 않는 자유-유동성 분말이 수득된다. 따라서,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안정한 기공 체적을 갖는 블로킹 방지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블로킹 방지제는 미분 실리카 겔, 침강 실리카 및/또는 규조토를 포함한다. 통상 시판되는 적합한 제품은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범위의 입경을 갖는다.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조된 실로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성분이 혼입되기 전에 블로킹 방지제를 충분히 미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공 비체적이 0.4㎖/g 내지 1.8㎖/g, 특히 0.7㎖/g 내지 1.6㎖/g인 실리카 겔을 함유한 블로킹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 임의의 비율로 사용되기 위한 유기 성분으로는 지방산 아미드와 같은 슬립제; 인 화합물, 티오에스테르 및 하이드록실아민과 같은 일차 산화방지제; 암모늄 염,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음이온-활성 물질과 같은 이차 산화방지제;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및 HALS(입체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와 같은 광 안정화제; 방염제; 할로겐화 유기 분자 또는 금속 수화물; 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소제; 글리세롤, 알콜 에스테르, 왁스 아미드, 지방산, 금속 스테아레이트, 천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와 같은 가공 보조제; 항미생물제, 추진제, 유기 과산화물, 충전제 및 안정화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이다. 이들 성분의 혼합물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되어 블로킹 방지제를 포함한 통합 첨가제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슬립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아미드를 포함하는 슬립제는 바람직하게는 블로킹 방지제로 통합된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성분은 탄소수 18 내지 22의 불포화 지방산 아미드, 예컨대 올레산 아미드 및 에루크산 아미드이다. 예를 들면, 38㎛의 평균 입경을 갖는 올레산 아미드를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중합체 필름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그 밖의 유기 또는 무기 성분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할 때의 절차는 블로킹 방지제를 제트 분쇄기, 충격 분쇄기 및 볼 분쇄기와 같은 적합한 크기 감소 기계에 의해 원하는 미세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기 성분의 입경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나, 보다 미세한 입자가 바람직하다. 최종 입경의 블로킹 방지제 및 유기 성분을 혼합기 에 함께 넣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과정 동안에 혼합에 사용되는 장치는 혼합물의 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적량의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적합한 가열 장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적당한 열이 발생되는 방식으로 혼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온도가 혼합물에서 가장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물질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 일반적으로는 6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60℃ 범위에 이르도록 혼합 동안에 열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의 열이 벽을 통하여 혼합물로 전도되는 이중 벽 혼합기와 같은 가열가능한 혼합기를 사용하거나, 열이 입자의 마찰을 통하여 혼합기에서 형성되는 고속 혼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혼합물이 제조되는 동안의 혼합물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60 내지 180℃이고, 가장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물질의 융점에 비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특히 5 내지 10℃ 더 높다. 온도가 이러한 방식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유기 물질은 고온에서 황변되거나, 저온에서 용융되지 않은 유기 입자가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블로킹 방지제의 크기가 축소되고(미분되고) 유기 성분이 동일한 온도에서 용융되는 제트 분쇄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첨가제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이러한 공정 변수와 함께 중량 측정법에 의해 모든 성분의 공급 속도를 개별적이고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블로킹 방지제(예를 들면, 실리카 겔) 및 유기 성분(예를 들면, 슬립제)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작동되는 유동층으로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장 높은 융점의 유기 성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 의해서 유기 성분은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으로 용융된다.
입경(체적 분포의 중간값)은 말번 인스트루먼츠 리미티드(Malvern Instruments Ltd.)에서 시판되는 말번 마스터사이저(Malvern Mastersiz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특정한 기공의 체적은 마이크로메리틱스(Micromeritics)에서 시판되는 ASAP 2100 질소 흡착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첨가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특히 3 내지 10㎛의 평균 입경(체적 분포의 중간값)을 갖는다. 물리적 혼합물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중간값의 단지 2.5배인 입경 분포의 상한치를 갖는다(도 3을 참조). 소위 말하는 체적 분포의 X-90 값을 상한치로 하고, 즉 입자 체적 값의 90%가 이 값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첨가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폴리올레핀의 가공시 및 사출 성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착되지 않고 문제 없이 공기의 작용으로 운반될 수 있는 자유-유동성의 분말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필름의 가공 및 제조시에 폴리올레핀으로 용이하게 혼입될 수 있다. 블로킹 방지제로의 유기 성분의 혼입을 통하여, 적절하게 높은 농도의 슬립제와 같은 주요한 유기 성분을 분배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몇 가지 분말 첨가제를 분배하는 추가의 비용은 없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0.95㎖/g의 기공 비체적 및 4.9㎛의 입경(체적 분포의 중간값)을 갖는 미분된 실리카 겔 37.5kg을 에루카미드(Erucamid)[영국 훌 소재의 크로다 유니버셜 리미티드(Croda Universal Ltd.)에서 시판] 25kg과 함께 칭량하여 주변 온도에서 500-1 헨쉘(Henschel) FM 500 혼합기에 담았다. 혼합을 860rpm(1분당 회전수)에서 시작하였고, 이는 40m/s의 원주 속도에 상응한다. 12분 후에, 온도가 90℃에 이르렀고, 이는 유기 성분의 융점(78 내지 81℃)보다 약 10℃ 높다. 이어서, 혼합 과정을 중지하고 물질을 헨쉘 유형의 2000-1 냉각 혼합기로 옮기고, 물질을 여기서 20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패킹(packing)하기 이전의 조성물의 최종 온도는 35℃이었다.
실시예 2
해혼합에 대한 안정성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물질 한 자루, 및 표준 방법, 즉 주변 온도의 뢰디게(Lodige) 혼합기[유형 KM300 D 2MZ: 독일 파더본 소재의 뢰디게에서 시판]에서 블로킹 방지제와 유기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이 때, 실시예 1과 동일한 출발 물질이 사용되었다) 물질 한 자루를 균질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뢰디게 혼합기에서 물질을 제거할 때,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질의 온도는 약 30℃이었다. 각각 2g의 8개의 샘플을 자루의 다양한 지점에서 취하였다. 샘플을 95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에 점화시의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자루 둘 다로부터의 물질을 직경이 70mm인 강철 파이프에서 10m의 거리에 걸쳐 공기의 작용에 의해 운반하여 여과기에 수집하였다. 이것을 공업용 진공 청소기[독일 브론드비 소재의 닐피스크(Nilfisk)에서 시판되는 닐피스크 GB 933 DN 70]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생성물 둘 다에 대하여 운반 이후의 균질성을 여과기의 수집물로부터 8개의 샘플을 취하고 다시 점화시의 잔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낸다.
취득된 샘플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운반 이전의 통합 첨가제 조성물 운반 이전의 표준 물질 유럽 특허 제 138 203 호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운반 이전의 물질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운반 이후의 통합 첨가제 조성물 운반 이후의 표준 물질 유럽 특허 제 138 203 호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운반 이후의 물질
점화시의 평균 잔류량 52.9 54.1 57.14 53.2 51.7 57.91
점화시의 잔류량의 표준 편차 (%포인트) 0.14 0.11 0.99 0.33 2.89 4.87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의 점화시의 잔류량의 표준 편차는 공기의 작용에 의한 운반한 후에도 매우 작지만, 표준 물질의 표준 편차는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에 비해 매우 불량하였다. 약 0.5% 포인트의 표준 편차는 허용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하여, 표준 물질의 공기에 의한 운반은 권고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첨가제 조성물은 임의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기초한 분말의 해혼합에 대한 안정성은 표준 물질(입자의 단순한 물리적 혼합물)에 비해 분명히 우수하다.
실시예 3
알파인(Alpine) 실험실용 분쇄기를 사용하여 EP-A-0 138 203 호에 개시된 혼합물을 액체 질소로 냉각하면서 제조하였다. 미세한 황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사용된 출발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르는 첨가제 조성물과 동일하였다. 수득된 분말을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혼합에 대한 그의 안정성에 대하여 특징화하였다. 마찬가지로, 결과를 표 1 및 도 2에 나타낸다. 혼합 후 및 공기중의 이동 이전에, 표준 편차는 0.99% 포인트이었고, 공기에 의한 수송 후에 표준 편차는 4.8% 포인트라는 허용될 수 없는 값을 나타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르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은 70:30 중량비의 평균 입경이 4.9㎛인 무정질의 다공성 실리카 겔(그라세 게엠베하에서 시판되는 제품인 실로블록 45)과 지방산 아미드인 에루카미드 ER(크로다 유니버셜 리미티드에서 시판되는 제품)로 이루어진다(물질 A). 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비율의 상기 두 가지 성분의 물리적 혼합물을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물질 B). 이어서, 공기중에서의 입자의 크기 분포를 말번 마스터사이저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자를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수압의 전단력을 이용하는 특별한 분산 단위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분포도를 광 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물질 A)의 입경 분포는 물리적 혼합물(물질 B)에 비해 분명히 더욱 좁다. 또한, 물질 B의 경우에 더욱 넓은 피크가 30 내지 40㎛의 범위에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서 상기와 같은 넓은 피크가 없다는 것은 실리카 겔의 기공으로의 유기 성분의 흡입 및 그에 따른 그의 우수한 물질 특성을 증명한다.
실시예 5
실리카 겔이 폴리올레핀에 혼입되면, 과립에서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펠렛(pellet) 공극 형성이라고 한다. 높은 압출 온도에서 수분이 실리카 겔로부터 증발하는 현상에 의해 공극이 유발된다. 이러한 기포의 일부는 또한 이들로부터 제조된 필름에 소위 말하는 "렌즈"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흑색 필름에서 보일 수 있고, 여기서 감소된 두께(기체가 "렌즈"에 존재하기 때문에)는 회색 영역으로 보인다.
이러한 예에서, 중합체의 공극 함량의 백분율은 공극을 갖는 펠렛의 밀도 및 이러한 공극을 제거한 후의 펠렛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를 위하여, 하기 샘플을 비교하였다:
A: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뢰디게 혼합기에 의해 제조되고, 70:30 중량비의 실로블록 45/크로다미드(Crodamid) ER로 이루어진 혼합물
B: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고 70:30 중량비의 실로블록 45/크로다미드 ER로 이루어 진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첨가제 조성물
상기 두 가지의 샘플을, 진공에 의해 압출기를 통풍시키지 않고 분자체를 사용하지 않고서, 데이손(Theysohn) 이중 스크류 압출기(FSK 30/40D)에서 BP에서 구입한 이노벡스(Inovex) LLDPE(저밀도 폴리에틸렌)로 도입하였다. 두 가지의 샘플을 각각 측부 공급물을 경유 용융된 중합체로 도입하였다.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스트랜드를 과립화 이전에 냉각시키기 위하여 수욕을 통과시켰다. 분명한 차이가 가시화되었다. 생성물 A를 갖는 스트랜드는 다수의 기포를 함유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에 기초한 생성물 B를 갖는 스트랜드는 기포를 함유하지 않았다.
펠렛 공극의 측정
문제가 있는(공극을 갖는) 과립의 밀도를 공극이 압축된 후의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와 비교함으로써 측정을 수행하였다. 공극의 양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샘플(50g)이 필요하다. 측정을 위하여 이소프로판올과 함께 100㎖의 비중병을 사용하였다.
공극이 없는 중합체성 조성물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과정을 사용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로부터 제조된 과립형 생성물 40g을 40bar의 압력을 갖는 실험실용 중합체 프레스(press)[콜린(Collin) 200P]에 의해 시이트로 가압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중합체 과립(직경 4mm)을 가압된 시이트로부터 찍어내었다.
이러한 입자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밀도 경사 컬럼을 사용하는 매우 정 밀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컬럼(높이 1m, 직경 100mm)을 물/이소프로판올 혼합물로 충전시켰다. 컬럼의 조성 및 충전물을 조절하여 중합체의 예상된 밀도 범위의 밀도 경사를 생성시켰다. 보정된 밀도의 플로트(float)를 사용하여 컬럼을 보정하였다. 이를 위해 3mm의 공지된 밀도의 시험 조각을 용액에 도입하였다. 시험 조각이 약 20분 후에 자리잡은 높이를 그래프 상에 기입하여 컬럼에 대한 보정 곡선을 결정하였다. 과립형 생성물의 샘플의 부유 높이를 보정 곡선과 비교하여 관련 밀도의 눈금을 읽었다.
계산
공극% = 100 ×[(가압 후의 밀도)-(가압 전의 밀도)]/(가압 후의 밀도)
샘플 번호 밀도 g/㎖ 가압 후의 밀도 g/㎖ 공극 %
샘플 A 0.881 0.9342 5.7
샘플 B 0.920 0.9339 1.5

표 2에 나타낸 결과는 샘플 A의 실리카 겔 내의 비어있는 기공이 압출기로부터 나오는 중합체 스트랜드에서 기포의 형성을 유발시킴을 나타낸다. 이것은 명확하게 낮은 밀도에 의해 보여진다. 샘플 둘 다의 "완전한" 밀도는 사실상 동일하였다. 중합체 내의 공극의 존재가 마무리된 필름에서 시각적 "렌즈"의 발생을 일으키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Claims (14)

  1. 블로킹 방지제 및 하나 이상의 유기 성분을 함유하고, 이때
    유기 성분(들)이 통합 첨가제 조성물(integrated additive composition)의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65중량%의 농도로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pore)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기 성분(들)의 체적이 블로킹 방지제의 기공 체적보다 크지 않고,
    유기 첨가제 성분이, 지방산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슬립제(slip agent); 인 화합물, 티오에스테르 및 하이드록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차 산화방지제; 암모늄 염,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음이온-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차 산화방지제;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및 HALS(입체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 안정화제; 방염제; 할로겐화 유기 분자 또는 금속 수화물;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 글리세롤 및/또는 알콜 에스테르, 왁스 아미드, 지방산, 금속 스테아레이트, 천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공 보조제; 및 항미생물제, 추진제, 유기 과산화물, 충전제 및 안정화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임의의 비율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첨가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로킹 방지제가 미분 실리카 겔, 침강 실리카 및/또는 규조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블로킹 방지제가 0.4㎖/g 내지 1.8㎖/g의 기공 비체적(specific pore volume)을 갖는 미분 실리카 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립제가 하나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아미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체적 분포의 중간값에 대한 평균 입경이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고, 입경의 상한값(입자들의 체적의 90%가 이 값보다 적은 것으로 정의됨)이 입경의 평균 값의 2.5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혼합물에서 가장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물질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인 60 내지 180℃ 범위의 온도에 이르도록 하는 열을 혼합 동안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합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온도가, 가장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유기 물질의 융점보다 1 내지 15℃ 높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가열가능한 혼합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입자간의 마찰에 의해 물질을 가열시키는 고속 프로펠러 혼합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트 분쇄기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원하는 입경으로 미분화시키는 동시에 유기 성분중에서 용융시키고, 가장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성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합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유기 성분중에서 용융시키기 위해 유동층을 사용하고, 가장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성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합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필름의 가공 또는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용으로 사용되는 조성물.
  14. 삭제
KR1020007008630A 1998-02-12 1999-02-03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0567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5358A DE19805358A1 (de) 1998-02-12 1998-02-12 Integrierte Additivzusammensetz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805358.4 1998-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746A KR20010040746A (ko) 2001-05-15
KR100567355B1 true KR100567355B1 (ko) 2006-04-04

Family

ID=785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630A KR100567355B1 (ko) 1998-02-12 1999-02-03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294505B1 (ko)
EP (1) EP1054926B1 (ko)
JP (1) JP2002503742A (ko)
KR (1) KR100567355B1 (ko)
CN (1) CN1129634C (ko)
AT (1) ATE346885T1 (ko)
AU (1) AU3139799A (ko)
BR (1) BR9907850B1 (ko)
DE (2) DE19805358A1 (ko)
DK (1) DK1054926T3 (ko)
ES (1) ES2278440T3 (ko)
HK (1) HK1037381A1 (ko)
HU (1) HU224127B1 (ko)
ID (1) ID25643A (ko)
IL (2) IL137768A0 (ko)
MY (1) MY120795A (ko)
TR (1) TR200002353T2 (ko)
WO (1) WO1999041308A1 (ko)
ZA (1) ZA99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7257A1 (de) 1998-04-19 1999-12-09 Grace Gmbh Granulatzusammensetzung aus Antiblockingmitteln und Additiven für Polymerherstellung
WO2002055280A1 (de) * 2001-01-11 2002-07-18 Rubitherm Gmbh Kunststoff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es
US8410197B2 (en) * 2001-07-06 2013-04-02 W. R. Grace & Co. -Conn. Organic-containing particulate having elevated auto-ignition temperatures
US7198844B2 (en) * 2003-01-17 2007-04-03 Crompton Corporation Microporous polymeric resin containing stabilizers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JP2008506802A (ja) * 2004-07-16 2008-03-06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ポリマー添加剤含有の多孔質無機材料
JP2007009078A (ja) * 2005-06-30 2007-01-18 Fujifilm Holdings Corp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ゲル発生抑制方法、並びに画像記録材料用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103560A2 (en) * 2007-02-20 2008-08-28 Albemarle Corporation Improv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lymer additive granules containing silica antiblock agents
DE102009028255A1 (de) * 2009-08-05 2011-02-10 Evonik Degussa Gmbh Mikrostrukturierte multifunktionale anorganische Coating-Additive zur Vermeidung von Fouling (Biofilmbewuchs) bei aquatischen Anwendungen
DE102009036767A1 (de) 2009-08-08 2011-02-10 Evonik Degussa Gmbh Kompositpartikel für den Einsatz in der Mundhygiene
ES2743466T3 (es) 2010-05-21 2020-02-19 Grace Gmbh Partículas porosas de sílice y métodos de elaboración y uso de las mismas
US10132375B2 (en) * 2016-05-18 2018-11-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et friction materials having friction modifier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41671A (en) 1970-05-12 F. Koch Karl Polyolefin additive compositions
US3252859A (en) * 1962-10-24 1966-05-24 Masti Kure Company Inc Colloidal silica-oi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ZA695633B (en) * 1968-08-08 1971-03-31 Ici Ltd Polymer stabilisers
DE2721398A1 (de) * 1976-05-19 1977-12-01 Ciba Geigy Ag Alkylphenol-stabilisatoren
DE3319788A1 (de) * 1983-06-01 1984-12-06 Th. Goldschmidt Ag, 4300 Essen Mit organischen gruppen modifizierte kieselsaeur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zur spaltung von emulsionen
DE3337356A1 (de) * 1983-10-14 1985-04-25 Grace Gmbh, 2000 Norderstedt Kombiniertes antiblocking- und gleitmittelkonzentrat
US4599370A (en) * 1984-12-06 1986-07-08 Plastic Specialties And Technologies, Inc. Powdered elastomer dry blends and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AU603927B2 (en) * 1987-09-21 1990-11-29 Unilever Plc A lubricant comprising an oil-in water emulsio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of the lubricant
US5167851A (en) * 1991-04-22 1992-12-01 Thermoset Plastics, Inc. Hydrophilic thermally conductive grease
DE4116396C2 (de) * 1991-05-18 1996-04-25 Grace Gmbh Modifizierte amorphe Kieselsäu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Antiblockingmittel
US5128067A (en) * 1991-12-19 1992-07-07 Fmc Corporation Fire resistant low temperature grease
DE69424137T2 (de) * 1993-12-22 2000-09-21 Sumitomo Chemical Co Polypropylen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r gedehnter Film
DE4424775A1 (de) * 1994-07-05 1996-01-11 Grace Gmbh Antiblockingmit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9502629C2 (de) * 1995-01-19 1998-11-05 Grace Gmbh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polyolbehandeltem Siliciumdioxid als Antiblocking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9598B (en) 1999-07-27
US6294505B1 (en) 2001-09-25
BR9907850B1 (pt) 2009-01-13
ATE346885T1 (de) 2006-12-15
BR9907850A (pt) 2000-10-24
CN1129634C (zh) 2003-12-03
IL137768A0 (en) 2001-10-31
ID25643A (id) 2000-10-19
WO1999041308A1 (en) 1999-08-19
TR200002353T2 (tr) 2000-11-21
EP1054926B1 (en) 2006-11-29
JP2002503742A (ja) 2002-02-05
DK1054926T3 (da) 2007-01-02
AU3139799A (en) 1999-08-30
HK1037381A1 (en) 2002-02-08
IL137768A (en) 2007-02-11
HU224127B1 (hu) 2005-05-30
DE69934212T2 (de) 2007-10-18
MY120795A (en) 2005-11-30
DE69934212D1 (de) 2007-01-11
HUP0100974A2 (hu) 2001-06-28
CN1296509A (zh) 2001-05-23
WO1999041308A8 (en) 1999-09-23
DE19805358A1 (de) 1999-08-19
ES2278440T3 (es) 2007-08-01
HUP0100974A3 (en) 2002-06-28
EP1054926A1 (en) 2000-11-29
KR20010040746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355B1 (ko) 통합 첨가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2907827B2 (ja) 重合体コンセントレート及びその製法
AU649815B2 (en) Modified amorphous silicic aci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anti-blocking agent
US4675122A (en) Combined antiblocking and lubricant concentrate
BRPI0511840B1 (pt) pó de moldagem, processo para formação de um artigo poroso e artigo poroso
EP0459208B1 (en) Nonextruded concentrates of additives, fillers or pigments
JPH1045943A (ja) 熱可塑性材料のための安定剤としての組成物
GB2212509A (en) Mould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microporous battery separators
US6673856B1 (en) Alditol acetal composition and its use in plastic and gelled materials
CN110072932B (zh) 添加剂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6277901B1 (en) Rubber additive granulate,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KR100711311B1 (ko) 중합체 제조용 블로킹 방지제 및 첨가제의 과립 조성물
KR100421321B1 (ko) 저장안정성플라스틱첨가제및이를사용하여플라스틱의가공및사용특성을증진시키는방법
KR20230150839A (ko) 중합체 안정화제 혼합물의 펠릿화
JP2024510892A (ja) ポリマー安定剤混合物のペレット化
EP0088370A2 (en) Incorporation of liquid additives into polymeric films
JP2001048992A (ja) 成形用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MXPA00010147A (es) Composicion granular de agentes de antibloqueo y aditivos para la produccion de polimeros
JPS5880329A (ja) 安息香酸ナトリウムのポリプロピレン樹脂への分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