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034B1 - 검안용 테스트도구 - Google Patents

검안용 테스트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034B1
KR100566034B1 KR1020030016792A KR20030016792A KR100566034B1 KR 100566034 B1 KR100566034 B1 KR 100566034B1 KR 1020030016792 A KR1020030016792 A KR 1020030016792A KR 20030016792 A KR20030016792 A KR 20030016792A KR 100566034 B1 KR100566034 B1 KR 10056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ometry
support frame
lens support
tes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334A (ko
Inventor
이타가키타카시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검안용 테스트도구는, 렌즈지지 프레임과 클립을 구비한다. 이 렌즈지지 프레임은, 장착할 검안렌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클립은, 렌즈지지 프레임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안경을 고정한다. 이 렌즈지지 프레임은, 개구 단부와 대향 폐쇄 단부를 갖는 한 쌍의 선대칭 C자형 림과, 상기 림의 대향 폐쇄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다. 각 림은, 검안렌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정용 공간을 형성한 내부 표면을 갖는다.
안경, 검안용 테스트도구, 렌즈지지 프레임, 클립, 연결부, 림

Description

검안용 테스트도구{TEST TOOL FOR OPTOMET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테스트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안용 테스트도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안경에 장착할 때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IV-IV 선 확대단면도,
도 5는 상기 검안용 테스트도구에서 사용된 좌안용 검안렌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검안용 테스트도구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검안용 테스트도구의 측면도,
도 8은 주요부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렌즈지지 프레임의 정면도,
도 10은 렌즈지지 프레임의 평면도,
도 11은 렌즈지지 프레임의 배면도,
도 12는 도 9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70 : 렌즈지지 프레임 4, 60 : 클립
5, 6 : 림 7 : 연결부
10 : 검안렌즈
본 발명은, 검안용 테스트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누진 다초점용 검안렌즈의 장착에 사용하는데 적절한 검안용 테스트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령화에 따라 노안렌즈의 수요가 증가하여 왔다. 특히, 누진 다초점 렌즈의 보급은 매우 폭넓고, 누진 다초점 렌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그 누진 다초점 렌즈의 설계특성을 알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착용자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렌즈를 시험 착용시켜, 각각의 렌즈를 테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확하게 검안렌즈의 시험착용환경을 만들어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즉, 테스트용 검안 프레임을 사용하여 아이포인트 조정을 행하고, 다음에, 일반 검안렌즈를 조합하여 노안 이외의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상태를 일단 만들고, 거기에서 누진 다초점용 검안렌즈의 시험착용을 시작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검안렌즈의 장착이나 렌즈간 조합 조정, 동공간 거리(이하, PD라고 함) 조정조작, 난시축의 조정, 아이포인트 조정 등의 여러 가지의 조정조작이 불가피하고, 착용준비에 시간이 걸려, 착용상태의 세팅조작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난시안자나 강도의 근시안자는, 렌즈의 조합 매수도 많아지고, 그것에 누진 다초점용 검안렌즈가 더해지기 때문에, 렌즈부의 두께와 무게가 커지고, 착용자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피검안자의 시력측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여러 가지의 검안용 프레임은, 예를 들면, 일본실용공고 평5-46725호 공보(클레임, 2페이지의 하부좌측열 39행-9페이지 우측열 15행, 및 도 1, 도 3)에 기재되어 있다.
이때,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선행 기술문헌의 정보에서 특정된 것 이외의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된 선행 기술문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일본실용공고 평5-46725호 공보에 기재된 검안용 프레임은, 착용자의 측두부를 고정하는 좌우 한 쌍의 템플을 일체로 구비한 프론트 마운팅과, 이 프론트마운팅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렌즈홀더와, 이들 렌즈홀더를 프론트 마운팅과 함께 지지하는 렌즈홀더 지지부재와, 프론트 마운팅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코받침대를 구비하고, 통상은 피검안자의 코에 코받침대를 대어 장착하여, 검안하고, 피검안자가 안경을 착용한 채로 검안할 때에는 코받침대 대신에 행거(hanger)를 프론트 마운팅에 부착해 안경의 림 상면에 얹음으로써 검안용 프레임을 안정한 상태로 하여 렌즈홀더에 장착된 검안렌즈와 안경렌즈를 포개어 검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실용공고평5-46725호 공보에 기재된 검안용 프레임은, 프론트 마운팅, 2개의 렌즈홀더, 렌즈홀더 지지부재, 코받침대, 행거 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수를 많이 경량화할 수 없고, 또한 제조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경을 장착한 채로 검안할 때는, 코받침대를 행거와 교환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검안용 프레임을 안경에 장착한 형태로 사용할 때는, 검안용 프레임의 중량이 안경을 통해 코에 가해지기 때문에, 코에의 부담이 크고, 또한 안경 자체의 2개의 템플과 검안용 프레임의 2개의 템플(합계 4개의 템플)이 귀와 측두부에 걸쳐지기 때문에, 검안에 시간이 걸리는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편하고 부품 수가 적어 경량화 및 저렴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기존 안경에 포개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기존 안경에 포개어 착용할 수 있는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하여, 종래에 비해 보다 작은 부품 수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그 중량이 감소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에 검안할 수 있는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장착 검안 렌즈를 어떠한 특별한 조작이 필요없이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는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장착 검안렌즈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렌즈지지 프레임과, 이 렌즈지지 프레임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안경을 고정하는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은, 개구 단부와 대향 폐쇄 단부를 갖고, 각각이 검안렌즈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정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갖는 한 쌍의 선대칭 C자형 림과, 상기 림의 대향 폐쇄 단부를 연결한 연결부를 구비한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테스트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서, 검안용 테스트도구(1)는, 피검안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경(2)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렌즈지지 프레임(3)과, 이 렌즈지지 프레임(3)의 배면의 중앙에 부착된 클립(4)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검안자가 안경(2)을 착용하고 있지 있을 때는, 안경점에 비치된 기성(ready-made) 안경이 사용된다. 이 기성 안경의 렌즈도수는, 0.00디옵터(D)이다.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림(5, 6)과 연결부(7)를 갖는다. 상기 림(5, 6)은, 개구 단부와 폐쇄 단부를 각각 갖는 동일한 C형이다. 이 폐쇄 단부는 서로 대향하고, 개구 단부는 측방향으로 대향한다. 이 연결부(7)는, 상기 림(5, 6)의 폐쇄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각 C자형 림(5, 6)의 내부공간(8A, 8B)은, 검안렌즈(10)를 조정하는 조 정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장착된 검안렌즈(10)는, 상기 조정용 공간(8A, 8B)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조정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림(5)은, 반원형태부(5A)와, 상기 반원형태부(5A)에 연속적이고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수평방향의 직선부(5B(U), 5B(L))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림(6)은, 반원형태부(6A)와, 상기 반원형태부(6A)에 연속적이고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수평방향의 직선부(6B(U), 6B(L))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직선부는, 상기 검안렌즈(10)를 상기 내부공간(8A, 8B)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PD 조정 및 아이포인트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각 림(5, 6)의 반원형태부(5A, 6A)의 직경, 2개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직선부(5B(U), 5B(L))의 폭 W1 및 2개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직선부(6B(U), 6B(L))의 폭 W1은, 36mm이어서 같고, 검안렌즈(10)의 외경(38mm)보다 작게 설정된다. 각 림(5, 6)의 각 개구 단부의 수직 폭(개구 단부의 폭) W는, 돌출부(11)가 존재하므로 그 폭 W1(W1>W)보다 작게 설정되므로, 그 검안렌즈(1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D-조정용 거리 눈금(13)은, 림(5, 6)의 외부 표면(상술한 직선부) 상에 각각 형성된다. 두 개의 선(14, 15)은, 림(5, 6)의 폐쇄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7) 상에 형성된다.
상기 PD 조정용 거리눈금(1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림(5, 6)의 외부 표면 상에 상측 및 하측 직선부(5B(U), 5B(L))와, 상측 및 하측 직선부(6B(U), 6B(L)) 각각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각 상측 직선부(5B(U), 6B(U))는, 각각 PD의 절반폭(mm)을 나타내고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 숫자 "28", "30", "32", "34", "36"(단, 30, 32, 34는 도시를 생략)과, 이들 거리의 위치를 나타낸 수직한 5개의 등거리 수직 눈금 마크(16)를 갖는다. 각 하측 직선부(5B(L), 6B(L))의 표면에는, 렌즈지지 프레임(3)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 "28", "30", "32", "34", "36"을 각각 나타낸 5개의 수직 눈금 마크(17)만을 갖는다. 검안렌즈(10)의 PD의 조정범위는, 본 실시예에서는 56∼72mm이다.
연결부(7)의 표면상에 형성된 2개의 선(14, 15) 중 수평선(14)은, 림(5, 6)의 중앙을 지나는 데이터 선(기하학적인 수평선)이다. 수직선(15)은 검안용 테스트도구(1)의 좌우방향의 중앙을 나타낸다. 이 검안용 테스트도구(1)를 안경(2)에 장착할 경우, 수직선(15)이 브릿지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장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을 조정한다.
직사각형 오목부(20)는, 상기 연결부(7) 보다 위에 형성되고, 코 릴리프(nose relief)용 오목부(21)는 그 연결부(7) 보다 아래에 형성된다. 이 오목부(20)는, 서로 상대적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생기는 렌즈지지 프레임(3)과 클립(4)과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클립(4)의 조작시에 엄지 손가락 또는 집게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 릴리프용 오목부(21)는, 피검안자의 코가 검안용 테스트도구(1)가 안경(2)에 장착될 때 렌즈지지 프레임(3)에 닿지 않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측면에서 보아 평탄한 꼭대기부로 이루어진 산과 같은) 선대칭 사다리꼴을 갖도록 형성된다.
림(5, 6)의 개구 단부 상에 형성된 돌출부(11)는, 예를 들면, 삼각형 돌출부 로 형성되고, 하측 직선부(5B(L), 6B(L) 각각의 상부면에 일체로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림(5, 6)의 조정용 공간(8A, 8B)에 검안렌즈(10)를 장착할 경우, 상기 림(5, 6)의 수직대향 직선부(5B(U), 5B(L), 6B(U), 6B(L))는, 렌즈지지 프레임(3)의 탄성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서로 분리되므로, 개구 단부 폭 W는, 검안렌즈(10)의 외경 D보다 커진다. 검안렌즈(10)를 상기 조정용 공간(8A, 8B)으로부터 제거하였을 경우, 이 검안렌즈는 당겨져 대응한 돌출부(11) 상에 올라간다. 이때, 상기 림(5, 6)의 수직대향 직선부(5B(U), 5B(L), 6B(U), 6B(L))는,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개구 단부 폭 W는 상기 검안렌즈(10)의 외경 D보다 커진다. 그래서, 검안렌즈(10)는 쉽게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 각 림(5, 6)의 상측 직선부(5B(U), 6B(U)의 선단부의 하부 구석 상에, 검안렌즈(10)를 PD 56mm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경사면(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7)은, 림부(5, 6)의 거의 중심을 향해 45°로 경사져 있다.
검안렌즈(10)의 외주를 지지하는 렌즈지지 홈(28)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조정용 공간(8A, 8B)을 대향하는 림(5, 6)의 각 내부 표면 내에 형성된다. 각 렌즈지지 홈(28)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V형 홈으로 형성되고, 그것의 하부 홈 폭은 상부 홈 폭보다 크다.
예를 들면, 이 렌즈지지 프레임(3)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으로 투명한 2장의 플라스틱판(30)(표면측 플라스틱판을 가리킬 때는 30A, 이면측 플라스틱판을 가리킬 때는 30B로 나타낸다)을 포개어 접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 다. 2장의 플라스틱판(30A, 30B)은, 판두께가 1.5mm정도의 아크릴수지 등에 의해서 2개의 "C"자를 표리 관계로 접합한 것 같은 형상(또는 숫자 "8"자의 상부와 하부를 제거한 후 측방향으로 반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라스틱판(30A, 30B)의 상부가 접착제(31)(도 4)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고, 하부가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32)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2장의 플라스틱판(30A, 30B)의 하부 단부 사이의 거리는, 양면 접착 테이프(32)의 존재에 의해 그들의 상부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것은, 검안렌즈(10)의 하부 렌즈지지 홈(28)으로의 삽입량을 상측에서의 것보다 크게 하여 증가시켜, 검안렌즈(10)가 렌즈지지 홈(28)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각 플라스틱판(30A, 30B)의 림의 내부 둘레면은, 동일한 각도이지만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그 렌즈지지 홈(28)을 형성한다. 각 렌즈지지 홈(28)은, 약 1.5mm의 깊이를 갖는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립(4)은,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을 안경(2)에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클립(4)은,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의 배면상부에 4개의 기계 나사(35)에 의해서 고정된 전체적으로 C자형의 지지암(36)과, 이 지지암(36)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회동부재(37)와, 이 회동부재(37)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클램프부재(3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암(36)은, 가는 금속막대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편평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구부려져 다리(36a, 36b)를 형성하고, 이들 다리(36a, 36b)가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의 배면에서 또한 상기 오목부(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계 나사(31)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지지암(36)의 중앙부(36c)는,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의 오목부(20)보다도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부재(37)를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축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회동부재(37)는, 상기 오목부(20)보다 위쪽에 위치한 그리핑(gripping)부(37A)를 갖는다. 좌우 한 쌍의 전방 클램프부(37B, 37C)는, 상기 그리핑부(37A)의 양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전방 클램프부(37B, 37C)의 하단부는 안경(2) 렌즈(40)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연질의 캡(39)으로 덮여 있다. 회동부재(37)의 상면 후단부에는, 상기 클램프부재(38)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베어링(41a, 41b)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클램프부재(38)는, 가는 금속막대로 형성된다. 이 클램프부재(38)의 중앙부(38A)는, 회동부재(37)의 2개의 베어링(41a, 41b)에서 수평방향이고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래서, 클램프부재(38)는, 회동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클램프부재(38)는, 2개의 꼬인 코일 스프링(42)에 의해서 일 방향(도 3의 반시계방향)으로 한쪽으로 치우친다. 이 꼬인 코일 스프링(42)은, 클램프부재(38)의 중앙부(38A)에 장착되고, 회동부재(37)에 의해 일단이 가압되고, 클램프부재(38)에 의해 타단이 가압된다. 상기 클램프부재(38)의 양단부는, 회동부재(37)의 전방 클램프부(37B, 37C)에 대향하도록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어, 후방 클램프부(38B, 38C)를 각각 형성한다. 이들 후방 클램프부(38B, 38C)는, 안경(2)의 렌즈(40)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연질의 캡(43)으로 덮여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상기 회동부재(37)의 상기 전방 클램프(37B, 37C)에 상기 꼬인 코일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있다. 즉, 상기 회동부재(37)의 전방 클램프(37B, 37C)와, 클램프부재(38)의 후방 클램프(38B, 38C)는, 안경(2)의 렌즈(40)의 표리면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검안용 테스트도구(1)가 안경(2)에 장착된다. 상기 클램프부재(38)의 중앙부(38A)에는, 조작레버(4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 조작레버(4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 아크형부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37)의 그리핑부(37A) 위쪽을 덮고 있다.
상기 전방 클램프(37B, 37C)와 후방 클램프(38B, 38C)에 의해서 안경(2)의 렌즈(40)의 표리면을 고정할 때에는,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회동부재(37)의 그리핑부(37A)와 조작레버(45)를 보유하여, 조작레버(45)를 꼬인 코일 스프링(42)에 대해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클램프부재(38)가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후방 클램프부(38B, 38C)를 도 3의 2점 쇄선(46)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전방 클램프부(37B, 37C)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상태에서 이들 클램프부 (38B, 38C)와 (37B, 37C) 사이에 안경(2)의 렌즈(40)를 아래로부터 삽입하여 조작레버(45) 상의 가압을 해제한다. 그 후, 클램프부재(38)는, 상기 꼬인 코일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회동하고, 전방 클램프(37B, 37C)와 후방 클램프(38B, 38C)는 렌즈(40)의 표리면을 고정한다. 그래서, 검사용 테스트도구(1)가 안경(2)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클립(4)은, 회동부재(37)가 지지암(36)의 중앙부(36c)에 거의 18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져 있음으로써, 플립 업(flip-up)식의 클립을 구성하고 있다. 즉, 안경(2)에 검사용 테스트도구(1)를 장착한 상태로, 렌즈지지 프레임(3)을 도 3에 화살표(4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들어올리면, 지지암(36)이 회동부재(37)에 대하여 회동하여, 렌즈지지 프레임(3)을 대략 수평 또는 대략 수직한 상태로 올릴 수 있다. 한편, 검안렌즈(10)를 렌즈지지 프레임(3)의 각 림(5, 6)에 장착할 때는, 상기 회동부재(37)와 클램프부재(38)를 2점 쇄선(4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지지 프레임(3)의 위쪽으로 튀겨 올리면, 검안렌즈(10)가 전방 클램프부(37B, 37C)에 닿지 않고 렌즈지지 프레임(3)에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검안렌즈(10)는, 투명한 합성 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렌즈부(10A)와, 이 렌즈부(10A)의 외주의 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된 판형 손잡이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10A)는, 원용부(E)와, 근용부(F)와, 이들 양쪽 부분을 연결하는 누진부(G)를 가짐으로써 누진 다초점용 검안렌즈를 형성하고 있다. 또, H는 원용부(E)의 아이포인트의 위치, I는 근용부(F)의 아이포인트의 위치이다.
상기 손잡이부(10B)는, 렌즈부(10A)가 좌안용인지 우안용인지에 따라서 렌즈부(10A)의 광학중심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한 측에, 수평 및 수직선에 대하여 45°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부(10B)는, 좌안용 검안렌즈(10L)일 경우, 피검안자로부터 볼 때 렌즈부(10A)의 좌 45°의 위치에 경사져 위쪽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우안용 검안렌즈(10R)일 경우, 피검안자로부터 볼 때 렌즈부(10A)의 우 45° 위치에 마찬가지로 경사져 위쪽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10B)의 표면에는, 검안렌즈(10)가 우안용인지 좌안용인지를 구별하는 로마자(L 또는 R)(49)와, 렌즈부(10A)의 가입도수(D)를 표시하는 숫자 5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렌즈부(10A)의 외주부에는,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의 대응한 렌즈지지 홈(28)에 의해서 지지되는 림(51)이 전체 둘레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림(51)의 표면에서 좌우 양측부에는, 수평기준선의 방향을 나타낸 2개의 마크(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마크(53)는, 림(51)의 표면에 형성된 작은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이 두 개의 마크(53)를 연결하는 가상선(J)(도 5참조)이 수평이 되도록, 즉 상기 손잡이부(10B)가 경사져 45°위쪽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도록 렌즈지지 프레임(3)의 렌즈지지 홈(28)에 장착된다. 검안렌즈(10)를 렌즈지지 홈(28)에 장착하여 2개의 마크(53)를 연결하는 가상선(J)이 수평이 되도록 하면, 좌안용 검안렌즈(10L)의 경우는, 그 손잡이부(10B)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림부(5)의 경사면(27)에 근접하여 대향 또는 접촉하고, 우안용 검안렌즈(10R)의 경우는, 그 손잡이부(10B)가 림부(6)의 경사면(27)에 근접하여 대향 또는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렌즈지지 프레임(3)의 전면중앙에 표시되어 있는 수평선(14)과, 2개의 마크(53)를 연결하는 가상선(J)은 일직선을 형성한다. 손잡이부(10B)가 상기 경사면(27)에 접촉하도록 렌즈지지 홈(28)의 최내부의 깊은 단부에 렌즈부(10A)를 삽입할 경우, PD값(렌즈지지 프레임(3)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을 28mm로 조정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검안용 테스트도구(1)에 있어서는, 2장의 플라스틱판(30A, 30B)에 의해서 형성된 렌즈지지 프레임(3)과, 이 렌즈지지 프레임(3)의 배 면중앙에 부착된 클립(4)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부품 수가 현저하게 적어져 경량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안경(2)에의 탈착, 렌즈지지 홈(28)에의 검안렌즈의 탈착도 간단하고 용이하며, 취급성이 뛰어난 검안용 테스트도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안용 테스트도구(1)가 경량이기 때문에, 피검안자가 장시간 장착하고 있어도 육체적 부담이 적고, 기분 좋게 착용하고 검안할 수 있으므로, 특히 상부 평면 타입(원용도수가 0.00)인 누진 다초점용 검안렌즈를 장착하여 원방 및 근방이 보이는 방법을 체감시킬 때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플립 업식 클립(4)은, 렌즈지지 프레임(3)을 자유롭게 튀겨 올리거나 내리거나 할 수 있고, 검안을 일시 중지할 때는, 그 때마다 검안용 테스트도구(1)를 안경(2)으로부터 제거하지 않아도, 렌즈지지 프레임(3)을 손으로 튀겨 올리는 것만으로 하여서, 안경(2)만을 사용할 수 있다.
검안렌즈(10)를 검안용 테스트도구(1) 상에 장착할 때, 클립(4)은 미리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 보다 위에 튀겨 올려져도 된다. 그래서, 검안렌즈(10)는, 클립(4)의 전방 클램프(37B, 37C)의 캡(39)에 닿지 않고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검안렌즈(10)를 렌즈지지 홈(28)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동부재(37)의 전방 클램프부(37B, 37C)와, 클램프부재(38)의 후방 클램프부(38B, 38C)에 의해, 검안렌즈(10)와의 고정위치의 상하조절에 의해, PD 조정 및 아이포인트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나타 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잘 도시된 것처럼, 렌즈지지 프레임(3)과, 이 렌즈지지 프레임(3)의 배면 중앙에 부착된 클립(60)으로 검안용 테스트도구(64)를 구성하며, 안경의 브릿지를 클립(60)에 의해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은,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2장의 플라스틱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양면 접착테이프를 통해 중첩되어 일체적으로 접합함으로써, 2장의 플라스틱판을 서로 평행하게 대향시킨 점, 및 중앙의 상부에 오목부(2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이 상기한 실시예와 다를 뿐이고, 그 밖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클립(60)은, 렌즈지지 프레임(3)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 클립 베이스(61)와, 이 클립 베이스(61)에 판 스프링(62)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가동형 클램프편(63)으로 구성되고, 이 가동형 클램프편(63)과 상기 클립 베이스(61)로 안경의 브릿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플립 업식 클립이 아닌 간이형 클립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클립 베이스(61)의 하단부 표면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리지(ridge)(66)가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형 클램프편(63)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돌기부(67)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또한 이 돌기부(67)의 상기 클립 베이스(61)의 하단부 표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리지(68)가 높이 방향으 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리지(66, 68)는, 반 피치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고, 리지 68이 리지 66과 맞물림으로써 가동형 클램프편(63)의 좌우방향의 기울기를 방지하고,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지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검안용 테스트도구(64)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경량화 및 저렴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안경에의 탈착, 렌즈지지 홈(28)에의 검안렌즈(10)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취급성이 뛰어난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렌즈지지 프레임(7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렌즈지지 프레임(3)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2장의 플라스틱판(30A, 30B)을 서로 겹쳐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지지 프레임(70)은, 한 쌍의 선대칭 C자형(또는 측방향으로 반전된 U자형) 림(71, 72)과 연결부(73)를 갖는다. 각 림(71, 72)은, 개구 단부와 폐쇄 단부를 갖는다. 이 폐쇄 단부는 서로 대향한다. 이 연결부(73)는, 림(71, 72)의 폐쇄 단부를 연결한다.
림(71, 72)의 내부 공간(8A, 8B)은, 검안렌즈(10)를 탈착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조정용 공간을 형성한다. 검안렌즈(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지지 홈(28)은, 림(71, 72)의 각 내부 표면에 형성된다. 림 71의 상부(U)와 하부(L) 직선부(71a)(U),(71b)(L))의 원용 단부와, 림 72의 상부(U)와 하부(L) 직선부(72a)(U),(72b)(L))의 원용 단부는, 서로 밀접하도록 적절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된다. 그래서, 림(71, 72)의 개구 단부 폭 W는, 검안렌즈(10)의 외 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 경우에, 표면측에 플라스틱판(30A)의 상부 및 하부 직선부(71a(U), 71b(L))의 원용 단부와,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B)의 하부 직선부(71b(L), 72b(L))의 원용 단부는, 소정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B)의 상부 직선부(71a(U), 72a(U))의 원용 단부는, 만곡되어 있지 않고,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A)의 상부 직선부(71a(U), 72a(U))보다 짧다.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B)의 상부 직선부(71a(U), 72a(U))의 원용 끝면 A는, 검안렌즈(10)의 손잡이부(10B)의 경사각과 같은 각도(45°)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면측의 플라스틱판(30A)의 표면의, 각 상부 직선부(71a(U), 72a(U)의 아래쪽으로 만곡된 원용 단부는, 렌즈지지 프레임(70)의 중앙으로부터 PD값을 각각 나타내는 숫자 "28", "30", "32", "34" 및 "36"(30, 32 및 34는 미도시됨)과, 이들 숫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5개의 등거리 눈금 마크(76)를 갖는다. 피검안자가 보았을 때 좌측에 있는 림(71)상의 눈금 마크(76)는, 45°만큼 좌측으로 경사지고, 오른쪽 림(72)상의 눈금 마크들은 45°만큼 우측으로 경사진다. "28"을 나타내는 눈금 마크는,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B)의 상부 직선부(71a(U), 72a(U))의 원용 끝면 A와 중첩한다. 이 눈금 마크(76)가 이와 같이 45°만큼 경사진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A)의 상부 직선부(71a(U), 72a(U))의 원용 단부 상에 형성될 경우, PD는 검안렌즈(10)의 손잡이부(10B)의 위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검안자의 PD값이 56이라고 가정하자. 좌안 검안렌즈(10L)의 PD를 조정할 경우, 이 좌안 검안렌즈(10L)는, 좌측 림(71)의 조정용 공간(8A) 내에 삽입되고, 손잡이부(10B)는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B)의 좌측 직선부(71a(U))의 원용 끝면 A 와 접촉되어 있어 숫자 "28"을 나타내는 상기 눈금 마크(76)와 일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안 검안렌즈(10R)의 PD를 조정할 경우, 이 우안 검안렌즈(10R)는, 우측 림(72)의 조정용 공간(8B) 내에 삽입되고, 손잡이부(10B)는 이면측에 플라스틱판(30B)의 직선부(72a(U))의 원용 끝면 A와 접촉되어 있어 숫자 "28"을 나타내는 상기 눈금 마크(76)와 일치한다. 따라서, 좌안 및 우안 검안렌즈(10)의 PD값은, 56mm로 조정된다. PD값을 60mm로 조정할 경우, 상기 검안렌즈(10)는, 바깥쪽으로 이동되어도 되어, 상기 손잡이부(10B)의 상부 경사면(77)이 상기 숫자 "30"을 나타내는 눈금 마크(76)와 일치한다.
4개의 수직선(78a-78d)과 2개의 수평선(79a, 79b)은, 상기 연결부(73)의 외부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 4개의 수직선(78a-78d)은, 기존 유리 프레임과 중심을 정렬하기 쉽다. 이 2개의 내부 수직선(78a, 78b)은, 작은 프레임용이고, 2개의 외부 수직선(78c, 78d)은 큰 프레임용이다. 2개의 수평선(79a, 79b) 중 하부 수평선(79a)은 좌우측 림(71, 72)의 중심을 지나가는 데이터 선(기하학적 수평선)이다. 이 상부 수평선(79b)은, 누진 도수 렌즈의 아이포인트의 높이를 나타내고, 4mm만큼 데이터 선(79a) 보다 위에 위치된다. 이 아이포인트의 위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가 안경 상에 끼워 맞춘 기준위치에서 장착될 경우(통상, 동공 위치의 조금 아래), 통상의 시계의 상태에서 얼핏보며 지나가는 곳이다.
렌즈지지 프레임(70)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중심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삼각형 마크(80)는, 상기 연결부(73)의 표면 중심에 형성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한다. 상기 안경에 렌즈지지 프레임(70)을 장착할 때, 만약 마크(80)가 안경의 브릿지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설정될 경우,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조정된다.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20)는, 코 릴리프용 오목부(21)는 상기 연결부(73) 보다 위 및 아래에 형성된다.
렌즈지지 프레임(70)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지지암(36)의 다리(36a, 36b)를 삽입할 수 있는 수직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구멍(81a, 81b)이, 2장의 플라스틱판(30A, 30B)의 접합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구멍 81a용 2개의 나사 부착 구멍 83과, 상기 구멍 81b용 2개의 나사 부착 구멍 83은, 이면측의 플라스틱판(30B)에 형성되어, 전체 4개의 나사 부착 구멍(83)이 된다. 다리(36a, 36b)는, 나사 부착 구멍(83)내부에 기계 나사(35)(도 1 참조)에 의해 나사로 조여져 상기 구멍(81a, 81b) 내에 고정된다.
2개의 플라스틱판(30A, 30B)은, 림(71, 72)의 상부 직선부(71a(U), 72a(U))의 접합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85)를 끼워 맞추어 돌출부(86)를 위치결정하여 위치결정된다. 그래서, 림(71, 72)의 상부 직선부(71a(U), 72a(U))는,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각 나사 부착 구멍(83) 내에 4개의 기계 나사(35)에 의해 나사로 조여져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암(36)의 다리(36a, 36b)를 고정한다. 2개의 플라스틱판(30A, 30B)의 하부 직선부(71a(L), 72b(L))는, 이면측의 플라스틱판(30A)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페이서(87)를 통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접착제에 의해 서로 일체로 접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렌즈지지 프레임(70)에서는, 각 검안렌즈(10)의 손잡이부(10B)의 상부 경사면(77)이, 피검안자의 PD에 따라 렌즈지지 프레임(70)의 중앙으로부터 PD값을 나타내는 눈금 마크(76)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PD 조정조작을 쉽고,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즉, PD값은, 손잡이부(10B)의 상부 경사면(77)과 상기 5개의 눈금 마크(76)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를 시각적으로 점검하여 확인될 수 있다. 아이포인트용 수평선(79b)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이포인트의 높이위치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렌즈지지 프레임(3 또는 70)은, 2장의 플라스틱판(30)을 접착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렌즈지지 프레임(3 또는 70)을 하나의 사출 성형 플라스틱판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림은 C자형으로, 이 림의 개구 단부 폭 W는, 림 내부의 폭보다 작고, V자형 렌즈지지 홈(28)은, 림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강한 성형 해제가 요구된다. 상기 림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경우, 렌즈지지 프레임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지지 프레임은, 하나의 사출성형 플라스틱판을 기계 가공하여 제조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테스트도구는, 렌즈지지 프레임과 클립으로 구성된다. 이 렌즈지지 프레임은, 한 쌍의 선대칭 C자형(또는 측방향으로 반전된 U자형) 림과 연결부로 구성된다. 각 림은, 개구 단부와 폐쇄 단부를 갖는다. 이 폐쇄 단부는, 서로 대향한다. 이 연결부는 상기 림의 폐쇄 단부와 연결된다. 각 림의 내부 공간은, 검안렌즈 조정용 공간을 형성한다. 검안렌즈를 회동가 능하게 지지하고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지지 홈은, 각각 림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이 구조는, 단순하고, 부품수가 작아,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시력은, 기존 안경을 이용하여 검사될 수 있다. 검안용 테스트도구는, 쉽게 안경 상에 장착되고 이 안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검안렌즈는 단순하고 쉽게 렌즈지지 홈 내에 삽입되고 이 홈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래서,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검안용 테스트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검안용 테스트도구는 피검안자에게 작은 물리적인 부담을 제공하므로, 특히 그 피검안자가 누진 다초점 검안렌즈에 의해 원방과 근방이 보이는 방법을 체감할 때 적절하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렌즈지지 프레임이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2장의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조비용은, 렌즈지지 프레임이 한 장의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될 경우 낮아진다.
림의 개구 단부 폭을 좁히는 돌출부가 형성될 경우, 돌출부는 상기 렌즈지지 홈으로부터 검안렌즈가 확실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검안렌즈가 상기 돌출부 상에 올라가면, 그 렌즈지지 프레임의 림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개구 단부 폭을 넓게 한다. 그래서, 검안렌즈는, 렌즈지지 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Claims (11)

  1. 장착할 검안렌즈(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렌즈지지 프레임(3, 70)과,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안경을 고정하는 클립(4, 60)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 70)은, 개구 단부와 대향 폐쇄 단부를 갖고 한 쌍의 선대칭 C자형 림(5, 6)과, 상기 림의 대향 폐쇄 단부와 연결하는 연결부(7)를 구비하며,
    상기 각 림은, 검안렌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정용 공간을 형성한 내부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2장의 플라스틱판을 서로 겹쳐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렌즈지지 홈(28)은, 상기 각 림의 내부 표면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은, 상기 림들의 개구 단부 폭을 각각 좁히는 돌출부(11)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림(5, 6)의 개구 단부의 폭(W)은, 장착할 검안렌즈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검안렌즈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은, 검안렌즈(10)가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 상에 장착될 때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PD의 절반값의 위치에서 검안렌즈(1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27)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할 검안렌즈(10)는, 렌즈부(10A)와 손잡이부(10B)를 갖고,
    상기 지지수단(27)은, 소정 각도로 장착할 검안렌즈(10)의 상기 손잡이부(10B)를 지지하는 스토퍼(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70)은, 검안렌즈(10)가 내부에 장착될 때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PD의 절반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7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림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검안렌즈의 조정용 공간은, 검안렌즈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PD의 절반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검안렌즈를 지지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은, 아이포인트용 수평선(79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프레임(3)은, 상기 연결부(7) 위에 코 릴리프용 오목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테스트도구.
KR1020030016792A 2002-03-18 2003-03-18 검안용 테스트도구 KR100566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4804 2002-03-18
JPJP-P-2002-00074804 2002-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334A KR20030076334A (ko) 2003-09-26
KR100566034B1 true KR100566034B1 (ko) 2006-03-30

Family

ID=2778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92A KR100566034B1 (ko) 2002-03-18 2003-03-18 검안용 테스트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8219B2 (ko)
EP (1) EP1346682B1 (ko)
KR (1) KR100566034B1 (ko)
AT (1) ATE340531T1 (ko)
DE (1) DE60308577T2 (ko)
ES (1) ES227140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51B1 (ko) * 2008-03-20 2010-03-15 장종발 누진다초점렌즈 전용 테스트 안경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12749D0 (en) * 2003-06-04 2003-07-09 Optime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rial lens
JP2006068417A (ja) * 2004-09-06 2006-03-16 Topcon Corp 検眼装置
DE102004063981B4 (de) * 2004-09-15 2007-10-04 Carl Zeiss Vision Gmbh Messbügel, sowi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Vorneigungswinkels α einer Brillenfassung
US20070048628A1 (en) * 2005-09-01 2007-03-01 Mackey Jeffrey L Plasmonic array for maskless lithography
ITPD20080046A1 (it) * 2008-02-18 2009-08-19 Dale View Lic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occhiali per persone presbiti emmetropi, kit per l'attuazione di tale metodo ed occhiali cosi' ottenuti
DE102008013176B4 (de) * 2008-03-07 2011-02-17 Thomas Schottler Verfahren zum Anprobieren eines Brillengestells und Testbrille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DE102013010365A1 (de) * 2013-06-21 2014-12-24 Anke Knuth Probierbrille, Probieraufsatz, Probiersatz und Verfahren zum Einpassen von individuell angepassten Gleitsichtgläsern
KR200471540Y1 (ko) * 2013-07-29 2014-02-28 이현주 동공중심 측정기구
FR3019459B1 (fr) 2014-04-08 2016-04-22 Essilor Int Lunettes de compensation visuelle et procede de refraction subjective d'un individu portant ces lunettes
JP2018525672A (ja) * 2015-07-29 2018-09-06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視力矯正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962791B1 (en) * 2018-03-22 2021-03-30 Facebook Technologies, Ll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ultra-thin adjustable lenses
US11245065B1 (en) 2018-03-22 2022-02-08 Facebook Technologies, Llc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048075B1 (en) 2018-03-29 2021-06-29 Facebook Technologies, Llc Optical lens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11256331B1 (en) 2019-01-10 2022-02-22 Facebook Technologies, Ll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haptic and touch sensing electroactive device arrays
CN217932309U (zh) * 2019-12-06 2022-11-29 依视路国际公司 眼睛配戴物
CN115153418B (zh) * 2022-07-26 2023-06-13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眼睛验光用试戴验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580A (en) * 1908-08-01 1911-09-05 George A Griffin Attachment for trial-frames.
US1258417A (en) 1916-11-03 1918-03-05 Bausch & Lomb Holder for trial-lens sets.
US1457494A (en) * 1917-12-18 1923-06-05 American Optical Corp Trial frame
US2147448A (en) 1935-08-07 1939-02-14 Orval W Lee Ophthalmic apparatus
US2147488A (en) 1936-10-23 1939-02-14 Distillation Products Inc High vacuum
US4220402A (en) 1978-01-03 1980-09-02 Jannelli Gilbert G Trial lens eyeglass clip
US4236793A (en) 1978-09-25 1980-12-02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Ophthalmic refracting device
JPH0546725U (ja) 1991-11-25 1993-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梱包材
US5499063A (en) * 1994-04-25 1996-03-12 Vision Express Group Limited Multifocal trial frame system
BE1009975A3 (nl) 1996-01-17 1997-11-04 Naessens Jan Voorzetbril.
US6132045A (en) * 1996-10-10 2000-10-17 Gauvreau; Douglas K. Eyeglass frame fitting apparatus, kit and method
DE69738050T2 (de) * 1996-12-17 2008-05-15 Hoya Corp. Kunststoff-probelinse,spritzguss-artikel und spritzguss-vorrichtung
US6325506B1 (en) * 2000-10-18 2001-12-04 George F. Cooper Interchangeable eyeglass len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51B1 (ko) * 2008-03-20 2010-03-15 장종발 누진다초점렌즈 전용 테스트 안경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74282A1 (en) 2003-09-18
ATE340531T1 (de) 2006-10-15
DE60308577T2 (de) 2007-05-31
EP1346682B1 (en) 2006-09-27
ES2271403T3 (es) 2007-04-16
KR20030076334A (ko) 2003-09-26
US7118219B2 (en) 2006-10-10
DE60308577D1 (de) 2006-11-09
EP1346682A2 (en) 2003-09-24
EP1346682A3 (en)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034B1 (ko) 검안용 테스트도구
US6520636B2 (en) Nosepiece assembly for an adjustable eyeglass frame
US7996997B2 (en) Spectacle measuring tool
EP0724178B1 (en) Three-point support lens clip type rimless spectacles
JP6579730B2 (ja) フィット感が改善された眼鏡
JP3240242B2 (ja) アイポイント測定具
US7357505B2 (en) Device for self-measurement of interpupillary distance
US20230333414A1 (en) Eyewear Measuring and Adjustment Mold
JP3842741B2 (ja) 検眼用テスト具
US4216588A (en) Marking pen holder
CN211094001U (zh) 一种十字孔镜片及眼镜验配测量架
CN211094002U (zh) 一种眼镜验配测量架
CN114019700A (zh) 一种框架眼镜试戴架和框架眼镜支撑部件参数获取方法
JP4121660B2 (ja) 検眼メガネ
US5825459A (en) Optician's ruler with sliding height indicator
CN211094000U (zh) 一种针孔镜片及眼镜验配测量架
CN217155253U (zh) 角度测量装置
JP2522980Y2 (ja) 検眼レンズ
CN214586275U (zh) 一种防止脱落的眼镜佩戴框
CN212647176U (zh) 可拆卸眼镜
KR200215312Y1 (ko) 렌즈간격조절이 가능한 시력 검안용 안경
CN112773323B (zh) 一种十字孔镜片及眼镜验配测量架
RU97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ора оправы и линз корригирующих очков
JPH0928670A (ja) 検眼用補助具
JPH0687926U (ja) 屈折度補正用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