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991B1 -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 - Google Patents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991B1
KR100565991B1 KR1020050105466A KR20050105466A KR100565991B1 KR 100565991 B1 KR100565991 B1 KR 100565991B1 KR 1020050105466 A KR1020050105466 A KR 1020050105466A KR 20050105466 A KR20050105466 A KR 20050105466A KR 100565991 B1 KR100565991 B1 KR 10056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pipe
fan motor
auxiliary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수
Original Assignee
김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수 filed Critical 김해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실내 구조 변경 시 위치변경이 용이하고, 청소 등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집진할 수 있는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연기흡입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 상기 팬모터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팬모터 구동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모터 구동부와 전원부를 연결시켜 상기 팬모터 구동부로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 끝단부에 상기 팬이 연결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 상기 팬모터 및 팬모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주배관; 상기 주배관의 소정 위치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배관; 상기 보조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보조배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기, 흡입, 주배관, 보조배관, 모터, 집진기, 보조 여과기

Description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FUME INHALATION APPARATUS AND DUST COLLEC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기흡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연기보조배관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 중 집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의 연기흡입장치와 집진기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 여과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주배관 123 : 전원부
125 : 보조배관 126 : 팬(Fan)
128 : 팬모터(Fan Motor) 130 : 팬모터 구동부
132 : 스위치
200 : 집진기 210 : 몸체
220 : 전방 필터부재 222 : 이온아이저(Ionizer)
224 : 셀(Cell)
본 발명은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구조 변경 시 위치변경이 용이하고, 청소 등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집진할 수 있는 연기여과장치 및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는 테이블 중앙에 숯 또는 가스등을 연료로 하는 고기구이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기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경우 고기의 기름 등이 연료로 낙하되어 연기가 발생되곤 하며, 발생된 연기를 상승되어 주위 공기의 흐름에 따른 확산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킨다.
따라서, 고기구이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확산되는 연기로 인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천정에 덕트를 설치하고 덕트에 연결된 흡입구를 구이기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흡입구와 덕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많은 공간과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이기의 내부에 흡입팬을 설치하여서, 구이기에서 발생된 연기가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하여 정화된 후 배기되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상승되는 연기를 오히려 연료측으로 흡입하게 함으로써 연료의 연소에도 방해가 될 뿐 아니라 불완전한 연소로 인한 고기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한 연기 제거장치가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0-15578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모터(11)에 의하여 작동되는 팬이 내부에 장치되고 배기실(12)과 흡기실(13)이 상하에 각각 구획 형성된 흡/배기부재(T)가 테이블(1)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고, 흡기실(13)에는 흡기호스(14)가 연결되고 배기실(12)에는 배기호스(15)가 연결되며, 흡기실(14)의 입구측에 휠타(16)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의 상부에는 흡기관(24)을 집진케이스(21)의 외부로 노출시킨 집진기(R)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의 경우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테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연기흡입장치에 모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름때로 인해 상기 모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나, 기름때 청소하기 위해 모터를 분해하여 청소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므로, 청소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구조 변경 시 레일을 따라 연기흡입장치의 위치를 변경시켜 연기흡입장치의 현재 위치에 무관하게 실내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기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흡입을 위한 모터를 주배관에만 설치하여 연기흡입에 따라 모터에 기름때가 끼인 경우에도 하나의 모터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기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관과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보조배관 사이에 주름관을 연결시켜 보조배관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기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흡입 보조배관의 양측 단부를 교체 가능하거나, 세척하기 용이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싸도록 하여 연질의 연결관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기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전기분해 방식에 의해 보다 향상된 방식으로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기흡입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키기 위한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 상기 팬모터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팬모터 구동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모터 구동부와 전원부를 연결시켜 상기 팬모터 구동부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 끝단부에 상기 팬이 연결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 상기 팬모터 및 팬모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주배관; 상기 주배관의 소정 위치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배관; 상기 보조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보조배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연기흡입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장치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23)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팬(126)과, 상기 팬(126)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128)와, 상기 팬모터(128)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팬모터 구동부(13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모터 구동부(130)와 전원부(123)를 연결시켜 상기 팬모터 구동부(130)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132)와, 끝단부에 상기 팬(126)이 연결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 상기 팬모터(128) 및 팬모터 구동부(130)가 구비되는 주배관(110)과, 상기 주배관(1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배관(12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기흡입장치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관(125)에 연결되는 흡입 보조배관(114)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4)와, 상기 지지 부재(124)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레일(12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입 보조배관(114)은 지지부재(124)에 의해 레일(122)에 얹혀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레일에 지지부재(124)를 이동시켜 흡입 보조배관(114)의 위치를 실내의 어느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기흡입장치는 상기 팬(126)의 후단에 설치되어, 주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연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집진시켜 정화된 공기만이 배출되도록 하는 집진기(2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배관(125)의 끝단에 상기 보조배관(12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름관(112)이 더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112) 끝단에는 경질의 흡입 보조배관(114)이 연결관(116) 고정시 이용되는 조임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경질의 흡입 보조배관(114) 끝단에는 조임부재(118)에 의해 연질의 연결관(116)이 연결되며, 상기 연질의 연결관(116)에 경질의 흡입 보조배관(12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주름관(112) 및 연질의 연결관(116)은 교체 가능하도록 보조배관(125) 및 흡입 보조배관(114)(120)에 연결, 고정된다.
본 발명의 집진기(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전방 필터부재(220)와, 이온아이저(Ionizer: 222)와, 셀(Cell: 224) 및 전원공급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0)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면서 양단에 유입구(212)와 토출구(214)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212)에서 공기의 진행 방향 쪽으로 면적이 확 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연기 및 미세 분진이 감속되도록 하며, 상기 토출구(214)도 상기 유입구(212)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불순물의 진행 방향을 향해 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과된 공기를 가속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212)에는 후술할 보조 여과기(300)의 관로(P)가 연결되며, 상기 토출구(214)에는 여과된 공기를 상방을 향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절곡되는 관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에는 경사진 양단에 적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문(216)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216)은 클램프(Clamp)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216)은 상기 몸체(2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주배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휴지 등과 같이 입자가 큰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한다.
즉, 상기 몸체(210) 내 유입구(212)와 근접된 위치에는 입자가 큰 파티클을 일차적으로 필터링(Filtering) 할 수 있도록 전방 필터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필터부재(220)가 몸체(2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이 전방 필터부재(2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입자가 큰 파티클의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몸체(210)의 저면에는 후술할 이온아이저(222)와 셀(224)에 의해 연기에 함유된 기름을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름 배출구(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이온아이저(222)는 상기 전방 필터부재(220)의 후방에 구비되어 몸체 (210)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이온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이온아이저(222)는 공기 중의 연기 및 미세 분진 등과 같은 불순물의 부유 입자가 유입되면 그 입자에 전기적인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일으켜 발생되는 이온과 미량의 오존으로 대전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이온아이저(222)는 AC(교류), DC(직류)의 고전압을 방전시켜 얻어지는 양, 음이온을 상대물에 보내어 대전된 정전기와 반대극성으로 중화소멸되는 장치인 사항이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셀(224)은 상기 이온아이저(222)의 후방에 구비되어 이 이온아이저(222)에서 대전(Electrification)된 연기 및 미세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셀(224)은 평면 금속판을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되 하나를 건너뛴 금속판들에 이온아이저(222)와 같은 극성으로 전압을 가해주고, 나머지 개입된 금속판들에 반대 극성으로 전압을 가해주게 되면 자석과 마찬가지로 대전 입자는 반대 극성의 금속판으로 끌려 집진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온아이저(222)와 상기 셀(224)은 상기 몸체(210) 내부를 구획을 지어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획된 구역마다 다수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이온아이저(222)마다 후술할 전원공급부(230)도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개별 제어에 의해 여과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이온아이저(222)와 셀(224)을 갖춰 하나의 세트(SET)로 구비하며 이 세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열로 배열되어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아이저(222)와 셀(224)을 두 세트로 구비하였으나 이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공급부(230)는 각각의 이온아이저(222)에 고전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동시에 셀(224)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몸체(210)의 전면에 다수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문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에 구비된 박스 형태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원공급부(230)는 통상적인 파워 팩(Power pack)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주배관(110)과 집진기(200)의 관로(P) 사이에는 상기 집진기(200)로 연기 및 미세 분진 등과 같은 불순물이 유입되기 전에 물을 분사시킴에 따라 불순물 입자의 비중이 증가되어 집진기(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여과하는 보조 여과기(300)가 더 마련된다.
상기 보조 여과기(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2)와 급수관(304)과 노즐(306) 및 제1, 2 필터(308, 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02)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일측에는 주배관(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집진기(200)에 관로(P)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로(P)가 결합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02)의 전면에는 이 몸체부(302)의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시창(302a)이 상하에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304)은 외부에서 상기 몸체부(302) 내부까지 연결되는 관로로 그 내부에 물이 공급되어 몸체부(302)에 급수하는 기능을 하며, 도중에 구비된 모터펌프(P)에 의해 수압을 증가시켜 고압 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노즐(306)은 상기 몸체부(302)의 내부까지 연결되는 급수관(304)의 둘레 저면에 적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304)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확산 분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필터(308)는 상기 몸체부(302)내 중간부위에 구비되어 주배관(110)을 통해 유입되되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및 공기 중의 미세 분진 등을 일차적으로 걸러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1 필터(308)는 펄링(Palling)으로 원통 모양의 바람개비 형태로 용수가 통과하며 용수에 포함된 기포 포집 및 배관 용수내 스케일을 걸러주는 기구를 말한다.
상기 제2 필터(310)는 상기 몸체부(302)내 상단인 배출구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필터(308)에 의해 필터링(Filtering)된 공기에 물을 분사시켜 비중이 커진 입자를 낙하시킨 상태에서 한 차례 더 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연기보조배관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장치는 천장에 고정부재에 의해 주배관(11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배관(110)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뚫어 보조배관(125)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보조배관(125)은 주배관(110)의 공기 흐름에 따라 소정 각도를 기울어져 주배관(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배관(125)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112)이 연결관(116) 고정시 이용되는 조임부재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상기 주름관(112)에는 다시 흡입 보조배관(114)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주름관(112) 상부에 연결관(116) 고정시 이용되는 조임부재에 의해 조여져 상기 주름관(112)이 흡입 보조배관(1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질의 연결관(116)이 상기 흡입 보조배관(114)의 단부를 감싸주듯이 연결한 후 조임부재(118)를 이용하여 흡입 보조배관(114)에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연질의 연결관(116)은 비닐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펼쳤을 때 사각형상을 이루며, 이를 흡입 보조배관(114)에 여러 번 말아 관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질 연결관(116)의 일단 내측으로 또 다른 흡입 보조배관(120)을 삽입시키고, 상기 연질 연결관(116) 상부에 조임부재(118)를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써, 흡입 보조배관(120)을 연질 연결관(116)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에 연결된 흡입 보조배관(120)의 길이는 상측에 연결된 흡입 보조배관(114)의 길이보다 길다.
그리고 상기 상측 흡입 보조배관(114)에는 지지부재(124)가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주배관(110)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레일 중 하나의 레일(122)에 상기 지지부재(124)가 얹혀져 이동 가능하게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124)를 레일(122)을 따라 움직여서 원하는 위치로 상기 흡입 보조배관 (114)(12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 위치에 흡입 보조배관(114)(120)이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첨부 도면 도 2의 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전원부(123)와 팬모터 구동부(130)가 연결되어 소정 전압이 팬모터 구동부(130)로 공급되고, 상기 팬모터 구동부(130)는 팬모터(128)로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팬모터(128)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팬모터(128)가 회전되면, 이에 따라 팬(126)이 회전되어 흡입 보조배관(120)을 통해 실내공기, 즉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기가 흡입되어 주배관(1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된 연기는 집진기(200)를 거쳐 오염물질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만 주배관(1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연기흡입장치는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연질의 연결관(116)은 조임부재(118)를 풀어서 흡입 보조배관(114)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연결관(116)을 펼쳐서 세제를 이용하여 기름때를 제거한다. 또는 연결관(116)을 폐기시키고, 새로운 연결관(116)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주름관(112) 또한 연결관(116)과 마찬가지로 기름때를 청소하기보다는 새로운 주름관으로 교체하여,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팬모터(128) 및 팬(126)은 주배관(110)에 구비된 것밖에 없으므로, 해체시켜 기름때를 제거하는데 들어가는 노력 및 시간은 보조배관마다 모터 및 팬을 구비하고 있는 기존의 연기흡입장치보다 훨씬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기흡입장치의 주배관(110)의 사이에 물을 분사시켜 연기 및 미세 분진과 같은 불순물의 비중을 크게 하여 집 진기(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낙하시키는 보조 여과 장치(300)를 구비하여 일차적으로 여과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여과 장치(300)의 관로(P)에 연결된 집진기(200)는 연기 및 미세 분진 등과 같은 불순물의 부유 입자가 유입되면 그 입자에 전기적인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발생되는 이온과 미량의 오존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대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이온아이저(222)와 상기 이온아이저(222)에서 대전된 연기 및 미세 분진을 포집하는 셀(224)에 의해 불순물에 대한 여과와 집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기흡입장치에 바로 집진기(200)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기흡입장치와 집진기(200)의 도중에 보조 여과 장치(300)를 더 구비하여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실내 구조 변경 시 레일을 따라 연기흡입장치의 위치를 변경시켜 연기흡입장치의 현재 위치에 무관하게 실내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배관으로 흡입된 기름이 포함된 연기를 집진기에 의해 집진시켜 정화된 공기만이 팬모터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모터에 기름때가 끼는 일이 없으며, 단순히 보조배관, 흡입 보조배관, 연결관 등만 비눗물 을 이용하여 세척해주면 되기 때문에 청소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관과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보조배관 사이에 주름관을 연결시켜 흡입 보조배관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흡입 보조배관의 양측 단부를 교체 가능하거나, 세척하기 용이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싸도록 하여 연질의 연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새로운 연질의 연결관으로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하는데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배관에 연결되어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를 더 마련함으로써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어 환경 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연기 흡입 여과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
    상기 팬모터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팬모터 구동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팬모터 구동부와 전원부를 연결시켜 상기 팬모터 구동부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
    끝단부에 상기 팬이 연결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 상기 팬모터 및 팬모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주배관;
    상기 주배관의 소정 위치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배관;
    상기 보조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보조배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의 끝단에,
    상기 보조배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주름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흡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끝단에,
    경질의 흡입 보조배관이 접착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경질의 흡입 보조배관 끝단에는 조임부재에 의해 연질의 연결관이 연결되며, 상기 연질의 연결관에 경질의 흡입 보조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흡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및 연질의 연결관은,
    교체 가능하도록 흡입 보조배관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흡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의 지지부재는,
    레일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서로 엇갈려있는 레일로 그 위치를 변경시켜 보조배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흡입장치.
  6.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여과하여 집진시키는 집진기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에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 일단에 구비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 및 미세 분진을 이온화시키는 이온아이저(Ionizer);
    상기 이온아이저의 후방에 구비되어 이 이온아이저를 통해 이온화된 연기 및 미세 분진을 포집하는 셀(Cell);
    상기 이온아이저에 변압(transformation)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유입구는, 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기 및 미세 분진을 감속되게 하여 유입시키고,
    상기 토출구는, 면적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과된 공기를 가속되게 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아이저와 셀은,
    상기 몸체 내부를 구획을 지어 구획된 구역마다 다수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이온아이저마다 전원공급부도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여과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아이저와 셀은,
    그 각각이 한 세트(Set)를 이루며, 이 세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렬(一列)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아이저의 전면에는 유입구에서 유입된 연기 및 미세 분진 중 입자가 큰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는 전방 필터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과 상기 집진기와 연결되는 관로 사이에는, 연기 및 미세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물을 분사시켜 연기 및 미세 분진과 같은 불순물의 비중을 크게 하여 낙하시키는 보조 여과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KR1020050105466A 2005-05-24 2005-11-04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 KR100565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84 2005-05-24
KR1020050043484 2005-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991B1 true KR100565991B1 (ko) 2006-03-30

Family

ID=3718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466A KR100565991B1 (ko) 2005-05-24 2005-11-04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40B1 (ko) 2005-11-14 2007-02-09 김해수 연기 정화가 가능한 이동식 연기흡입장치
CN103512138A (zh) * 2012-06-18 2014-01-15 迪诺曼(苏州)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厂房用风管式通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40B1 (ko) 2005-11-14 2007-02-09 김해수 연기 정화가 가능한 이동식 연기흡입장치
CN103512138A (zh) * 2012-06-18 2014-01-15 迪诺曼(苏州)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厂房用风管式通风装置
CN103512138B (zh) * 2012-06-18 2016-06-29 迪诺曼(苏州)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厂房用风管式通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82327U (zh) 一种喷淋式空气净化器
CN109173532B (zh) 一种电气自动化除尘设备
KR102032381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초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6545979U (zh) 一种吸顶式空气净化装置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KR100565991B1 (ko) 연기흡입장치 및 집진기
CN216393978U (zh) 清洁机器人
CN211329819U (zh) 智能化的腻子粉生产车间静电除尘设备
CN200957422Y (zh) 手动静电除尘柜
CN206415221U (zh) 电除尘器
CN113022272B (zh) 集尘机构、车载空气净化器和风扇
CN213253685U (zh) 一种三层中央除尘清理油烟及除尘设备
CN210425198U (zh) 一种自清洁的油烟净化器
KR100681540B1 (ko) 연기 정화가 가능한 이동식 연기흡입장치
CN209809748U (zh) 一种除烟除尘一体式脉冲除尘器
CN106622664A (zh) 电除尘器
CN202155261U (zh) 除油污自动清洁电极空气处理器
CN216393979U (zh) 集尘站
CN207214178U (zh) 一种吸油烟机
CN105987417A (zh) 一种净化系统以及应用净化系统的集成环保灶和吸油烟机
CN106801952B (zh) 室内等离子静电空气净化设备及运行方法
CN217249729U (zh) 一种方便调节的焊接烟尘静电净化器
CN220479080U (zh) 一种节能高效静电除尘器
CN219036874U (zh) 壁挂式空调器及其室内机
CN216393950U (zh) 清洁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