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865B1 -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865B1
KR100565865B1 KR1020050123572A KR20050123572A KR100565865B1 KR 100565865 B1 KR100565865 B1 KR 100565865B1 KR 1020050123572 A KR1020050123572 A KR 1020050123572A KR 20050123572 A KR20050123572 A KR 20050123572A KR 100565865 B1 KR100565865 B1 KR 10056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steel pipe
concrete
steel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욱
Original Assignee
우경건설 주식회사
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건설 주식회사, 정상욱 filed Critical 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아치교를 건설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아치리브내에 중공의 강관을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중공 강관은 시공이 완료된 완성계의 교량에서는 철근과 같이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부재가 되도록하고, 시공중에는 동바리의 일부로 활용하여 원심케이블인 강선과 함께 지보공 없이 아치리브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지보공설치가 불가능한 하천, 계곡등 어떠한 지형에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공사비가 절감되면서 간편한 시공방법인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arch bridge}
도 1은 종래에 아치교를 시공하던 것을 도면으로 보여주는 것.
도 2(a)(b)(c)(d)(e)(f)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의 시공순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 시공과정을 아치형 강관을 강선으로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앵커가 2곳에 설치되어 강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b)(c)(d)(e)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c)의 새들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6(a)(b)(c)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아치형 강관에 동바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아치형 강관에 동바리와 거푸집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아치형 강관에 동바리를 설치한 것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치교 11 : 아치리브
12 : 거푸집 13 : 교각
14 : 지보공 15 : 도로면.
20 : 콘크리트아치교 21 : 콘크리트아치
22 : 교각 23 : 교량상판
24 : 도로면. 25 : 지주
30 : 반아치형강관 31 : 키세그
32 : 인상 33 : 지지대
34 : 힌지핀
40 : 아치형 강관 41 : 강선
42 : 거푸집
50 : 동바리 51 : 바닥 I강재
52 : 연결철근 53 : 사재
54 : 단부트러스 55 : 브레이싱
56 : 전단보강재 57 : 작업로
58 : I강재 60 : 힌지
70 : 앵커 71 : 앵커부
73 : 지지기둥
80 : 새들 81 : 원형볼
82 : 볼트
본 발명은 양측의 교각에 반 아치형 강관을 설치한 다음 이들을 위로 들어 상호 연결하여 아치형 강관을 설치한 다음 아치형 강관을 포함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아치를 형성하여 설치한 콘크리트 아치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아치교의 시공방법은 양측에 설치된 교각 기초의 내측에 힌지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힌지핀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을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내측에 각각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교각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부분의 지상에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를 가설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을 상기 힌지의 회전을 이용하여 위로 인상하면서 양측의 반아치형 강관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연결부에 키세그로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상호 연결한 아치형 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의 중심부인 지상에 상부에 앵커부가 설치된 앵커를 삽입 설치한 다음,
상기 앵커부와 상기 아치형 강관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강선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면서 일정한 긴장력을 상기 강선에 도입하도록 하여 강관에 아치의 저장성을 갖는 축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강선은 시공중 하중지지 역할을 주로 감당하도록 하면서 장력에 변화를 줌으로서 시공중 강관골조 구조의 아치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동바리의 상부와 아치형 강관을 포함하도록 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아치를 설치한 콘크리트아치교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계곡등 지형에 상관없이 교량을 가설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면서, 아치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보공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로 아치를 설치할 때 강관이 내부에 포함가설되도록 하여 강관이 아치를 지지하도록 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가 빈 강관을 아치로 설치하므로서 아치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켜 경량화하도록 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증강시키면서 교량의 시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공사비의 절감을 획기적으로 할 수 있는 콘크리트아치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아치교를 건설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아치 리브(11)를 건설할 하부공간에 지보공(14)을 설치하고, 지보공(14)위에 거푸집(12)을 설치한 후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로 아치를 제작한 아치교(10)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공방법은 아치리브(11)의 변위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아치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보공(14)을 설치하므로서 지보공설치 및 해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아치형 강관을 현장에서 제작하여, 바로 가설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설치하면서 운반비등이 절감되도록 하면서 시공중 아치의 변위를 조절하여 설계된 형태의 아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치에 아치형 강관이 삽입설치되도록 하여 아치의 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아치구조물의 자체 중량을 경량화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향상시키면서 강관으로 인하여 아치의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보강재의 역할도 동시에 하도록 하는 콘크리트아치교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아치교(20) 시공방법은 양측에 설치된 교각(22) 기초의 내측에 힌지(60)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60)에 일측단부가 힌지핀(34)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30)을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내측에 각각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강관(30)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부분의 지상에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3)를 설치하여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30)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50)를 가설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30)을 상기 힌지(60)의 회전을 이용하여 위로 인상하면서 양측의 반아치형 강관(30)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연결부에 키세그(31)로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을 상호 연결한 아치형 강관(40)을 설치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40)의 중심부인 지상에 상부에 앵커부(71)가 설치된 앵커(70)를 삽입설치한 다음,
상기 앵커부(71)와 상기 아치형 강관(4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강선(41)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면서 일정한 긴장력을 상기 강선(41)에 도입하도록 하여 강관에 아치의 저장성을 갖는 축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강선은 시공중 하중지지 역할을 주로 감당하도록 하면서 장력에 변화를 줌으로서 시공중 강관골조 구조의 아치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동바리(50)의 상부와 아치형 강관(40)을 포함하도록 하는 거푸집(42)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한 콘크리트아치교(20)를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b)(c)(d)(e)(f)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의 시공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양측에 설치된 교각(22) 기초의 내측에 힌지(60)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일측단부가 힌지핀(34)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30)을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내측에 각각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부분의 지상에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3)를 설치하여 상기 반아치 형 강관(30)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도 (b)는 상기 반아치형 강관(30)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50)를 가설하는 것이며,
도 (c)는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30)을 상기 힌지(60)의 회전을 이용하여 위로 인상하면서 양측의 반아치형 강관(30)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연결부에 키세그(31)로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을 상호 연결한 아치형 강관(40)을 설치하는 것이고,
도 (d)는 상기 아치형 강관(40)의 중심부인 지상의 상부에 앵커부(71)가 설치된 앵커(70)를 삽입설치한 다음,
상기 앵커부(71)와 상기 아치형 강관(4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강선(41)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면서 일정한 긴장력을 상기 강선에 도입하도록 하여 강관에 아치의 저장성을 갖는 축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강선은 시공중 하중지지 역할을 주로 감당하도록 하면서 장력에 변화를 줌으로서 시공중 강관골조 구조의 아치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고,
도 (e)는 상기 동바리(50)의 상부에 아치형 강관(40)을 포함하도록 하는 거푸집(42)을 설치하되,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예를 들면, 교각(22)에 인접한 부분에는 1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다음, 그 위에 부분을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고, 맨나중에 중앙부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고,
도 (f)는 상기의 모든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하 고, 콘크리트 아치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지주(25)를 세우고 교량상판(23)을 타설설치하여 지상의 도로면(24)과 연결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아치교(20)를 설치하면서 강선(41)을 제거하면 교량이 완성되는 것으로 시공중 마지막까지 원심케이블인 강선이 교량의 안정성에 기여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 (e)와 같이 아치형 강관(40)의 주위에 일시에 전체적으로 거푸집(42)을 설치하여 한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여러번으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은 여러번으로 구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체중량을 감소시켜 아치형 강관(40)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켜 아치형 강관의 변위를 최소화시키면서, 많은양을 일시에 타설하여 발생되는 많은 양의 수화열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균열등을 방지하여 품질을 확보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1개의 앵커부에 정작된 다수개의 강선인 원심케이블을 아치형 강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지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2개의 앵커부에 균등분배되어 나뉘어 정착된 다수개의 강선인 원심케이블을 아치형 강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지지하도록 한 후에 콘크리트를 단계적으로 타설하여 아치리브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아치리브에 배치된 아치형 강관에 원심케이블을 매달아 초기장력을 도입하고, 아치형 강관에 콘크리트를 단계적으로 타설하여 콘크리트아치리브를 설치할 때 발생되는 강관의 좌굴을 방지하므로서 가설동바리 없이 콘크리트아치를 안정적이며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콘크리트아치교를 설치하는 것은 일반적인 지 형에 적합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시공방법인 것이다.
상기 교각과 아치형 강관을 힌지로 연결한 다음 인상하여 키세그로 연결한 후에 상기 강관과 교각이 힌지로 연결된 부분을 강결구조로 전환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강관과 교각이 힌지로 연결된 것을 그대로 유지하고, 아치형 강관에 타설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아치리브와 교각을 강결연결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 시공과정을 아치형 강관을 강선으로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앵커가 2곳에 설치되어 강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의 (d)에서와 같이 아치형 강관(40)의 하부 중앙에 한곳의 앵커(70)의 앵커부(71)에 의하여 아치형 강관(40)과 강선(41)을 연결하도록 하지 않고, 2곳에 앵커(70)를 설치하여 각각의 앵커에 설치된 앵커부(71)와 강선(41)으로 아치형 강관(40)을 반으로 구분하여 각각 연결하도록 하여 시공중 아치형 강관(40)에 작용하는 축력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이러한 작용을 각각 2등분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a)(b)(c)(d)(e)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의 (a)(b)방법을 적용하고,
도 (c)는 반아치형 강관(30)의 외측부에 설치된 교각(22)을 지지기둥(73)으로 하고, 그 위에 새들(8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기둥(73)의 설치된 지점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떨어진 지점의 지중에 상부에 앵커부(71)가 설치된 앵커(70)를 삽입고정시킨 다음, 상기 앵커부(71)에 복수개 이상의 강선(41)을 정착하면서 상기 강선(41)을 후술하는 도5의 새들(80)의 원형볼(81)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설치하면서 각각의 강선을 반아치형 강관(30)에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을 위로 인상한 후에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의 양측단과의 사이에 키세그(31)를 삽입연결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아치형 강관(4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 (d)는 상기 도 (c)에서 아치형 강관(40)과 강선(41)이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아치형 강관(40)의 주위에 설치된 동바리(50)의 상부에 거푸집(42)을 아치형 강관(40)이 포함되도록 설치하되,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예를 들면, 교각(22)에 인접한 부분에는 1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다음, 그 위에 부분을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고, 맨나중에 중앙부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하도록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체중량을 감소시켜 아치형 강관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켜 아치형 강관의 변위를 최소화시키면서, 많은양을 일시에 타설하여 발생되는 많은 양의 수화열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균열등을 방지하여 품질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고,
본 도에서는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도 2의 도 (f)와 같이 최종적으 콘크리트 아치(2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의 지주(25)를 세우고 교량상판(23)을 지상의 도로면(24)과 연결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아치교(20)를 설치하도록 하면서, 원심케이블인 강선(41)을 제거하면 교량이 완성되는 것으로 시공중 마지막까지 강선인 원심케이블이 교량의 안정성에 기여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교량시공방법은 산악지형의 계곡이 있는 지형에 교량을 설치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 또한 일반적인 지형에도 적용실시할 수 있음도 아울러 밝혀둔다.
도 5는 도 4의 c)의 새들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반아치형 강관(30)에 복수개 이상 연결된 강선(41)을 지지기둥(73)위에 볼트(82)에 의하여 고정설치된 원형볼(81)의 상부에 걸쳐져 설치되도록 하여 강선(41)의 타측부가 새들(80)이 설치된 지지기둥(73)의 외측에 지중에 삽입된 앵커(70)의 상부에 설치된 앵커부(71)에 고정정착되도록 하여 일정한 축력이 강선에 작용되어 아치형 강관에 전달되어 축력이 아치형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b)(c)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아치교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양측에 설치된 교각(22) 기초의 외측에 힌지(60)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일측단부가 힌지핀(34)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30)을 상기 교각(22)의 외측에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3)를 설치하여 반아치형 강관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고,
도 (b)는 상기 반아치형 강관(30)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50)를 가설하는 것이며,
도 (c)는 반원형 강관(30)의 외측부에 설치된 교각(22)을 지지기둥(73)으로 하여 지지기둥 상부에 새들(8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기둥의 설치된 지점에 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떨어진 지점의 지중에 상부에 앵커부(71)가 설치된 앵커(70)를 삽입고정시킨 다음, 상기 앵커부(71)에 복수개 이상의 강선(41)을 정착하면서 상기 강선(41)을 도5의 새들(80)의 원형볼(81)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설치하면서 각각의 강선을 반아치형 강관(30)에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반아치형 강관(30)을 위로 인상한 후에 상기 반아치형 강관의 양측단과의 사이에 키세그(31)를 삽입연결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아치형 강관(4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고,
본 도에서는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도 4의 도 (d)의 방법으로 거푸집(42)을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 아치(21)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아치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로 지주(25)를 세우고 교량상판(23)을 설치하면서 지상의 도로면(24)과 연결하도록 하여 도 2의 (F)와 같이 콘크리트아치교(20)를 설치하면서, 원심케이블인 강선(41)을 제거하면 교량이 완성되는 것으로 시공중 마지막까지 원심케이블인 강선이 교량의 안정성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이유는 상기 도4의 이유와 같음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교량시공방법은 하천을 가로지르는 지형에 교량을 설치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 또한 일반적인 지형에도 적용실시할 수 있음도 아울러 밝혀둔다.
상기 도 2내지 도 6에서 사용된 힌지(60) 및 새들(80)은 아치교(20)가 설치되는 단계에 따라 철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아치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지주(25)를 세우고 교량상판(23)을 타설설치하여 지상의 도로면(24)과 연결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아치교(20)를 설치하면서 강선(41)을 제거하면 교량이 완성되는 것으로 시공중 마지막가지 원심케이블인 강선이 교량의 안정성에 기여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 4와 도 6의 지지기둥(73)은 추후에 교각(22)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새들(80)을 철거하면 교각(22)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시 이를 감안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치형 강관에 동바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아치형 강관(4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수개 연결철근(51)으로 상기 강관(40)을 감아 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바리(50)의 바닥이 되도록 하는 바닥 I강재(51)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 I강재(51)의 상부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단보강재(56)를 다수개 연결설치하고, 상기 바닥 I강재(51)의 하부에 I강재(5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면서 상기 I강재(58)를 마름모꼴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브레이싱(55)을 설치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40)의 단부측인 힌지(60)가 설치된 인근부분의 강관(40)에는 사재(53)를 설치한 단부트러스(54)를 상기 동바리(50)와 함께 설치하도록 하여 힌지(60)에 의하여 상기 아치형 강관(40)이 인상될때 단부측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해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아치형 강관에 동바리와 거푸집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아치형 강관(4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수개 연결철근(51)으로 상기 강관(40)을 감아 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바리(50)의 바닥이 되도록 하는 바닥 I강재(51)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 I강재(51)의 상부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단보강재(56)를 다수개 연결설치하고, 상기 바닥 I강재(51)의 하부에 I강재(5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면서 상기 I강재(58)를 마름모꼴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브레이싱(55)을 설치하여 변형에 저항하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I강재의 상부에 아치형 강관이 내측에 포함되도록 하는 거푸집(42)을 설치하면서, 거푸집(42)과 바닥I강재(58)의 외측단부까지의 일정한 거리를 작업로(57)로 개설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아치형 강관에 동바리를 설치한 것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아치형 강관(4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수개 연결철근(51)으로 상기 강관(40)을 감아 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바리(50)의 바닥이 되도록 하는 바닥 I강재(51)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 I강재(51)의 하부에 I강재(5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면서 상기 I강재(58)를 마름모꼴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브레이싱(55)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아치형 강관(40)에 사용되는 강관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모양의 강관 또는 알루비늄관이나 I빔이나 H빔 등이 사용되며,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크레인에 의해 인상하면서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의 단부와의 사이에 키 세그(31)를 끼워 리벳,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면 아치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아치(21)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첫 번째로 상기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양측의 교각(22)에 힌지(60)에 의하여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30)을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단부가 상호접하는 사이에 키세그(31)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아치형 강관을 설치한 다음, 상기 아치형 강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동바리(50)와 철근배근 및 거푸집(42)을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30)에 동바리(50)를 사전에 설치하여 제작하고, 이를 교각(22)의 힌지(60)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31)로 상호연결하여 아치형강관(40)을 설치한 다음 상기 동바리(50) 위에 강관(40)을 포함하도록 하는 아치형상의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분할타설하도록 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30)에 동바리(50)와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42)을 사전에 설치하여 제작하고, 이를 교각(22)의 힌지(60)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31)로 상호 연결하여 아치형강관(40)을 설치한 다음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분할타설하도록 하는 것이고,
네 번째로,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30)에 동바리(50)와 거푸집(42)을 사전 에 설치하여 제작하고, 이를 교각(22)의 힌지(60)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31)로 상호 연결한 후에 철근을 배근하여 아치형강관(40)을 설치한 다음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분할타설하도록 하는 것이고,
다섯번째로,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30)에 동바리(50)와 철근을 조립배치하고, 거푸집(42)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로 반아치를 제작한 다음 상기 반아치의 일측단부의 힌지(60)를 교각(22)의 힌지(60)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31)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키세그(31)의 연결부에 철근을 조립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전체적인 콘크리트아치(21)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아치를 제작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는 상기와 같이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거나 한번에 일괄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 아치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아치교를 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바리(50)에는 작업로(57)를 설치하여 거푸집(42)등 아치형 강관설치작업 및 일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또는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아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단계적으로 분할 타설하여 아치형 강관을 콘크리트 아치로 형성한 다음 기히 교각과 힌지로 상호 연결된 상태를 힌지로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고정연결된 상태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아치를 제작하여 아치교를 건설할 때 최소 물량만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설계작업이 가능하며, 작업 인원 및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교량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교량시공방법인 것이다.

Claims (11)

  1. 양측에 설치된 교각 기초의 내측에 힌지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일측단부가 힌지핀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을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내측에 각각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강관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부분의 지상에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를 가설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아치형 강관을 상기 힌지의 회전을 이용하여 위로 인상하면서 양측의 반아치형 강관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연결부에 키세그로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상호 연결한 아치형 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의 중심부인 지상에 상부에 앵커부가 설치된 앵커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앵커부와 상기 아치형 강관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강선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동바리의 상부에 아치형 강관을 포함하도록 하는 거푸집을 설치하되, 교각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1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다음, 그 위에 부분을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고, 맨나중에 중앙부를 타설양생하는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아치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아치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지주를 세우고 교량상판을 타설설치하여 지상의 도로면과 연결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아치교를 설치하면서 강선을 제거하도록 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강관을 강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앵커를 2곳에 설치하여 각각의 앵커에 설치된 앵커부와 강선으로 아치형 강관을 반으로 구분하여 각각 연결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3. 양측에 설치된 교각 기초의 내측에 힌지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일측단부가 힌지핀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을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내측에 각각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강관의 양측단이 상호 만나는 부분의 지상에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를 가설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의 외측부의 교각을 지지기둥으로 하면서 그 위에 새들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기둥의 설치된 지점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떨어진 지점의 지중에 상부에 앵커부가 설치된 앵커를 삽입고정시킨 다음, 상기 앵커부에 복수개 이상의 강선을 정착하면서 상기 강선을 새들의 원형볼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설치하면서 각각의 강선을 반원형 강관에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반원형 강관을 위로 인상한 후에 상기 반원형강관의 양측단과의 사이에 키세그를 삽입연결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원형 강관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아치형 강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과 강선이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아치형 강관의 주위에 설치된 동바리의 상부에 거푸집을 아치형 강관이 포함되도록 설치하되, 교각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1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다음, 그 위에 부분을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고, 맨나중에 중앙부를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여 단계적으로 콘크리트아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콘크리트 아치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지주를 세우고 교량상판을 타설설치하여 지상의 도로면과 연결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아치교를 설치하면서 강선을 제거하도록 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4. 양측에 설치된 교각 기초의 외측에 힌지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일측단부가 힌지핀으로 연결된 반아치형 강관을 상기 교각의 외측에 설치하면서 상기 반아치형 강관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반아치형 강관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동바리를 가설하고,
    상기 반아치형 강관의 외측부의 교각을 지지기둥으로 하면서 그 위에 새들 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기둥의 설치된 지점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떨어진 지점의 지중에 상부에 앵커부가 설치된 앵커를 삽입고정시킨 다음, 상기 앵커부에 복수개 이상의 강선을 정착하면서 상기 강선을 새들의 원형볼면을 타고 넘어가도록 설치하면서 각각의 강선을 반원형 강관에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반원형 강관을 위로 인상한 후에 상기 반원형강관의 양측단과의 사이에 키세그를 삽입연결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반원형 강관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아치형 강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과 강선이 상호 연결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아치형 강관의 주위에 설치된 동바리의 상부에 거푸집을 아치형 강관이 포함되도록 설치하되, 교각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1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다음, 그 위에 부분을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고, 맨나중에 중앙부를 콘크리트로 타설양생하여 단계적으로 콘크리트아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콘크리트 아치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지주를 세우고 교량상판을 타설설치하여 지상의 도로면과 연결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아치교를 설치하면서 강선을 제거하도록 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교각인 지지기둥위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설치된 원형볼로서 상기 원형볼의 상부에 강선이 걸쳐져 설치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6. 제 1항, 제3항,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동바리는 아치형 강관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수개 연결철근으로 상기 강관을 감아 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바리의 바닥이 되도록 하는 바닥 I강재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닥 I강재의 상부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단보강재를 다수개 연결설치하고, 상기 바닥 I강재의 하부에 I강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면서 상기 I강재를 마름모꼴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브레이싱을 설치하고, 상기 아치형 강관의 단부측인 힌지가 설치된 인근부분의 강관에는 사재를 설치한 단부트러스를 상기 동바리와 함께 설치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7. 제 1항, 제3항,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아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에 동바리를 사전에 설치하여 제작하고, 이를 교각의 힌지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로 상호연결하여 아치형강관을 설치한 다음 상기 동바리 위에 강관을 포함하도록 하는 아치형상의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단계적 으로 콘크리트를 분할타설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8. 제 1항, 제3항 ,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아치를 설치방법은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에 동바리와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사전에 설치하여 제작하고, 이를 교각의 힌지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로 상호 연결하여 아치형강관을 설치한 다음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분할타설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9. 제 1항, 제3항,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아치를 설치방법은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에 동바리와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제작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로 반아치를 제작한 다음 반아치의 일측단부의 힌지를 교각의 힌지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키세그의 연결부에 철근을 조립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아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10. 제 1항, 제3항,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아치를 설치방법은 지상에서 반아치형 강관(30)에 동바리(50)와 거푸집(42)을 사전에 설치하여 제작하고, 이를 교각(22)의 힌지(60)에 연결하도록 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상하고, 키세그(31)로 상호 연결한 후에 철근을 배근하여 아치형강관(40)을 설치한 다음 단계적으로 콘크리트를 분할타설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11. 제 1항, 제3항,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과 아치형 강관을 연결하는 것은 교각과 아치형 강관을 힌지로 연결한 다음 인상하여 키세그로 연결한 후에 상기 강관과 교각이 힌지로 연결된 부분을 강결구조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강관과 교각이 힌지로 연결된 것을 그대로 유지하고, 아치형 강관에 타설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아치리브와 교각을 강결연결한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KR1020050123572A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KR10056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572A KR100565865B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572A KR100565865B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018A Division KR20070010449A (ko) 2005-07-18 2005-07-18 아치교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865B1 true KR100565865B1 (ko) 2006-03-30

Family

ID=3718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572A KR100565865B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86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66B1 (ko) 2009-08-31 2010-02-09 서평원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CN102493360A (zh) * 2011-12-29 2012-06-13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钢筋混凝土拱桥施工方法
CN102561207A (zh) * 2010-12-31 2012-07-11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拱肋竖转施工方法
KR101232329B1 (ko) 2010-12-24 2013-0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3882798A (zh) * 2014-04-03 2014-06-25 四川省交通运输厅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 一种钢管混凝土强劲骨架的钢筋混凝土拱桥及其施工方法
CN104213514A (zh) * 2014-08-25 2014-12-17 浙江大学 一种覆土波纹钢板-混凝土组合拱桥的加强方法
CN104404887A (zh) * 2014-12-01 2015-03-11 中铁二十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管拱桥无支架吊装工艺
CN104594197A (zh) * 2014-12-01 2015-05-06 中铁二十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管拱桥无支架施工工艺
CN109610332A (zh) * 2018-12-18 2019-04-1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系杆拱桥安装的方法及其辅助装置和应用
CN111119067A (zh) * 2020-02-27 2020-05-08 重庆交通大学 一种用于拱桥的外包底板混凝土浇筑模板及其施工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66B1 (ko) 2009-08-31 2010-02-09 서평원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32329B1 (ko) 2010-12-24 2013-0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2561207A (zh) * 2010-12-31 2012-07-11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拱肋竖转施工方法
CN102493360A (zh) * 2011-12-29 2012-06-13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钢筋混凝土拱桥施工方法
CN102493360B (zh) * 2011-12-29 2013-09-04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钢筋混凝土拱桥施工方法
CN103882798B (zh) * 2014-04-03 2016-09-07 四川省交通运输厅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 一种钢管混凝土强劲骨架的钢筋混凝土拱桥及其施工方法
CN103882798A (zh) * 2014-04-03 2014-06-25 四川省交通运输厅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 一种钢管混凝土强劲骨架的钢筋混凝土拱桥及其施工方法
CN104213514A (zh) * 2014-08-25 2014-12-17 浙江大学 一种覆土波纹钢板-混凝土组合拱桥的加强方法
CN104594197A (zh) * 2014-12-01 2015-05-06 中铁二十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管拱桥无支架施工工艺
CN104594197B (zh) * 2014-12-01 2016-03-23 中铁二十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管拱桥无支架施工工艺
CN104404887A (zh) * 2014-12-01 2015-03-11 中铁二十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管拱桥无支架吊装工艺
CN109610332A (zh) * 2018-12-18 2019-04-1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系杆拱桥安装的方法及其辅助装置和应用
CN111119067A (zh) * 2020-02-27 2020-05-08 重庆交通大学 一种用于拱桥的外包底板混凝土浇筑模板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865B1 (ko) 콘크리트 아치교 시공방법
KR100565864B1 (ko) 피시(pc)콘크리트박스거더와 결합시공된 콘크리트아치하로교 시공방법
KR100941066B1 (ko)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3648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작된 강합성보
JP2002201609A (ja) コンクリートアーチ橋の構築方法
CN108149585B (zh) 一种预制拼装桥墩的墩柱节段的拼接结构及拼接方法
KR101007708B1 (ko)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522170B1 (ko) 단경간 및 다경간 합성형교(合成桁橋)의 시공법
KR100543969B1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라멘 교량의 슬래브의 중앙부에설치하고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하여 설치된합성형 라멘 교량 및 이의시공방법
JP2006090026A (ja) 既設鋼部材アーチ橋の補修・補強構造
CN113215956A (zh) 预制装配化空心钢管混凝土拱桥及其施工方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318565B1 (ko) 주형의 박스화에 의한 피씨 빔 교량의 보강 방법 및 그에 의한
CN111549642A (zh) 一种墩-梁一体的预制刚构桥
EP3455412B1 (en) Method for reinforcing a structure comprising a pier and a cross-beam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CN112144412A (zh) 预制装配式柱间系梁的施工方法
KR100894650B1 (ko)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4314712B2 (ja) 橋脚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200343468Y1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라멘 교량의 슬래브의 중앙부에설치하고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하여 설치된합성형 라멘 교량
KR100377868B1 (ko) 교각용 틀비계를 이용한 교각 시공 방법
JP2000045229A (ja) 橋梁の建設方法
KR100609825B1 (ko) 프리플렉스합성빔과 연결 기둥부재의 수평부재 단부에형성된 사선을 서로 연결한 후에 수직부재에 하중을작용시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부 구조물을이용하여 설치한 프리플렉스 라멘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227216A (zh) 一种钢斜撑连续刚构桥的三角区扣索吊索联合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