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917B1 -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917B1
KR100563917B1 KR20030036882A KR20030036882A KR100563917B1 KR 100563917 B1 KR100563917 B1 KR 100563917B1 KR 20030036882 A KR20030036882 A KR 20030036882A KR 20030036882 A KR20030036882 A KR 20030036882A KR 100563917 B1 KR100563917 B1 KR 10056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ongitudinal direction
linear light
cylindrical len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495A (ko
Inventor
송태선
Original Assignee
송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선 filed Critical 송태선
Priority to KR2003003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17B1/ko
Priority to PCT/KR2004/001362 priority patent/WO2004110052A1/en
Publication of KR2004010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6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or a combination of such arrays, e.g. an LED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는 주사수단을 포함한다. 주사 수단은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주사 수단을 고속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2차원으로 주사할 수 있다.
2차원 광주사, 2차원 스캐닝, 영상 표시 장치, 정보 판독 장치

Description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Two-dimensional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직선형 광원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콜리메이터 렌즈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쐐기형 프리즘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장치의 일부를 yz평면 및 zx평면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7 및 8은 배면 투사형 영상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선형 광원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주사수단을 사용하여 빔을 2차원적으로 편향시켜 주사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대형 영상 표시 장치는 대체로 CRT장치로 대표되는 직시형 영상표시장치, LCD 프로젝터로 대표되는 투사형 영상표시장치, 및 광학적 주사형 영상 표시장치로 대별된다.
직시형 영상 표시 장치인 CRT는 컬러 화상 신호의 적/녹/청색 성분에 대응하여 적/녹/청색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적/녹/청색 전자빔이 형광패널상에 형성된 적/녹/청색 컬러화소의 형광점에 도달되어 컬러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적/녹/청색 컬러화소의 형광점을 발광시킴으로써 형광패널에 컬러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CRT장치에서는 적/녹/청색 전자총에서 방사되어 형광패널상에 도달되는 적/녹/청색 전자빔의 절대적인 유동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치수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대중량으로 되어 컬러화면의 대형화는 제한을 받게 된다.
그에 대해,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를 대표하는 LCD 프로젝터에 따르면 경박화가 가능하면서 비교적 대형 화면의 구성은 가능하게 되지만 편광판의 채용으로 말미암아 광손실이 초래되는 불리함이 있다.
광학적 주사 방식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본 출원인의 특허 제0366155호에서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특허의 경우에는 2개의 회전 다면경을 사용하여 2차원으로 주사하므로 광주사 장치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클 뿐 아니라, 하나의 광원에서 나온 빛을 2차원으로 주사시켜야 하기 때문에, 2개의 회전 다면경이 고속으로 회전해야만 했다. 이러한 고속 회전으로 인해 소비 전력이 크고 소음이 생길 수도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의 주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2차원의 주사가 가능 한 2차원 광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의 주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대형 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소형화된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직선형 광원의 각각의 발광 소자에서 발광하는 빛을 각각의 대략 평행한 빔으로 바꾸어 주는 콜리메이터 렌즈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1 원통형 렌즈;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원통형 렌즈;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직선형 광원과 제1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직선형 광원과 제2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가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원통형 렌즈와 제2 원통형 렌즈는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제1 굴절력과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제2 굴절력을 가지는 토릭 렌즈 또는 아나모픽 렌즈 1매 대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1 원통형 렌즈;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원통형 렌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 및
주사 수단에서 주사된 빛이 투사되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직선형 광원과 제1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상기 직선형 광원과 제2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는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가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원통형 렌즈와 제2 원통형 렌즈는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제1 굴절력과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제2 굴절력을 가지는 토릭 렌즈 또는 아나모픽 렌즈 1매 대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2차원 광주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2차원 광주사 장치(10)는 직선형 광원(100)과, 콜리메이터 렌즈(200), 광원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다면경(300)으로 이루어진다.
직선형 광원(100)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발광 소자,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서 표시될 영상에 해당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변조된 빛을 방출한다. 직선형 광원(10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 소자(110)가 1줄로 배열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1줄로 충분한 해상도를 갖지 못하거나 광량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어레이로 배열된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도 2의 (b) 참조)
제1 렌즈부(200)는 직선형 광원(100)의 각각의 발광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각각의 대략 평행한 빔으로 바꾸어 주는 원통형 렌즈(cylindrical lens) 또는 토릭 렌즈(toric lens)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콜리메이터 렌즈(200)는 도 3의 (a) 내 지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선형 광원(100)의 각각의 발광 소자(110)에 부착되어 있는 소형의 막대 렌즈(rod lens, 120) 및/또는 볼렌즈(130), 비구면 렌즈(140) 등의 어레이일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내지 (c)에 도시된 막대 렌즈 등과 원통형 렌즈(또는 토릭 렌즈)를 같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각각의 발광 소자에서 나오는 빛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프리즘(210) 또는 쐐기형 반사면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쐐기형 프리즘(210)은 반사 코팅이 된 경사면(211)과 광축과 평행한 전반사면(212) 및 렌즈면(2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면(213)이 적절하게 형성된 경우 콜리메이터 렌즈(200)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각각의 발광 소자(110)에서 나오는 빛은 경사면(211)에서 반사된 후 전반사면(212)에서 반사할 때마다 경사각에 비례하여 발광 소자에서 나오는 발산광의 발산 각도가 감소하게 되어 빛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회전 다면경(300)은 그 회전축(310)이 직선형 광원(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직선형 광원(100)에서 변조되어 나온 빛이 콜리메이터 렌즈(200)를 통과하여 각각의 평행빔으로 바뀌어 회전하는 회전 다면경(300)에 의하여 2차원으로 주사되어 스크린(500)에 영상이 표시된다.
이 때, 도 1과 같이 직선형 광원이 x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고 할 때, 직선형 광원의 길이는 최종적으로 스크린(500)의 x 방향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며 스크린(500)의 y 방향의 크기는 회전 다면경(300)의 주사 각도와 회전 다면경(300)과 스크린(500)까지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회전 다면경(300)과 스크린(500)까지의 거리와 최대 화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2 × TL × tan (360°/ m)
여기서, TL은 회전 다면경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
m은 회전 다면경의 면수임.
그러나 실제의 경우에 있어서 기구적 공차 및 기타 여유분 확보를 위하여 최대 화면의 크기 보다 작은 영역에서 재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다면경(300)과 스크린(500) 사이에 f-θ렌즈와 같은 보정 렌즈를 배치하여, 회전 다면경(300)에서 주사되는 빔을 정형시킬 수 있다. 보정 렌즈는 주사되는 각도가 큰 경우에 있어서 중앙의 광다발의 형상과 외곽의 광다발의 형상의 변화가 큰 경우, 즉 회전 다면경에서 반사되어 화면에 주사되는 각도가 큰 경우에는 수차가 크게 발생하여 광다발의 형상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 사용되며, 보정렌즈에 의하여 각종 광학적 오차를 수정하여 화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가 직선형 광원의 길이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2차원 광주사 장치였다면, 제2 실시예는 직선형 광원의 길이보다 확대된 화면을 주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 에 도시된 2차원 광주사 장치(10)는 직선형 광원(100)과, 2개의 원통형 렌즈(250, 260), 광원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다면경(300) 및 보정렌즈(400)로 이루어진다.
직선형 광원(100)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발광 소자,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서 표시될 영상에 해당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변조된 빛을 방출한다. 직선형 광원(10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 소자(110)가 1줄로 배열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1줄로 충분한 해상도를 갖지 못하거나 광량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어레이로 배열된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도 2의 (b) 참조)
제1 원통형 렌즈(250)는 직선형 광원이 도 5에서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z축 방향으로 빛을 방출한다고 할 때, yz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원통형 렌즈(260)는 zx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형상이다. 이때, 직선형 광원(100)과 제1 원통형 렌즈(250) 사이의 거리는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 f1이고, 직선형 광원(100)과 제2 원통형 렌즈(260) 사이의 거리는 제2 원통형 렌즈(260)의 초점 거리 f2가 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원통형 렌즈(250) 및 제2 원통형 렌즈(260)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x축 초점거리 및 y축 초점거리가 다른 토릭 렌즈(toric lens) 또는 아나모픽 렌즈(anamorphic lens)를 사용하여, 1매의 토릭 렌즈 또는 아나모픽 렌즈로 제1 원통형 렌즈와 제2 원통형 렌즈의 기능을 하게 할 수도 있다.
회전 다면경(300)은 그 회전축(310)이 직선형 광원(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보정 렌즈(400)는 회전 다면경(300)에 의하여 주사되는 빛이 화면에 맺힐 때 보정하는 기능을 한다. 광원의 발산각이 매우 작을 경우와 회전 다면경에 의하여 주사하는 주사 각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발생하는 수차 및 광다발의 형상의 왜곡이 작게 되어 보정 렌즈(400)가 없어도 충분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직선형 광원(100)에서 변조되어 나온 발산 빔 중 yz 평면 상에서 발산하는 성분 빔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렌즈(250)에 입사하게 된다. yz 평면 상에서 발산하는 성분 빔은 제1 원통형 렌즈(250)의 초점에서 발산하는 빛이 되어 제1 원통형 렌즈(250)에 의하여 평행한 빔으로 되고 제2 원통형 렌즈(260)에 의해서는 굴절되지 않고 회전 다면경(300)으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직선형 광원(100)에서 변조되어 나온 발산 빔 중 xz 평면 상에서 발산하는 성분 빔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렌즈(250)를 통과하여, 제2 원통형 렌즈(260)에 입사하게 된다. xz 평면 상에서 발산하는 성분 빔은 제2 원통형 렌즈(260)의 초점에서 발산하는 빛이 되어 제2 원통형 렌즈(250)에 의하여 평행한 빔이 된다. 이 때, 각각의 발광 소자(110)의 위치에 따라서 제2 원통형 렌즈(260)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평행빔으로 된다. 따라서, 직선형 광원(100)에서 나온 빛은 제1 원통형 렌즈(250) 및 제2 원통형 렌즈(260)를 통과하 여 y축 방향으로는 좁은 폭을 가지고 x축 방향으로는 위치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넓은 빔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확대된 빔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다면경(300)에 의하여 2차원 적으로 주사되게 된다. 보정 렌즈(400)는 회전 다면경(300)에 의하여 주사되는 빛이 화면(500)화면에 맺힐 때 보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주사 방향 뿐 아니라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으로도 원래의 직선형 광원의 길이 보다 큰 크기로 영상을 확대,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발광 소자(110)가 도 6b에서와 같이 광축에서 H의 위치에 있다고 할 때, 소정의 각도를 갖는 평행한 광의 각도는
tan = H/f2
(여기서, f2은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임.)
이다. 따라서, 직선형 광원이 x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고 할 때, x축 방향의 화면의 크기는
2 × f3 × tanθ = 2 × f3 × H / f2
(여기서 f3는 보정렌즈부의 초점 거리임)이 된다. 보정렌즈가 없는 경우, 또는 프리즘과의 결합 등에 의하여 보정 렌즈부가 초점거리등의 형태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화면의 크기는
2 × TL × tanθ
(여기서 TL은 회전다면경에서 화면/스크린까지의 거리)이 된다.
위 경우에 있어서 화면의 다른 한 방향의 크기(y 방향의 크기)는 회전 다면 경(300)의 주사 각도와 회전 다면경(300)과 스크린(500)까지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때 회전 다면경(300)과 스크린(500)까지의 거리와 최대 화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2 × TL × tan (360°/ m)
(여기서, TL은 회전 다면경과 스크린까지의 거리, m은 회전 다면경의 면수임)
그러나 실제의 경우에 있어서 기구적 공차 및 기타 여유분 확보를 위하여 최대 화면의 크기 보다 작은 영역에서 재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2차원 주사 장치를 영상 표시 장치로 활용할 때,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나 전면 투사형 표시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전면 투사형 표시 장치로 사용할 때는 도 5의 스크린(500)과 같이 적당한 위치에 스크린을 형성하면 된다.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명암대비(contrast)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7 또는 도 8과 같은 하우징(6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2차원 광주사 장치(10)와 스크린(510) 사이의 거리를 소정 거리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1개 이상의 반사경(610, 62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크린은 투과형 스크린(510)을 사용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영상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주사 장치를 이용하여 2차원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즉, 광원으로 연속적으로 발광하는 단색 레이저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영상 표시 장치 의 스크린 부분에 정보가 기록된 시트 등을 놓아 2차원적으로 주사하여, 시트에서 반사, 산란된 빛을 외부의 인식 장치에서 인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직선형 광원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다면경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 2차원 주사 장치에 비해 소형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 다면경을 고속으로 회전시키지 않아도 2차원 주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절감하고 소음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광주사 장치는 직선형 광원의 길이 정도의 크기로 주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확대하여 주사하는 것도 가능하여 대형 영상 표시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1 원통형 렌즈;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원통형 렌즈;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
    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광원과 제1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상기 직선형 광원과 제2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가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6.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제1 굴절력과,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제2 굴절력을 가지는 토릭 렌즈 또는 아나모 픽 렌즈;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절력과 제2 굴절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수단에서 주사되는 빛을 화면에 정형하는 보정 렌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2차원 광주사 장치가 2개 이상의 직선형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9.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광원의 발광 소자 전면에 쐐기형 프리즘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광주사 장치.
  10.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 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1 원통형 렌즈;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원통형 렌즈;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 및
    상기 주사 수단에서 주사된 빛이 투사되는 스크린
    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광원과 제1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상기 직선형 광원과 제2 원통형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이며, 제1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가 제2 원통형 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1.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선형 광원;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에서 제1 굴절력과,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제2 굴절력을 가지는 토릭 렌즈 또는 아나모픽 렌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회전 다면경을 포함하며, 회전 다면경의 회전 축이 상기 직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된 주사 수단; 및
    상기 주사 수단에서 주사된 빛이 투사되는 스크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절력과 제2 굴절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수단에서 주사되는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반사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투과형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20030036882A 2003-06-09 2003-06-09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056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882A KR100563917B1 (ko) 2003-06-09 2003-06-09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PCT/KR2004/001362 WO2004110052A1 (en) 2003-06-09 2004-06-08 Two-dimensional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882A KR100563917B1 (ko) 2003-06-09 2003-06-09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495A KR20040105495A (ko) 2004-12-16
KR100563917B1 true KR100563917B1 (ko) 2006-03-23

Family

ID=3350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6882A KR100563917B1 (ko) 2003-06-09 2003-06-09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3917B1 (ko)
WO (1) WO2004110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9510A1 (fr) * 2004-12-28 2006-07-06 Ning Yuan Appareil de projection d'images video et son procede
EP1949665A1 (en) * 2005-10-27 2008-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of scanning light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CN108957619B (zh) * 2018-07-25 2022-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组件、导光组件的制作方法以及背光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279A (en) * 1978-11-16 1980-05-21 Canon Inc Picture conversion unit
JP2584645B2 (ja) * 1988-01-12 1997-02-2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線像走査装置
JP3295281B2 (ja) * 1995-08-10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ーザー走査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495A (ko) 2004-12-16
WO2004110052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221B2 (en) Scanning type projector
KR101029920B1 (ko) 형광 스크린을 이용하는 주사 빔 디스플레이 시스템용 광학설계
US7101052B2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optical system
US8089425B2 (en) Optical designs for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ing fluorescent screens
US7486426B2 (en) Two-dimensional optical scan system using a counter-rotating disk scanner
JP2577112B2 (ja) ラスタ入力走査装置
JPS58166321A (ja) 光学的走査装置
JP5320932B2 (ja) 投影装置
US4097115A (en) Optical scanning device for producing a multiple line scan using a linear array of sources and a textured scanned surface
KR100607644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JP4681825B2 (ja) 走査型表示光学系
US7891817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for reducing optical elements
US10110866B1 (en) Scanning laser projectors with improved short projection distance image quality
KR100563917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표시 장치
US20070019407A1 (en) Two dimensional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60023285A1 (en) Pixel differential polygon scanning projector
US6339490B1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4639691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H08248345A (ja) 光走査装置
JP4651830B2 (ja) ビーム合成方法・マルチビーム走査用光源装置・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KR20040007693A (ko) 백프로젝션 스크린
KR100535342B1 (ko) 2차원 광주사 장치, 2차원 수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영상 표시 장치
JP2003021801A (ja) 画像表示装置
KR20040090901A (ko) 2차원 광 주사장치를 가지는 영상표시장치
JPH09258127A (ja) レーザーダイオ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