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122B1 -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 Google Patents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122B1
KR100559122B1 KR1020040001857A KR20040001857A KR100559122B1 KR 100559122 B1 KR100559122 B1 KR 100559122B1 KR 1020040001857 A KR1020040001857 A KR 1020040001857A KR 20040001857 A KR20040001857 A KR 20040001857A KR 100559122 B1 KR100559122 B1 KR 10055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blet
drug
cassette
tablet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779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04000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122B1/ko
Priority to US11/003,406 priority patent/US7277776B2/en
Publication of KR2005007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779A/ko
Priority to US11/188,702 priority patent/US72250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122B1/ko
Priority to US11/565,951 priority patent/US7305279B2/en
Priority to US11/672,325 priority patent/US739513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자동포장기에 수납되고 약품 정제가 보유된 정제카세트에 약품 정제의 정보를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측에서 상기 정제카세트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정보를 용이하게 갱신하거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는 약품자동포장기에 장착되며 약품 정제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칩이 설치된 정제카세트에 약품의 정보를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한 정보입력기로서, 상기 메모리칩에 기록될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메모리칩과 접속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입력부 및 기록부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약품, 정제, 자동포장기, 호퍼, 모터, 카세트, 메모리칩, 키패드, 플레시 메모리

Description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INFORMATION WRITER OF CASSETTE BE FILLED PILL}
도 1은 일반적인 약품자동포장기의 정제카세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약품자동포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에 정제카세트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 3은 약품자동포장기에 정제카세트가 수납된 단면도.
도 4는 약품자동포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에 정제카세트가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약품자동포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와 정제카세트가 분리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를 이용한 약품 정제의 정보입력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약품자동포장기 52 : 케이스
54 : 통로 56 : 호퍼
57 : 포장어셈블리 58 : 인쇄부
59 : 히터 60 : 카세트 받침대
62 : 배출공 64 : 모터
66a : 수광부 66b : 발광부
66 : 감지센서 67 : 커넥터
70 : 정제카세트 72 : 정제안내회전부재
75 : 메모리칩 77 : 소켓
100 : 정보입력기 102 : 본체
104 : 입력부 106 : 기록부
107 : 커넥터 108 : 제어부
110 : 표시부 112 : 콘트롤러
114 : 저장매체 116 : 정합부
117 : 단차부
본 발명은 약품자동포장기의 정제카세트에 약품 정제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카세트에 장착되어 약품 정제의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칩에 약품 정제의 정보를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품자동포장기는 환자의 병에 따라 처방된 처방전의 내용에 따라 각각의 약품 정제를 배출하여 1회분 씩의 약품을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약품이 종류에 따라 보유된 정제카세트를 상기 약품자동포 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에 수납하고, 상기 카세트 받침대에 수납된 정제카세트가 처방전에 따라 각각 단속 제어되어 1회분씩 처방된 정제가 상기 설치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출된 후, 호퍼에 의해 집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집합된 정제를 포장어셈블리에 의해 개별포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약품자동포장기의 정제카세트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약품자동포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에 정제카세트가 장착되는 상태도로서, 종래에는 약품자동포장기에 복수의 카세트 받침대(10)가 설치되고, 상기 카세트 받침대(10)에는 각각의 약품 정제가 보유된 정제카세트(20)가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정제카세트(20)의 하부면에는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칩(25)이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켓(2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 받침대(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메모리칩(25)의 소켓(27)이 삽입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커넥터(17)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17)는 상기 약품자동포장기에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칩(25)에는 정제카세트(20)의 고유번호와 상기 정제카세트(20)에 보유된 약품을 정확하게 배출하기 위한 정보, 즉 약품의 종류, 크기와 같은 제원과, 그 약품의 감지에 필요한 센서의 감도, 최소약품의 감지시간, 약품센싱주기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전술된 정제카세트(20)는 상기 카세트 받침대(10)에 수납되며 상기 메모리칩(25)이 상기 커넥터(17)에 접속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약품자동포장기는 상기 정제카세트(20)의 메모리칩(25)에 기록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확인하여 그 정제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된 종래의 약품자동포장기는 상기 정제카세트(20)에 보유된 약품 정제가 부족하게 되면, 해당 정제카세트(20)의 일측에 형성된 정제카세트 번호 인식문자를 발광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정제카세트(20)를 카세트 받침대(10)로부터 분리한 뒤, 해당 약품 정제를 보충하며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정제카세트(20)의 인식문자(20a)와 상기 카세트 받침대(10)에 표시된 인식문자(10a)를 확인하여 동일한 인식문자가 표시된 정제카세트(20)와 카세트 받침대(10)를 일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메모리칩(25)이 정제카세트(20)에 장착되어 있고 이 메모리칩(25)에 약품정제의 정보가 수록되기 때문에 반드시 해당 카세트 받침대에 해당 정제카세트가 장착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제카세트(20)는 제품의 출하시 전용 입력기에 의해 상기 정제카세트(20)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칩(25)에 입력되고 있으나, 약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신약의 개발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25)에 저장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갱신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메모리칩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장치가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정제카세트(20)의 메모리칩(25)에 약품 정제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전용 입력장치가 설치된 공장 또는 대리점으로 제품을 보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정보갱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체되고, 정보갱신이 불편하여 사용자측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정제카세트(20)에 같은 약품 정제가 투입되거나, 동 일한 약품 정제가 서로 다른 정제카세트(20)에 보유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측에서 정제카세트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정보를 용이하게 갱신하거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는 약품자동포장기에 장착되며 약품 정제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칩이 설치된 정제카세트에 약품의 정보를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한 정보입력기로서, 상기 메모리칩에 기록될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메모리칩과 접속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입력부 및 기록부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정제카세트가 정합되는 정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합부에는 상기 메모리칩과 접속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는 상기 메모리칩에 기록된 약품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메모리칩에 입력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전술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는 상기 약품자동포장기의 약품 정제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는 플레 쉬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약품자동포장기에 정제카세트가 수납된 단면도이고, 도 4는 약품자동포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에 정제카세트가 결합된 단면도이며, 도 5는 약품자동포장기의 카세트 받침대와 정제카세트가 분리된 단면도이다.
전술된 약품자동포장기(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52)의 상부에는 다수의 선반이 설치되고, 각각의 선반에는 다수의 정제카세트(70)를 장착하기 위한 카세트 받침대(60)가 설치된다.
상기 정제카세트(70)는 약품 정제를 카세트 받침대(60)에 형성된 배출공(62)을 통하여 약품 정제를 배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제카세트(70)에는 약품 정제를 하나씩 배출하기 위한 정제안내회전부재(72)가 내장되고, 상기 카세트 받침대(60)에 설치된 모터(64)에 의해 회전되며 약품 정제의 배출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 받침대(60)의 배출공(62)에는 배출되는 약품 정제를 감지하기 위한 수광부(66a)와 발광부(66b)로 이루어진 감지센서(6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52)의 내측에는 상기 카세트 받침대(60)로부터 배출된 약품 정제를 하방으로 배출되는 통로(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2)의 하부에는 상기 통로(54)로부터 배출된 약품 정제를 취합하기 위한 호퍼(56)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56)의 하측에는 취합된 약품을 일회의 투입량 단위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어셈블리(57)가 설치된다. 상기 포장어셈블리(57)는 포장지에 투입 주의 사항 등의 추가적인 기재를 위한 인쇄부(58)와, 상기 포장지의 개구를 열융착하기 위한 히터(59)를 포함한다.
전술된 약품자동포장기(50)에 있어서 약품 정제의 식별은 상기 정제카세트(7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메모리칩(75)이 실장된 소켓(77)이 상기 카세트 받침대(60)의 커넥터(67)에 접속되며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기록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상기 케이스(52)의 마이컴으로 전송되며 이루어진다.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은 제품의 출하전에 전용입력기에 의해 각각의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될 약품 정제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칩(75)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약품자동포장기(50)에 할당된 정제카세트(70)의 고유번호와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된 약품의 종류, 크기와 같은 제원과, 그 약품의 감지에 필요한 센서의 감도, 최소약품의 감지시간 또는 약품센싱주기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의 블록도이다.
한편, 상기 정제카세트(70)는 약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신약의 개발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되는 약품의 종류가 변경되면 상기 메모리칩(75)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정보입력기(100)가 사용된다.
상기 정보입력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02) 상부면 일측에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기록될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04)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부(104)는 키패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해진 약품의 코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2)의 상부면에는 상기 입력부(104)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상기 메모리칩(75)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10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보입력기(100)에는 상기 입력부(104) 및 기록부(106)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부(106)는 상기 본체(102)의 상부면에 상기 정제카세트(70)를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정합부(116)는 상기 카세트 받침대(6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합부(116)의 일측에는 상기 메모리칩(75)의 소켓(77)과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107)가 형성되고, 상기 정합부(116)의 주변부에는 상기 정제카세트(70)의 정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단차부(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2)는 상기 입력부(104)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제어부(108)와 연결되어 제어부(108)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10)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LCD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2)의 전면에는 상기 정보입력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등(111)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입력기에 입력된 값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기록부(106)로 전송하는 콘트롤러(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콘트롤러(112)와 EIA-232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규약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112)는 상기 기록부(106)와 EIA-485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규약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기록부(106)는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기록된 정 보와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칩(75)에 기록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입력기(100)는 상기 약품자동포장기(50)에 할당된 정제카세트(70)의 고유정보와,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14)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입력기(100)는 상기 저장매체(114)에 저장된 정제카세트(7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새로운 정제카세트(70)의 추가시 새로운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다른 약품이 저장될 경우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약품 정제의 정보가 새롭게 갱신되므로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항상 정확한 약품 정제의 정보를 갖게 된다.
나아가, 약품 정보의 입력시 상기 정제카세트(70)의 고유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약품이 보유된 정제카세트(70)가 존재할 경우, 동일한 약품 정제가 다른 정제카세트(70)에 동시에 등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114)로는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플레쉬(flash) 메모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를 이용한 약품 정제의 정보입력 순서도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정제카세트(70)의 정보를 판독하거나 상기 정제카세트(70)에 약품 정제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정제카세트(70)를 정보입력기(100)의 정합부(116)에 위치시킨다. 상기 정제카세트(70)는 상기 정합부(116)에 형성된 단차부(117)에 장착위치가 안내되며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정제카세트(70)의 하부면에 장착된 메모리칩(75)의 소켓(77)이 상기 정보입력기(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커넥터에 삽입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제카세트(70)가 상기 정보입력기(100)에 안착되면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정보입력기(1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저장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읽거나 상기 메모리칩(75)에 약품 정제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작동 메뉴를 선택한다(S11, S12).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정보입력기(100)에 기록 메뉴를 선택하면, 입력부(104)를 통해 약품의 종류, 크기와 같은 제원과, 그 약품의 감지에 필요한 센서의 감도, 최소약품의 감지시간, 약품센싱주기와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S13). 이때, 상기 정보입력기(100)의 제어부(108)는 플레쉬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114)에 정제카세트(70)의 고유번호와 그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매체(114)에 새로운 약품 정제를 추가하거나 정제카세트(70)를 추가할 경우 그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14)와 비교하고, 상기 정제카세트(70)에 할당된 고유번호가 없어나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되는 약품 정제가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상기 저장매체(114)에 저장한다(S14). 다음으로 약품 정제의 정보를 콘트롤러(112)로 기계어로 전환한 후 상기 메모리칩(75)에 기록하고(S16), 상기 메모리칩(75)에 기록되는 약품 정제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부(110)에 표시한다(S17).
한편, 상기 저장매체(114)에 상기 정제카세트(70)의 고유번호가 이미 할당되었거나 상기 약품 정제가 사용되고 있을 경우 이를 표시부(110)에 경고메시지를 표시하여(S15), 상기 정제카세트(70)가 중복 등록되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아니라, 상기 저장매체(114)에는 상기 정제카세트(70)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저장되므로 약품 정제가 중복 보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약품 정제의 정확한 정보가 기록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정보입력기(100)에 판독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정보카세트의 메모리칩(75)에 저장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한다(S21).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된 약품 정제의 정보에 따라 약품 정제를 보충하거나, 상기 정제카세트(70)의 메모리칩(75)에 입력된 약품 정제의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는 사용자측에서 상기 정제카세트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정보를 용이하게 갱신하거나 정보를 판독할 수 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제카세트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보를 쉽게 판독할 수 있어 약품 정제의 제고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제카세트에 보유된 약품 정제의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다.

Claims (6)

  1. 약품자동포장기에 장착되며 약품 정제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칩이 설치된 정제카세트에 약품의 정보를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한 정보입력기로서,
    상기 메모리칩에 기록될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메모리칩과 접속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입력부 및 기록부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정제카세트가 정합되는 정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합부에는 상기 메모리칩과 접속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칩에 기록된 약품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약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메모리칩에 입력된 약품 정제의 정 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약품자동포장기의 약품 정제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플레쉬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KR1020040001857A 2004-01-10 2004-01-10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KR10055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857A KR100559122B1 (ko) 2004-01-10 2004-01-10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US11/003,406 US7277776B2 (en) 2004-01-10 2004-12-06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ablet automatic packing machine
US11/188,702 US7225053B2 (en) 2004-01-10 2005-07-26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ablet automatic packing machine
US11/565,951 US7305279B2 (en) 2004-01-10 2006-12-01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ablet automatic packing machine
US11/672,325 US7395135B2 (en) 2004-01-10 2007-02-07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ablet automatic pac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857A KR100559122B1 (ko) 2004-01-10 2004-01-10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779A KR20050073779A (ko) 2005-07-18
KR100559122B1 true KR100559122B1 (ko) 2006-03-10

Family

ID=3726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857A KR100559122B1 (ko) 2004-01-10 2004-01-10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52B1 (ko) * 2006-11-13 2008-02-2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 제어방법
KR102196296B1 (ko) * 2018-12-04 2020-12-29 주식회사 유림텍 정제 카세트의 계수 정보 등록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488A (ja) * 1993-03-17 1994-09-27 Asahi Denshi Kenkyusho:Kk 薬収納容器
KR20000001715A (ko) * 1998-06-12 2000-01-15 조현정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JP2002291846A (ja) * 2001-03-29 2002-10-08 Sakase Chemical Industry Co Ltd 薬品管理庫
JP2003135565A (ja) * 2001-11-05 2003-05-13 Fuji Electric Co Ltd 薬品保管キャビネ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488A (ja) * 1993-03-17 1994-09-27 Asahi Denshi Kenkyusho:Kk 薬収納容器
KR20000001715A (ko) * 1998-06-12 2000-01-15 조현정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JP2002291846A (ja) * 2001-03-29 2002-10-08 Sakase Chemical Industry Co Ltd 薬品管理庫
JP2003135565A (ja) * 2001-11-05 2003-05-13 Fuji Electric Co Ltd 薬品保管キャビ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779A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279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ablet automatic packing machine
KR100744427B1 (ko) 약제자동포장장치용 카세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2583628B1 (ko)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5852911A (en) Tablet dispenser
KR100429026B1 (ko) 약제 포장장치
US8417381B2 (en) Medication adherence system
US7395135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tablet automatic packing machine
EP1700592B1 (en) Tablet automatic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cassettes coupled to cartridge thereof
WO2018149391A1 (zh) 智能药丸盒及基于其的药丸流通方法和系统
JPH11276551A (ja) 多重コンパートメント型小型電子分包機
US20070296598A1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support tray data and method thereof
CN106413660A (zh) 关于泡罩包装遵从性的改进
US20040176873A1 (en) Pharmaceutical automation system
JP2000095201A (ja) 錠剤供給装置
JP2023123728A (ja) 薬剤手撒き装置、薬剤手撒き装置の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559122B1 (ko) 정제카세트의 정보입력기
JP2016179161A (ja) 配薬支援システム
KR101144716B1 (ko)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및 그의 통합 카트리지 제어 방법
KR100616286B1 (ko) 카세트 받침대의 정보입력기
KR101462873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JP2002224197A (ja) 薬剤分包装置
WO2001093801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an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n
KR100826120B1 (ko) 약제 자동 포장 장치의 카세트 리필 방법 및 그 약제 자동포장 장치
JP2657072B2 (ja) 薬剤包装機
CN114334077A (zh) 一种药品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