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336B1 -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336B1
KR100558336B1 KR1020030075346A KR20030075346A KR100558336B1 KR 100558336 B1 KR100558336 B1 KR 100558336B1 KR 1020030075346 A KR1020030075346 A KR 1020030075346A KR 20030075346 A KR20030075346 A KR 20030075346A KR 100558336 B1 KR100558336 B1 KR 10055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press
copper plate
beeswax
coating material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207A (ko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조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훈 filed Critical 조정훈
Priority to KR102003007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3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04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metallic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은 숫자의 활자로도 다양한 형태의 인쇄 동판 제작이 간단하면서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인쇄 동판에 의해 많은 양의 활자본을 인쇄함과 함께 상기 활자본을 인쇄하는 인쇄 동판을 영구보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철(凸)형상으로 활자를 새기는 수지 활자목(30)을 형성하는 단계; 복수개의 수지 활자목을 활자 인쇄판(40)에 조판하는 단계; 조판된 활자 인쇄판의 상면에 실리콘을 덮어 씌워 요(凹)형상의 실리콘 활자판(50)을 형성하는 단계; 두 개의 실리콘 활자판을 접착하는 단계; 실리콘 활자판의 내부로 액상의 밀랍을 부어 굳어진 밀랍원판(70)을 형성하는 단계; 밀랍원판의 외주면 전체에 코팅재(80)를 입히는 단계; 상기 코팅재에 열을 가해 녹은 밀랍을 외부로 빼낸 코팅재 원판(90)을 형성하는 단계; 코팅재 원판의 내부로 액상의 동을 부어 넣어 굳어지면 상기 코팅재 원판을 제거하여 인쇄 동판(10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고 인쇄 동판, 활자부, 활자

Description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MANUFACTURE METHOD OF COPPER PLATE FOR HIGH-QUALITY PRINTING}
도 1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을 후면에서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에서 활자가 새겨진 판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이 제작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작도.
도 5는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에서 수지 활자판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쇄 동판 101: 동판 본체
102: 활자부 103: 표시부
본 발명은 동판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적은 숫자의 활자로도 다양한 인쇄 동판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상기 인쇄 동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판은 구리에 합금(주석, 아연 등)이 함유되거나 또는, 순수하게 구리(Cu)만을 이용하여 평평한 판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동판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활자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나무에 활자를 새겨 상기 활자를 인쇄하는 방법과 동판에 활자를 새겨 상기 활자를 인쇄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나무에 활자를 새겨 인쇄하는 방법은 일정한 두께와 모양으로 형성된 판목에 원하는 글자, 그림, 문양 등을 일일이 새긴 후 상기 글자 등이 다 새겨지면 상기 판목 위에 먹물이나 인쇄액을 바른 다음 그 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눌러줌에 따라 상기 판목에 새겨진 글자가 종이에 인쇄된다.
그러나, 인쇄용으로 나무를 사용할 경우에는 오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습기나 물기 등에 의해 나무판이 썩게 됨은 물론 햇빛에 의해 나무판이 뒤틀리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글자의 형태도 변형됨에 따라 원래 원하는 형태로 인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먹물이나 인쇄액이 나무에 스며들어 인쇄용 나무판이 뒤틀리거나 썩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활자 인쇄용으로 동판을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인쇄용 동판은 표면에 요철(凹凸)형태로 글자 또는 그림 및 문양 등을 새기고 나서 상기 동판의 표면에 먹물이나 인쇄액을 바른 다음 그 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상기 종이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동판의 표면에 새겨진 글자 또는 그림 및 문양등이 종이에 인쇄된다.
상기 인쇄용 동판의 제조는 밀랍에 글자 또는 그림 및 문양을 새긴 후 상기의 밀랍의 표면을 감싸도록 상기 밀랍의 표면 전체에 석고를 바른 다음 상기 석고가 굳어지면 상기 석고는 그대인 상태에서 밀랍만 녹는 온도로 열을 가한다.
그러면, 밀랍은 녹으면서 석고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밀랍은 석고의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고, 상기 석고는 내부가 빈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해 석고 내로 액체상태인 액상의 동을 부어 넣은 후 상기 액상의 동이 굳게 되면 상기 석고를 깨뜨림에 따라 표면에 원하는 글자 또는 그림 및 문양이 새겨진 동판이 제작된다.
상기 동판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동판의 표면에 먹물이나 인쇄액을 바른 다음 그 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동판의 표면 전체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동판의 표면에 새겨진 글자 또는 그림 및 문양 등이 종이에 새겨져 인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판은 밀랍 위에 글자, 그림, 문양 등을 새긴 후 상기 밀랍의 표면에 석고를 바른 후 상기 석고에서 녹은 밀랍을 빼내고 나서 상기 석고 내로 액상의 동을 부어 인쇄용 동판을 제작하는 과정은 단순하면서 간단하지만, 상기 인쇄용 동판을 글자, 그림, 문양을 밀랍에 일일이 새기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랍에 일일이 원하는 글자, 그림, 문양을 한번의 작업으로 행하여 함에 따라 상기 작업도중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서 글자, 그림, 문양이 틀리게 되면 새로운 밀랍에 글자 등을 새기는 작업을 다시 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밀랍에 글자 등을 새기는 작업이 매우 어려우면서 주의를 많이 요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글자 등이 새겨진 밀랍은 한 번만 사용하고 재사용하지 못함은 물론 상기 밀랍에 글자, 문양, 그림 등을 일일이 새겨야 함으로서, 글자가 많이 쓰여진 책, 불경 및 팔만대장경(4900만자)의 내용을 인쇄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밀랍을 제조할 때 많은 인원이 필요함은 물론 일일이 글자 등을 새겨야 함에 따라 작업 시간 또한 많이 걸림에 따라 상기 동판 제작에 따른 작업 손실 및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래서, 나무에 글자를 하나씩 새긴 활자목을 여러개 제작한 다음 모래 또는 갯벌의 고운 해감 흙 등이 담겨진 거푸집을 이용하여 우선, 상기 각 활자목을 밑거푸집에 일일이 박고 그 위에 위 거푸집을 씌워 누른 다음 상기 거푸집에서 각 활자목을 빼내게 되면 상기 거푸집의 모래에는 활자가 새겨지게 된다.
그러면, 위거푸집과 밑거푸집을 합체한 후 상기 거푸집 내로 쉿물이나 액상의 동을 부어 상기 쇳물이나 액상의 동이 굳어지게 되면 위거푸집과 밑거푸집을 분리시켜 상기 거푸집에서 각 활자를 빼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각 활자를 금속활자 인판틀에 책이나 팔만대장경에 적힌 글자대로 일일이 조판한 후 상기 조판된 금속활자 인판틀 위에 먹물이나 인쇄액을 바른 다음 종이를 올려놓고 누름에 따라 상기 종이에 활자가 인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쇄판은 활자를 책이나 팔만대장경에 적힌 글자 전부를 만들어야 함에 따라 상기 활자 작업에 따른 인력 손실 및 시간 손실이 많음은 물론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만들어진 활자의 수가 많아 상기 활자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부주의로 인해 손상, 파손 및 잃어버릴 경우 다시 활자를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활자를 금속활자 인판틀에 일일이 조판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책이나 불경, 팔만대장경의 내용에 따라 금속활자 인판틀에 각 활자를 다시 조판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게 불편함은 물론 조판, 인쇄작업에 따른 작업 손실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므로, 책이나 팔만대장경에 대한 활자본은 있으나 활자판은 없으므로 상기 활자본의 보관도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상기 활자본을 영구보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책이나 팔만대장경을 새로 인쇄하기 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판, 인쇄 준비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에 따른 인력, 시간 등의 손실이 발생하고, 작업 효율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적은 숫자의 활자로도 다양한 형태의 인쇄 동판 제작이 간단하면서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동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인쇄 동판에 의해 많은 양의 활자본을 인쇄할 뿐만 아니라 상기 활자본을 인쇄하는 인쇄 동판을 영구보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의 합성수지의 상면에 철(凸)형상으로 글자나 문양의 활자를 새기는 수지 활자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수지 활자목을 인쇄하고자 하는 형태로 활자 인쇄판에 일정한 형태로 끼워 넣으면서 조판하는 단계; 상기 각 수지 활자목이 조판된 활자 인쇄판의 상면에 실리콘을 덮어 씌워 요(凹)형상의 실리콘 활자판을 형성하는 단계; 내부가 빈 상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서로 다른 활자가 새겨진 두 개의 실리콘 활자판을 서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실리콘 활자판의 내부로 액상의 밀랍을 부어 넣어 상기 밀랍이 일정시간 경과 후 굳어지면서 상기 실리콘 활자판의 형상(凹)형상과 대응되는 철(凸)형상의 밀랍원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랍원판 외주면 전체에는 상기 밀랍이 녹는 온도보다 높은 코팅재를 입히는 단계; 상기 코팅재가 입혀진 밀랍원판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상기 밀랍원판을 녹임과 함께 상기 녹은 밀랍을 코팅재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코팅재의 내부가 빈 코팅재 원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출공을 통해 코팅재 원판의 내부로 액상의 동을 부어 넣는 단계; 및 상기 부어진 동이 일정시간 경과 후 굳어지면 상기 코팅재 원판을 제거하여 인쇄 동판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을 후면에서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에서 활자가 새겨진 판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이 제작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작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고 인쇄 동판에서 수지 활자판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고 인쇄 동판(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동판 본체(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동판 본체(101)의 전, 후면 표면에는 서로 다른 활자체가 양각 형태로 각각 새겨진 활자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판 본체(101)의 활자부(102)에 양각된 활자는 인쇄하는 경우 또는, 장식용이나 그냥 읽을 수 있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인쇄되어 있는데, 즉 양각된 활자를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양각된 활자는 글자가 뒤집어 진 상태로 새겨져 있고, 상기 장식용이나 읽을 수 있도록 할 경우에는 양각된 활자는 제대로 된 상태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다시 말해서, 인쇄 동판(100)의 활자를 인쇄할 때 상기 인쇄되는 활자가 제대로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동판 본체(101)의 활자부(102)에 활자는 본래 글자를 뒤집어서 양각함에 따라 상기 동판 본체(101)의 활자부(102)에 양각된 활자를 인쇄하게 되면 상기 인쇄된 종이(한지 등)에 활자가 제대로 인쇄된다.
한편, 상기 동판 본체(101)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동판(100)의 기증자와 제작 년, 월, 일 등을 양각이나 음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부(103)는 동판 본체(101)의 양측부 또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하거나 상기 양측부와 양측면에 같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3)에는 상기의 내용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글자 또는 그림, 문양 등을 표시 및 새겨 넣을 수 있다.
상기 인쇄 동판(100)의 동판 본체(101) 활자부(102)에 양각 형태로 새겨진 활자의 외측면은 바닥면에서 상기 활자의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활자 내측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인쇄 동판(100)을 제작하는 과정 즉, 실리콘, 밀랍, 코팅재 작업 시 상기 판목(10)과 수지 활자목(30)에 새겨진 활자가 변형됨없이 실리콘, 밀랍, 코팅재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 인쇄 동판의 제작은 일정한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의 상면에 조각칼을 이용하여 철(凸)형상으로 글자(한자, 한글 등)나 그림, 문양 등의 활자를 새김에 따라 수지 활자목(3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수지 활자목(30)은 합성수지의 상면에 철(凸)형상으로 활자를 직접 새기거나 또는, 황양목, 박달나무, 똘배나무, 자작나무, 산벗나무, 감나무, 배나무, 고얌나무, 모과나무, 은행나무, 대추나무 등 어느 하나의 나무를 이용하여 수지 활자목(30)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의 나무를 이용하여 수지 활자목(30)을 제작하는 방법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나무의 상면 표면에 조각칼을 이용하여 철(凸)형상으로 글자(한자, 한글 등)나 그림, 문양 등의 활자를 새기는 판목(1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활자가 새겨진 판목(10)의 상면에 실리콘을 나무 상면 표면과 밀착되도록 덮어 씌워 상기 실리콘에 판목(10)의 활자가 새겨지면 상기 판목(10)으로부터 실리콘을 분리시킴을 따라 상기 판목(10)의 형상(凸)과 대응되는 요(凹)형상의 실리콘 활자목(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실리콘 활자목(20)의 상면에는 상기 실리콘 활자목(20)을 덮도록 액상의 합성수지를 부고 나서, 상기 액상의 합성수지가 일정시간 경과 후 굳어지면 상기 실리콘 활자목(20)으로부터 굳어진 합성수지를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판목(10)과 동일한 형상(凸)의 수지 활자목(30)이 형성된다.
여기서, 합성수지로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강도와 경도 및 조각작업이 용이한 폴리우레탄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PVC 등 또는, 고무재를 사용하는데, 상기의 재질뿐만 아니라 수지 활자목(30)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수지 활자목(30)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개의 수지 활자목(30)은 인쇄하고자 하는 형태 즉, 인쇄하고자 하는 책, 불경, 성경이나 팔만대장경의 내용과 동일하도록 상기 활자 인쇄판(40)에 일정한 형태로 끼워 넣으면서 조판한다.
이 때, 상기 활자 인쇄판(40)에 복수개의 수지 활자목(30)을 끼워 넣어 조판할 때 상기 끼워진 수지 활자목(30)이 활자 인쇄판(40)에서 유동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활자 인쇄판(40)에 각 수지 활자목(30)을 끼워 넣어 조판할 수도 있으며, 또한 철(凸)형상으로 글자나 문양의 활자를 새기는 판목(10)을 끼워 넣어 조판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작업환경, 여건 및 작업 목적, 효과 등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활자 인쇄판(40)에 각 수지 활자목(30)의 조판이 완료되면, 상기 활자 인쇄판(40)의 상면에 실리콘을 덮어 씌워 요(凹)형상의 실리콘 활자판(5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수지 활자목(30)이 조판된 활자 인쇄판(40)의 상면 전체를 감싸도록 실리콘을 덮어씌운 다음 상기 실리콘을 눌러 상기 활자 인쇄판(40)과 실리콘 사이가 밀착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활자 인쇄판(40)의 활자가 실리콘에 새겨지면 상기 실리콘을 활자 인쇄판(40)으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활자가 새겨진 실리콘 활자판(5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다른 활자가 조판된 활자 인쇄판(40)으로부터 여러 개의 실리콘 활자판(5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로 다른 활자가 새겨진 실리콘 활자판(5)은 도 4b에서와 같이 두 개의 실리콘 활자판(50)을 서로 부착함에 따라 접착된 두 개의 실리콘 활자판(50)의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실리콘 활자판(50)의 활자는 활자 인쇄판(40)에 조판된 활 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실리콘 활자판(50)이 형성되는데, 상기 실리콘 활자판(50)의 각 면에는 인쇄하고자 하는 모양 및 그 상태로 읽을 수 있는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의 활자가 새겨진다.
그런 다음, 상기 실리콘 활자판(50)의 빈 공간인 내부로 상기 실리콘 활자판(50)에 형성된 구멍(51)을 통해 액상의 밀랍을 부어 넣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하여 상기 밀랍이 굳어지게 되면 상기 접착된 두 개의 실리콘 활자판(50)을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실리콘 활자판(50)의 형상(凹)형상과 대응되는 철(凸)형상의 밀랍원판(7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밀랍원판(70) 외주면 전체에 상기 밀랍이 녹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1300℃이상)에서 견딜 수 있는 코팅재(80)가 밀착되도록 입힌다.
상기 코팅재(80)로는 황토와 찰흙을 혼합한 것 이외에도 석고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즉 밀랍원판(70)의 외주면을 잘 감싸면서 상기 밀랍이 녹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도 견딜 수 있음 물론 동의 녹는 온도(1084.5℃)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코팅재(80)의 재질을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밀랍원판(70)의 외주면 전체에 코팅재(80)가 입혀지면 상기 코팅재(80)의 외부로부터 코팅재(80)로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코팅재(80) 내의 밀랍원판(70)은 가해지는 열에 의해 녹으면서 액상의 밀랍형태로 된다.
상기 녹은 밀랍은 상기 밀랍원판(70)의 외주면 전체에 코팅재(80)를 입힐 때 형성한 배출공(81)을 통해 상기 코팅재(80)의 외부로 원활하게 빠져 나오게 되므로 상기 코팅재(80)의 내부가 빈 코팅재 원판(9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코팅재 원판(90)의 내부로 상기 배출공(81)을 통해 액상의 동을 부어 넣어 채운 후 일정시간 경과하여 부어진 동이 굳어지게 되면 상기 코팅재 원판(90)을 제거 즉, 부시거나 깨뜨림에 따라 글자, 그림, 문양 등의 활자가 양면에 각각 새겨진 인쇄 동판(100)이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인쇄 동판(100)의 제작되면 상기 인쇄 동판(100)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 동판(100)의 양면에 새겨진 글자 또는 문양을 인쇄한다.
즉, 상기 인쇄 동판(100)의 동판 본체(101) 표면에 먹물이나 인쇄액을 바른 다음 상기 그 위에 한지와 같은 종이를 올려놓고 상기 인쇄 동판(100) 표면 전체를 부드러운 솜이나 헝겊, 털뭉치 또는 말총으로 눌러주어 상기 종이에 활자가 새겨짐에 따라 상기 인쇄 동판(100)에 새겨진 활자는 종이에 인쇄된다.
한편, 상기 인쇄 동판(100)의 동판 본체(101) 전, 후면은 인쇄용이나 장식용으로 제작 가능한데, 즉 인쇄용으로 인쇄 동판(100)을 제작할 때에는 상기 동판 본체(101)의 활자부(102)에 새겨진 활자는 본래 활자를 뒤집은 상태로 새겨있고, 상기 장식용으로 인쇄 동판(100)을 제작할 때에는 상기 동판 본체(101)의 활자부(102)에 새겨진 활자를 제대로 새기면 된다.
즉, 상기 인쇄 동판(100)을 인쇄용이나 장식용 중 어느 것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숫자의 활자로도 다양한 형태의 인쇄 동판의 제작이 간단하면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판목으로 동일한 모양의 활자가 새겨진 수지 활자목을 많이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동일한 활자의 수지 활자목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동일한 활자의 수지 활자목으로 인해 인쇄 동판을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인쇄 동판이 하나의 판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상기 인쇄 동판을 이용하여 활자를 인쇄하기가 매우 편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활자 인쇄판에 활자가 새겨진 활자목을 조판함에 따라 상기 인쇄 동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인쇄 동판에 의해 많은 양의 활자본을 인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쇄 동판을 영구보존 가능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인쇄 동판의 전, 후면에 조판되는 활자의 형태 즉, 활자를 뒤집어서 조판하거나 제대로 조판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인쇄 동판을 인쇄용 및 장식용으로 다양하게 제작 가능한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일정한 형상의 합성수지의 상면에 철(凸)형상으로 글자나 문양의 활자를 새기는 수지 활자목(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수지 활자목(30)을 인쇄하고자 하는 형태로 활자 인쇄판(40)에 일정한 형태로 끼워 넣으면서 조판하는 단계;
    상기 각 수지 활자목(30)이 조판된 활자 인쇄판(40)의 상면에 실리콘을 덮어 씌워 요(凹)형상의 실리콘 활자판(50)을 형성하는 단계;
    내부가 빈 상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서로 다른 활자가 새겨진 두 개의 실리콘 활자판(50)을 서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실리콘 활자판(50)의 내부로 액상의 밀랍을 부어 넣어 상기 밀랍이 일정시간 경과 후 굳어지면서 상기 실리콘 활자판(50)의 형상(凹)형상과 대응되는 철(凸)형상의 밀랍원판(7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랍원판(70) 외주면 전체에는 상기 밀랍이 녹는 온도보다 높은 코팅재(80)를 입히는 단계;
    상기 코팅재(80)가 입혀진 밀랍원판(70)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상기 밀랍원판을 녹임과 함께 상기 녹은 밀랍을 코팅재의 배출공(81)을 통해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코팅재의 내부가 빈 코팅재 원판(9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출공(81)을 통해 코팅재 원판(90)의 내부로 액상의 동을 부어 넣는 단계; 및 상기 부어진 동이 일정시간 경과 후 굳어지면 상기 코팅재 원판(90)을 제 거하여 인쇄 동판(10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 활자목(30)은 나무에 철(凸)형상으로 글자나 문양의 활자를 새기는 판목(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자가 새겨진 판목(10)의 상면에 실리콘을 덮어 씌워 상기 판목(10)의 형상(凸)과 대응되는 요(凹)형상의 실리콘 활자목(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활자목(20)의 상면에 액상의 합성수지를 부어 상기 합성수지가 일정시간 경과 후 굳어지면서 상기 판목(10)과 동일한 형상(凸)의 수지 활자목(3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 활자목(30)은 합성수지의 상면에 철(凸)형상으로 활자를 직접 새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활자의 외측면은 바닥면에서 상기 활자의 상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활자 내측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코팅재(80)는 황토와 찰흙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30075346A 2003-10-28 2003-10-28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KR10055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346A KR100558336B1 (ko) 2003-10-28 2003-10-28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346A KR100558336B1 (ko) 2003-10-28 2003-10-28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674U Division KR200338651Y1 (ko) 2003-10-28 2003-10-28 고 인쇄 동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207A KR20050040207A (ko) 2005-05-03
KR100558336B1 true KR100558336B1 (ko) 2006-03-07

Family

ID=3724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346A KR100558336B1 (ko) 2003-10-28 2003-10-28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09B1 (ko) 2005-12-28 2006-11-30 임인호 광곽 일체형 조립식 인판틀 및 고 인쇄 재현용 활자인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617A (ko) * 2011-04-11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템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09B1 (ko) 2005-12-28 2006-11-30 임인호 광곽 일체형 조립식 인판틀 및 고 인쇄 재현용 활자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207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336B1 (ko) 고 인쇄 동판 제작방법
KR200338651Y1 (ko) 고 인쇄 동판
US1693561A (en) Method of making embossed designs
KR100401925B1 (ko) 귀금속 카드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S63130399A (ja) 鋳出し外観を有する立体装飾表示部材
JP2000308516A5 (ko)
KR200395476Y1 (ko) 문양부착식 표지를 가진 앨범
CN111347818A (zh) 一种雕箔印画工艺技法
JP3110118U (ja) 木質名刺類
US250239A (en) Christian h
SU1194696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гравюрных оттисков
US1753932A (en) Art of printing
US489011A (en) Maurice joyce
JPH089279B2 (ja) 金属彫刻様鋳出し外観を有する小形装飾部材の製造方法
Forster From Xylographs to Lead Molds; AD 1440-AD 1921
US2432377A (en) Method of forming casting matrices
JP3210720U (ja) スタンプ印
JPH0254784A (ja) 記念レリーフの製造方法
KR20020045675A (ko) 핫 스탬핑호일을 이용한 표면인쇄방법
JPS59136777A (ja) 包装用紙箱などの型紙における点字作成方法
KR200360468Y1 (ko) 귀금속판
US3515065A (en) Drafting tool
KR200259083Y1 (ko) 귀금속 카드
JPS5952283A (ja) 表示板の製作方法
US53587A (en) Improvement in typographic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