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295B1 -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295B1
KR100558295B1 KR1020030078410A KR20030078410A KR100558295B1 KR 100558295 B1 KR100558295 B1 KR 100558295B1 KR 1020030078410 A KR1020030078410 A KR 1020030078410A KR 20030078410 A KR20030078410 A KR 20030078410A KR 100558295 B1 KR100558295 B1 KR 10055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peed sensor
speedometer
sensor
s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498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2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1 슬리브측돌기의 끝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리브측돌기로 이루어진 슬리브측 돌기부와; 스피드 센서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피드 센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리브측돌기부의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2 슬리브측돌기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센서측돌기로 이루어진 센서측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의 분해/조립 공정이 용이해지고, 작업 소요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스피도미터 슬리브, 스피드센서

Description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STRUCTURE FOR COUPLING SPEEDOMETER SLEEVE AND SPEED SENS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 및 스피드센서가 도시된 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 및 스피드센서가 체결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피도미터 슬리브 11: 슬리브측돌기부
20: 스피드센서 21: 센서측돌기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피도미터에 조립되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사이의 조립 및 분해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가 도시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110)와 스피드 센서(120)는 스피도미터 슬리브(110)의 일단의 외주에 형성되는 외경나사부(111)와 스피드센서(120)의 일단의 내주에 형성되는 내경나사부(121)가 서로 회전에 의한 체결됨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피드센서(120)의 외주에 형성된 육각형부(122)에 스패너등의 공구가 끼워지고, 공구의 360도 이상의 회전에 의해 조립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는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10)의 외경나사부(111)와 상기 스피드센서(120)의 내경나사부(121)의 나사 체결 방식이므로 체결시간이 다소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피드센서(120)의 육각형부(122)에 스패너등의 공구를 끼우고 돌리는 경우에, 공구의 회전 반경내에 간섭물이 존재하거나 엔진룸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조립공구의 사용에 간섭이 발생되어 조립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가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1 슬리브측돌기의 끝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리브측돌기로 이루어진 슬리브측 돌기부와; 스피드 센서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피드 센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리브측돌기부의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2 슬리브측돌기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센서측돌기로 이루어진 센서측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10)는 그 상부측 외주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슬리브측돌기(12)와, 상기 제 1 슬리브측돌기(12)의 끝단에서 스피도미터 슬리브(10)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슬리브측돌기(12)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슬리브측돌기(13)으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의 슬리브측돌기부(11)가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의 외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센서(20)는 그 하부측 외주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피드센서(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리브측돌기부(11)의 제 1 및 제 2 슬리브측돌기(12), (13)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센서측돌기(22)와, 스피도미터 슬리브(10)와 스피드센서(20)의 체결 시, 상기 제 1 센서측돌기(22)가 상기 제 1 및 제 2 슬리브측돌기(12), (13)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된 후, 상기 스피드센서(20) 또는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가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도록, 상기 제 1 센서측돌기(22)의 체결시 회전 방향으로 후 방측에 상기 스피드센서(2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센서측돌기(23)로 이루어지는 센서측돌기부(21)가 상기 스피드센서(20)의 외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리브측돌기부(11) 및 상기 센서측돌기부(21)는 조립시 균형과 조립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각각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의 상부측의 반경(D1)이 상기 스피드센서(20)의 하부측의 반경(d1)보다 크게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기 슬리브측돌기부(11)의 제 2 슬리브측돌기(13)까지의 거리(D2) 보다 상기 스피드센서(20)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상기 센서측돌기부(21)의 제 1 센서측돌기(22) 끝단까지의 거리(d2)가 크다. 이때, 상기 스피드센서(20)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센서측돌기(22)의 끝단까지의 거리(d2)는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1)의 상부측의 반경(D1)보다 작다.
이하, 도 6 및 도 7 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피도미터 슬리브(10)와 스피드센서(20)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의 상부측와 상기 스피드센서(20)의 하부측을 상기 슬리브측돌기부(11)와 상기 센서측돌기부(21)가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 또는 상기 스피드센서(20)을 소정각도내의 범위내에서 회동시키면, 상기 센서측돌기부(21)의 제 1 센서측돌기(22)가 상기 슬리브측돌기부(11)의 제 1 및 제 2 슬리브측돌기(12), (13)가 이루는 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스피도미터 슬 리브(10)와 스피드센서(20)가 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센서측돌기부(21)의 제 1 센서측돌기(22)의 회전방향으로 후방측에 형성되는 제 2 센서측돌기(23)에 의해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 또는 스피드센서(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와 스피드센서(20)를 분해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와 스피드센서(20)를 체결시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슬리브측돌기부(11)의 제 1 및 제 2 슬리브측돌기(12), (13)가 이루는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센서측돌기부(21)의 제 1 센서측돌기(22)가 빠지게 되며, 스피도미터 슬리브(10)와 스피드센서(20)가 간단하게 분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의 체결구조는,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스피도미터 슬리브의 슬리브측돌기부 및 스피드센서의 센서측돌기부가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 또는 상기 스피드센서의 소정 각도 범위내의 회동에 의해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 공간의 제약없이 간단한 수작업으로 분해/조립할 수 있으므로, 분해/조립 공정이 용이해지고, 작업 소요 시간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 및 공구를 사용하기 위한 육각형부등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공정수 및 단가가 저감되므로 전체적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스피도미터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1 슬리브측돌기의 끝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리브측돌기로 이루어진 슬리브측 돌기부와;
    스피드 센서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피드 센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리브측돌기부의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2 슬리브측돌기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센서측돌기로 이루어진 센서측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돌기부에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의 체결 시, 상기 제 1 센서측돌기가 제 1 슬리브측돌기와 상기 제 2 슬리브측돌기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된 후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도록, 체결시 회동방향으로 후방측에 상기 스피드센서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센서측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측돌기부 및 센서측돌기부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측돌기부 및 센서측돌기부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KR1020030078410A 2003-11-06 2003-11-06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KR10055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10A KR100558295B1 (ko) 2003-11-06 2003-11-06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10A KR100558295B1 (ko) 2003-11-06 2003-11-06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98A KR20050043498A (ko) 2005-05-11
KR100558295B1 true KR100558295B1 (ko) 2006-03-10

Family

ID=3724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410A KR100558295B1 (ko) 2003-11-06 2003-11-06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2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98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5858Y2 (ko)
TW201429634A (zh) 具有強固結構的驅動工具及包括該工具之工具組
WO2004036065B1 (en) Torque resistant fastening element
KR100558295B1 (ko) 스피도미터 슬리브와 스피드센서 체결구조
EP2774778A1 (en) Bicycle hub assembly
US4952088A (en) Clip of caps adapted to remove shaft
JP6287693B2 (ja) 部材結合構造
TWI811393B (zh) 套筒
CN209833891U (zh) 一种中轴安装结构
KR200382866Y1 (ko) 로타리버용 다이 그라인더
JP2008128266A (ja) 筒状部品の組付け構造、および筒状部品の製造方法
US20030056625A1 (en) Output shaft and concentrically mounted attachments therefor
CN110145520B (zh) 一种膨胀连接件
TWI669225B (zh) Air valve disassembly assembly
CN111749967A (zh) 一种航空发动机机匣用固定螺栓及其使用方法
CN110821945B (zh) 一种中空传动轴内嵌液路旋转接头与中空传动轴连接件
CN212410078U (zh) 发动机平衡轴转动参数测量连接装置
KR102099672B1 (ko) 다용도 축, 다용도 너트 및 이를 구비한 축 조립체
US5116202A (en) Impeller
JP3537306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結合構造
CN216382936U (zh) 汽车发动机油管连接接头
CN219888445U (zh) 一种自攻螺钉
KR100246497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구조
JP2000273948A (ja) トラス部材の接合部構造
JP4187756B2 (ja) 車輪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