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803B1 - 가열장치및그작동방법 - Google Patents

가열장치및그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803B1
KR100557803B1 KR1019980705087A KR19980705087A KR100557803B1 KR 100557803 B1 KR100557803 B1 KR 100557803B1 KR 1019980705087 A KR1019980705087 A KR 1019980705087A KR 19980705087 A KR19980705087 A KR 19980705087A KR 100557803 B1 KR100557803 B1 KR 10055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ing device
fluid heating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959A (ko
Inventor
요한 더크 브로우워
빔 벤솝
브루인 파울루스 알버투스 바톨로모이스 드
Original Assignee
코퍼라티브 인코페어에니힝 " 코프라-로테르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퍼라티브 인코페어에니힝 " 코프라-로테르담" 엔.브이. filed Critical 코퍼라티브 인코페어에니힝 " 코프라-로테르담" 엔.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7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6Pipes in pipe heat exchangers for sanitary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수단(2)과, 산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수단(4)과, 상기 연료 및 산화제를 혼합한 다음에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 수단(5)과, 상기 버너 수단(5)에 나선형으로 둥글게 배열되어 버너 수단(5)의 연도 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열교환기(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 장치 및 그 작동 방법{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네덜란드 및 기타 지역에서는 주택 및 기타 숙박 시설을 난방하기 위해 개선된 효율(IE) 및 고효율(HE)을 갖는 난방 설비가 널리 사용된다. 대부분의 주택에 대해, 상기 난방 설비는 가능하면 가장 컴팩트한 형상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 설비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정기적으로 비싼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배제하여야 한다.
상기 공지된 난방 설비는 많은 결점을 가지며, 그 중에서 중요한 것으로는, 벽장(cupboard) 등 내에 설치하기 곤란할 정도로 난방 설비가 크다는 것과, 예컨대 상기 장치 내부에 상당한 온도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효율 손실뿐만 아니라 CO 및 NOx의 방출이 크다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저장조의 또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버너 및 제1 열교환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5는 도1 및 도4의 제1 열교환기의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결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벽에 고정하는 방법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더 양호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호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사용되는 고온수(hot water)용 저장조의 추가적인 양호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수단과,
산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수단과,
상기 연료 및 산화제를 혼합한 다음에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 수단과,
상기 버너 수단에 나선형으로 둥글게 배열되어 버너 수단의 연도 가스(flue gas)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팩트하게 실시될 수 있는 난방 설비가 성취되며, 방출 및 효율 손실이 제한된다.
상기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는 열교환기를 따라 연소 생성물을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감소시키고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양호하게는 개구가 제공된 재킷이 나선형 열교환기 주위에 배열되어 연소 가스와 열교환기의 파이프 사이에 양호한 열교환이 가능해진다. 개구는 둥글거나 슬롯 형상이고 양호하게는 열교환기의 나선형 파이프의 후방에 배열된다. 또한, 사이에 개구가 확실히 형성되어 있는 금속으로 제조된 권취 스트립 또는 밴드로부터 재킷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위 콤비 설비(combi-appliance)에는 고온 수돗물(hot tap water)을 즉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상당히 작은 칫수의 단열 탱크 또는 저장조가 포함된다. 예컨대 22 내지 24 ㎾의 전력을 소비하는 컴팩트한 콤비 설비는 상기 단열 저장 탱크로부터 분당 6리터의 60℃ 물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공지된 콤비 설비에서, 실제로는 상기 설비가 단시간 동안에 60℃ 물을 공급하다가 나중에는 수돗물의 온도가 감소되며 예컨대 1분이 지난 다음에만 60℃를 초과하는 일정한 온도에 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난방 설비가 사용되지 않거나 주택 난방 시스템의 파이프 및 방열기의 유체를 (소위 조정 동작에 따라) 약간만 가열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는 상기된 바와 같은 저장조가 제공되지만, 다른 실시예에는 공간을 거의 점유하지 않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가열된 물(heated water)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가 제공된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저장조는 제1 열교환기에 작동식으로 커플링된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제1 열교환기에 내부 파이프 및 외부 파이프가 추후에 제공될 것이며, 상기 내부 파이프에서는 수돗물이 추가로 가열된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가열된 연도 가스용 배출 덕트(duct) 내에 배열되어 수돗물을 예열하는 역할을 하는 제3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저장조를 구비한 또다른 실시예에는 회전 속도 조절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ON/OFF) 제어기가 제공된 난방 회로에서 매체를 순환되게 펌핑하기 위한 펌프 수단이 제공되며, 사용자가 고온수(hot water) 저장조의 고온수를 요구하는 순간 또는 바로 직후에 펌핑 작용이 감소되거나 중단됨으로써, 상기 장치가 난방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제1 열교환기로부터 나온 비교적 낮은 저온수가 저장조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하면, 버너가 작동되고 제1 열교환기가 가열되어 나중에 펌프 수단의 펌핑 작용이 증가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연도 가스와 열교환기 사이의 열교환을 가능한 최대의 효율로 하기 위해 연도 가스가 제1 열교환기를 따라 조밀하게 가압되며, 양호하게는 상기 목적을 위해 열교환기를 따라 적층 가스 흐름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환형 공간의 측벽이 열교환기의 외부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응되는 외형을 갖는다.
방을 난방할 경우 뿐만이 아니라, 예컨대 회전식 건조기(tumble dryer) 또는 접시 세척기용 고온 공기 등 세척용, 요리용 및 주택의 공기 순환을 위한 공기 난방용 등 많은 기타 목적을 위해, 주택 내에도 열에너지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열에너지가 발생되며, 이는 에너지 효율 관점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장치의 상부에 열전도 접촉되도록 배열되고 가열용 매체의 공급용 입구와 가열된 매체용 출구가 제공된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상술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다음의 양호한 실시예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특징 및 상세한 설명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지만,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배경 기술을 나타낸다.
가열 장치(1, 도1)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스 조절기(3)를 구비한 가스용 공급 라인(2)과 가스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되는 버너(5)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팬(4)을 포함한다. 혼합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고 열교환기(8)가 주위에 배치된 연소 공간으로 이어진 개구가 제공된 대체로 중공인 원통형 내부 슬리브(6) 내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며, 상기 공간은 상부에서 밀폐된 대체로 원통형인 외부 슬리브(9)에 의해 둘러싸인다. 가스가 하향으로 편향되어 내부 슬리브(6)의 외벽과 외부 슬리브(9)의 내벽 사이에서 열교환기(8)를 따라 안내된다. 양호하게는 외부 슬리브(9)의 내벽과 내부 슬리브(6)의 외벽이 모두 열교환기(8)의 환형 파이프에 형상면에서 부분적으로 적응됨으로써 고온 가스와 열교환기의 매체(contents) 사이에 양호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양호하게는, 나선형 열교환기(8)는 내부 파이프(10) 및 외부 파이프(11)를 포함한다. 양호한 열전달을 위해 내부 파이프에는 외부 파이프(11)에 열전도 접촉된 별모양(star-shaped) 핀부(12)가 배열된다. 내부 파이프(10)를 통한 유동은 탭을 사용하여 가정용 고온수로서 배수될 수 있으면서 파이프(12)를 통해 공급되는 소위 수돗물(tab water)이다. 수돗물 파이프(12)는 3방향 밸브(16) 및 펌프(15)를 경유하여 공급 라인(17) 및 배출 라인(28)을 통해 중앙 난방 시스템의 회로로 연결된 공급 라인(14)으로도 연결된 연결편(13)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5 내지 15℃의 온도를 갖는 수돗물을 예열하기 위해 연도 가스용 배출부(20) 내의 절접된 열교환기(19)를 통해 배열된 라인(18)을 통해 수돗물이 추가로 공급된다. 수도물은 열교환기(8)의 내부 파이프(10)를 통해 흐른 뒤에, 커플링편(21) 및 라인(22)을 통해 임시 저장을 위한 저장조(23)로 안내되어서, 탭이 개방되면 사용자가 고온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은 방식으로 양호하게 단열된 저장조(23)에는 내부 슬리브(24)가 제공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이 먼저 화살표 C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 후 저장조의 외벽(25)과 내부 슬리브(24) 사이에서 수돗물을 배수하기 위한 스텁(26, 화살표 D)으로 흐른다.
저장조(23)의 환형 사이공간(interspace)에는 라인(28), 3방향 밸브(16) 및 라인(29)을 통해 공급된 중앙 난방 장치의 유체가 흐르게 되는 제2 열교환기(27)가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3방향 밸브(16), 펌프(15) 및 가스 조절기(3)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제공된다. 내부 회로의 매체를 가열하거나 사용하기 위해 3방향 밸브(16)가 제어되며, 중앙 난방 회로로 연속적으로 열이 공급되어야 하고 중앙 난방 회로의 공급 및 배출 라인이 중앙 난방 회로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도2의 그래프의 커브로부터, 배수 지점(draw-off point)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사이에 소정 길이의 파이프를 구비한 주택에서 수돗물이 배수되면, 온도가 ±15초 내에 60℃ 수준이 되고 또한 더 이상 그 이하로 강하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정을 통해, 예컨대 5 내지 15초 동안 제1 가열 유체용 펌프의 작동 개시를 약간 지연시키거나, 소정의 열량을 공급하도록 버너가 동작 설정되어야 할 때 낮은 펌핑 수준으로 펌프를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에 아직도 존재하는 냉수가 가열되기 전에 저장조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적인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도1의 저장조(23)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수돗물용 저장조(50, 도3)가 제공된다. 외부 재킷(54)에 배열된 나선형 판(55)으로 된 두 개의 연속적인 권취부(52, 53) 사이의 홈(groove) 내로 저장조(50) 하면의 공급 라인(51)을 통해 가열용 수돗물이 안내되어, 입구 개구(57)를 통해 열교환기(56)의 내부로 진입되기 전에 상기 공급된 수돗물이 예열된다. 가열된 수돗물의 배출을 위해 열교환기의 내부에 열교환기(56) 하면의 출구 라인(58)이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배열되면서 수로용 개구를 갖는 복수의 동심 디스크로 나선형 판(55)이 교체될 수 있다.
열교환기(56)는 고온 중앙 난방수 공급 라인(59)에 (도시되지 않은) 분배기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대체로 직립인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부에서 직립 파이프는 중앙 난방수 배출 라인(61)에 연결된 중앙 반송 파이프(60)로 이어진다.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도4)에서는 외부 슬리브(65), 덮개(66) 및 내부 슬리브(67)에 의한 한정된 공간에 나선형 열교환기(68)가 배열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외부 파이프(69) 및 내부 파이프(70)를 포함한다. 연소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로 개구가 각각 구비된 복수의 수평 배치된 판(73, 74, 75, 76)에 의해 공급 연결부(72)를 통해 공급된 가스와 팬(71)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혼합되며, 버너(77)에서 연소된 혼합물의 양호하게 혼합된 난류성 유동을 얻을 수 있도록 연속된 판에서의 통로 개구들은 편향되어 배열된다. 버너(77)를 떠나는 가스가 열교환기(68)의 파이프를 따라 안내되어 연도 가스용 출구(78)를 통해 하면에 배출된다. 공기와 가스의 양호한 혼합으로 인해 혼합물의 완전 연소가 성취되며 CO 및 NOx의 방출이 가능한 최대한으로 배제된다. 내부 파이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양호하게는 개구가 제공된 판(73 내지 76)의 상부에 밀폐된 차단판(80)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외부 재킷(85, 도5)과 나선형 파이프(88) 사이에는 열교환기(88)의 나선형 파이프의 피치(pitch)를 따라 개구(87)가 배열되어 있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중간 재킷(89)이 배열된다. 상기 파이프(88)에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핀 또는 판상(plate-like) 돌기가 제공되어 열전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선형 파이프의 중심선 위치에 있는 개구(87)의 위치로 인해, 연도 가스가 가압되어 열교환기의 나선형 파이프의 주연부를 따라 가능한 조밀하게 흐른 뒤에 사이공간(90)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사이공간을 따라 연도 가스가 하향 배출된다. 효율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개구가 제공된 격리부(91, 92)가 열교환기(88)의 하부 나선형 권취부를 따라 더 배열되며, 이에 따라 연도 가스는 열교환기를 따라 더 흐르게 된다.
설치 및 보수 유지 동작을 위해, 매우 컴팩트하게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벽장 내부로의 접근성이 보장되면서 벽에 예컨대 벽장 내에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호하게는 제거 가능한 전방부(94)와 후방부(95)로 구성된 벽장(93, 도6)이 나사 볼트(97) 등을 사용하여 벽(W)에 장착되는 스트립형 판(96)에 상기 후방부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벽으로부터 현수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판(98)이 후방부(95)에 고정되며(양호하게는 용접에 의해 고정됨), 상기 판은 스트립형 판(96)의 갈고리 단부(99)의 후방에 결합되어 현수된다. 또한, 중앙 난방수 및 수돗물의 공급 및 배출 라인이 클램핑 브래킷(101, 102 등)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의 프로파일(100)에 후방부(95)의 하면이 지지된다. 양호하게는, 예컨대 내부에 놓인 브래킷(104)에 의해 벽(W)에 견고하게 고정된 벽장(93)의 후방부(95)에는 제어 전자 장치(103)와 열교환기 및 수돗물용 저장조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기타 부품 등 다양한 부품이 배열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벽장의 후방부(95)의 하면에는 브래킷(100)의 리세스에 결합되는 핀이 제공됨으로써 벽장(93)이 그 중량 때문에 전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7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상부에는 추가적인 열교환기가 배열되며, 상기 열교환기가 예컨대 연도 가스용 배출부(20)와 전도 접촉되도록 놓인다. 상기 추가적인 열교환기(40)의 입구에는 비교적 저온인 공기(L)가 유입되며, 가열된 공기는 각각 화살표 M 및 N을 통해 에너지면에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41) 내로 운반된다.
도8에 따른 실시예에서,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혼합 수단(121)을 구비한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버너 구조체(120)에 더하여 수돗물용 저장조 대신에 열교환기(122)가 배열되어서, 보다 더 컴팩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장치(125)의 상부에는 공기 공급과 연소 가스 배출의 용이한 연결을 위해 양호하게는 활주 가능한 연결편(126, 127)이 제공된다. 저부에는 중앙 난방수, 가스 및 주요 물(mains water)을 위한 다양한 연결부가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벽장의 성형편과 그 상부에 견고하게 나사 고정 가능한 카운터편(counter-piece) 사이에 이들 연결부가 클램핑됨으로써, 다양한 부품이 놓여진 상태로 벽장 내에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부품의 후방에 카운터편이 연결부의 상부 위치에 끼워맞춤식으로 나사 고정된다. 이로써 조립 및 설치 동작이 용이해진다.
양호한 열 균형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에서는 대체로 큰 열 차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비에서는 NOx 및 CO의 방출이 매우 낮은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기 측정값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효율이 이론적으로는 100 %, 대개는 95 %를 상당히 초과하며, CO 및 NOx의 방출이 (각각 (32 kW에서) 최대 약 95 ppm 및 (32 ㎾에서) 약 13 ppm로)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석회 결석(lime scale)의 경우에 저장조를 개방하여 세척하도록 밴드 또는 나사 볼트 등 (도시되지 않은) 연결 수단으로 서로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각각 두 개의 플라스틱 외피(131, 132)로부터 양호하게 조립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용기(130)로부터 소위 고온수용 배수 포트(pot, 도9)에 대한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가 구성된다. 용기(130)에는 양호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나선형 금속 튜브(133)가 배열되며, 그 주위에 예컨대 (예컨대 1㎜ 미만의 벽 두께인) 얇은 플라스틱의 파이프 또는 호스(134)가 배열된다. 연결 스텁(135)을 통해 난방 시스템으로부터 나선형 내부 파이프(133) 내로 고온수가 수송되는 반면, 연결 스텁(136)을 통해 상부에서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고온수가 반송된다. 연결 스텁(137)을 통해 용기(130) 내로 가열용 수돗물이 수송되는 반면, 플라스틱 호스(134)와 나선형 내부 파이프(133) 사이의 사이공간의 수돗물이 고온수 라인이 연결된 연결 스텁(138) 내로 상부를 통해 하향 안내된다. 내부 파이프(133)와 플라스틱 호스(134)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스페이서가 배열되어 가열될 수돗물의 통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 스텁(137)의 근방에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용기 내에 온도 센서가 마찬가지로 배열되며, 상기 센서는 용기의 물의 온도가 예컨대 40℃ 미만의 온도로 강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며, 그 후에 고온 중앙 난방 용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가열용 물이 상향 이동하면서 먼저 예열되며, 나선형 파이프(133)와 플라스틱 호스(134) 사이에 하향 이동하면서 매우 강력하게 가열된다. 나선형 내부 파이프(133) 주위에 배열된 플라스틱 호스로 사용되고 내부 파이프로는 표준 상용 요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비용면에서 매우 우수한 열교환기가 얻어진다. 상기 구조는 매우 컴팩트하여 상기 설명된 컴팩트한 난방 설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기재된 양호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착상될 수 있으며, 상기 범주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한정하지 않는 변형예로서 내부 공간에 아직도 공간이 사용 가능하고 따라서 안정적인 고온의 수돗물이 보다 정확하게 보장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내에 제2 수돗물 저장조를 놓을 수 있다.

Claims (16)

  1.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수단(2)과,
    산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수단(4)과,
    연료 및 산화제를 혼합한 후, 연료 및 산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 수단(5)과,
    버너 수단(5) 주위에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버너 수단(5)의 연도 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열교환기(8, 88)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 장치에 있어서,
    개구(87)가 제공되며 나선형 열교환기(8, 88) 주위에 배열되어 있는 재킷(9, 89)를 포함하며, 재킷은 외벽(85)으로부터 이격되고 재킷과 외벽은 유체 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사이 공간(9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버너 수단(5)은 연료 및 산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단은 통로 개구가 제공된 복수의 판부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열교환기(8)에는 주위에 연장되는 내부 파이프(10) 및 외부 파이프(11)가 제공되며, 내부 파이프(10)와 외부 파이프(11) 사이에 유동하는 제1 가열 유체에 의해 내부 파이프(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열되는 유체 가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23, 50)가 제공되며, 저장조(23)는 제1 열교환기(88)에 작동식으로 커플링된 제2 열교환기(27)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저장조(23, 50) 내의 제2 열교환기(27)가 난방 회로에 연결되는 유체 가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연도 가스를 사용하여 수돗물을 예열하기 위한 제3 열교환기가 제공되는 유체 가열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속도 조절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제어기를 구비한 펌프 수단이 제공되며, 수돗물이 배수되는 순간에 따라 상기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유체 가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환형 사이 공간(interspace)은 열교환기의 파이프의 외부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응되는 내부 형상을 갖는 유체 가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난방 회로에 연결된 제1 위치와 제2 열교환기(27)에 연결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열교환기(88)를 스위칭하기 위한 3 방향 스위치(16)가 제공되는 유체 가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의 펌핑 작용을 임시로 중단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제공되는 유체 가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부에 열전도 접촉되도록 배열되고 가열용 매체의 공급을 위한 입구와 가열된 매체용 출구가 제공된 추가적인 열교환기(40)가 제공되는 유체 가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1 공급 수단(2)을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제2 공급 수단(4)을 통해 산화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버너 수단에 의해 연료 및 산화제를 혼합하고 연소시키는 단계와,
    버너 수단(5) 주위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제1 열교환기(88)를 버너 수단의 연도 가스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 장치 조작 방법에 있어서,
    개구(87)를 갖는 재킷(89)을 나선형 열교환기(88) 주변에 배열하되, 재킷은 외벽(85)으로부터 이격되고 재킷(89)과 외벽이 사이공간(90)을 형성함으로써, 나선형 열교환기(88)의 파이프 주위에서 유체 가스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 장치 조작 방법.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수하기 위한 현수 수단(104)이 제공되는 유체 가열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130)가 제공되며, 저장조 내에 양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외부 파이프(134)가 주위에 배열된 제1 나선형 파이프(133)가 배열되는 유체 가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저장조(130)는 두 개 이상의 해제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외피부(131, 132)로부터 구성되는 유체 가열 장치.
KR1019980705087A 1996-11-01 1997-11-03 가열장치및그작동방법 KR100557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4410 1996-11-01
NL1004410A NL1004410C2 (nl) 1996-11-01 1996-11-01 Verwarmingstoestel en werkwijze voor het bedrijven daarv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959A KR19990076959A (ko) 1999-10-25
KR100557803B1 true KR100557803B1 (ko) 2006-08-30

Family

ID=1976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087A KR100557803B1 (ko) 1996-11-01 1997-11-03 가열장치및그작동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80660B1 (ko)
JP (1) JP2000505881A (ko)
KR (1) KR100557803B1 (ko)
CN (1) CN1210582A (ko)
AT (1) ATE278163T1 (ko)
AU (1) AU5479698A (ko)
CA (1) CA2241944A1 (ko)
DE (1) DE69730948T2 (ko)
NL (1) NL1004410C2 (ko)
WO (1) WO1998020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9884C2 (nl) * 1998-08-17 2000-02-23 Coopra B V Verbrandingsinrichting met afsluitmiddelen.
FR2854229A1 (fr) * 2003-04-25 2004-10-29 Realisation Mecaniques Engenee Echangeur de chaleur a condensation
ITAN20060076A1 (it) 2006-12-22 2008-06-23 Merloni Termosaniatri Spa Scambiatore di calore a serpentino a diametro variabile
US8656867B2 (en) 2009-08-18 2014-02-25 Intellihot Green Technologies, Inc. Coil tube heat exchanger for a tankless hot water system
KR101363545B1 (ko) 2012-07-11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1384758B1 (ko) 2012-07-11 201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ES2574429T3 (es) 2013-02-01 2016-06-17 Lg Electronics, Inc. Aire acondicionado e intercambiador de calor para éste
GB201610729D0 (en) * 2016-06-20 2016-08-03 Evans Peter And Sallaku Arben Boiler
CN109631322A (zh) * 2018-10-17 2019-04-16 中山市思源电器有限公司 一种燃气热水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350A (en) * 1978-06-26 1980-09-16 Boston Gas Products, Inc. Efficient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apparatus
EP0385700A1 (en) * 1989-02-28 1990-09-05 Michael John Nunnerley Heat exchange unit, heat exchange system, method of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refrigeration circuit
EP0570201A1 (en) * 1992-05-12 1993-11-18 GOLDSTAR CO. Ltd. Heat exchanger for a gas boi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606031A (nl) * 1975-06-09 1976-12-13 Maurice Vidalenq Gasverwarmingsinrichting.
DE8530184U1 (de) * 1985-10-22 1986-05-07 Joh. Vaillant Gmbh U. Co, 5630 Remscheid Wasserheizgerät
DE9213594U1 (ko) * 1992-10-14 1993-03-18 Marek, Rudolf, 2000 Hamburg, 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350A (en) * 1978-06-26 1980-09-16 Boston Gas Products, Inc. Efficient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apparatus
EP0385700A1 (en) * 1989-02-28 1990-09-05 Michael John Nunnerley Heat exchange unit, heat exchange system, method of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refrigeration circuit
EP0570201A1 (en) * 1992-05-12 1993-11-18 GOLDSTAR CO. Ltd. Heat exchanger for a gas b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1944A1 (en) 1998-05-14
EP0880660B1 (en) 2004-09-29
AU5479698A (en) 1998-05-29
CN1210582A (zh) 1999-03-10
ATE278163T1 (de) 2004-10-15
EP0880660A1 (en) 1998-12-02
DE69730948T2 (de) 2006-02-23
KR19990076959A (ko) 1999-10-25
WO1998020287A1 (en) 1998-05-14
NL1004410C2 (nl) 1998-05-14
JP2000505881A (ja) 2000-05-16
DE69730948D1 (de)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086A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EP0199369B1 (en) Heating apparatus
US4222350A (en) Efficient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apparatus
US6109339A (en) Heating system
US6345769B2 (en) Water heating apparatus with sensible and latent heat recovery
AU567032B2 (en) Heat exchanger
JPH04506560A (ja) 熱水加熱器
KR100557803B1 (ko) 가열장치및그작동방법
EP1783438A1 (en) Water heater
US20050235984A1 (en) Water heating apparatus
RU2095695C1 (ru) Газовая печь полного сгорания
US20040149742A1 (en) System to heat liquids
US6055944A (en) Heating device
US4880157A (en) Capacity control for integrated furnace
CN220471589U (zh) 一种与壁挂炉结合的蒸箱及多用途壁挂炉
KR20020073763A (ko) 가스 보일러의 온수 재가열 장치
US4748968A (en) Gas fired device for generating heat for dwelling
RU2142602C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GB2286654A (en) Apparatus for providing hot water and/or central heating
KR200176377Y1 (ko)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예열장치
GB2300467A (en) Water heating apparatus
JPH0711337B2 (ja) 燃焼式熱源機
EP0279768A1 (en) Capacity control for integrated furnace
AU2003260171A1 (en) Water heating apparatus
JPH04297753A (ja) 複合燃焼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