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088B1 -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088B1
KR100557088B1 KR1019980030688A KR19980030688A KR100557088B1 KR 100557088 B1 KR100557088 B1 KR 100557088B1 KR 1019980030688 A KR1019980030688 A KR 1019980030688A KR 19980030688 A KR19980030688 A KR 19980030688A KR 100557088 B1 KR100557088 B1 KR 10055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ime
mobile phone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996A (ko
Inventor
허만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0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4Types of notifications
    • H04M15/844Message, e.g. 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4Types of notifications
    • H04M15/848Tone, e.g. bee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원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맞춰 휴대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차단스위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전원 자동 차단방법에 있어서, 전원차단 설정모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전원차단 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을 저장한 후 전원차단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될 때까지 전원차단 시간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 및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이 된 후 일정시간 경과동안 휴대폰 사용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원차단스위치에 전원차단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원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맞춰 휴대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경우 사용 전원의 제어는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에 위치한 전원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가 전원의 온/오프의 제어시에는 반드시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에 위치한 전원키를 사용해야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 휴대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휴대폰 밧데리 전원이 소모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해야 할 때에는 밧데리의 방전으로 인해 정작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물론, 사용자가 장시간 상기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휴대폰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반드시 사용자 액션이 있어야만 휴대폰 전원의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미처 휴대폰 전원을 오프 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거나 기타의 경우로 인해 휴대폰의 전원을 오프 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휴대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차단스위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전원 자동 차단방법에 있어서, 전원차단 설정모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전원차단 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을 저장한 후 전원차단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될 때까지 전원차단 시간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 및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이 된 후 일정시간 경과동안 휴대폰 사용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원차단스위치에 전원차단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간략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구성부의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 10은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패드 11은 각종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기능키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 대부분이 시용자 조작에 의해 해당 키데이터를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 12는 제어부 10으로부터 각종 표시데이터를 받아 표시한다. 메모리 13은 표시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으로 이루어진다. 클럭발생부 14는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를 받아 제어부 10과 복조부 15 등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0과 상기 복조부 15로 클럭을 공급한다. 19는 안테나를 나타낸 것이고, 16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함)부로서 상기 안테나 19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필터링 등의 신호처리한 후 상기 복조부 15로 출력한다. 전원차단스위치 17은 전원공급부 18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스위칭 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스위칭 되거나,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 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차단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공급부 18의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스위칭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 18은 휴대폰의 모든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전원차단스위치 17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차단시간 설정을 위한 제어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을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을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을 위해서는 우선 휴대폰에 전원차단 시간을 설정해두어야 하는데, 이러한 전원차단 시간의 설정흐름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설명하면;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 11에 위치한 전원차단 설정키를 입력하면 상기 키패드 11은 입력된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10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 10은 이를 인지하여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제어부 10은 표시부 12에 전원차단 설정모드가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11의 숫자키를 통해 전원차단 시간을 입력하면 키데이터를 제어부 10으로 출력하고 제어부 10은 이를 인지하여 상기 키패드 11로부터 받은 키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차단 시간을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12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전원차단 시간에 대한 입력확인키가 입력되면 제어부 10은 20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입력확인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입력을 기다린다. 상기 201단계의 전원차단 설정키 및 상기 204단계의 입력확인키는 기능키 설정시 임의로 지정한 키가 될 수 도 있고 상기 키패드 11상에 별도의 전원차단 설정키와 입력확인키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0은 입력된 전원차단 시간을 메모리 13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 10은 206단계에서 전원차단 시간 체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차단 시간이 설정되었으면 도 3의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도 3의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01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상기 도 2의 206단계의 전원차단 시간 체크동작의 수행에 의해 설정해둔 전원차단 시간이 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전원차단 시간이 되었는가의 검사는 상기 메모리 13에 저장해 둔 전원차단 시간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 체크동작에 의해 체크되는 현 시간을 비교하여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전원차단 시간이 되면 제어부 10은 303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전원차단 시간 체크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3033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전원차단 시간을 알리는 지정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12에 표시하거나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는 메시지 표시나 경보음 발생을 함께 할 수 도 있다. 그런 후 304단계에서 제어부 10은 휴대폰 사용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휴대폰 사용키 입력이란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되었을 때 사용자가 휴대폰 사용을 원할 때 입력시키는 동작이며, 상기 휴대폰 사용키가 입력되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폰에 설정되어 있던 전원차단 설정모드를 해제한다. 만약 상기 304단계에서 휴대폰 사용키의 입력이 없으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 10은 일정시간 경과동안 상기 휴대폰 사용키 입력이 없는가를 검사한 후 일정시간 경과동안 상기 휴대폰 사용키 입력이 없으면 30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307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전원차단스위치 17로 전원차단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전원차단스위치 17은 상기 제어부 10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차단 제어신호에 의거 전원이 차단되도록 스위칭되어 308단계에서 전원공급부 18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전원을 사용자의 키조작없이 자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의 키조작이 없어도 휴대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어 휴대폰 밧데리 전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 전원 차단 시 일방적인 전원 차단이 아닌 사용자의 휴대폰사용여부를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이 보다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간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차단시간 설정을 위한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을 위한 제어흐름도

Claims (2)

  1. 전원차단스위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전원 자동 차단방법에 있어서,
    전원차단 설정모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전원차단 시간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을 저장한 후 전원차단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될 때까지 전원차단 시간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전원차단 시간이 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 및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차단 시간이 된 후 일정시간 경과동안 휴대폰 사용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원차단스위치에 전원차단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 시간이 된 후 일정시간 경과 전에 휴대폰 사용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전원차단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0688A 1998-07-29 1998-07-29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KR10055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688A KR100557088B1 (ko) 1998-07-29 1998-07-29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688A KR100557088B1 (ko) 1998-07-29 1998-07-29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996A KR20000009996A (ko) 2000-02-15
KR100557088B1 true KR100557088B1 (ko) 2006-08-30

Family

ID=1954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688A KR100557088B1 (ko) 1998-07-29 1998-07-29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494B2 (ja) * 2000-04-14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020037790A (ko) * 2000-11-15 2002-05-23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실행 방법
KR100854521B1 (ko) * 2006-05-23 2008-08-26 송기섭 컴퓨터 전원 자동차단장치, 차단 방법 및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KR100978448B1 (ko) * 2008-09-29 2010-08-26 백상기 모니터 관리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896A (en) * 1875-09-21 Improvement in harrows
KR950022407A (ko) * 1993-12-31 1995-07-28 백중영 디지탈 셀룰라폰의 시간예약 관리방법
JPH09275587A (ja) * 1996-04-04 1997-10-21 Sharp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の移動端末機
KR19990002939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무선 휴대기기의 밧데리 전류소모 절감 방법
KR19990010385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9990010666A (ko) * 1997-07-18 1999-02-18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 전원 예약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3601A (ko) * 1997-12-24 1999-07-15 서평원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전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896A (en) * 1875-09-21 Improvement in harrows
KR950022407A (ko) * 1993-12-31 1995-07-28 백중영 디지탈 셀룰라폰의 시간예약 관리방법
KR100272218B1 (ko) * 1993-12-31 2000-11-15 구자홍 디지탈 셀룰라폰의 시간예약 관리방법
JPH09275587A (ja) * 1996-04-04 1997-10-21 Sharp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の移動端末機
KR19990002939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무선 휴대기기의 밧데리 전류소모 절감 방법
KR19990010385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9990010666A (ko) * 1997-07-18 1999-02-18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 전원 예약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3601A (ko) * 1997-12-24 1999-07-15 서평원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전원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996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088B1 (ko)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KR20000020591A (ko) 전원 자동 온/오프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KR970007604B1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01508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100617735B1 (ko) 휴대폰의 알람 발생 방법
KR100310344B1 (ko) 휴대폰에서 저전압시 전화번호부 동작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JP2006314089A (ja) チューナシステム
KR10033468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알람방법
KR1004037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09295A (ko) 영상 표시 기기에서 부 마이컴을 이용한 스탠바이시 전원제어 장치
JP2000286930A (ja) 携帯電話装置
KR100255387B1 (ko) 무선호출기의게임장치및방법
KR1006118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KR1006935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슬롯 모드 제어 방법
KR100584402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KR19980058150A (ko) 수신 신호 레벨을 이용한 파워 세이브 회로
KR2003006110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저전압 시 시계를 표시할 수있는 장치
JPH0258936A (ja) 選択呼出受信機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JP3679278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0173408B1 (ko) 통신단말장치의 모래시계기능 구현방법
KR2000004605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온/오프 장치 및 방법
KR19990000151A (ko) 대기상태와 웨이크업 기능을 부가시킨 무선호출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5104A (ko) 휴대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