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844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844B1
KR100611844B1 KR1020040112081A KR20040112081A KR100611844B1 KR 100611844 B1 KR100611844 B1 KR 100611844B1 KR 1020040112081 A KR1020040112081 A KR 1020040112081A KR 20040112081 A KR20040112081 A KR 20040112081A KR 100611844 B1 KR100611844 B1 KR 10061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peration mode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203A (ko
Inventor
송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1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8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online) 모드 및 오프라인(offline) 모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와; 표시부와; 파워 온 시 상기 키패드의 파워 키 및 충전 상태 조합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에 의해 동작 모드가 판단되면,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해당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하는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시 어떤 동작 모드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시간을 소비할 필요없이, 파워 키 신호와 충전 신호를 체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게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파워 온 로고를 통해 단말기가 파워 온 되었음을 빨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온라인 모드, 오프라인 모드, 파워 키, 충전,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on-logo displaying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online) 모드 및 오프라인(offline) 모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online 모드란 사용자의 파워 키 조작에 따라 단말기가 파워 온 되어 정상적으로 모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offline 모드란 파워 오프 상태에서 충전기의 충전잭이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를 인식하여 파워 온 처리를 수행하고 표시 화면 상에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on-line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만, off-line 충전 상 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충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들은 제공하지 않는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off-line 충전 상태에서 현재 충전 상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다른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는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파워 키 조작에 따라 파워 온 되어 online 모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충전기의 충전잭이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online 모드로 계속 동작한다. 이러한 online 모드의 충전 상태에서 사용자의 파워 키 조작에 따라 파워 오프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충전 상태에 의해 바로 파워 온 되어 offline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처리 및 부팅 과정에 따라 표시 화면 상에 단말기가 켜짐을 나타내는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online 모드인지 offline 모드인지를 구분해서 서로 다른 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되는 경우 충전기 활성화 여부 및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체크하여 다음과 같은 세가지 경우에 따라 online 모드인지 offline 모드인지를 구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되어 충전기 활성화(charger enable) 및 메모리 값이 HS_ONLINE이면 offline 모드로 판단하고, 충전기 비활성화(charger disable) 및 메모리 값이 HS_ONLINE이면 online 모드로 판단하며, 충전기 활성화(charger enable) 및 메모리 값이 HS_OFFLINE이면 offline 모드로 판단한다. 여기서 메모리 값은 HS_ONLINE와 HS_OFFLINE의 두가지로 분류되는 데, 기본적으로 메모리 값은 HS_ONLINE 값을 가지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HS_OFFLINE 값을 가진다.
online 모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파워 키 조작을 통해 파워를 끌 것을 명령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에 HS_OFFLINE 값을 기록하고 파워 오프 처리를 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는 HS_OFFLINE 값을 가지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오프된 후 충전 상태에 따라 다시 파워 온 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HS_OFFLINE 값을 체크하고 offline 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메모리에는 다시HS_ONLINE 값이 기록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되는 경우에 online 모드인지 offline 모드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체크해야 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온 되어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저장된 값을 체크하는 데까지는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power on logo의 디스플레이가 지연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단말기의 파워 온 유무를 빨리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파워 온 되었음을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의 파워 키가 활성화 상태인지, 충전 활성화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된 파워 키 및 충전 활성화 상태의 조합에 따라 동작 모드(online 모드, offline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되는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시 어떤 동작 모드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시간을 소비할 필요없이, 파워 키 신호와 충전 신호를 체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게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파워 온 로고를 통해 단말기가 파워 온 되었음을 빨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키패드(110)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30)와, 이 무선 통신부(130)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14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50) 및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같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포함한다.
우선 키패드(110)와, 통상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12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으로 구분된다. 무선 통신부(13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 입출력회로(140)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무선 통신부(130)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16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탈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60)는 동작 모드 판단부(163)와,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처리부(165)를 포함한다.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온 되면, 키패드(110)의 파워 키 및 충전 상태의 조합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즉,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online 모드인지 offline 모드인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파워 온(power on) 시 파워 키에 할당된 범용핀(GPIO : General Purpose Input Output)의 활성화 여부 상태 및 충전기에 할당된 범용핀의 활성화 상태(충전 활성화 여부 상태)를 체크한다. 이에 대해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경우에 따라 단 말기 동작 모드를 구분한다.
우선 첫째로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파워 키에 해당되는 범용핀이 하이(high) 상태이고, 결합되는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범용핀이 로우(low) 상태, 즉 파워 키의 활성화 및 충전 비활성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10)의 파워 키를 누른 경우로써,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단말기 동작 모드를 online 모드로 판단한다. 그러면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처리부(165)는 동작 모드 판단부(163)의 판단에 따라 곧바로 표시부(120) 화면 상에 online 모드에 해당되는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 처리한다.
둘째로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파워 키에 해당되는 범용핀이 로우(low) 상태이고, 충전기에 해당되는 범용핀이 하이(high) 상태, 즉 파워 키의 비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충전기의 충전잭을 단말기에 연결한 경우로써,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offline 모드로 판단한다. 그러면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처리부(165)는 동작 모드 판단부(163)의 판단에 따라 곧바로 표시부(120) 화면 상에 offline 모드에 해당되는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 처리한다.
셋째로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파워 키에 해당하는 범용핀이 하이(high) 상태이고 충전기에 해당되는 범용핀이 하이(high) 상태, 즉 파워 키의 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파워 온 되어 있는 단말기에 충전기의 충전잭이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online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워 키를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오프 처리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계속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곧바로 다시 파워 온 된다.
충전에 의해 다시 파워 온 된 경우의 충전기에 해당되는 범용핀은 당연히 하이(high) 상태이다. 그리고 파워 오프된 후 파워 온 되는 시간은 극히 짧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계속 파워 키를 누르고 있음으로 인해 다시 파워 온 된 상태에서 파워 키에 해당되는 범용핀 또한 하이(high) 상태일 수가 있는 것이다. 결국 동작 모드 판단부(163)는 파워 키의 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 상태를 체크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처리부(165)는 곧바로 표시부(120) 화면 상에 offline 모드에 해당되는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시 어떤 동작 모드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종래와 같이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시간을 소비할 필요없이, 파워 키와 충전의 활성화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게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파워 온 로고를 통해 단말기가 파워 온 되었음을 빨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온 되면, 제어부(160)는 파워 키 및 충전 상태를 체크한다(202단계)(204단계). 204단계의 체크 결과 파워 키 활성화 및 충전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60)는 online 모드로 판단하고, 파워 키 비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60)는 offline 모드로 판단하며, 파워 키 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60)는 offline 모드로 판단한다(206단계).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online 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online 모드에 해당되는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한다(208단계)(210단계). 그리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offline 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offline 모드에 해당되는 파워 온 로고를 디스플레이한다(212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시 어떤 동작 모드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종래와 같이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시간을 소비할 필요없이, 파워 키와 충전의 활성화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게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파워 온 로고를 통해 단말기가 파워 온 되었음을 빨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키 입력에 따라 파워 온 되어 온라인(online) 모드로 동작하고, 파워 오프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파워 온 되어 오프라인(offline)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와; 표시부와;
    파워 온 시 상기 키패드의 파워 키 및 충전 상태 조합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에 의해 동작 모드가 판단되면,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해당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하는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가 :
    상기 키패드의 파워 키 활성화 및 충전 비활성화이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온라인(online)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키패드의 파워 키 비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이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오프라인(offline)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가 :
    추가적으로 상기 키패드의 파워 키 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이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오프라인(offline)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a) 파워 온 시 파워 키 및 충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 의해 체크된 파워 키 및 충전 상태 조합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온라인(online) 모드인지, 오프라인(offline)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 의해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파워 온 로고(power on logo)를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
    상기 단계 a)에 의한 체크 결과, 파워 키 활성화 및 충전 비활성화이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온라인(online) 모드로 판단하고, 파워 키 비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이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오프라인(offline)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 a)에 의한 체크 결과, 파워 키 활성화 및 충전 활성화이면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오프라인(offline)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 방법.
KR1020040112081A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KR10061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081A KR100611844B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081A KR100611844B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03A KR20060073203A (ko) 2006-06-28
KR100611844B1 true KR100611844B1 (ko) 2006-08-11

Family

ID=3716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081A KR100611844B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0805A (zh) * 2016-05-13 2016-10-12 浪潮集团有限公司 一种实现国产处理器服务器快速显示logo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03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6007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usb type-c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00081575A (ko)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EP3606036A1 (en) Mobile terminal-based dual camer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CN107567082A (zh) 网络模式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6455027A (zh) 一种网络制式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10753153A (zh) 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6936516B (zh) 显示屏显示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CN108351741B (zh) 一种终端的亮屏时长调整方法及终端
CN111290926A (zh) 终端的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CN111314548A (zh) 一种双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06118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파워 온 로고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방법
CN112997471B (zh) 音频通路切换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CN111372003A (zh) 一种摄像头切换方法、装置及终端
CN111831100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308303B (zh) 一种移动终端射频功率放大器检测方法及装置
CN112542867B (zh) 移动终端供电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03656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CN111026259A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966206A (zh) 一种指纹感应器的省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343325B (zh) 端口检测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2433694B (zh) 光强度调整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动终端
CN110046063B (zh) 移动终端恢复出厂设置的装置、方法及存储介质
CN111201522A (zh) 通用串行总线设备和通用串行总线设备的省电方法
CN113131549A (zh) 充电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2764514A (zh) 屏幕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