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04B1 -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04B1
KR970007604B1 KR1019940009017A KR19940009017A KR970007604B1 KR 970007604 B1 KR970007604 B1 KR 970007604B1 KR 1019940009017 A KR1019940009017 A KR 1019940009017A KR 19940009017 A KR19940009017 A KR 19940009017A KR 970007604 B1 KR970007604 B1 KR 97000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witching
power supply
voltag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504A (ko
Inventor
김필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604B1/ko
Publication of KR95003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자동절체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자동 절체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제1∼제2 밧데리 14 : 절체제어부
16 : 밧데리 절체부 18 : 스위치
20 : 분압부 22 : CPU
24, 26 : 제1∼제2절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기기의 밧데리 자동절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대기 및 통화시간을 무한정 연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밧데리를 구성하여 로우밧데리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밧데리를 절체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기기는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통화를 형성한다. 이때 밧데리는 충전밧데리를 사용하며, 이 충전밧데리는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로 충전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무선기기는 본원출원인에 의해 1990년 대한민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110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로우밧데리상태를 검출하여 경보가 발생하면 밧데리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밧데리는 종지전압 이하로 방전되면 통화를 할 수 없게되므로 사용자는 로우밧데리 경보를 감지하여 수동으로 다른 밧데리로 교체하거나 충전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통화중에 로우밧데리 경고음이 발생된 후 종지전압이 이하로 방전되면 밧데리의 전원이 차단됨으로 통화가 차단되어 밧데리 교체후 통화를 재시도 하여야 하며, 또한 통화중 로우밧데리 발생시 5초 이내에 수동으로 밧데리를 교체하지 않게되면 자동으로 호가 드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기기에 있어서 통화중 로우밧데리로 인한 통화단절을 방지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밧데리를 구비하여 로우밧데리 발생시 사용가능한 다른 밧데리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밧데리 자동절체회로는 액티브 밧데리의 전압을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 상태를 검출하여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절체제어수단과, 상기 절체제어수단의 절체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액티브 밧데리의 전원공급을 오프시키고 상기 스텐바이 밧데리의 전원으로 선택 절체하는 밧데리 절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밧데리 자동절체 제어방법은 액티브 밧데리가 로우밧데리 상태일시 스탠바이 밧데리를 액티브 밧데리로 절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자동절체회로도로서, 제1밧데리(10)와, 제2밧데리(12)와, 상기 제1밧데리(10) 또는 제1밧데리(12)의 전압을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의 상태를 검출하여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절체제어부(14)와, 상기 절체제어부(14)의 절체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1밧데리(10) 또는 제2밧데리(12)를 선택 절체하는 밧데리 절체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중 절체제어부(14)는 소정 로우밧데리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밧데리(10) 또는 제2밧데리(12)를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치(18)와, 상기 스위치(18)로부터 선택된 밧데리의 전압을 분압하여 출력하는 분압부(20)와, 상기 분압부(20)로부터 분압된 밧데리 전압을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루어밧데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CPU(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밧데리 절체부(16)는 상기 제1밧데리(10)의 출력단과 제1전원공급단자(P1) 사이에 드레인과 소스가 연결된 FET(Q1)와, 상기 제1밧데리(10)의 출력단과 상기 FET(Q1)의 게이트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저항(R3)및 캐패시터(C2)로 이루어져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밧데리(10) 전원을 제1전원공급단자(P1)로 공급하는 제1절체부(24)와, 상기 제2밧데리(12)의 출력단과 제2전원공급단자(P2)사이에 드레인과 소스가 연결된 FET(Q2)과, 상기 제2밧데리(12)의 출력단과 상기 FET(Q2)의 게이트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저항(R4) 및 캐패시터(C3)와, 상기 CPU(22)의 출력단과 상기 FET(Q1)의 게이트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I1)로 이루어져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2밧데리(12)의 전원을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하는 제2절체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P1)와 제2전원공급단자(P2)는 휴대용 무선기기의 전원 공급단자에 연결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자동 절체 제어흐름도로서, 액티브 밧데리가 로우밧데리 상태일 시 스텐바이 밧데리를 액티브 밧데리로 절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1∼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밧데리(10)와 제2밧데리(12)가 정상적으로 충전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밧데리(10)를 액티브 밧데리, 제2밧데리(12)를 스탠바이 밧데리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밧데리(10)가 액티브 밧데리이면 CPU(22)는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18)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18)는 공통단자(c)와 단자(a)가 연결되어 상기 제1밧데리(10)의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제1밧데리(10)의 정상 전압은 스위치(18)를 통해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되며, 캐패시터(C1)에 충전된다. 상기 캐패시터(C1)에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CPU(22)로 인가된다. 이로인해 상기 CPU(22)는 상기 분압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 상태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밧데리(10)의 전압이 정상상태이면 상기 디지털 변환된 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게 되므로 상기 CPU(22)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는 상기 스위치(18)를 계속해서 단자(a)와 공통단자(c)와 연결되도록 하여 제1밧데리(10)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는 FET(Q1)의 게이트로 인가되어 상기 FET(Q1)를 온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제1밧데리(10)의 전원을 제1전원공급단자(P1)로 공급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1밧데리(10)의 전원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밧데리(10)의 전원이 방전되어 상기 저항(R1∼R2)에 의한 분압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게되면 상기 CPU(22)는 로우밧데리로 감지하여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인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 신호는 스위치(18)로 인가되어 상기 스위치(18)의 공통단자(c)와 단자(b)가 연결되도록 하여 제2밧데리(12)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 신호인 로우신호는 인버터(I1)를 통해 반전되어 FET(Q2)의 게이트로 인가되어 상기 FET(Q2)를 온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제2밧데리(12)의 전원을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된 로우신호는 FET(Q1)의 게이트로 인가되므로 상기 FET(Q1)는 오프되어 상기 제1밧데리(10)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스텐바이 밧데리로 있던 제2밧데리(12)가 액티브 밧데리로 절체된 후 상기 스탠바이 밧데리로된 제1밧데리(10)를 충전하여 사용가능한 상태로 장착을 하게 되면 상기 제2밧데리(12)가 로우 밧데리로 검출될때 다시 제1밧데리(10)가 다시 액티브 밧데리로 절체된다. 이와 같이 두개의 밧데리중 한 밧데리가 로우 밧데리로 검출될 시 다른 밧데리로 절체할 수 있도록 CPU(22)에서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 CPU(22)는 51단계에서 제1∼제2밧데리(10, 12)가 장착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두개의 밧데리 모두가 장착되어 있으면 5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52단계에서 CPU(22)는 제1밧데리(10)를 액티브 밧데리로 설정하였을 때 밧데리절체 제어신호를 하이로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18)는 단자(a)와 공통단자(c)가 연결되어 제1밧데리(10)의 전원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CPU(22)로부터 발생된 하이신호는 FET(Q1)의 게이트로 인가되어 상기 FET(Q1)를 온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제1밧데리(10)의 전원을 제1전원공급단자(P1)로 공급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통화요구가 있게되면 CPU(22)는 53단계에서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후 5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4단계에서 CPU(22)는 저항(R1∼R2)로부터 분압된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 변환한 후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제1밧데리(10)가 로우밧데리인가 검사하여 로우밧데리가 아니면 계속해서 통화 가능하도록 통화로를 연결하고, 로우 밧데리로 검출되면 5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5단계에서 CPU(22)는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로우신호로 발생하여 스위치(18)를 단자(b)와 공통단자(c)로 연결시켜 제2밧데리(12)의 전원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CPU(22)로부터 발생된 로우신호는 인버터(I1)를 통해 FET(Q1)의 게이트로 인가되어 상기 FET(Q2)를 온시켜 제2밧데리(12)로 절체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제2밧데리(12)의 전원을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하여 휴대용 무선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56단계에서 CPU(22)는 상기 절체된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된 전원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53단계에서 연결된 통화로를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 통화로를 유지시키고 5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7단계에서 CPU(22)는 현재 액티브상태인 제2밧데리(12)가 로우밧데리로 검출되었는가 검사하여 로우밧데리로 검출되었으면 상기 52단계로 돌아가 상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하여 제1밧데리(10)로 절체를 한다. 그러나 상기 57단계에서 제2밧데리(12)가 로우밧데리로 검출되지 않으면 56단계로 돌아가 계속해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전기기에서 복수의 밧데리를 구성하여 사용중인 액티브상태인 밧데리의 로우밧데리 상태를 자동 검출하여 로우밧데리가 될시 다른 하나의 밧데리로 절체사용함으로 통화단절 없이 무한정 통화가 가능하고, 또한 기존의 로우밧데리 경보가 발생한 후 5초 이내에 밧데리 교환을 하지 않게 되면 통화가 두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액티브 밧데리와 스탠바이 밧데리인 복수의 밧데리를 구비하고, 제1∼제2전원공급단자(P1, P2)가 각각 전원입력단자에 연결된 휴대용 무선기기의 밧데리 자동절체회로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밧데리의 전압을 설정 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를 상태를 검출하여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절체제어수단과, 상기 절체제어수단에서 액티브 밧데리가 로우밧데리로 검출될 시 절체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액티브 밧데리의 전원이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P1)로 공급됨을 차단하고 상기 스탠바이 밧데리의 전원이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되도록 선택 절체하여 통화의 중단없도록 상기 휴대용 무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절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제어수단은, 상기 액티브밧데리 또는 스텐바이밧데리를 소정 밧데리 절체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된 밧데리의 전압을 분압하여 출력하는 분압수단과, 상기 분압수단으로부터 분압된 밧데리 전압을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로우밧데리 상태가 검출될 시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 절체수단은, 상기 CPU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액티브밧데리의 전원을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P1)로 공급하는 제1절체부와, 상기 CPU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텐바이밧데리의 전원을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하는 제2절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체부는, 상기 액티브밧데리의 출력단과 제1전원공급단자(P1) 사이에 드레인과 소스가 연결되고, 상기 CPU의 출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FET(Q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자동 절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체부는, 상기 스텐바이밧데리의 출력단과 제2전원공급단자(P2)사이에 드레인과 소스가 연결된 FET(Q2)와, 상기 CPU 출력단과 상기 FET(Q2)의 게이트 상에 접속된 인버터(I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6. 액티브 밧데리와 스텐바이 밧데리인 복수의 밧데리와, 상기 액티브밧데리 또는 스텐바이밧데리를 소정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된 밧데리의 전압을 분압하여 출력하는 분압수단과, 상기 분압수단으로부터 분압된 밧데리 전압을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로우밧데리 상태가 검출될 시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와, 상기 CPU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액티브밧데리의 전원을 제1전원공급단자(P1)로 공급하는 제1절체부와, 상기 CPU로부터 출력된 밧데리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스텐바이밧데리의 전원을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P2)로 공급하는 제2절체부를 구비하고, 제1∼제2전원공급단자(P1, P2)가 각각 전원입력단자에 연결된 휴대용 무선기기의 밧데리 자동절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밧데리의 전압을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로우밧데리의 상태가 검출될 시 밧데리 절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액티브 밧데리가 로우밧데리로 검출될 시 출력된 절체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액티브 밧데리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스텐바이 밧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무선기기의 전원입력단자로 공급되도록 선택 절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자동절체제어방법.
KR1019940009017A 1994-04-27 1994-04-27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7000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017A KR970007604B1 (ko) 1994-04-27 1994-04-27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017A KR970007604B1 (ko) 1994-04-27 1994-04-27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04A KR950030504A (ko) 1995-11-24
KR970007604B1 true KR970007604B1 (ko) 1997-05-13

Family

ID=1938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017A KR970007604B1 (ko) 1994-04-27 1994-04-27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651B1 (ko) * 2004-02-24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듀얼 셀 배터리 구조를 갖는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926B1 (ko) * 1999-04-13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의 전력제어장치
KR100724401B1 (ko) * 2004-06-11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KR100619904B1 (ko) * 2004-09-22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중 배터리 전원회로
US8143855B2 (en) * 2008-02-15 2012-03-27 Atieva, Inc. Rechargeable split batter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651B1 (ko) * 2004-02-24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듀얼 셀 배터리 구조를 갖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04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428A (en) Overdischarge and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a battery in a portabl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4893348A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in car telephone mobile station system
US6314307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variation of the supply voltage
KR100498047B1 (ko)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KR970007604B1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2000116015A (ja) 低電力消費回路及び二次電池保護回路
US74441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hands-free kit
KR100338642B1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100312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20036497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회로
KR100211330B1 (ko)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0134936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과방전 방지회로
KR100379616B1 (ko) 무선 전화기의 백업 배터리 전원 회로
KR100388955B1 (ko) 정전시 무선전화기의 통화시간 연장 장치 및 방법
KR0134935B1 (ko) 무선 전화기 휴대 장치의 과방전에서 충전시 리셑회로
KR0179287B1 (ko) 전원 공급 자동전환 장치
KR20010054374A (ko) 휴대폰 통화중 배터리 교체 회로
KR2007002790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KR920008248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오프시 밧데리 전원 소비 방지회로
KR20020037400A (ko)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KR200100196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레벨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0200214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JPH04265866A (ja) 電池電圧低下警報方法
KR200100585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
KR20010056419A (ko) 컴퓨터용 전원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