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401B1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401B1
KR100724401B1 KR1020040043199A KR20040043199A KR100724401B1 KR 100724401 B1 KR100724401 B1 KR 100724401B1 KR 1020040043199 A KR1020040043199 A KR 1020040043199A KR 20040043199 A KR20040043199 A KR 20040043199A KR 100724401 B1 KR100724401 B1 KR 10072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in body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oi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925A (ko
Inventor
임국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401B1/ko
Priority to CNB2004100955930A priority patent/CN100502422C/zh
Publication of KR2005011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유지하고 이중 연결상태의 배터리를 선택 교환하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터리를 탈착 및 부착하는 제1 고정부; 제1 고정부에 접속하고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에 고정 부착하거나 탈착하며 배터리의 앞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부로 형성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레벨을 검출 분석하여 잔량을 검출하고, 이중 연결 배터리의 선택 설정을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본체; 본체에 결합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설정되며 셀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제1 배터리; 본체에 결합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설정되며 셀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제2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 본체에 의하여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 상기 과정에서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으면 각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고 선택 설정된 배터리와 접속하는 선택과정; 상기 과정에서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컷오프 레벨이면 배터리를 절체 설정하는 절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는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서도 배터리를 교체하고, 배터리 용량을 간편하게 늘리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A STRUCTURE AND A METHOD OF OPERATING DUAL CONNECTION BATTERY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결합방식 설명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와 배터리의 전원공급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설명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장치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 스위치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한 연결상태 설명도,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연결상태 설명도,
도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이중 연결상태 설명도,
도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본체 110 : 제1 배터리부 120 : 제2 배터리부
130 : 결합부 140 : 제2 고정부 150 : 제1 고정부
200 : 디지털부 210 : 제어부 220 : 제1 스위치
230 : 제2 스위치 240 : 제1 인버터 250 : 제3 스위치
260 : 제2 인버터 R1 : 제1 풀다운 저항 R2 : 제2 풀다운 저항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유지하고 배터리를 선택 교환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 통신하고,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하면서 무선통신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므로 동작전원으로 고정상태의 가정 등에 공급되는 상용전원(AC)을 사용할 수 없고,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며, 상기 배터리는 방전(DISCHARGING)에 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충전(CHARGING)에 의하여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충방전용(RECHARGEABLE)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에는 일반적으로 소용량과 대용량의 배터리가 공급되며, 배터리가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을 모두 방전 한 경우 또는,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단말기 본체로부터 상기 배터리를 분리하므로 동작전원의 공급이 차단(OFF)되어 운용중인 통신, 부가서비스 등을 중지하여야 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대방과 중요한 업무협의 내용을 통신하는 상태에서 배터리가 방전상태이면, 상기 방전된 배터리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한다.
따라서, 전원 오프 상태에 의하여 전송되던 데이터가 중단되므로 처음부터 다시 전송하여야 하고, 통신 중이던 중요한 업무 협의 및 각종 부가서비스는 다시 접속하여 재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의 공급을 오프시키기 않고 유지하는 상태에서 다른 배터리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므로, 현재 진행중인 통신 및 부가서비스 등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공급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결합방식 설명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와 배터리의 전원공급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결합방식을 설명하면,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휴대단말기의 본체(10)는, 충방전용 배터리(20)와 접속하여 해당 접점을 통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통신 및 부가기능을 운용한다.
상기 배터리(20)는 충전(CHARGING)에 의하여 동작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동작전원이 방전(DISCHARGING)에 의하여 출력되므로 접속된 휴대단말기의 본 체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용 배터리는 재사용된다.
상기 배터리(20)가 방전상태이면 상기 본체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분리하고, 충전상태의 새로운 배터리(20)로 교체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교체하는 경우에 휴대단말기는 동작전원이 오프(OFF) 또는 차단되므로, 초기화 상태가 되고, 충전상태의 배터리(20)가 휴대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되어 동작전원을 공급하면, 해당 상기 본체(10)는 운용 프로그램부터 새로이 로딩하여 통신 또는 해당 부가서비스를 운용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를 교체하는 경우는, 기존에 운용되는 통신, 부사서비스를 모두 중단하고, 새로이 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와 배터리의 전원공급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충방전용 배터리(20)에는, 휴대단말기 본체(10)와 접속하여 내장된 충방전용 배터리 셀(CELL)로부터 +(프러스) 의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제1 접점(C1')과, 내장된 충방전용 배터리(2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접점(C2')과, 접지 또는 그라운드의 -(마이너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접점(C3')이 포함된다.
휴대단말기의 본체(10)는 제1 접점(C1)이 배터리(20) 제1 접점(C1')과 접속하여 + 의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접점(C2)에 의하여 배터리(20)의 내부온도 측 정 신호를 공급받으며, 제3 접점(C3)에 의하여 배터리(20)와 접지 또는 그라운드의 - 신호를 일치시킨다.
상기 제1 접점(C1)을 통하여 배터리(20)의 제1 접점(C1')으로부터 입력되는 + 동작전원은, 디지털부(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30)에 인가되어 배터리의 전압레벨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레벨은 제어부(MPU: MICRO PROCESSOR UNIT)(40)에 인가되고, 비교 분석되어 배터리(20)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전원이 인가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상기와 같이 판단된 결과에 의하여 해당 제어를 하는 동시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판단된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접점(C2)을 통하여 배터리(20)의 제2 접점(C2')으로부터 입력되는 배터리 내부 온도 신호는, 상기 디지털부(30)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제어부(40)에 인가되어 배터리(20)가 정상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있는지 또는, 과방전 상태 인지를 판단하며, 상기와 같이 판단한 제어부(40)는 해당 필요한 제어를 한다.
상기 제3 접점(C3)은, 상기 배터리(20)의 제3 접점(C3')과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점(C1)을 통하여 입력되는 동작전원과 제2 접점(C2)을 통하여 입력되는 온도검출신호의 공통접지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본체(10)의 제어부(40)에서 배터리(20)가 공급하는 전압을 측정 분석하여, 만 충전상태 인지 또는 방전상태 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방전상태이면, 상기 배터리(20)를 휴대단말기 본체(10)와 분리하고 충전상태의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20)를 교체하는 경우, 휴대단말기 본체를 전원 오프 상태로 설정하거나 또는, 배터리(20)가 분리되면서 자동으로 전원 오프(OFF) 상태가 되므로, 통신이나 해당 부가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휴대단말기로 진행중인 통신 또는 부가서비스 이용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표준용량의 배터리를 대용량의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대용량의 배터리를 표준용량의 배터리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본체의 동작전원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전원 오프 상태가 설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배터리 장착 구조를 이중구조로 하므로, 진행중인 통신 및 부가서비스를 중지하지 안고서도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터리를 탈착 및 부착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접속하고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에 고정 부착하거나 탈착하며 배터리의 앞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부로 형성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레벨을 검출 분석하여 잔량을 검출하고, 이중 연결 배터리의 선택 설정을 제어하는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결합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설정되며 셀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제1 배터리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결합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설정되며 셀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제2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본체에 의하여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으면 각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고 선택 설정된 배터리와 접속하는 선택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컷오프 레벨이면 배터리를 절체 설정하는 절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설명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한 연결상태 설명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연결상태 설명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이중 연결상태 설명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를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터리(110,120)를 탈착 및 부착하는 제1 고정부(150)와,
상기 제1 고정부(150)에 접속하여 배터리(110, 120)를 휴대단말기(100)에 고정 부착하거나 탈착하며, 배터리(110, 120)의 앞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부(130)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110, 120)는 후면에 다른 배터리(110, 120)를 탈착 및 부착하는 제2 고정부(140)를 일체로 더 형성 구비하는 구조이다.
또한, 제1 고정부(150)와 결합부(130)는, 이중 연결구조 배터리(110, 120)로부터 동작전원을 각각 전달하는 제1 및 제2 접속점과, 상기 이중 연결구조 배터리(110, 120)를 선택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3 접속점과, 상기 이중연결구조 배터리(110, 120)의 접지신호를 전달하는 제4 접속점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슬라이딩 방식이나 고정결합 방식으로 서로 부착 고정되고 탈착 분리되는 구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본체(100)는 동작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50)에 충방전용 배터리(110, 120)를 탈부착 상태로 장착하고 분리한다.
상기 배터리(110, 120)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고정결합 방식으로, 상기 본체(100)에 고정 장착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결합 상태에서는 각각의 제1 접속점과 제2 접속점과 제3 접속점과 제4 접속점이 접속 연결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배터리(110, 120)의 전원이 본체(100)에 공급된다.
상기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는, 각각 본체의 제1 고정부(150)에 해당 결합부(130)가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선택에 의하여 본체(100)에 장착된 제1 배터리(110)의 제2 고정부(140)에 제2 배터리(120)의 결합부(130)가 장착되거나 또는, 본체(100)에 장착된 제2 배터리(120)의 제2 고정부(140)에 제1 배터리(110)의 결합부(130)가 결합하는 이중 연결구조로 장착된다.
일 예로, 본체(100)에 제1 배터리(110)가 장착되어 통신 또는 중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제1 배터리(110)의 잔량이 컷오프(CUTOFF) 상태이면, 상기 제1 배터리(110)의 제2 고정부(140)에 제2 배터리(120)의 결합부(130)를 결합시키어 동작전원을 계속 공급받으므로,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서 다른 배터리(BATTERY)로 교체 가능한 동시에 진행중인 통신 또는 자료 전송을 오류 없이 계속 진행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는 휴대단말기의 전체 무게와 부피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휴대단말기 운용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서도 배터리 용량을 간편하게 추가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장치를 설명한다.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레벨을 검출 분석하여 잔량을 검출하고, 이중 연결 배터리의 선택 설정을 제어하는 것으로, 복수의 배터리(110, 120)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입력하는 제1 접속점(C10) 및 제2 접속점(C20); 상기 제1 및 제2 접 속점(C10, C20)으로부터 아날로그(ANALOG) 전압 신호를 검출하고 디지털(DIGITAL) 전압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디지털부(ADC)(200); 상기 디지털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신호를 분석하고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복수 배터리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MPU)(210);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속점(C10)과 제2 접속점(C20)으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부(220); 상기 복수 배터리와 접속하고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접속점(C30); 상기 복수 배터리와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접지와 공통으로 연결하는 제4 접속점(C40); 상기 제3 접속점(C30)에 접속되어 로우레벨로 풀다운(PULL DOWN)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풀다운 저항(R1);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로우레벨로 풀다운(PULL DOWN)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풀다운 저항(R2)이 포함되는 휴대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에 결합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설정되며 셀(CELL)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1 접속점(C10)과 직접 접속하는 제1 전면 접속점(C11);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2 접속점(C20)과 직접 접속하는 제2 전면 접속점(C21);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3 접속점(C30)과 직접 접속하는 제3 전면 접속점(C31);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4 접속점(C40)과 직접 접속하는 제4 전면 접속점(C41); 상기 제1 전면 접속점(C11)과 제2 전면 접속점(C21)에 각각 접속하고 상기 제3 전면 접속점(C31)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터리 셀1의 전 원을 선택 출력하는 제2 스위치부(230); 상기 제3 전면 접속점(C31)과 접속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인버터(240); 상기 제1 전면 접속점(C11)과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고 연결되지 않는 제1 후면 접속점(C12); 상기 제2 전면 접속점(C21)과 연결하고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후면 접속점(C22); 상기 제3 전면 접속점(C31)과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인버터(240)에 연결되는 제3 후면 접속점(C32); 상기 제4 전면 접속점(C41)과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고 접지에 연결되는 제4 후면 접속점(C42)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1 고정부(150)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거나 다른 배터리 후면의 제2 고정부(140)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는 제1 배터리(110)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에 결합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 설정되며 셀(CELL)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1 접속점(C10)과 직접 접속하는 제1 전면 접속점(C13);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2 접속점(C20)과 직접 접속하는 제2 전면 접속점(C23);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3 접속점(C30)과 직접 접속하는 제3 전면 접속점(C33);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4 접속점(C40)과 직접 접속하는 제4 전면 접속점(C43); 상기 제1 전면 접속점(C13)과 제2 전면 접속점(C23)에 각각 접속하고 상기 제3 전면 접속점(C33)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터리 셀2의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제3 스위치부(250); 상기 제3 전면 접속점(C33)과 접속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 인버터(250); 상기 제1 전면 접 속점(C13)과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고 연결되지 않는 제1 후면 접속점(C14); 상기 제2 전면 접속점(C23)과 연결하고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후면 접속점(C24); 상기 제3 전면 접속점(C33)과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인버터(250)에 연결되는 제3 후면 접속점(C34); 상기 제4 전면 접속점(C43)과 대칭되는 후면 위치에 구비되고 접지에 연결되는 제4 후면 접속점(C44)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제1 고정부(150)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거나 다른 배터리 후면의 제2 고정부(140)에 탈부착 상태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12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00)는 제1 배터리(110)와 또는 제2 배터리(120)와 직접 탈부착 상태로 접속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이중상태로 연결되고 선택된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접속점이 위치하며, 일 실시 예로,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후면 또는 제1 고정부에는 제1 접속점(C10)과 제2 접속점(C20)과 제3 접속점(C30)과 제4 접속점(C4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의 전면 또는 결합부에는 각각의 제1 전면 접속점(C11, C13)과 제2 전면 접속점(C21, C23)과 제3 전면 접속점(C31, C33)과 제4 전면 접속점(C41, C4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의 후면 또는 제2 고정부에는 각각의 제1 후면 접속점(C12, C14)과 제2 후면 접속점(C22, C24)과 제3 후면 접속점(C32, C34)과 제4 후면 접속점(C42, C4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에는 각각 스위치부(220, 230, 25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각 스위치부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결 경로를 다르게 설정한다.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각 스위치부(220, 230, 25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고 형성 접속되는 경로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스위치부에 0의 로우(LOW) 레벨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1 번 경로와 2번 경로를 스위칭하여 접속하고, 상기 스위치부에 1의 하이(HIGH) 레벨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1번 경로와 3번 경로를 스위칭하여 접속한다.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휴대단말기의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가 결합되어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본체의 제1 접속점(C10), 제2 접속점(C20), 제3 접속점(C30), 제4 접속점(C40)은, 각각 상기 제1 배터리(110)의 제1 전면 접속점(C11), 제2 전면 접속점(C21), 제3 전면 접속점(C31), 제4 전면 접속점(C41)에 접속된다.
상기 본체의 제3 접속점(C30)에 연결된 제1 풀다운 저항(R1)은 접지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0의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로우레벨 신호는 제3 접속점(C30)과 제3 전면 접속점(C31)을 통하여 제2 스위치(230)와 제1 인버터(240)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제2 스위치(230)는, 로우레벨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1번 단자 로 입력되는 배터리 셀1의 동작전원을 2번 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2 번 단자는 제1 전면 접속단자(C11)를 통하여 본체(100)의 제1 접속단자(C10)에 인가된다.
상기 제1 접속단자(C10)는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제1 스위치(220)에 인가하는 동시에 디지털부(200)에 인가하며, 상기 디지털부(20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동작전원의 레벨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210)는 디지털로 입력되는 동작전원의 레벨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배터리(110)의 셀1이 공급하는 전압을 측정하고, 컷오프 수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22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제1 스위치부(220)에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2 풀다운 저항(R2)에 의하여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스위치부(22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디지털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신호를 분석하여 컷오프 상태가 아니고 정상적이면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제1 스위치(220)는 1번 과 3번 단자의 경로를 접속하여, 상기 제1 접속단자(C1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에 출력한다.
상기 도6의 점선은,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제1 배터리(110)의 셀1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이 본체(100)에 인가되는 경로를 보여준다.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다른 일 실시 예로,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가 본체(100)에 이중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의 동작전원 공급경로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10)가 판단하여 제1 배터리(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선택된 경우는 상기 도6의 설명과 동일하며, 이때, 상기 제1 인버터(240)는 입력되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제1 인버터(240)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는, 제3 후면 접속단자C32)를 통하여 제2 배터리(120)의 제3 전면 접속단자(C33)에 인가되므로, 상기 제3 스위치(250)와 제2 인버터(260)에 인가된다.
상기 하이레벨(HIGH LEVEL)의 제어신호를 입력한 제3 스위치(250)는, 상기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스위치(250) 1 번 단자와 3 번 단자를 접속하므로, 셀2의 동작전원을 제2 전면 접속단자(C23)를 통하여 제1 배터리부(110)의 제2 후면 접속단자(C22)와 제2 전면 접속단자(C21)를 통하여 본체(100)의 제2 접속단자(C20)에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2 접속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제2 배터리의 셀2 동작전원은, 디지털부(200)에 인가되어 디지털 전압으로 검출되고, 제어부(210)에 인가되어 분석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제1 배터리(110)가 동작전원을 더 이상 출력하지 못하는 컷오프 상태이면, 제어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하므로, 상기 제1 스위치(220)는 스위칭하여 1번 단자와 3번 단자를 접속하므로, 상기 3번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C20)에 인가되는 제2 배터리(120) 동작전원이 본체(100)의 각 기능부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2 배터리(1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먼저 공급받고, 제1 배터리(110)로부터는 나중에 공급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가 이중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각각의 잔량 전원을 측정하여, 해당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방식은, 선택(OPTION)에 의하여 각각 구분하여 해당 잔량을 표시하거나 또는 합한 전체 잔량을 하나로 표시할 수 있고, 배터리의 선택은, 잔량이 낮은 것부터 선택하거나 또는 낮은 것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다운 저항(R1)이 연결되는 제3 접속점(C30), 제3 전면 접속점(C31, C33), 제3 후면 접속점(C32, C34)의 숫자를 늘리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로부터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우, 2개 이상의 다수 배터리를 연속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는, 제1 배터리(110)를 접속하여 휴대단말기 본체(100)를 운용하는 상태에서 동작전원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에 제2 배터리(120)를 연결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를 이중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방법을 설명한다.
휴대단말기 본체에 의하여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S100)과,
상기 시작과정(S100)에서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으면 각 배터리의 잔량 을 표시하고 선택 설정된 배터리와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이중 연결된 각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S110); 상기 이중 연결된 각 배터리 중에서 하나를 선택 설정하여 접속하는 과정(S120)으로 이루어지는 선택과정과,
상기 선택과정에서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컷오프 레벨이면 배터리를 절체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과정에서 선택 설정되어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의 배터리 전압레벨을 분석하여 배터리가 방전을 완료한 컷오프(CUTOFF) 레벨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판단하여 컷오프 레벨로 판단되면 이중연결의 다른 배터리로 절체 연결되도록 제어 설정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절체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 배터리의 검출된 잔량을 표시부에 하나로 표시하거나, 구분하여 각각 표시하며, 상기 이중 연결 배터리의 선택은, 잔량 레벨이 높은 것을 먼저 선택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먼저 설정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100)는, 이중 배터리가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으면, 각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해당 표시부에 표시하며(S110), 상기 배터리 잔량을 각각 검출하고, 선택에 의하여 분리된 상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합하여 하나로 통합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이중 연결된 배터리 중에서 먼저 사용할 배터리를 선택하여 설 정하므로 본체(100)와 접속되며(S120), 상기 본체(100)는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다(S130).
상기 본체(100)는 현재 접속된 배터리가 동작전원을 더 이상 출력하지 못하는 컷오프 상태 인지를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S140)에서 컷오프 레벨이면, 이중 연결된 다른 배터리로 절체되도록 설정하며(S150), 상기 절체 설정된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이중 연결방식은, 휴대단말기를 포함하여 휴대하면서 이동하는 모든 장비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중 연결하므로, 용량을 간단하게 늘리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는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서도 배터리를 교체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탈부착 구조를 형성하는 배터리를 이중으로 연결하므로 배터리 용량을 간편하게 늘리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터리를 탈착 및 부착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중 연결구조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각각 전달하는 제1 및 제2 접속점과;
    상기 이중연결구조 배터리를 선택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3 접속점과;
    상기 이중연결구조 배터리의 접지신호를 전달하는 제4 접속점을 각각 구비하여 형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접속하고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에 고정 부착하거나 탈착하며 배터리의 앞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후면에 다른 배터리를 탈착 및 부착하는 제2 고정부를 일체로 더 구비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부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고정결합 방식으로 서로 부착 고정되고 탈착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배터리가 이중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각 배터리의 잔량 및 각 배터리의 통합 잔량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배터리의 잔량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터리 잔량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배터리 잔량은, 잔량 레벨이 높거나, 또는 잔량 레벨이 낮은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연결방법.
  15. 삭제
KR1020040043199A 2004-06-11 2004-06-1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KR10072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199A KR100724401B1 (ko) 2004-06-11 2004-06-1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CNB2004100955930A CN100502422C (zh) 2004-06-11 2004-12-02 一种移动通信终端的电池双重连接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199A KR100724401B1 (ko) 2004-06-11 2004-06-1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925A KR20050117925A (ko) 2005-12-15
KR100724401B1 true KR100724401B1 (ko) 2007-06-04

Family

ID=3558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199A KR100724401B1 (ko) 2004-06-11 2004-06-1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4401B1 (ko)
CN (1) CN1005024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72B1 (ko) 2014-07-23 2016-03-11 지스마트글로벌 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부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04A (ko) * 1994-04-27 1995-11-24 김광호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70007604A (ko) * 1995-07-04 1997-02-21 구자홍 윈도우 화면 표시 장치
KR19990011280A (ko) * 1997-07-22 1999-02-18 구자홍 휴대폰의 전원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4919U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휴대 전화기 전원 공급 장치
KR20000069142A (ko) * 1996-11-26 2000-11-25 도날드 디. 먼둘 셀룰러 전화기용 모듈러 스택커블 배터리
KR20010003805A (ko) * 1999-06-25 2001-01-15 윤종용 다수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04A (ko) * 1994-04-27 1995-11-24 김광호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70007604A (ko) * 1995-07-04 1997-02-21 구자홍 윈도우 화면 표시 장치
KR20000069142A (ko) * 1996-11-26 2000-11-25 도날드 디. 먼둘 셀룰러 전화기용 모듈러 스택커블 배터리
KR19990011280A (ko) * 1997-07-22 1999-02-18 구자홍 휴대폰의 전원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4919U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휴대 전화기 전원 공급 장치
KR20010003805A (ko) * 1999-06-25 2001-01-15 윤종용 다수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925A (ko) 2005-12-15
CN100502422C (zh) 2009-06-17
CN1708059A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2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 동작 모드에 따른 배터리 가용 시간 알림방법
US5497507A (en) Portable wire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use specific power monitoring
JP3235570B2 (ja) 通信装置
JP3807556B2 (ja) 補助電池センサ・スイッチ
US10164455B2 (en) Charging management apparatus,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US20070188145A1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method thereof
JPH0591017A (ja) 無線電話機
JP4633547B2 (ja) 携帯情報端末機器およびその機器内相互通信方法
CN110191215B (zh) 终端及处理方法
US20220053255A1 (en) Wireless headset
CN100420122C (zh) 电话
KR100608790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US20060240816A1 (en) Wireless phone system
KR100724401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이중 연결구조 및 방법
CN112821494A (zh) 一种无线充电检测方法、装置及系统
JP2000092721A (ja) 電池残量検出装置
US67038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and recharging operations
CN108391293B (zh) 一种共享mifi设备及其切换网络的方法
US20060240864A1 (en) Wireless phone system
JPH07218562A (ja) 電源装置
JP4032214B2 (ja) 携帯電話機及び電源制御方法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JPH07231294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充電台
JP3088312B2 (ja) 移動電話機
JP200404848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