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400A -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400A
KR20020037400A KR1020000067320A KR20000067320A KR20020037400A KR 20020037400 A KR20020037400 A KR 20020037400A KR 1020000067320 A KR1020000067320 A KR 1020000067320A KR 20000067320 A KR20000067320 A KR 20000067320A KR 20020037400 A KR20020037400 A KR 2002003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battery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643B1 (ko
Inventor
정천복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643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검출충전전압(X)을 기준전압(A)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일정충전시간(T)과 일정충전전류(C1,C2)로 가변하여 상기 2개의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승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내부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전압승압부와, 이 전압승압부의 출력전압을 내부 회로의 바이어스전원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전압분배부를 구비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발명은 무선전화기에 2 셀의 배터리를 채용하여 승압된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충전상태에 따라 적정시간 퀵충전한후 노말충전이 실행되도록 하므로써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셀수를 줄일 수 있어 그에따라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제조비용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노말 충전시 충전전류를 적게 흐르게 하여 배터리 커버상의 열발생을 억제하게 되므로 그에따라 무선전화기시스템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 그 충전 방법{charging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system adopting the battery 2 cell and charg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에 2 셀의 배터리를 채용하여 승압된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충전상태에 따라 적정시간 퀵충전한후 노말충전이 실행되도록 하므로써,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셀수를 줄일 수 있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 시스템은 통상의 전화기 코드를 무선 링크로 대치한 것으로, 실내 등의 짧은 거리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데 적합한 장치인데, 용주파수면에 있어서도 단일 혹은 복수의 주파수를 모두 사용가능하며, 전화기 역시 1개 이상의 사용이 가능한 매우 편리한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러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에는 보통 충전기능이 구비된 본체와 이 본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무선전화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는 일정모드 예컨데, 퀵 충전모드(quick charge mode)와 일반 충전모드(normal charge mode)로 충전 기능이 실행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충전단자(70)에 무선전화기(71)가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무선전화기(71)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검출부(72)와, 이 충전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전압변위를 판단하여 무선전화기(71)의 충전상태를판단하고 퀵 충전모드과 일반 충전모드기능을 실행하여 무선전화기(71)의 배터리 셀(73)을 충전시키는 제어부(74)와, 이 제어부(74)의 일반 충전모드기능에 따라 일정레벨의 충전전류만을 상기 배터리 셀(73)로 입력시키는 일반 충전부(75)와, 상기 제어부(74)의 퀵 충전모드기능에 따라 일정레벨 이상의 충전전류를 상기 배터리 셀(73)에 공급하는 퀵 충전부(7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충전검출부(72)에는 입력단자(77)와 제어부(74)의 검출포트사이에 저항(R1)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R1)과 제어부(74)의 검출포트(S1)사이에 저항(R2)과 캐패시터(C1)가 병렬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반 충전부(75)에는 입력단자(77)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단 사이에 저항(R3-R5)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퀵 충전부(76)에는 상기 입력단자(77)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단 사이에 pnp 타입의 트랜지스터(Q1)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제어부(74)의 제어포트(S2)사이에 저항(R6)을 경유하여 npn타입의 트랜지스터(Q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73)은 통상적으로 3개의 셀을 채용하고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과 충전단자(70)에는 전압 안정화용 캐패시터(C2)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충전검출부(72)는 입력단자(77)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로 전압강하시켜 제어부(74)의 검출포트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이 제어부(74)는 이 입력된 충전검출부(72)의 검출전압을 기설정된 기준전압에 따라 판단하게 되는데,이때 만약 사용자가 무선전화기(71)를 충전단자(7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검출전압이 기준전압과 차이가 없으므로 무선전화기(71)의 비충전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무선전화기(71)를 충전단자(70)에 접촉시키면 충전검출부(72)의 검출전압은 변화하게 되고 그 변화된 전압은 제어부(74)의 검출포트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74)는 입력된 충전검출부(72)의 검출전압을 기준전압에 따라 판단하여 현재 무선전화기(71)가 충전상태에 있음을 판단한다. 그러면, 이 제어부(74)는 퀵 충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포트(S2)를 통해 퀵 충전부(76)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에 따라 퀵충전부(76)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도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단자(77)로부터 충전전류 예컨데, 100 mA 정도의 충전전류를 일반충전부(75)의 저항들(R3-R5)과 퀵충전부(76)의 트랜지스터(Q1)와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무선전화기(71)의 3 셀(73)에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충전기능이 일정시간 예컨데, 1시간정도 경과한 후에 제어부(74)는 일반 충전모드로 전환하여 퀵 충전부(76)의 동작을 오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74)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로우"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이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도 오프시킨다. 그러면, 상기 입력단자(77)를 통한 충전전류는 일반 충전부(75)에 의해 전압작용를 거친다음 다이오드(D1)를 거쳐 상기 3셀(73)에 충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충전전류는 대략 40-45 mA정도로 장시간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4)는 3셀(73)에 연결된 출력단자(70)를 통해서 예컨데 3.6[V] 정도의 전압을 출력시켜 기타 다른 연결회로의 바이어스 전원으로 사용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시스템은 상기 무선전화기(71)가 고가의 배터리 셀(73)를 3개이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제조비용을 증가시켰음은 물론 제품 설계시 배터리 셀(73)의 개수를 고려해서 설계해야 하므로 그 개수만큼 제품설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상기 시스템은 일반 충전모드시 40-45[mA]의 비교적 많은 충전전류가 장시간 배터리 셀(73)에 충전되므로 그에따라 배터리 셀(73)의 커버에 열이 발생되어 제품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무선전화기에 2 셀의 배터리를 채용하여 승압된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충전상태에 따라 적정시간 퀵충전한후 노말충전이 실행되도록 하므로써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셀수를 줄일 수 있어 그에따라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제조비용을 줄일수 있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말 충전시 충전전류를 적게 흐르게 하여 배터리 커버상의 열발생을 억제하게 되므로 그에따라 무선전화기시스템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도록 된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검출충전전압(X)을 기준전압(A)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일정충전시간(T)과 일정충전전류(C1,C2)로 가변하여 상기 2개의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승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내부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전압승압부와, 이 전압승압부의 출력전압을 내부 회로의 바이어스전원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전압분배부를 구비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2셀이 채용된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에 있을 경우 현재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전압(X)이 기준전압(A)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충전전압판단단계와, 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 이하일경우는 일정시간(T)동안 일정충전전류(C1)로 퀵충전을 실행한다음 노말모드로 전환하여 일정충전전류(C2)로 2셀의 배터리를 노말충전하는 최적 퀵충전실행단계와,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이상일경우는 일정충전전류(C2)로 노말충전을 실행시키는 최적 노말충전실행단계와, 상기 최적 퀵노말충전실행단계후에 현재 2셀에 충전된 전압을 시스템에 필요한 바이어스전압으로 일정레벨 승압시켜 내부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분배실행단계로 이루어진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충전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배터리 셀 2 : 무선전화기
3 : 제어부 4 : RF부
5 : 전압승압부 6 : 전압분배부
7 : 충전단자 8 : FET
9 : 충전검출부 10: 일반충전부
11: 퀵 충전부 12: 입력단자
13: 브리지회로단단 Q1-Q3: 트랜지스터
L1-L2: 코일 R1-R6: 저항
C1-C2: 캐패시터 S1-S5: 제어포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배터리 셀(1)을 사용하는 무선전화기(2)와, 이 무선전화기(2)의 충전전압을 기준전압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충전시간과 충전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2개의 배터리 셀(1)을 충전시키는 제어부(3)와, 이 제어부(3)의 승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1)의 전압을 일정레벨 예컨데, RF부(4)와 같은 내부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전압승압부(5)와, 이 전압승압부(5)의 출력전압을 내부 회로의 바이어스전원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전압분배부(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압승압부(5)에는, 상기 무선전화기(2)의 배터리셀(1)이 연결된 충전단자(7)에 코일(L1)이 연결되어 있고, 이 코일(L1)의 일단과 제어부(3)의 제어포트(S3)의 일단에 일정폭의 스윙 예컨데, 160 KHz로 스윙하여 전압증폭을 행하는 FET(8)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L1)의 일단과 FET(8)의 드래인단 사이에 다이오드(D1)의 애노드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압분배부(6)에는, 상기 전압승압부(5)의 다이오드(D1)의 캐소단에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에 예컨데, 상기 제어부(3) 구동용 바이어스 전압인 2.6[V]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에는 예컨데, RF부(4)를 포함하는 기타 내부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인 3.8[V]를 출력하는 코일(L2)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의 제어포트(S3)에는 전압승압부(5)의 FET(8)의 게이트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어부(3)의 다른 제어포트(S4)에는 전압분배부(6)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3)의 다른 제어포트(S1)에는 배터리셀(1)의 충전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충전단자(7)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장치에 사용되는 충전회로를 살펴보면, 충전단자(7)에 무선전화기(2)가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제어부(3)로 입력시키므로 무선전화기(2)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검출부(9)와, 상기 제어부(3)의 일반 충전모드기능에 따라 일정레벨의 충전전류만을 상기 배터리 셀(1)로 입력시키는 일반 충전부(10)와, 상기 제어부(3)의 퀵 충전모드기능에 따라 일정레벨 이상의 충전전류를 상기 배터리 셀(1)에 공급하는 퀵 충전부(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충전검출부(9)에는 입력단자(12)와 제어부(3)의 제어포트(S5)사이에 저항(R1)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R1)과 제어부(3)의 제어포트(S5)사이에 저항(R2)과 캐패시터(C1)가 병렬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반충전부(10)에는 입력단자(12)와 다이오드(D3)의 애노드단 사이에 저항(R3-R5)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퀵 충전부(11)에는 상기 입력단자(12)와 다이오드(D3)의 애노드단 사이에 pnp 타입의 트랜지스터(Q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과 제어부(3)의 제어포트(S2)사이에 저항(R6)을 경유하여 npn타입의 트랜지스터(Q3)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D3)의 캐소드단과 충전단자(7)에는 전압 안정화용 캐패시터(C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12)의 일단에는 배터리셀(1)의 접촉극성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브리지회로단단(13)이 연결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 실시예에 적용되는 충전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충전판단단계(S2)로 진행하여 현재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판단단계(S2)중에 판단한결과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는 전단계(S1)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충전판단단계(S2)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2셀이 채용된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에 있을 경우는 충전전압판단단계(S3)로 진행하여 현재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전압이 기준전압 예컨데, 2.65[V]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처음 셋팅되게되면 충전검출부(9)가 입력단자(12)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로 전압강하시켜 제어부(3)의 제어포트(S5)로 입력시키게된다. 그러면, 이 제어부(3)는 이 입력된 충전검출부(9)의 검출전압을 기설정된 기준전압에 따라 판단하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무선전화기(2)를 충전단자(7)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검출전압이 기준전압과 차이가 없으므로 무선전화기(2)의 비충전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2셀(1)이 채용된 무선전화기(2)를 충전단자(7)에 접촉시키면 충전검출부(9)의 검출전압은 충전전류가 배터리셀(1)로 흐르게 되므로 변화하게 되고 그에따라 그 변화된 전압은 제어부(3)의 제어포트(S5)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3)는 입력된 충전검출부(9)의 검출전압을 기준전압에 따라 비교판단하여 현재 무선전화기(2)가 충전상태에 있음을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 시스템에는 상기 무선전화기(2)의 배터리셀(1)의 극성을 바꾸어 충전단자(7)에 안치시킨다하더라도 양방향 전원사용이 가능한 브리지회로단단(13)이 구비되어 있어서 항시 정상적으로 충전동작을 실행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 예컨데, 2.65[V]이하일경우는 최적 퀵충전실행단계(S4)로 진행하여 일정시간(T) 예컨데, 2시간 동안 일정충전전류(C1) 예컨데, 120 mA로 퀵충전을 실행한다음 노말모드로 전환하여 일정충전전류(C2)인 30 mA로 2셀의 배터리를 노말충전한다.
환언하면, 2셀이 채용된 무선전화기(2)가 충전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부(3)는 제어포트(S1)를 통해 현재 2셀의 배터리(1)로부터 충전전압을 체킹하여 기준전압(A) 즉, 2.65[V]이하인지를 비교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는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전압(A)보다 클 경우 최적 일반충전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3)는 제어포트(S2)를 통해 퀵 충전부(11)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됨에 따라 퀵 충전부(11)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도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단자(12)로부터 브리지회로단(13)을 경유하여 2셀에 적합한 최적의 충전전류 예컨데, 120 mA 정도의 충전전류를 일정충전시간(T) 예컨데, 2시간동안 일반충전부(10)의 저항들(R3-R5)과 퀵 충전부(11)의 트랜지스터(Q2)와 다이오드(D3)를 경유하여 무선전화기(2)의 2셀(1)에 공급하여 만충전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퀵충전 동작을 하게되면, 이후의 노말 충전모드에서 충전전류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는 상기 퀵충전모드중에 내부타이머를 통해 일정충전시간(T)인 2시간이 경과할 경우 노말모드로 전환하여 퀵 충전부(11)의 동작을 오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3)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로우"신호를 인가하여 이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키므로 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입력단자(12)를 통한 충전전류는 일반충전부(10)에 의해 전압작용를 거친다음 다이오드를 거쳐 상기 2셀(1)에 충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충전전류는 대략 30 mA정도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 예컨데, 2.65[V]이상일경우는 최적 노말충전실행단계(S5)로 진행하여 일정충전전류(C2) 예컨데, 30 mA로 노말충전을 실행시킨다.
즉, 제어부(3)는 2셀의 배터리(1)로부터 충전전압을 체킹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전압(A)인 2.65[V]보다 클 경우 최적 일반충전모드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제어부(3)는 퀵 충전부(11)의 동작을 오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3)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로우"신호를 인가하여 이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키므로 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입력단자(12)를 통한 충전전류는 일반충전부(10)에 의해 전압작용를 거친다음 다이오드를 거쳐 상기 2셀(1)에 충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충전전류는 대략 30 mA정도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노말충전모드실행중에 충전전류가 종래에 비해 상당량 줄어들게 되므로 그에따라 배터리 커버상에 발생되는 열을 줄일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최적 퀵충전실행단계(S4)후에 전압분배실행단계(S6)로 진행하여 현재 2셀에 충전된 전압을 시스템에 필요한 바이어스전압으로 일정레벨승압시켜 내부회로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제어부(3)는 배터리가 2셀(1)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데, 2.4[V]정도로만 출력되기 때문에 이 2셀의 전압을 전압승압부(5)를 통해 시스템의 내부회로에 필요한 바이어스 전압 예컨데, 3.8[V]정도로 승압시켜 전압분배부(6)로 입력시키게된는데, 이때 제어부(3)는 전압승압부(5)의 FET(8)의 게이트에 제어포트(S3)를 통해 160[KHz]로 스윙시키게되고 그에따라 코일(L1)과 다이오드(D1)경유하여 입력되는 상기 2셀 배터리(1)의 공급전압이 2.4[V]에서 3.8[V]로 승압되어 전압분배부(6)의 코일(L2)과 다이오드(D2)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전압분배부(6)의 코일(L2)을 경유하는 3.8[V]의 전압은 RF부(4)와 같은 내부회로로 공급되고,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으로 입력된 3.8[V]의 전압은 이 다이오드(D2)와 트랜지스터(Q1)를 거쳐 제어부(3)의 구동전압인 2.6[V]로 전압강하되어 제어부(3)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화기의 배터리의 셀수를 2개만 사용하더라도 그 충전전압이 일정레벨로 승압되어 시스템에 필요한 적정전압으로 공급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2 셀의 배터리만을 채용하여 승압된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충전상태에 따라 적정시간 퀵충전한후 노말충전이 실행되도록 하므로써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셀수를 줄일 수 있어 그에따라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제조비용을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정시간 퀵충전을 한후 노말 충전모드로 전환하여 충전전류를 적게 흐르게 하므로써 배터리 커버상에 발생되는 열을 억제하게 되므로 그에따라 무선전화기시스템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2개의 배터리셀만을 사용하는 무선전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의 검출충전전압(X)을 기준전압(A)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일정충전시간(T)과 일정충전전류(C1,C2)로 가변하여 상기 2개의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승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내부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전압승압부와, 이 전압승압부의 출력전압을 내부 회로의 바이어스전원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전압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승압부는 2셀의 배터리셀이 연결된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인덕턴스작용을 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일단과 제어부의 제어포트의 일단에 연결되어 일정폭의 스윙으로 전압증폭을 행하는 FET와, 상기 코일의 일단과 FET의 드래인단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ET의 스윙폭이 160[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부는 상기 전압승압부의 다이오드에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제어부 구동용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A)이 2.65[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충전시간(T)이 2시간이고,
    일정충전전류(C1)가 120 mA이며, 일정충전전류(C2)가 30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7. 2개의 배터리셀을 사용하는 무선전화기와, 이 무선전화기의 충전전압을 기준전압에 따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충전시간과 충전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2개의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승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내부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전압승압부와, 이 전압승압부의 출력전압을 내부 회로의 바이어스전원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전압분배부와, 상기 무선전화기가 충전단자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변위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입력시키므로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검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일반 충전모드기능에 따라 일정레벨의 충전전류만을 상기 배터리 셀로 입력시키는 일반 충전부와, 상기 제어부의 퀵 충전모드기능에 따라 일정레벨 이상의 충전전류를 상기 배터리 셀에 공급하는 퀵 충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8. 2셀이 채용된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에 있을 경우 현재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전압(X)이 기준전압(A)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충전전압판단단계와, 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 이하일경우는 일정시간(T)동안 일정충전전류(C1)로 퀵충전을 실행한다음 노말모드로 전환하여 일정충전전류(C2)로 2셀의 배터리를 노말충전하는 최적 퀵충전실행단계와,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이상일경우는 일정충전전류(C2)로 노말충전을 실행시키는 최적 노말충전실행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A)이 2.65[V]이고, 상기 일정충전시간(T)이 2시간이며, 상기 일정충전전류(C1)가 120 mA이고, 일정충전전류(C2)가 30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퀵노말충전실행단계후에 현재 2셀에 충전된 전압을 시스템에 필요한 바이어스전압으로 일정레벨 승압시켜 내부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분배실행단계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방법.
  11. 2셀이 채용된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에 있을 경우 현재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전압(X)이 기준전압(A)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충전전압판단단계와, 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 이하일경우는 일정시간(T)동안 일정충전전류(C1)로 퀵충전을 실행한다음 노말모드로 전환하여 일정충전전류(C2)로 2셀의 배터리를 노말충전하는 최적 퀵충전실행단계와,상기 충전전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검출충전전압(X)이 기준충전전압(A)이상일경우는 일정충전전류(C2)로 노말충전을 실행시키는 최적 노말충전실행단계와, 상기 최적 퀵노말충전실행단계후에 현재 2셀에 충전된 전압을 시스템에 필요한 바이어스전압으로 일정레벨 승압시켜 내부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분배실행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방법.
KR10-2000-0067320A 2000-11-14 2000-11-14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KR10039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320A KR100397643B1 (ko) 2000-11-14 2000-11-14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320A KR100397643B1 (ko) 2000-11-14 2000-11-14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400A true KR20020037400A (ko) 2002-05-21
KR100397643B1 KR100397643B1 (ko) 2003-09-13

Family

ID=1969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320A KR100397643B1 (ko) 2000-11-14 2000-11-14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76B1 (ko) * 2005-11-25 2007-07-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다수의 충전 셀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80B1 (ko) 2020-04-29 2022-04-05 주식회사 로보로보 USB를 이용한 n-Cell 배터리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982B2 (ja) * 1992-07-17 2000-04-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7231294A (ja) * 1993-12-22 1995-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充電台
JPH10145982A (ja) * 1996-11-06 1998-05-29 K N Technos Kk 充電装置
JPH11313446A (ja) * 1998-04-28 1999-11-09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および充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76B1 (ko) * 2005-11-25 2007-07-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다수의 충전 셀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643B1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63B1 (ko) 2차 전지팩
US6794851B2 (en) Charging circuit and battery charger
US7656133B2 (en) Capacitor charger with a modulated current varying with an input voltage and method thereof
US6118250A (en) Power supply assembly for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KR0156478B1 (ko) 무선 전화기의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00397643B1 (ko) 2-셀 배터리를 채용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충전장치 및그 충전방법
MY134198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60078318A (ko) 이동 통신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06102928A1 (en)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power management
KR970007604B1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H0759265A (ja) 電池回路
KR200149953Y1 (ko) 핸드프리 기능을 구비한 충전기
KR100390362B1 (ko)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KR200600986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JPH07334257A (ja) 電池パック
KR20010049026A (ko)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079891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0330442Y1 (ko) 2차 전지의 충전 회로
JP3976105B2 (ja) 充電制御装置
KR20010044004A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100543306B1 (ko) 전원 제어 장치
KR100388955B1 (ko) 정전시 무선전화기의 통화시간 연장 장치 및 방법
KR200186006Y1 (ko) 무선 전화기에서의 충·방전 제어 장치
KR200180966Y1 (ko) 무선전화기의 급속충전 장치
KR0126190Y1 (ko) 휴대폰에서 전원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