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306B1 -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306B1
KR100543306B1 KR1020030095143A KR20030095143A KR100543306B1 KR 100543306 B1 KR100543306 B1 KR 100543306B1 KR 1020030095143 A KR1020030095143 A KR 1020030095143A KR 20030095143 A KR20030095143 A KR 20030095143A KR 100543306 B1 KR100543306 B1 KR 10054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turn
power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900A (ko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9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3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커패시터를 적용하여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켜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수㎂로 줄여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는, 배터리; 외부 전원에 의한 외부전압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외부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도통시키는 전원 자동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조정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탄탈 커패시터, 단말기, 레귤레이터

Description

전원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도 1은 종래의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전원 자동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커패시터의 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배터리 220 : 전원 자동 제어부
230 : 레귤레이터 240 : 주제어부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턴온시키는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충전식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 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출력 전압을 유지하고, 단말기 동작 개시를 위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레귤레이터(120);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압 인가가 감지되면 단말기 전체 전원을 턴온시키고, 레귤레이터(120)로부터 리셋 신호를 입력받으면 동작을 개시하는 제어부(130); 및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LCD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의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부(130)에서 이를 감지하고, 전체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내부 전원이 소진되어 제어부(130)가 턴오프된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항상 제어부(130)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전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커패시터를 적용하여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켜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수㎂로 줄여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는, 배터리; 외부 전원에 의한 외부전압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외부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도통시키는 전원 자동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조정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는, 배터리(210), 전원 자동 제어부(220), 레귤레이터(230) 및 주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배터리(210)는, 충전식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전원 자동 제어부(22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원 자동 제어부(220)는, 외부 전원에 의한 외부전압 및 상기 배터리(210)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외부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후술하는 레귤레이터(230)로 도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2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220) 내에 장착된 역전압부(221)는, 턴온전압을 충전 하고, 상기 외부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턴온전압을 방전하여 턴온신호를 후술하는 로드 스위치 제어부(222)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220) 내에 장착된 로드 스위치 제어부(222)는, 상기 역전압부(221)로부터 상기 턴온신호를 인가받으면 로드 스위치 턴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로드 스위치 턴온 신호를 후술하는 로드 스위치(22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220) 내에 장착된 로드 스위치(223)는, 상기 로드 스위치 제어부(222)로부터 상기 로드 스위치 턴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전원전압을 후술하는 레귤레이터(230)로 도통시키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레귤레이터(230)는,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22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조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220)를 통하여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단말기 동작 개시를 위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리셋 신호 및 상기 조정전압을 후술하는 주제어부(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제어부(240)는, 상기 레귤레이터(230)로부터 리셋 신호를 입력받으면 단말기 제어 동작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의 전원 자동 제어부(220)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역전압부(221) 내에 장착된 제1 저항(311)은, 제1 단자는 상기 외부 전 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저항값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역전압부(221) 내에 장착된 커패시터(312)는, 양극은 상기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 음극은 상기 로드 스위치 제어부(222)에 연결되어, 상기 턴온전압을 충방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312)는, 탄탈 커패시터(Tantal Capacitor)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전압부(221) 내에 장착된 제2 저항(313)은, 제1 단자는 상기 커패시터(312)의 음극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저항값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로드 스위치 제어부(222) 내에 장착된 트랜지스터(321)는, 베이스 단자로 상기 상기 역전압부(221)로부터 상기 턴온신호를 인가받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컬렉터 단자는 상기 로드 스위치(223)에 연결되어, 상기 턴온신호에 의해 상기 로드 스위치(223)를 접지로 도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로드 스위치(223) 내에 장착된 MOS 트랜지스터(331)는, 소스 단자는 상기 배터리(210)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로 상기 로드 스위치 제어부(222)로부터 상기 로드 스위치 턴온 신호를 입력받으며, 드레인 단자는 상기 레귤레이터(230)로 연결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3의 커패시터(312)의 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인 경우에는, MOS 트랜지스터(331)가 턴오프 되어 단말기 내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시킨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턴온되면, MOS 트랜지스터(331)가 턴온되어 레귤레이터(23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주제어부(240)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인 경우에 외부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커패시터(312)에 충전된 턴온 전압이 짧은 시간동안 방전하면서 트랜지스터(321)를 턴온시키고, 이에 따라 MOS 트랜지스터(331)가 턴온되어 레귤레이터(23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주제어부(240)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탈 커패시터(312)의 용량은 완충 상태에서 방전 전압이 0.5V가 될 때 까지의 방전 시간이 200~300ms 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주제어부(240)의 리셋 타임보다 약간 길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커패시터를 적용하여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켜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수㎂로 줄여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배터리;
    외부 전원에 의한 외부전압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외부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도통시키는 전원 자동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조정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자동 제어부는,
    턴온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외부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턴온전압을 방전하여 턴온신호를 인가하는 역전압부;
    상기 턴온신호를 인가받으면 로드 스위치 턴온 신호를 생성하는 로드 스위치 제어부; 및
    상기 로드 스위치 턴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도통시키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로드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압부는,
    양극은 상기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 음극은 상기 로드 스위치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턴온전압을 충방전하는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탄탈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의 용량은, 완충 상태에서 방전 전압이 0.5V가 될 때 까지의 방전 시간이 200~300ms이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KR1020030095143A 2003-12-23 2003-12-23 전원 제어 장치 KR10054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143A KR100543306B1 (ko) 2003-12-23 2003-12-23 전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143A KR100543306B1 (ko) 2003-12-23 2003-12-23 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900A KR20050063900A (ko) 2005-06-29
KR100543306B1 true KR100543306B1 (ko) 2006-01-20

Family

ID=3725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143A KR100543306B1 (ko) 2003-12-23 2003-12-23 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39B1 (ko) * 2019-02-14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900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63B1 (ko) 2차 전지팩
KR200185261Y1 (ko) 디지털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US6507173B1 (en) Single chip power management unit apparatus and method
CA2020384C (en) Battery charger for a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means for tricklingly charging the battery with an increased current during a stand-by period of the telephone set
US679808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ual-mode load circuit
US5717309A (en) Dual battery charging device
JP2001178017A (ja)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充電回路
KR19990088031A (ko) 충방전제어회로및충전형전원공급장치
JP3401886B2 (ja) 電池を用いた電源システム
JP2002320338A (ja) 電池から供給される電圧調節装置
CN113852147A (zh) 显示屏的供电装置和电子设备
US6836102B2 (en) Booster type switching regulator
US20050116764A1 (en) Driving circuit for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543306B1 (ko) 전원 제어 장치
JP2001298861A (ja) 電源回路及び電子スチルカメラ
JPS6138650B2 (ko)
US9837816B2 (en) Semiconductor devic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sensor node
JP2003023770A (ja) スイッチドキャパシタ型安定化電源装置
KR20010049026A (ko)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986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KR0167895B1 (ko)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공급전원 제어회로
JP200013907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180966Y1 (ko) 무선전화기의 급속충전 장치
WO2022163475A1 (ja) 電源装置
KR200253465Y1 (ko)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