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472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472A
KR20020021472A KR1020000054195A KR20000054195A KR20020021472A KR 20020021472 A KR20020021472 A KR 20020021472A KR 1020000054195 A KR1020000054195 A KR 1020000054195A KR 20000054195 A KR20000054195 A KR 20000054195A KR 20020021472 A KR20020021472 A KR 2002002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voltage
low
voltage
reference valu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482B1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5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4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로 되는 경우 저전압을 경고하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판단시 상기 단말기 각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의 설정 요구가 있으면 저전압 기준치 설정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기준치 설정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를 입력받아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에 따라 상기 단말기 각 부하로의 동작 전원 공급을 재개시켜 긴급통화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URGENT CALL METHOD IN LOW VOLTAGE STAT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전압시 긴급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함에 따라 내부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가 되면, 경고음을 송출하거나 엘이디(LED)를 깜박거려서 배터리의 저전압 상태를알리게 된다.
상기 저전압 상태라 함은 단말기가 더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과방전 상태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전압으로 보통 상기 기준이 되는 저전압은 단말기 각 블록의 전원을 지원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의 출력값보다 높은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값보다 높게 설정되는 저전압은 단말기가 완전히 과방전상태로 되기 전에 몇 통화는 가능할 만큼의 충분한 여유를 두고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저전압 상태에서는 통화는 물론 단말기의 각종 조작 수행도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제조시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값보다 높게 설정된 단말기의 저전압 설정치를 사용자가 변경시킬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는 긴급하게 통화해야할 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곤란함을 격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도 긴급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로 되는 경우 저전압을 경고하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판단시 상기 단말기 각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의 설정 요구가 있으면 저전압 기준치 설정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기준치 설정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를 입력받아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에 따라 상기 단말기 각 부하로의 동작 전원 공급을 재개시켜 긴급통화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내 저전압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통화를 위한 저전압 재설정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하용량 특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내 배터리 저전압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00)는 상기 단말기에 내장되는 배터리로써, 상기 단말기의 각 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저전압 검출부(104)는 상기 전원 공급부(100)로부터의 전원 전압을 검사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전원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기준치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제어부(106)로 알린다. 제어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 각 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저전압 검출부(104)를 통해 전원공급부(100)의 저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레귤레이터(102)를 제어하여 단말기 각 부하(108)로 공급되는 상기 전원 공급부(100)로부터의 전원 전압을 차단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내 배터리 저전압 검출장치에서 긴급통화를 위해 저전압을 새로이 설정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저전압 검출부(104)는 이를 제어부(106)로 알리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6)는 (2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02)단계로 진행해서 저전압 경보부(도시하지 않았음)를 제어하여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임을 알리는 저전압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어 제어부(106)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레귤레이터(102)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100) 즉, 배터리로부터의 동작 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저전압 상태로 되어 통화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저전압 상태에 긴급한 통화의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되는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의 설정을 요구하게 된다. 즉, 전원 공급부(100)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전하용량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3.2V정도를 유지하면서 공급되고, 레귤레이터(102)의 저전압 설정치가 3V로 설정되는 경우레귤레이터(102)는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전원 전압이 3V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저전압으로 판단하여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전원 공급부(100) 배터리의 용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단말기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의 동작불능 전압인 2.6V이전까지는 전원 공급부(100)의 여유 전하용량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단말기를 이용한 더 이상의 통화 수행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206)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레귤레이터(102)의 저전압 기준치를 상기 동작불능 전압 이상으로 새로이 설정요구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06)는 (20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저전압 설정요구에 응답하여 (208)단계로 진행해서 사용자가 새로운 저전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저전압 설정모드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 설정된 레귤레이터(102)의 저전압 기준치를 종래 저전압 기준치보다는 다소 낮아지도록 또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불능 전압보다는 높도록 재설정 하게된다. 그러면 제어부(106)는 (21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레귤레이터 저전압 기준치를 입력받고, (212)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입력된 저전압 기준치를 새로운 저전압으로 설정한다. 이어 제어부(106)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이 설정된 레귤레이터의 저전압 기준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각 블록의 동작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102)를 통해 부하(108)로 전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의 저전압을 필요에 따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시에도 긴급한 통화를 수행할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귤레이터 저전압 설정치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도 긴급한 통화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저전압 상태로 되는 경우 저전압을 경고하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판단시 상기 단말기 각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의 설정 요구가 있으면 저전압 기준치 설정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저전압 기준치 설정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를 입력받아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에 따라 상기 단말기 각 부하로의 동작 전원 공급을 재개시켜 긴급통화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저전압 기준치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불능 전압보다는 높게 설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KR1020000054195A 2000-09-15 2000-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KR10065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95A KR100651482B1 (ko) 2000-09-15 2000-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95A KR100651482B1 (ko) 2000-09-15 2000-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72A true KR20020021472A (ko) 2002-03-21
KR100651482B1 KR100651482B1 (ko) 2006-11-28

Family

ID=1968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195A KR100651482B1 (ko) 2000-09-15 2000-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80A (ko) * 2002-07-30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오프전압 표시 방법
KR20040085738A (ko)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80A (ko) * 2002-07-30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오프전압 표시 방법
KR20040085738A (ko)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482B1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72B1 (ko)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및 공급 전원의 표시 방법과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80228A (ko) 듀얼 배터리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514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JP2007135362A (ja) 携帯端末装置
KR20090027506A (ko)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07604B1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2000278108A (ja) ウォッチドッグ回路および充電制御装置
KR102637309B1 (ko) 외부에서 모드 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팩 및 외부에서 배터리 팩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480079B1 (ko) 휴대단말기 내장형 충전장치 및 방법
JP2007037225A (ja) 充電回路及び充電制御方法
JPWO2020110542A1 (ja) 電池パック及び電気機器システム
CN220305433U (zh) 接口电路及电子设备
JP200905906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91825B1 (ko) 전원 오프 처리시 충전에 따른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JPH06311668A (ja) 無停電電源装置
JPH06335179A (ja) 無停電電源装置
KR200365789Y1 (ko) 전자기기용 배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자기기
JPH07322523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バッテリ充電制御方法
KR960013699B1 (ko) 무선전화기에서 충전배터리의 과방전 방지방법
KR2004008573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JP2003167636A (ja) 電子機器
JPH0429531A (ja) バックアップ電源供給方式
JPH04190637A (ja) 電子装置
JPH10243573A (ja) バックアップ電池充放電回路
CN112769217A (zh) 基于电池备用电供电系统的断路器及断路器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